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081Y1 -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081Y1
KR950009081Y1 KR2019910700004U KR910070004U KR950009081Y1 KR 950009081 Y1 KR950009081 Y1 KR 950009081Y1 KR 2019910700004 U KR2019910700004 U KR 2019910700004U KR 910070004 U KR910070004 U KR 910070004U KR 950009081 Y1 KR950009081 Y1 KR 950009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wire rope
suspension
arm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700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사또
가즈요시 고또
가쓰유끼 히야마
요시노부 자엔
Original Assignee
산뀨 가부시끼가이샤
나까무라 고오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12253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798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004287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20223Y2/ja
Application filed by 산뀨 가부시끼가이샤, 나까무라 고오아시 filed Critical 산뀨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0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안의 명칭]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 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의 정면도.
제 2 도는 동평면도.
제 3 도는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조정장치의 고정수단을 상세히 나타낸 측면도.
제 4 도는 동평면도.
제 5 도는 제 3 도에서 화살표 I-I에 따른 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의 정면도.
제 7 도는 동부분평면도.
제 8 도는 이 실시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절장치의 고정수단의 부분확대 측면도.
제 9 도는 달아올렸을때의 이 고정구단의 상황을 나타낸 부분확대측면도.
제 10 도 및 제 11 도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의 사시도.
제 12 도는 동부분확대 정면도.
제 13 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하는 받침부재의 확대평면도.
제 14 도는 제 13 도에서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제 15 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하는 받침부재의 확대평면도.
제 16 도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의 정면도.
제 17 도는 동평면도.
제 18 도는 동장치의 일부를 개조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의 부분 정면도.
제 19 도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절장치의 정면도
제 20 도 동부분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동겸 충전장치 본체 102a,102b : 회전계 자극
103 : 계자 코일 104 : 전길자 철심
105 : 전기자 코일 106 : 크랭크각 검출기
111 : 계자 철심
[고안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고안은 주로 대형이고 중량물인 피인양물을 인양할 때에 있어서 중량이 커지는 와이어로우프의 탈착 즉 와이어를 거는 작업을 경감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대형 인양물을 매달아올려 소정장소로 운반하려면 종래에 와이어로우프를 작업자에 의한 인력으로 걸고난 다음에 이 와이어로우프를 크레인 후크로 감아올려서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중량물로 된 피인양물을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와이어로우프도 직경이 큰 중력물로 되므로 많은 작업자를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작업성도 나쁘고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은 극히 크며, 안전면에서도 문제가 많았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8-144086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소 59-26888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같이 상기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을 자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중량물 현수구가 종래로부터 제안되어 있다. 이들의 중량물 현수구는 복수개의 아암부재를 신축조정하고 이 각 아암부재의 선단에 현수용 와이어로우프가 부착된 현수판을 부착하여 이 현수판의 하부에 크램프를 달아 내리고 이 각 크램프를 피인양물의 외주근방에 고정시켜 상기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에 따라서 상기 각 아암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아암을 신축조정하는 구동원으로서 전자는 추를, 후자는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전술한 중량물 현수구의 제안을 로우프를 거는 작업을 안전 또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며, 로우프 거는 작업자의 부하를 경감시킨다는 면에서 상당한 효과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치구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추를 사용한 전자의 중량물 현수구에서는 중량이 커지는 추를 장착함으로써 장치자체가 중량물로되어 취급성이 나쁜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스프링을 사용하는 후자의 중량물 현수구에서는 스프링을 지지하는 축부재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전체의 양정이 높아지고 기존의 와이어로우프가 적용될 수 없다는 큰 결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장치자체의 중량도 무거워지고 제조원가의 상승, 취급성의 악화등을 초래하고 실용화란 면에서 큰 장해로 되어 있었다.
또 현수판에서 달아내린 크램프는 피인양물의 외주근방에는 위치하지만 현수판에 부착된 샤클을 지점으로하여 요동되기 쉽고 일단 걸린 크램프가 피인양물에서 벗겨지든지 역으로 반송종료후에 크램프를 자동적으로 벗길수도 없었다. 특히 크램프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로우프를 직접 피인양물에 걸 경우에는 그 문제가 크고 걸린 와이어로우프를 작업자가 누른 상태로 크레인 후크를 상승시키든지 크레인 후크를 하강시킨후에 작업자의 인력으로 벗길 필요가 있었다. 이때문에 종래 수단과 거의 변함없이 작업자를 필요로 하고 작업자의 부하 경감효과에도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사정에 비추어 행해진 것이며 피인양물로의 와이어로우프를 거는 일을 용이하게 행할수 있고 또 반송 종료된 경우에는 그 이탈이 반자동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또 상기 종래예에 의한 중량물 현수구의 문제점, 특히 구동원으로서 스프링을 사용하는 수단에 의한 문제점의 발본적인 해결을 도모하고 경량 또한 간단한 구조이고 전체적 높이가 낮고 로우프를 걸때에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을 확실하게 또한 자동적으로 조정가능하여 작업의 능률화와 작업자의 부하경감을 가능케하는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고안의 개시]
상기 제1목적에 따른 제1고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는 중앙부에 배설되는 확대구동수단에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배설된 신축조정가능한 아암부재와 이 아암부재의 선단부에 설비된 현수용와이어로우프의 고정수단으로 되고 로우프를 거는 작업시에는 아암부재의 벌려진 각도를 증대시키고 달아올릴때에는 아암부재의 벌려진 각도를 감소시키는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아암부재의 선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회동축과 이 회동축에 직교되는 지지축 및 상단부에 상기 와이어로우프와의 고정구를 갖고 상기 회동축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로우프고정부재와,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고 상기 로우프고정부재의 하방으로 선회가능하게 상기 와이어로우프를 그 사이에 끼워 보지하는 로우프가이드부재와 상기 로우프고정부재와 로우프가이드부재의 각각 선단부 또는 중간부를 설정장력으로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1고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에서는 아암부재의 선단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회동축에 로우프고정부재를 부착하고 이 로우프고정부재에는 상기 회동축에 직교되는 지지축을 갖고 이지지축에는 로우프가이드부재를 부착하고 또한 이 로우프가이드부재의 선단과 상기 로우프고정부재의 선단부 또는 중간부를 인장스프링에 의해서 연결하고 있으므로 로우프가이드부재를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켜서 내측 및 외측에 보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인양물을 와이어로우프에 의해서 달아올리는 경우에는 로우프가이드부재를 지지축을 중심으로하여 내측으로 굴곡시킨 상태로 피인양물에 와이어로우프를 걸고 크레인 후크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로우프의 상단을 끌어올리면 와이어로우프는 직선상이 되므로 로우프고정부재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고 로우프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되어 아암부재의 축심과 일치하는 위치로 된다. 여기서 피인양물을 소정장소까지 반송하고 크레인 후크를 하강시켜 와이어로우프의 팽팽한 힘을 없애면 확대구동수단의 작용에 의해서 아암부재가 벌여지고 이와 동시에 로우프가이드부재는 인장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굴곡되어 와이어로우프는 피인양물로 부터 자동적으로 벗겨지므로 작업자가 개입하지 않고 와이어로우프를 피인양물로부터 벗길수 있다.
