KR19990026348A -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348A
KR19990026348A KR1019970048427A KR19970048427A KR19990026348A KR 19990026348 A KR19990026348 A KR 19990026348A KR 1019970048427 A KR1019970048427 A KR 1019970048427A KR 19970048427 A KR19970048427 A KR 19970048427A KR 19990026348 A KR19990026348 A KR 19990026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normality
monitoring
abnormal
elevator
dia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옥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4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348A/ko
Publication of KR19990026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348A/ko

Link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은 감시센터장치에서 지정한 이상 검출조건 이외의 고장을 검출할 수 없어 승강기의 고장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과 아울러 감시단말장치는 고장이 검출되면 이에 따른 판별 없이 이상데이터를 전화회선망을 통해 송신함으로써, 전화회선망과 감시센터장치의 부하를 가중시키고, 감시단말장치 자체도 유휴시간이 길어져 장치의 사용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감시대상인 승강기의 수가 많아 질수록 감시센터장치의 부하가 증가하여 이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감시단말장치에서 승강기의 이상을 검출하고, 진단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진단결과를 검출하고 전화회선망을 통해 이상 데이터와 진단결과를 송신하는 제 1단계와; 감시센터장치에서 상기 감시단말장치로부터 이상 데이터와 진단결과를 입력받아 진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진단하고 보수 및 보전지시를 내리며, 설정된 시간에 상기 감시단말장치의 감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고장을 진단하여 보수 및 보전지시를 내리는 제 2단계로 이루어져 승강기에 구비된 감시단말장치에서 검출된 이상을 1차적으로 진단하고, 그 1차 진단결과가 중대한 이상일 경우에만 전화선을 통해 감시센터장치로 송신하고, 경미한 이상인 경우에는 이상 데이터를 유지하고 감시센터장치에서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송신하도록 하여, 전화회선망 및 감시센터장치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장치의 사용효율을 증가시키고 동작의 신뢰도를 증가시키는 효과와 아울러 감시단말장치에 이상을 진단할 프로그램을 추가함으로써, 경미한 승강기 장치의 고장 변화에도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
본 발명은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시센터장치에서 처리하는 승강기 감시의 일부를 승강기에 구비된 감시단말장치에서 처리하도록 하여 감시센터장치에 부하를 줄이고, 승강기의 이상에 대해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는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은 승강기의 도어, 인터폰 등의 각 부를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장치와, 그 다수의 제어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이상이 검출되면 전화회선망을 통해 이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감시단말장치와, 상기 감시단말장치로부터 이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상이 생긴 제어장치의 복구, 보전 작업지시를 통보하는 감시센터장치를 사용하여 각 승강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고 보수를 요구하는 형태로 운용되었다.
이처럼 종래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은 승강기에 구비된 감시단말장치에서 이상이 발생함을 검출하면, 건물의 특정위치에 위치하는 감시센터장치에서는 이를 전화선을 통해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게 되며, 이와 같은 종래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일반적인 승강기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승강기(10),(20),(30)와 전화회선망(50)을 통해 이를 제어하는 감시센터장치(40)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기(10)는 승강기(10)의 도어, 인터폰 등의 장치를 제어하는 다수의 장치제어부(11),(12),(13),(14)와; 상기 다수의 장치제어부(11),(12),(13),(14)에 이상이 발생하면 전화회선망(50)을 통해 상기 감시센터장치(40)로 이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감시단말장치(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승강기(20),(30)도 이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반적인 