또 상기 제1목적에 따른 제2고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는 중앙부에 배설된 확대구동수단에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배설된 신축조정가능한 아암부재와 이 아암부재의 선단부에 설비된 현수용와이어로우프의 고정수단으로 되고 로우프를 거는 작업시에는 아암부재의 벌려진 각도를 증대시켜 달아올릴때에는 아암부재의 벌려진 각도를 감소시키는 현수용 와이어 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아암부재의 선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회동축과 상단부에 상기 와이어로우프의 고정구를 갖고 상기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로우프고정부재와 상기 회동축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지지브라켓을 갖고 또한 상기 로우프고정부재보다 하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로우프고정부재와 역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와이어로우프를 그사이에 끼워져 있게 하는 로우프가이드부재와 상기 로우프고정부재와 로우프가이드부재의 각각 선단부 또는 중간부를 설정장력으로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고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에 있어서는 인장스프링에 의해서 로우프고정부재의 반대측에 설비된 로우프가이드부재를 아암부재의 선단부보다도 내측으로 유지한 상태로 피인양물에 와이어로우프를 걸어서 전체를 크레인 후크에 의해서 상승시키면 와이어로우프는 직선상으로 되어 피인양물을 달아올리게 되지만 이에 의해서 로우프가이드부재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회동되어 로우프가아드 부재가 역방향으로 인장스프링에 의해서 고정보지된다. 그리고 소정위치에서 크레인 후크를 하강시켜 와이어 로우프를 늦추고 와이어로우프의 팽팽한 힘이 없어지면 확대 구동수단에 의해서 아암부재가 벌려져 로우프가이드부재도 인장스프링의 작용으로 외측으로 벌려진 상태를 보지하고 와이어로우프는 피인양물로부터 자동적으로 벗겨진다. 이에 의해서 인력을 요하지 않고 와이어로우프의 피인양물로 부터의 이탈을 행할 수있다.
상기 제1 및 제2의 고안에 있어서 아암부재의 확대구동수단에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추를 사용하는것도 포함한다.
또 상기 제2 목적에 따른 제3고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는 중앙부에 배설되는 확대구동수단에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배설된 신축조정가능한 아암부재와 이 아암부재의 선단부에 설비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로의 고정수단으로 되고 로우프를 거는 작업시에는 아암부재의 벌려진 각도를 증대시키고 달아 올릴때에는 아암부재의 벌려진 각도를 감소시키는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대구동수단은 방사상으로 돌출된 상기 아암부재의 기단이 회동가능하게 부작된 하측 브라켓을 갖고 중앙부에 수직축을 관통보지하는 접동부재와 상기 접동부재에 부착된 하측 브라켓과 동일방향의 상측 브라켓을 갖고 상기수직축을 중앙부에 보지하는 동시에 이 수직축에 끼워 보지되는 압축스프링을 거쳐서 상기 접동부재 상방에 배설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측 브라켓과 상기 아암부재의 설정부위를 연결하는 링크구성부재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3고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에서는 크레인 후크로부터 달아내린 와이어로우프의 고리부분을 로우프를 걸기직전에 거는 부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와이어로우프의 고리부분을 피인양물에 용이하고 또한 단시간에 로우프를 걸수 있고 또 크레인 후크를 감아올려 와이어로우프에 하중이 가해지면 현수각 조정장치는 현수각의 변화에 추종되어 자동적으로 그 각도가 변화되어 현수각 조정장치의 구성부재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도 및 제2도에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현수각 조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10은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이하 단지 현수각 조정장치라고 하겠음) 이고 11은 이 현수각 조정장치(10)의 중앙부에 배설된 확대구동수단이고 12는 신축조정가능한 아암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확대구동수단(11)은 방사상으로 돌출된 4개의 하측 브라켓(13)을 갖고 중앙부에 수직축(14)을 관통보지하는 접동부재(15)와 상기 접동부재(15)에 부착된 하측 브라켓(13)과 동일 방향으로 향한 상측 브라켓(16)을 갖고 상기 수직축(14)을 중앙부에 보지하는 동시에 이 수직축(14)에 끼워져 보지되는 압축스프링(17)을 거쳐서 상기 접동부재(15)의 상부에 배설되는 받침부재(18)와 이 받침부재(18)의 상측 브라켓(16)과 상기 하측 브라켓(13)에 지지된 아암부재(12)의 설정부위를 연결한 4개의 링크부재(19)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아암부재(12)는 현수각 조정장치(10)의 중앙부에 배설된 압축스프링(17)의 탄발력을 링크구성부재(19)를 거쳐서 전달함으로써 확대구동된다. 