승강기 시스템을 원격감시하는 종래 승강기 원격감시방법은 상기 감시단말장치(15)에서 승강기(10)의 운전상태를 감시하고, 미리 설정된 이상 검출조건에 따라 중대한 이상이 검출되면 이상 데이터가 유지되고, 전화회선망(50)을 통해 감시센터장치(40)로 이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이상 데이터를 송신 받은 감시센터장치(40)는 상기 승강기(10)의 감시단말장치(15)로부터 수신된 이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장을 진단하고, 그 진단결과에 따라 복구, 보전의 작업지시를 자동으로 통보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이상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도, 모든 감시대상을 주어진 프로그램에 따라 감시하며 이에 따라 경미한 이상도 방치되지 않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종래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종래 감시단말장치(15)의 동작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제어부(11),(12),(13),(14)에 중대한 이상이 검출되었는가를 검출하는 중대 이상검출단계와; 상기 중대 이상검출단계에서 중대한 이상이 검출되면 이상 데이터를 유지하고 감시센터장치(40)에 이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다시 상기 중대 이상검출단계로 귀환하는 이상 데이터 유지 및 송신단계와; 상기 중대 이상검출단계에서 중대한 이상이 없으면, 경미한 이상 검출유무를 판단하는 경미한 이상검출단계와; 상기 경미한 이상검출단계에서 경미한 이상의 검출이 있으면 이상 데이터를 유지하고, 다시 중대 이상검출단계로 귀환하는 경미한 이상 데이터 유지단계와; 상기 경미한 이상검출단계에서 경미한 이상이 검출되지 않으면 감시센터장치(40)로부터의 호출이 있었는가를 판단하여 호출이 없으면, 상기 중대이상 검출단계로 귀환하는 감시센터장치 호출 판단단계와; 상기 감시센터장치(40)로부터의 호출이 있으면, 감시 데이터를 송신하고, 감시센터장치(40)의 요구에 따라 이상검출조건을 변경한 후, 다시 중대 이상검출단계로 귀환하는 이상검출조건 수정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3은 상기 감시센터장치(40)의 동작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시단말장치(15)에서 중대 이상 데이터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중대 이상 데이터 입력 판단단계와; 상기 중대 이상 데이터 입력판단단계에서 중대 이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고장진단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진단결과에 따라 복구 및 보전작업을 지시한 후, 다시 중대 이상 데이터 입력 판단단계로 귀환하는 고장진단 및 복구단계와; 상기 중대 이상 데이터 입력 판단단계에서 이상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정기진단을 위한 설정시간이 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설정시간이 되지 않았으면, 상기 중대 이상 데이터 입력 판단단계로 귀환하는 정기진단 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정기진단 여부 판단단계에서 정기진단을 위한 설정시간이 되었으면, 해당 승강기로 다이얼링하여 감시단말장치(15)의 이상 검출조건을 변경해야 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검출조건 판단단계와; 상기 검출조건 판단단계에서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조건을 변경하는 검출조건 변경단계와; 상기 검출조건 판단단계에서 검출조건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와 상기 검출조건 변경단계에서 검출조건을 변경한 후, 상기 감시단말장치(15)로부터 감시 데이터를 수신 받은 후 상기 고장진단 및 복구단계를 수행하는 감시데이터 수신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은 각 승강기(10),(20),(30)에 구비된 감시단말장치에서 이상 데이터를 전화회선망(50)을 통해 송신하고, 감시센터장치(40)에서 이를 수신하여 고장진단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그 진단결과에 따라 복구 및 보전작업을 수행하여 승강장치에 중대한 이상이 발생한 것을 복구하며, 감시센터장치(40)는 설정시간이 되면, 상기 각 감시단말장치에 감시데이터를 요청하여 경미한 이상도 복구함으로써, 승강기 운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승강기 원격제어방법은 감시센터장치에서 지정한 이상 검출조건 이외의 고장을 검출할 수 없어 승강기의 고장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과 아울러 감시단말장치는 고장이 검출되면 이에 따른 판별 없이 이상데이터를 전화회선망을 통해 송신함으로써, 전화회선망과 감시센터장치의 부하를 가중시키고, 감시단말장치 자체도 유휴시간이 길어져 장치의 사용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감시대상인 승강기의 수가 많아 질수록 감시센터장치의 부하가 증가하여 이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승강기의 고장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응하며, 감시센터장치와 전화회선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승강기 시스템의 블록도.
도2는 도1에 있어서, 종래 감시단말장치의 동작순서도.