이와같은 본 실시예와 같은 링크구성부재(19) 및 압축스프링(17)을 사용한 확대구동수단(11)은 종래예에 비해서 구조가 간단하고 전체높이를 낮게할 수 있으므로 양정을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아암부재(12)는 그 기단이 하축브라켓(13)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확대구동수단(11)으로부터 4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신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아암부재(12)의 선단부에는 와이어로우프(20)로의 고정수단(21)이 설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수단(21)은 제3도의 측면도, 제4도의 평면도 및 제5도의 단면도(상기 제3도의 I-I단면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아암부재(12)의 축심(ℓ)에 대해서 직교되도록 장착된 회전축(22)과 이 회전축(22)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로우프고정부재(23)와 로우프고정부재(23)의 하방에서 와이어로우프(20)를 끼워 보지하는 통상 로우프가이드부재(24)와 상기 로우프고정부재(23) 및 로우프가이드부재(24)의 단부를 설정장력으로 연결하는 인장스프링(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우프고정부재(23)는 상기 회전축(22)에 지지되는 브라켓(26)과 이 브라켓(26)에 와이어로우프 관통공간(27)을 형성하여 고착되는 지지부재(28)를 갖고 이 지지부재(28)에는 상기 회전축(22)에 직교되는 지지축(29)이 설비되고 또 그 상단부에는 와이어로우프(20)와 지지부재(28)를 고정하는 고정구(30) 예를들면 공지의 클립이 설비되어있다. 지지축(29)에는 전술한 로우프가이드부재(24)가 선회가능하게 정착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로우프 관통공간(27)에서 관통된 와이어로우프(20)를 그 하방에서 안내한다. 그런데 상기 지지축(29)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와이어로우프(20)의 효율적인 관통이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에서 분할(29a, 29b)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로우프가이드부재(24)의 외면에 축을 돌출시켜 상기 지지부재(28)에 이축을 보지하는 구멍을 뚫어서 지지축(29)을 구성해도 좋다. 로우프고정부재(23)의 선단부(중앙부도 포함한다)에는 상기 인장스프링(25)을 거는 걸림구(31)가 설비되고 또 로우프가이드부재(24)의 선단부(중앙부도 포함한다)에도 걸림구(32)가 설비되어 있다. 이 걸림구(31,32)에는 인장스프링(25)이 걸리고 로우프가이드부재(24)를 상시 설정장력으로 로우프고정부재(23)로 당기고 있다.
다음에 이 고정수단(21)의 작용을 장방형상자형의 피인양물(33)을 달아올리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겠다. 피인양물(33)의 긴쪽방향전체에 걸수 있는 2쌍의 와이어로우프(20)가 크레인 후크(34)에 현수되어 있다. 현수각 조정장치(10)는 상기 와이어로우프(20)의 중간부에 진술한 로우프고정부재(23)의 고정구(30)를 거쳐서 고정하여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로우프를 걸기 직전에는 제2도 및 제4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로우프가이드부재(24)는 인장스프링(25)의 장력에 의해서 외측으로 굴곡되어 있고 와이어로우프(20)는 피인양물(33)의 외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어서 로우프가이드부재(24)의 선단부분을 내측으로 밀면 로우프가이드부재(24)는 지지축(29)을 지점으로 하여 선회하고 인장스프링(25)의 장력에 의해서 제2도 및 제4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부재(12)의 측심(ℓ)보다도 내측으로 굴곡되고 와이어로우프(20)는 피인양물(33)의 인양부위로 이동된다. 또 35는 상기 로우프가이드부재(7)가 소정량이상 선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우프고정부재(23)에 설비된 스톱퍼이다.
그런데 로우프고정부재(23)의 상기 와이어로우프관통공간(27)으로부터 로우프가이드부재(24)내를 통과한 와이어로우프(20)는 피인양물(33)의 인양부위에 상당하는 측단부에 걸린 상태로 되고 상기 인장스프링(25)의 작용에 의해서 이 상태를 안정시켜 유지한다. 이 와이어로우프의 걸림 즉 로우프를 거는 것은 한사람의 작업자가 로우프가이드부재(24)의 선단부분을 내측으로 눌러 굴곡시킴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로우프를 걸고나면 크레인 후크(34)를 감아올려 인양을 개시한다. 크레인 후크(34)를 감아올림으로써 아암부재(12)의 벌려진 각도는 감소되고 현수각에 따라서 와이어로우프(20)는 일직선이 된다. 이때에 로우프고정부재(23)는 회전축(22)을 지점으로하여 회동되고 아암부재(12)의 벌려진 각도의 변화에 원활하게 추종된다. 또 로우프가이드부재(24)도 지지축(29)을 지점으로 하여 선회되고 아암부재(12)의 축심(ℓ)과 대략 일치된 상태로 된다.
피인양물(33)을 소정부위까지 반송하고 예를들면 고임쇠(36)위에 내려놓고 와이어로우프(20)에 작용하고 있었던 팽팽한 힘이 없어지면 확대구동수단(11)의 구동력에 의해서 아암부재(12)의 벌려지는 각도가 증대된다.
이와 동시에 로우프가부재(24)는 인장스프링(25)의 작용으로 외측으로 굴곡되고 와이어로우프(20)는 피인양물(33)로 부터 자동적으로 벗겨진다. 즉 작업자가 개입하지 않고 와이어로우프(20)를 피인양물로 부터 벗길수 있다. 전술한 인장스프링(25)의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기 위하여 인장스프링(25)을 거는 걸림구(31)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아암부재(12)의 축심(ℓ)보다도 외측에 배설하는 하는 바람직하다. 즉 이와같은 위치에 배설함으로써 인양상태에 있어서의 아암부재(12)의 축심(ℓ)과 대략 일치된 상태의 로우프가이드부재(24)는 인장스프링(25)으로 외측으로 당겨지는 상태로 되고 와이어로우프(20)로의 달아올리는 힘이 없어지면 로우프가이드부재(24)는 자동적으로 외측으로 선회된다.