도3은 도1에 있어서, 종래 감시센터장치의 동작순서도.
도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승강기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단말장치의 동작순서도.
도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승강기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센터장치의 동작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승강기 11~14:장치제어부
15:감시단말장치 40:감시센터장치
50:전화회선망
상기와 같은 목적은 감시단말장치에서 승강기의 이상을 검출하고, 진단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진단결과를 검출하고 전화회선망을 통해 이상 데이터와 진단결과를 송신하는 제 1단계와; 감시센터장치에서 상기 감시단말장치로부터 이상 데이터와 진단결과를 입력받아 진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진단하고 보수 및 보전지시를 내리며, 설정된 시간에 상기 감시단말장치의 감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고장을 진단하여 보수 및 보전지시를 내리는 제 2단계로 종래 감시센터장치에서 모든 데이터의 처리를 하는 것을 1차적으로 감시단말장치에서 이상이 발견되면 그 이상을 진단하는 2단계의 진단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시스템의 구성은 도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4는 감시단말장치(15)의 동작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제어부(11),(12),(13),(14)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단계와; 상기 이상검출단계에서 이상이 검출되면 진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진단결과를 저장하는 이상 진단 및 저장단계와; 상기 이상 진단 및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이상이 중대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이상 판단단계와; 상기 이상 판단단계에서 중대 이상으로 판단되면 이상데이터를 유지하고, 이상 데이터 및 진단결과를 감시센터장치(40)로 송신하는 이상 데이터 송신단계와; 상기 이상 판단단계에서 중대한 이상이 아닌 경우 경미한 이상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경미한 이상 판단단계와; 상기 경미한 이상 판단단계에서 경미한 이상으로 판단되면 이상 데이터를 유지하는 경미한 이상 데이터 유지단계와; 상기 이상검출단계에서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상기 경미한 이상 판단단계에서 경미한 이상이 아닌 경우 및 상기 이상 데이터 송신단계와 경미한 이상 데이터 유지단계를 수행한 후, 감시센터장치(40)로부터 호출이 있었는가를 판단하는 호출유무 판단단계와; 상기 감시센터장치(40)로부터의 호출이 있는 경우 감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이상 검출조건을 변경하는 이상 검출조건 수정단계와; 상기 호출 유무 판단단계와 이상 검출조건 수정단계를 수행한 후, 이상 검출조건이 변경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이상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이상검출단계로 귀환하는 이상 검출조건 변경 판단단계와; 상기 이상 검출판단단계에서 이상 검출조건이 변경된 경우 진단결과에 따른 이상 검출조건을 변경한 후 다시 이상검출단계로 귀환하는 검출조건 재설정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센터장치(40)의 동작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단말장치(15)로 부터의 호출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호출판단단계와; 상기 호출판단단계에서 호출이 있는 경우 이상 데이터 및 진단결과를 수신하고, 고장진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진단결과를 얻은 후 그에 따른 복구와 보전작업을 지시한 다음, 상기 호출판단단계로 귀환하는 진단 및 복구단계와; 상기 감시단말장치(15)로 부터의 호출이 없는 경우 정기진단 여부를 판단하고 정기진단을 위한 설정시간이 되지 않았으면, 상기 호출판단단계로 귀환하는 정기진단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정기진단여부 판단단계에서 정기진단을 위한 설정시간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승강기(10)의 감시단말장치(15)를 호출하는 호출단계와; 상기 호출단계의 수행 후, 이상 검출조건을 변경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이상 검출조건 변경 판단단계와; 상기 이상 검출조건 변경 판단단계에서 이상 검출조건을 변경할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시단말장치(15)로 변경조건 데이터를 송신하는 변경조건 데이터 송신단계와; 상기 변경조건 데이터 송신단계를 수행한 후와 상기 이상 검출조건 변경 판단단계에서 이상 검출조건의 변경이 없는 경우 상기 감시단말장치(15)로부터 감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진단 및 복구단계를 수행하는 감시 데이터 수신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승강기 원격감시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승강기(10)에 구비된 감시단말장치(15)는 각 장치제어부(11),(12),(13),(14)에서 이상을 검출한다. 이때 이상이 없으면, 감시센터장치(40)로 부터의 호출여부를 판단하고, 호출이 있는 경우 감시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상 검출조건의 변경요구 및 변경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그 변경 데이터에 따른 이상 검출조건을 수정한 후, 다시 각 장치제어부(11),(12),(13),(14)의 이상을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장치제어부(11),(12),(13),(14)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종래와는 달리 진단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진단결과를 얻은 다음, 다시 그 진단결과를 판단하여 중대한 이상인 경우 감시센터장치(40)에 전화회선망(50)을 통해 이상 데이터 및 진단결과를 송신한다. 이때 중대한 이상이 아닌 경미한 이상인 경우에는 그 이상 데이터를 유지한다.
그 다음, 상기 장치제어부(11),(12),(13),(14)에서 이상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와 동일하게 감시센터장치(40)로 부터의 호출여부를 판단하고, 호출이 있는 경우 감시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상 검출조건의 변경요구 및 변경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그 변경 데이터에 따른 이상 검출조건을 수정한 후, 다시 각 장치제어부(11),(12),(13),(14)의 이상을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시센터장치(40)에서는 승강기(10)의 감시단말장치(15)로부터 이상 데이터 및 그 진단결과가 입력되면 고장진단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진단결과에 따라 승강장치를 복구 보전하는 지시를 내리게 된다.
이때, 감시단말장치(15)로부터 이상 데이터 및 그 진단결과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승강기(10)에 중대한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정기진단을 수행하며, 이상검출조건을 변경할 것인가를 판단한 다음, 변경의 필요성이 있으면 변경조건 데이터를 상기 감시단말장치(15)로 출력하고, 상기 감시단말장치(15)의 감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은 승강기에 구비된 감시단말장치에서 검출된 이상을 1차적으로 진단하고, 그 1차 진단결과가 중대한 이상일 경우에만 전화선을 통해 감시센터장치로 송신하고, 경미한 이상인 경우에는 이상 데이터를 유지하고 감시센터장치에서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송신하도록 하여, 전화회선망 및 감시센터장치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장치의 사용효율을 증가시키고 동작의 신뢰도를 증가시키는 효과와 아울러 감시단말장치에 이상을 진단할 프로그램을 추가함으로써, 경미한 승강기 장치의 고장 변화에도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감시단말장치에서 승강기의 이상을 검출하고, 진단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진단결과를 검출하고 전화회선망을 통해 이상 데이터와 진단결과를 송신하는 제 1단계와; 감시센터장치에서 상기 감시단말장치로부터 이상 데이터와 진단결과를 입력받아 진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진단하고 보수 및 보전지시를 내리며, 설정된 시간에 상기 감시단말장치의 감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고장을 진단하여 보수 및 보전지시를 내리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장치제어부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단계와; 상기 이상검출단계에서 이상이 검출되면 진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진단결과를 저장하는 이상 진단 및 저장단계와; 상기 이상 진단 및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이상이 중대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이상 판단단계와; 상기 이상 판단단계에서 중대 이상으로 판단되면 이상데이터를 유지하고, 이상 데이터 및 진단결과를 감시센터장치로 송신하는 이상 데이터 송신단계와; 상기 이상 판단단계에서 중대한 이상이 아닌 경우 경미한 이상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경미한 이상 판단단계와; 상기 경미한 이상 판단단계에서 경미한 이상으로 판단되면 이상 데이터를 유지하는 경미한 이상 데이터 유지단계와; 상기 이상검출단계에서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거나, 상기 경미한 이상 판단단계에서 경미한 이상이 아닌 경우 및 상기 이상 데이터 송신단계와 경미한 이상 데이터 유지단계를 수행한 후, 감시센터장치로부터 호출이 있었는가를 판단하는 호출유무 판단단계와; 상기 감시센터장치로 부터의 호출이 있는 경우 감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이상 검출조건을 변경하는 이상 검출조건 수정단계와; 상기 호출 유무 판단단계와 이상 검출조건 수정단계를 수행한 후, 이상 검출조건이 변경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이상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이상검출단계로 귀환하는 이상 검출조건 변경 판단단계와; 상기 이상 검출판단단계에서 이상 검출조건이 변경된 경우 진단결과에 따른 이상 검출조건을 변경한 후 다시 이상검출단계로 귀환하는 검출조건 재설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감시단말장치로부터의 호출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호출판단단계와; 상기 호출판단단계에서 호출이 있는 경우 이상 데이터 및 진단결과를 수신하고, 고장진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진단결과를 얻은 후 그에 따른 복구와 보전작업을 지시한 다음, 상기 호출판단단계로 귀환하는 