다음에 제6도 및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이하 단지 현수각 장치라고 칭한다)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37이 본 고안에 준한 현수각 조정장치이고 38은 현수각조정장치(37)의 중앙부에 배설돈 추(39)를 사용한 확대구동수단이고 40은 상기 추(39)에 돌출설치된 4개의 브라켓(41)에 지지되고 상기 확대구동수단(38)으로 부터 4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신축조정가능한 아암부재이다. 아암부재(40)의 선단부에는 와이어로우프(20)로의 고정수단(42)이 설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수단(42)은 제7도, 제8도의 부분확대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아암부재(40)의 선단부에 장착된 회동축(44)과 이 회동축(44)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로우프 고정부재(45)와, 상기 회동축(44)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로우프고정부재보다도 하방으로 회동되는 로우프가이드부재(46)와 로우프고정부재(45)와 로우프가이드부재(46)와의 선단부를 각각 설정장력으로 연결하는 인장스프링(47)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우프고정부재(45)는 상단부에 와이어 로우프(20)와의 고정구(48)를 갖는 지지부재(49)와, 상기 회동축(44)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브라켓(50)을 L형으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회전축(44)의 설정상부에서 상기 고정구(48)를 거쳐서 와이어로우프(20)에 고정되어 있다. 로우프가이드부재(46)는 회전축(44)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 상기 로우프고정부재(45)보다도 아래방향으로 회동되는 지지브라켓(51)과 이 지지브라켓(51)에 상기 로우프고정부재(45)와 역 L방향으로 직교되어 고착되고 와이어로우프(20)를 끼워 보지하는 로우프가이드 슬리브(52)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현수각 조정장치(37)도 와이어로우프(20)의 중간부에 전술한 로우프고정부재(45)를 고정구(48)를 거쳐서 고정함으로써 장착되어 있다. 로우프를 걸기 직전의 고정수단(42)은 제6도 및 제7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로우프가이드부재(46)가 인장스프링(47)의 장력에 의해서 아암부재(40)의 축심(ℓ1)보다도 약간 상향으로 되고 로우프가이드부재(46)의 선단으로부터 내려간 와이어로우프(20)는 회동축(44)의 외측에서 또 피인양물(33)의 외주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어서 로우프가이드부재(46)를 회동축(44)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켜 제6도 및 제8도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내측으로 굴곡시키면 로우프가이드부재(46) 선단은 피인양물(33) 외주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로우프고정부재(45)로 로우프가이드부재(46)내를 관통한 와이어로우프(20)는 피인양물(33)의 들어올리는 부위에 상당하는 측단부에 걸린 상태로 된다. 또 53은 상기로우프가이드부재(46)가 소정량이상 선회되는 것을 방지하기 의한 아암부재(40)에 설비된 스톱퍼이다.
상기 와이어로우프(20)를 걸고나면 크레인 후크(34)를 감아올려 인양을 개시한다. 크레인 후크(34)를 감아올림으로써 아암부재(40)의 벌려진 각도는 전술한 바와같이 감소되고 현수각에 따라서 와이어로우프(20)는 피인양물(33)과 크레인후크(34)를 연결한 1직선으로 된다. 이와같은 아암부재(40)의 벌려진 각도변화에 따라서 로우프고정부재(45) 및 로우프가이드부재(46)도 회동축(4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제9도는 그 상태를 나타낸 부분구조도이다.
피인양물(33)을 소정부위까지 반송시킨후에 크레인 후크(34)를 하강시켜 와이어로우프(20)에 작용하고 있있던 팽팽한 힘이 없어지면 확대구동수단(38)의 구동력에 의해서 아암부재(40)의 벌려지는 각도가 증대된다. 이와 동시에 로우프가이드부재(46)는 인장스프링(47)의 작용으로 외측 즉 제6도 및 제8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까지 굴곡되고 와이어로우프(20)는 피인양물(33)로 부터 자동적으로 벗겨진다. 그런데 인장스프링(47)을 거는 걸림구(54,55)는 전술한 회동축(44)을 지점으로한 회전력이 생기도록 로우프고정부재(45) 및 로우프가이드부재(46)의 각각의 단부위치에 설비하면 된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 로우프가이드부재(24,46)에는 와이어로우프(20)를 장착하기 위한 슬리트홈을 설비하는 것도 효과적인 수단이다.
다음에 제10도∼제14도에 나타낸 본 고안의 제3의 실시예에 관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이하 단지 현수각 조정장치라고 칭함)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10∼제12도에서 56이 현수각 조정장치이고 이 현수각조정장치(56)는 접동부재(57), 이 접동부재(57)의 상부에 압축스프링(58)을 거쳐서 배설되는 받침부재(59) 및 접동부재(57)와, 받침부재(59)의 축중앙부에 관통보지되고 상기 압축스프링(58)을 끼워서 보지하는 수직축(60)을 구비한 확대구동수단과 상기 접동부재(57)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4개의 아암부재(61)와 상기 받침부재(59)와 아암부재(61)를 연결하는 4개의 링크부재(62)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접동부재(57)는 예를들면 제13도의 평면도 및 제14도의 단면도(제13도의 Ⅱ-Ⅱ선 단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중심 즉 축중앙부에 관통구멍(63)이 뚫여 있고 각각 2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된 2개의 하축 브라켓(64)을각각 구비한 밑이 있는 통상의 부재(65) 및 판상의 부재(66)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관통구멍(63)을 관통하여 보지된 수직축(60)을 기축으로 하여 부재들(65,66)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부재들(65,66)을 임의의 각도까지 회동시킴으로써 하측 브라켓(64)의 벌려지는 각(θ)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또 부재들(65, 66)에 용접(67)등에 의해서 고착되는 하측 브라켓(64)은 축심(Y)과 대략 평행으로 돌출시키는것이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측 브라켓(64)의 벌려진각(θ)을 극한까지 작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측브라켓(64)의 벌려지는 각(θ)을 작게할 수 있으면 현수각 조정장치(56)를 사용하지 않는때에 콤팩트화 할 수있어 수납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하측 브라켓(64)에는 핀(68)을 거쳐서 아암부재(61)가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아암부재(61)는 그 선단에 와이어로우프(로우프걸이용 와이어 로우프를 말함)(20)으로의 고정수단(69)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아암부재(61)는 상기 하측 브라켓(64)에 기단측이 지지되는 외관(70)과 하단에 상기 고착부재(69)를 구비하는 내관(71)으로 구성되고 이 외관(70)과 내관(71)에는 등간격으로 관통구멍(72)이 뚫여 있다. 그런데 지지도는 핀(68)과 고정수단(69)간의 길이를 소정길이로 조정한 상태에서 고정핀(73)을 상기 관통구멍(72)에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자유롭게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수단(69)은 아암부재(61)의 선단에 핀(74)을 거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와이어로우프(20)를 고정시키는 클립(75)을 갖고 있다.