진단 및 복구단계와; 상기 감시단말장치로 호출이 없는 경우 정기진단 여부를 판단하고 정기진단을 위한 설정시간이 되지 않았으면, 상기 호출판단단계로 귀환하는 정기진단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정기진단여부 판단단계에서 정기진단을 위한 설정시간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승강기의 감시단말장치를 호출하는 호출단계와; 상기 호출단계의 수행 후, 이상 검출조건을 변경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이상 검출조건 변경 판단단계와; 상기 이상 검출조건 변경 판단단계에서 이상 검출조건을 변경할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시단말장치로 변경조건 데이터를 송신하는 변경조건 데이터 송신단계와; 상기 변경조건 데이터 송신단계를 수행한 후와 상기 이상 검출조건 변경 판단단계에서 이상 검출조건의 변경이 없는 경우 상기 감시단말장치로부터 감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진단 및 복구단계를 수행하는 감시 데이터 수신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
KR1019970048427A 1997-09-24 1997-09-24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 KR19990026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427A KR19990026348A (ko) 1997-09-24 1997-09-24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427A KR19990026348A (ko) 1997-09-24 1997-09-24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348A true KR19990026348A (ko) 1999-04-15

Family

ID=6604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427A KR19990026348A (ko) 1997-09-24 1997-09-24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3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891B1 (ko) * 2001-07-10 2004-05-10 주식회사 삼일엘텍 엘리베이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843159B1 (ko) * 2007-01-29 2008-07-03 (주)에이치피엔알티 Dtmf 통신방식을 이용한 전기기계장치의 감시 제어방법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891B1 (ko) * 2001-07-10 2004-05-10 주식회사 삼일엘텍 엘리베이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843159B1 (ko) * 2007-01-29 2008-07-03 (주)에이치피엔알티 Dtmf 통신방식을 이용한 전기기계장치의 감시 제어방법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214B1 (ko) 승강기의 원격감시제어장치
JP2007067540A (ja) 二重系系切替装置
KR19990026348A (ko) 승강기의 원격감시방법
CN111273577A (zh) 设施监视系统及设施监视系统的通信方法
KR100186374B1 (ko) 엘리베이터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4028989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100675661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고장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402757B1 (ko) 시스템보드의 오류검사 장치 및 방법
KR100202712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장치
JP3383750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CN112034774A (zh) 一种热冗余控制方法
KR100275578B1 (ko) 자기 진단 능력을 갖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용 단말장치
JP3064681B2 (ja) 遠隔監視装置
KR200357429Y1 (ko) 원격 감시 및 제어 장치
JP2693580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保守装置
JPH05325078A (ja) 遠隔監視装置
JPH05135289A (ja) 昇降機遠隔監視装置
JP3105562B2 (ja) 監視センタ装置
CN110850852A (zh) 一种工控设备故障通知系统和方法
JP3474786B2 (ja) プロセス故障監視支援装置
KR19990074475A (ko) 엘리베이터용 원격 보수장치
KR20020078435A (ko) 생산설비의 장애 감지 및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656366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装置
KR100286352B1 (ko) 엘리베이터의원격감시장치및방법
JPH08194879A (ja) 遠隔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