상기 접동부재(57)의 상부에 압축스프링(58)을 거쳐서 배치되는 받침부재(59)에도 상기 접동부재(57)에 부착되어 있는 하측 브라켓(64)과 동일방향을 향한 상측 브라켓(76) 이 설비되어 있고 접동부재(57)에 관통보지된 상기 수직축(60)을 중앙부에 보지하고 있다. 이 받침부재(59)는 전술한 제13도 및 제14도에 나타낸 접동부재(57)를 구성하는 부재(65,66)를 상하를 뒤집어 사용할 수도 있다. 접동부재(57)와 받침부재(59)사이의 수직축(60)에는 압축스프링(58)이 끼워져 보지되고 이 압축스프링(58)은 접동부재(57)와 받침부재(59)사이에 끼워져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수직축(60)은 예를들면 두부에서 넓어진 플렌지(77)를 갖고 하단부에 나사(78)를 각설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수직축(60)을 받침부재(59)의 앙부에 뚫은 관통구멍(79)으로부터 접동부재(57)의 중앙부에 뚫인 관통구멍(63)을 관통하여 내린후에 하단에서 너트(80)로 나사맞춤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접동부재(57)와 받침부재(59)사이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압축스프링(58) 이 끼워져 있고 너트(80)의 나사맞춤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플랜지(77)와 너트(80)와의 사이의 거리가 조정되고 압축스프링(58)의 초기 탄발력이 제어된다. 즉, 플랜지(77)와 너트(80)는 접동부재(57)와 받침부재(59)에 관통보지되는 수직축(60)의 스톱퍼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링크구성부재(62)는 그 상단이 상기 받침부재(59)의 상측브라켓(76)에 핀(81)을 거쳐서 또 그 하단이 핀(82)을 거쳐서 상기 아암부재(61)의 설정부위에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현수각 조정장치(56)의 작동을 상기 제10도 및 제11도에 의해서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같이 피인양물로서의 압연기용 복수롤(83)에 로우프를 건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복스를(83)에는 거는핀(84)이 돌출설비되어 있다. 와이어로우프(20)의 하단에는 상기 거는핀(84)에 거는 고리(85)가 형성되어 있다. 크레인 후크(34)에 달아맨 4개의 와이어로우프(20)의 대략 중간부에는 현수각 조정장치(56)의 고정수단(69)이 고착되고 이 고정수단(69)을 거쳐서 와이어로우프(20)에 이 현수각 조정장치(56)가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와이어로우프(20)에 장착된 현수각 조정장치(56)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압축스프링(58)의 초기 탄발력으로 접동부재(57)와 받침부재(59)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이고 링크구성부재(62)의 기능에 의해서 아암부재(61)는 최대한까지 벌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부재(69)로부터 내려진 와이어로우프(20)의 간격(ℓ2)이 상기 복스롤(83)의 거는 핀(업)의 간격과 일치되게 아암부재(61)의 길이를 사전에 조정해 두면 현수각조정장치(56)를 장착한 와이어로우프(20)를 복스롤(83)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와이어로우프(20)의 고리(85)와 복스롤(83)의 거는 핀(84)의 위치가 일치되고 고리(85)를 용이하게 거는 핀(84)에 걸리게 할 수 있다. 고리(85)를 거는 핀(84)에 걸고나면 크레인을 조작하여 크레인 후크를 서서히 상승시킴으로써 와이어로우프(20)는 팽팽해 진다. 이에 수반되어 아암부재(61)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곡되어 복스롤(83)이 인양중량은 와이어로우프(20)에만 작용된다. 즉 아암부재(61)의 굴곡에 의해서 압축스프링(58)이 압축되고 그에 수반되어 발생되는 탄발력은 증대되지만 이 탄발력이상의 힘은 아암부재(61) 및 링크구성부재(62)등에는 작용되지 않는다. 이때문에 현수각 조정장치(56)는 비교적 작은 부재로 구성할 수 있어 가볍고 소형의 장치로 할수 있다.
인양하여 운반한 복스롤(83)을 소정부위에서 크레인 후크(34)를 하강시켜 내려놓으면 상기 압축스프링(58)의 탄발력에 의해서 아암부재(61)는 제10도의 상태까지 벌어지고 와이어로우프(20)의 고리(85)를 복스롤(3)의 거는핀(84)에서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다.
제16도∼제18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이하 단지 현수각 조정장치라고 하겠음)를 나타낸 것이며 예를들어 피인양물의 로우프로 거는 위치(제10도에 있어서는 ℓ2에 상당)가 변화하는 것에 대해서 효과적인 현수각 조정장치(86)를 나타낸 것이다. 또 상기 제3실시예에 의한 현수각조정장치(56)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겠다.
본 실시예에서의 현수각 조정장치(86)는 로우프로 거는 와이어로우프(20)가 4개의 아암부재(87a∼87d)의 선단에 설비된 고정수단(88)에 고착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아암부재(87~87b)와 아암부재(87c,87d)의 선단에는 상기 고정수단(88)을 거쳐서 와이어로우프 또는 체인등으로 된 거는 줄(89)이 연결되어 있다. 또 아암부재(87a∼87d)의 각각의 선단의 고정부재(88)에는 상기 거는줄(89)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90)가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고착부재(88)에는 예를들면 전술한 가이드부재(90)가 소정각도이상 내측으로 넘어오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를 설비함으로써 거는줄(89)에서의 인양공간을 효율적으로 형성시킬수 있어 효과적이다. 즉 거는줄(89)이 큰 원호를 그리고 있으므로 예를들면 전술한 서로 대향하는 아암부재(87b,87c)에 손잡이(91)를 거쳐서 아암부재(87a∼87d)를 수직축(6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인양공간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있다. 이와같은 기능을 갖는 본 실시예의 현수각 조정장치(86)는 피인양물의 크기 또는 로우프로 거는 위치가 변화되거나, 피인양물이 고온이어서 작업자가 손을 대지 못하거나 또는 피인양물의 한쪽에서만 로우프로 걸수있는 경우, 반복해서 로우프를 거는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고 작업효율을 높이고 작업자의 부하를 대폭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아암부재(87a∼87d)의 회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행하게 하기 위하여 제18도에 그 예를 나타낸 바와같이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를 갖는 회전구동장치(92)를 전술한 축(60)에 연결하는 것이 효과적인 수단이다. 즉 한쪽의 대향하는 상측 브라켓이 부착되어 있는 받침부재(59)의 판상의 부재에 상기 회동구동장치(92)의 외측 케이스를 부착하고 상기 수직축(60)에 이 회동구동장치(92)의 출력축을 고착하는 동시에 이 수직축(60)을 다른쪽의 대향하는 상측 브라켓이 부착되어 있는 밑이 있는 통상의 부재에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회전구동장치(92)를 예를들어 운전실등에서의 원격조작으로 회전구동시키면 상기 제13도에 나타낸 벌여지는각(θ)을 사람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8도의 실시예에서는 회전구동장치(92)를 받침부재(59)에 고착시켰으나 수직축(60)를 거쳐서 접동부재(57)를 회전시키도록 하였으나 회동구동장치(92)를 접동부재(57)측에 부착하고 이 회동구동장치(92)에 의해서 부재(65)와 부재(66)와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제19도, 제20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의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이하 현수각 조정장치라고 칭함)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현수각 조정장치(94)는 상기 확대구동수단(11)과 같이 하부의 접동부재(95), 상부의 받침부재(96), 이들을 연결하는 수직축(97) 및 이 수직축(97)에 장착된 압축스프링(98)을 설비한 확대구동수단(99)과 이 확대구동수단(99)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4개의 아암부재(100) 및 링크구성부재(101)와 크레인 후크(34)에 그 상단이 걸리는 현수용 와이어로우프(20)를 상기 아암부재(100)의 선단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수단(102)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102)에는 각각 상기 와이어로우프(20)를 거쳐서 거는 후크(103)가 부착되고 필요에 따라서 대향하는 거는 후크(103)를 연결하는 2쌍의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로우프 또는 그램프등을 달아 내릴 수 있게되어 있다. 상기 아암부재(100)는 각각 상기한 제3실시예와 같이 신축결합되는 외관(104), 내관(105) 및 내관(105)의 선단부에 고착된 부착금구(106)를 구비하고 이 부착금구(106)에 상기 고정수단(102)이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102)은 상기 부착금구(106)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회전축(107)과 이 회동축(107)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로우프고정부재(108)와 이 회동축(107)에 지지되는 지지 브라켓(109)을 갖으며 또 상기 로우프고정부재(108)보다도 하부로 회동하여 상기 로우프고정부재(108)와는 역방향으로 고착된 로우프가이드부재(110)와 상기 로우프고정부재(108)와 로우프가이드부재(110)의 각각의 선단부에 그 양단이 걸린 인장스프링(111)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로우프고정부재(108)는 저부가 개방된 홈형상으로 되어 상부에는 와이어클립등으로 되는 고정구(112)가 부착되어 상기 와이어로우프(20)를 이 로우프고정부재(108)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로우프가이드부재(110)는 상부가 개방된 홈형상으로 되어 하부에 와이어로우프(20)가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한 밴드(113)가 부착되고 또 이 로우프가이드부재(110)및 상기 로우프고정부재(108)에는 걸림구(114,115)가 설비되고 이 걸림구(114,115)에는 소정의 장력을 갖는 상기 연장스프링(111)이 장착되어 상기 로우프가이드부재(110)를 로우프 고정부재(108)에 대해서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시켜서 보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인장스프링(111)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상기 로우프가이드부재(110)를 거쳐서 달아내려지는 거는 후크(103) 또는 와이어로우프등의 중량을 고려하여 로우프가이드부재(110)를 대략 상기 아암부재(100)의 연장선상에 있게하고 또 이 로우프가이드부재(110)의 선단을 작업자가 아래로 누르면 이 로우프가이드부재(100)가 제20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회동축(107)을 중심으로하여 하부로 회동될 수 있게 그 인장력이 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현수각 조정장치(94)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들면 대향하는 거는 후크(103)에 소정길이의 2쌍의 와이어로우프로 각각 연결하여 아암부재(100)의 길이를 적당한 길이로 조정하여 크레인 후크(34)를 하강시켜 이 현수각 조정장치(94)를 피인양물에 대해서 소정높이까지 하강시킨다. 그리고 한쪽 와이어로우프가 달려 내려간 쌍으로된 상기 로우프가이드부재(110)를 회동축(107)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로 회동시켜 상기 거는 후크(103)가 걸려있는 한쪽 와이어로우프를 중심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피인양물의 한쪽에 건다. 그다음에 반대측의 쌍으로 된 상기 로우프가이드부재(110)를 같은 동작으로 하부로 회동시켜 거는 후크(103)에 걸려있는 다른쪽 와이어로우프를 피인양물의 다른쪽에 건다. 이 경우에 각각의 로우프가이드부재(110)는 회동축(107)을 중심으로 일정각도이상 눌러내리면 상기 인장스프링(111)의 장력에 의해서 그 상태가 보지되므로 한사람의 작업자가 차례로 상기 로우프가이드부재(110)를 하부로 눌러 내림으로써 피인양물에 대해서 와이어 로우프를 걸 수 있다.
그런후에 크레인 후크(34)를 상승시키면 상기 거는 후크(103)에 걸려있는 와이어로우프(20)에 의해서 피인양물을 달아올릴 수 있으나 이 경우에 상기 와이어로우프(20)는 직선상이 되므로 로우프가이드부재(110)가 상향으로 회동하여 인장스프링(111)이 회동축(107)보다도 상부에 위치되므로 피인양물을 소정장소로 반송시킨후에 크레인 후크(34)를 하강시켜서 와이어로우프(20)이 팽팽한 힘이 없어지면 중아의 압축스프링(98)의 힘에의해서 아암부재(100)가 벌어져 자동적으로 피인양물로 부터 쌍으로된 상기 와이어로우프가 벗겨진다.
또 상기 제5실시예에서는 거는 후크(103)의 하부에 별개의 와이어로우프를 걸었으나 체인 또는 철판등을 연결보지하는 크램프라도 좋다.
또 상기 제3 또는 제4실시예와 제1, 제2 또는 제5실시예를 조합구성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라도 본 고안은 당연히 적용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제1 및 제2 고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에 있어서는 피인양물이 대형중량물이라도 로우프가이드부재를 작은 힘으로 회전 또는 선회시키는 것만으로 로우프를 용이하게 걸 수 있다. 또 반송이 종료되었을 때에는 와이어로우프가 자동적으로 벗겨져서 작업자의 개입이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때문에 중량이 큰 와이어로우프의 착탈 즉 로우프거는 작업이 소수의 작업자로 또한 효율적으로 또한 안전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제3고안에 의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에 있어서는 압축스프링을 지지하는 수직축이 접동부재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전체 높이를 낮게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 후크로 부터 피인양물까지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와이어로우프를 짧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인양물의 인양높이를 높일 수 있는등의 이점을 갖는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므로 중량도 가벼워 제조가격도 염가로 되고 취급도 극히 우수한 것이 된다. 그리하여 중량물의 인양시의 로우프를 거는 작업을 소수의 작업자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1. 중앙부에 배설된 확대구동수단(11)에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배설된 신축조정가능한 아암부재(12)와, 이 아암부재(12)의 선단부에 설비된 현수용 와이어 로우프(20)로의 고정수단(21)으로 되고 로우프를 거는 작업시에는 아암부재(12)의 벌어지는 각도를 증대시키고 인양시에는 아암부재(12)의 벌어지는 각도를 감소시키는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1)이 상기 아암부재(12)의 선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회동축(22)과 이 회동축(22)에 직교되는 지지축(29), 상기 지지축(29)의 단부에 그의 일단부가 고착된 지지부재(28) 및 상기 지지부재(28)의 타단부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로우프(20)의 고정구(30)를갖고, 상기 회동축(22)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로우프고정부재(23)와, 상기 지지축(29)에 지지되고, 상기 로우프 고정부재(23)의 하부로 선회가능하게 상기 와이어로우프(20)를 끼워 보지하는 통상의 로우프가이드부재(24)와, 상기 로우프 고정부재(23)와 로우프가이드부재(24)의 각각의 선단부 또는 중간부를 설정장력으로 연결하는 인장스프링(2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
  2. 중앙부에 배설된 확대구동수단(38)에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배설된 신축조정가능한 아암부재(40)와, 이 아암부재(40)의 선단부에 설비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20)로의 고정수단(42)으로 되고 로우프를 거는 작업시에는 아암부재(40)의 벌어지는 각도를 증대시키고 인양시에는 아암부재(40)의 벌어지는 각도를 감소시키는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37)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2)이 상기 아암부재(40)의 선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회동축(44)과, 상단부에 상기 와이어로우프(20)의 고정구(48)를 갖는 지지부재(49) 및 상기 지지부재(49)의 하단부에 직교하여 취부되고, 상기 회동축(44)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브라켓(50)을 갖는 측면에서 볼때 L자형의 로우프고정부재(45)와 상기 회동축(44)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도는 지지브라켓(51) 및 상기 지지브라켓(51)에 기단부가 고착되고 상기 지지부재(49)와는 역방향으로 연설된 로우프가이드통(52)를 갖고, 또한 상기 로우프 고정부재(45)보다도 하부측에서 회동되고, 상기 로우프고정부재(45)에 의해 고착된 상기 와이어로우프(20)의 하측에 끼워 보지하는 측면에서 볼때 L자형의 로우프가이드부재(46)와, 상기지지부재(49)와 로우프가이드부재(46)의 각각의 선단부 또는 중간부를 설정장력으로 연결하는 인장스프링(4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용 와이어 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
  3. 중앙부에 배설된 확대구동수단에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배설된 신축조정가능한 아암부재(61)와 이 아암부재(61)의 선단부에 설비된 현수용 와이어로우프로의 고정수단(69)으로 되고 로우프를 거는 작업시에는 아암부재(61)의 벌어지는 각도를 증대시키고 인양시에는 아암부재(61)의 벌어지는 각도를 감소시키는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56)에 있어서, 상기 확대구동수단은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상기 아암부재(61)의 기단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하측 브라켓(64)을 갖고 중앙부에 수직축(60)을 관통보지하는 접동부재(57)와, 상기 접동부재(57)에 부착되고 하측 브라켓(64)과 같은 방향의 상측 브라켓(76)을 갖고 상기 수직축(60)을 중앙부에 보지하는 동시에 이 수직축(60)에 끼워 보지되는 압축스프링(58)을 거쳐서 상기 접동부재(57)상부에 배설되는 받침부재(59)와 상기 받침부재(59)의 상측 브라켓(76)과 상기 아암부재(61)의 설정부위를 연결하는 링크 구성부재(6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부재(57) 또는 받침부재(59)에 회전구동장치(92)를 부착하여, 인접아암부재(61)의 벌어지는 각도를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쌍으로 된 아암부재(61)에 고착된 고정수단(88)을 거는 줄(89)에 연결하는 동시에 각 고정수단(88)에 상기 거는 줄의 가이드부재(90)를 요동가능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
KR2019910700004U 1989-10-18 1990-09-29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 KR95000908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122533U JPH0537986Y2 (ko) 1989-10-18 1989-10-18
JP1-122533 1989-10-18
JP1990042870U JP2520223Y2 (ja) 1990-04-20 1990-04-20 玉掛けワイヤーロープの吊角調整装置
JP2-4287 1990-04-20
PCT/JP1990/001261 WO1991005730A1 (fr) 1989-10-18 1990-09-29 Regulateur automatique d'angle de levage pour cable de lev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081Y1 true KR950009081Y1 (ko) 1995-10-19

Family

ID=263826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700004U KR950009081Y1 (ko) 1989-10-18 1990-09-29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
KR2019910700004U KR920700001U (ko) 1989-10-18 1991-06-14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700004U KR920700001U (ko) 1989-10-18 1991-06-14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207795A (ko)
KR (2) KR950009081Y1 (ko)
CA (1) CA2044157C (ko)
WO (1) WO19910057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807B1 (ko) * 2008-09-29 2011-03-24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이드 받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3025A (en) * 1993-10-21 1995-02-28 Franklin; Harry C. Cabinet mounting harness
US6042165A (en) * 1999-11-09 2000-03-28 Thompson; Irvin Pick-up box lift
US6412649B1 (en) * 2000-02-07 2002-07-02 Jon E. Khachaturian Spreader bar apparatus
GB0412821D0 (en) * 2004-06-09 2004-07-14 Offshore Crane Engineering Ltd Lifting apparatus
DE102004059555B3 (de) * 2004-12-10 2006-08-03 Adam Opel Ag Transportvorrichtung
US20060226667A1 (en) * 2005-03-21 2006-10-12 John Leaverton Cable lifting basket
US7278671B1 (en) 2006-04-24 2007-10-09 Edwin Dennis Herford Device for grasping load structure
US20080197093A1 (en) * 2007-02-16 2008-08-21 Mcadoo Timothy K Truss handling apparatus
US8562050B1 (en) * 2013-01-04 2013-10-22 Douglas K. Basinger Self-aligning and engaging concrete cylinder and mold lifting tool
FR3014422B1 (fr) * 2013-12-06 2017-02-03 Dodin Campenon Bernard Ecarteur d'elingues
CN103708336B (zh) * 2014-01-08 2015-12-09 常州顺风光电材料有限公司 单晶炉导流筒的吊装装置
US9434580B2 (en) * 2014-11-19 2016-09-06 Shane Bakalyar Cargo vessel lid lifting system
CN107471191B (zh) * 2017-09-19 2023-05-16 成都银线电杆有限公司 电杆加工升降位移机械手系统
CN113086826B (zh) * 2020-06-23 2022-07-22 新疆苏中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钢结构专用吊具
CN117486047B (zh) * 2023-11-08 2024-05-10 江苏广立吊索具有限公司 一种具有运输维稳功能的智能防爆吊具
CN117886203B (zh) * 2024-02-28 2024-07-12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宿迁供电分公司 一种用于安装电力变压器的吊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0602A (en) * 1965-07-19 1968-04-30 Harold H. Yanow Cargo handling apparatus
US3588161A (en) * 1969-02-05 1971-06-28 Us Navy Recovery snare
SU486995A1 (ru) * 1973-07-17 1975-10-05 Свердлов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лес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Грузозахватна траверса
JPS5624695Y2 (ko) * 1975-11-10 1981-06-10
JPS5268450A (en) * 1975-12-04 1977-06-07 Mitsubishi Heavy Ind Ltd Balance device
JPS5638061Y2 (ko) * 1976-10-01 1981-09-05
JPS5948234B2 (ja) * 1978-04-30 1984-11-2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ワイヤ−捌き装置
JPS5534116A (en) * 1978-09-01 1980-03-10 Hitachi Ltd Aeration device
JPS5644772Y2 (ko) * 1979-02-15 1981-10-20
US4258949A (en) * 1979-07-09 1981-03-31 Allied Systems Company Extensible spreader frame for cargo containers
JPS6046480B2 (ja) * 1979-08-03 1985-10-16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ガスもれ警報システム
JPS58144086A (ja) * 1982-02-19 1983-08-27 株式会社東芝 重量物吊具
JPS5926888A (ja) * 1982-08-06 1984-02-13 株式会社東芝 重量物吊具
JPH0231795A (ja) * 1988-07-22 1990-02-01 Mitsubishi Electric Corp ミシンの制御装置
JP2539900B2 (ja) * 1988-12-02 1996-10-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自動玉掛け吊り具
KR0149662B1 (ko) * 1989-01-28 1998-10-15 기마가주 나까무라 리프팅스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807B1 (ko) * 2008-09-29 2011-03-24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이드 받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44157C (en) 1996-07-02
US5342104A (en) 1994-08-30
WO1991005730A1 (fr) 1991-05-02
CA2044157A1 (en) 1991-04-19
KR920700001U (ko) 1992-12-19
US5207795A (en) 199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081Y1 (ko) 현수용 와이어로우프의 현수각 자동조정장치
JP3009375B2 (ja) クレ−ンブ−ムへのジブ着脱装置
CN116667221A (zh) 一种输电线路架设用导线提升装置
JP2865540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吊上げ装置
FI82569B (en) Cable laying device
JPH061585A (ja) 軸受箱付きロールの自動玉掛吊具
JP3064585B2 (ja) ロール自動玉掛吊具
JP3122068B2 (ja) クレーンのハイマストに於けるバックステーの位置決め装置
CN116788978B (zh) 一种电力施工用电杆起吊装置
CN221028757U (zh) 一种电镀用吊装挂具
CN218403447U (zh) 一种手拉葫芦无载动作检测机构
CN213202185U (zh) 接触网附加线安装垂吊辅助工具
CN214780240U (zh) 自脱钩装置
JPH0537986Y2 (ko)
JPH06225418A (ja) 送電線の移線工法およびその工法に使用される移線用工具
JPS6186386A (ja) 多段伸縮ブ−ム式クレ−ンのジブ張出し、格納方法
JPH0357393Y2 (ko)
JPS644265Y2 (ko)
EP0167041B1 (en) Load pick-up coupling device
JP2585657Y2 (ja) 移動式クレーンのブーム先端構造
JP2520223Y2 (ja) 玉掛けワイヤーロープの吊角調整装置
JPH079543Y2 (ja) ケーブル延線用金車
JPS5911988Y2 (ja) クレ−ン用懸吊具
JPH0439267Y2 (ko)
JP3737017B2 (ja) 杭打機のリーダ引き起こし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