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425B1 -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425B1
KR950008425B1 KR1019910004984A KR910004984A KR950008425B1 KR 950008425 B1 KR950008425 B1 KR 950008425B1 KR 1019910004984 A KR1019910004984 A KR 1019910004984A KR 910004984 A KR910004984 A KR 910004984A KR 950008425 B1 KR950008425 B1 KR 950008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mmunication node
failure
communic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802A (ko
Inventor
오사무 미찌히라
마사오 히데지마
아끼라 소네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7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60R2016/0322Temporary code for documents to be reclassified to G08C, H04L or H04Q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다중전송장치의 네트워크를 설명한 도면.
제3도는 실시예에 사용되는 프레임의 포맷을 표시한 도면.
제4도는 고장경보프레임의 포맷의 일예를 표시한 도면.
제5도(a), 제5도(b)는 본 실시예의 노드에 있어서의 고장경보프레임의 송수신을 위한 제어수순을 표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중전송로 2 : EGI통신노드
3 : 차체시스템 통신노드 4 : ABS/TRC통신노드
5 : 4WS통신노드 6 : 고장진단통신노드
본 발명은, CSMA/CD방식 등의 다중전송방식을 차량내의 신호전송에 적용한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산형 다중통신네트워크의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전자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자부품간을 연결하는 배선(wire harness: 와이어 하니스)의 중대화와 복잡화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차량으이 분야에서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중통신이 주목되고 있다. 다중통신은 기본적으로 직렬전송방식에 따라서 1개의 배선을 통하여 복수의 데이터를 시분할다중방식으로 송출하는 시스템이다.
차량의 다중통신분야에 있어 네트워크의 형태는, 완전다중형과 부분다중형으로 분류되거나 집중형과 분산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부분다중형은, 비다중통신부분과 다중통신부분을 혼합하여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다중통신부분은 거리적으로 떨어져서 배치된 스위치나 부하 등이 다중전송유니트로 접속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니트와 스위치와 부하사이에 개별적인 배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배선의 전체길이는 짧게 되지만, 배선의 수는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된다. 또, 집중형 네트워크는 1개의 마스터 전송유니트에 대해서 복수의 슬레이브 전송유니트가 접속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전송라인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마스터전송유니트가 고장나면, 전체시스템이 고장나게 된다. 또한, 설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분산형 네트워크는, 전송라인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효과와, 부분적인 고장에 대한 양호한 신뢰성 및 설계변경에 대해 만족스러운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분산형 네트워크는 각광을 받고 있다(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2-465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분산형 다중통신시스템은, 예를들면 SAE(미국자동차 기술회) 표준화설계에 따른 CSMA/CD방식을 채용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분출원인으로부터, 상기 CSMA/CD방식을 더욱 발전시킨 PALMNET(Protocol for Automobile Local Area Network)방식도 일본국 특원소 62-302421호에 제안되어 있다. 또,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개평 1-36541호에 의하면, 전송로상에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 버스억세스권(bus access right)을 시분할하는 기준펄스를 송출하도록 마스터노드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분산다중형 차량용 전송시스템에서는, 단순한 스위치나 솔레이드류가 상기 전송시스템에 채택되었기 때문에 데이터통신속도가 중요한 문제로 되지 않았다. 그러나, 엔진제어 제어기, 액티브서스펜션제어기, 견인제어기 등이 다중통신에 채택되도록 외도되면, 이들 제어기가 필요로 하는 정보의 발생빈도는 극히 높으므로 통신속도가 문제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문제는, 노드에서 발생한 고장상태를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해 고속의 데이터처리를 필요로 하는 제어기를 가진 노드로 이루어진 분산다중형의 차량용 전송시스템에 대해 근복전인 요인이 된다. 시간이 지연된 후에 고장이 검출되면, 시스템전체의 제어는 부정확한 데이터나 오래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바람직하지 않게 행해진다.
종래에는, 자신의 고장을 검출한 노드는 고장의 발생을 나타내는 프레임을 네트워크에 송출해서 시스템전체에 고장상태의 발생을 경보하고 있었다. 그러나, 분산다중형 차량용 전송시스템에서는, 고장상태를 시스템에 경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송로에 대한 억세스권이 필요하기 때문에 고장경보가 늦어지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장상태의 발생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통의 다중전송로에 접속된 복수의 통신노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노드사이에 프레임을 송수신하여, 차량주행제어를 위한 정보교환을 행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통신노드는, 자기의 고장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된 고장상태를 나타내는 프레임에 최고의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최고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전송로상에 송출하는 송출수단과, 자기이외의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수신하여, 고장에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는 실행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고장상태를 표시하는 프레임에 대략 최고의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최고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전송로상에 송출함으로써, 고장발생을 신속하게 경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한 PALMNET방식을 사용한 자동차용 다중통신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상기 다중통신장치에 복수의 통신노드가 접속되고, 상기 통신노드중 어느 한 통신노드에 고장이 발생한때에, 고장이 발생한 노드는 "고장경보프레임"을 시스템전체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는 "고장경보프레임"이 송출된 통로에 최고순위의 억세스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다.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시스템은 4개의 통신노드를 가진다. 제2도에 있어서, (1)은 한쌍의 연선(twisted pair wire)으로 구성된 전송라인이다. 또한, 통신속도는 비교적 낮은 속도인 20kbps로 하였다. 4개의 통신노드는 억세스를 대기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해 통신이 확립된다. 상기 4개의 통신노드중 3개의 통신노드는, 고속노드로서, 브레이크의 록(lock)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제어기(앤티록브레이크/견인제어기)를 가진 ABS/TRC통신노드(4)와,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EGI제어기를 가진 EGI통신노드(2)와, 4륜조타제어기(즉, 후륜조타제어기)를 가진 4WS통신노드(5)가 있다. 또한, 상기 4개의 통신노드중 1개의 통신노드는, 저속노드로서, 차체에 관계된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가진 차체시스템 통신노드(3)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시스템은 상기한 통신노드이외에도, 다른 통신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에서, (6)은 고장을 진단하는 고장진단통신코드를 나타내고,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시스템에 접속되고, 상기 고장진단통신노드는 고장진단장치를 가진다.
이 실시예의 자동차용 다중전송방식에서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구성된 프레임(F)마다 자동차 운전정보가 전송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장경보프레임"도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형태로 전송된다.
프레임(F)은, SD(Start Delimiter)코드, 우선순위크도, 프레임 ID코드, 데이터길이, 데이터1∼데이터N, 검사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SD코드"는, 프레임(F)의 개시를 표시한 특정코드로서, 수신측 다중통신노드는 상기 SD코드부호를 수신하면 프레임(F)의 개시를 인식하도록 되어있다. "우선순위코드"는, 복수의 다중통신노드가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고, 이에 의해 이들 신호가 서로 충돌한 경우에 처리될 신호의 우선순위를 지시하는 부호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버스(1)에서 로우레벨이 연결논리합(WIRED-OR)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우선순위는 비트신호가 낮은 것 일수록 보다 높은 우선도가 할당되어 있다. 복수의 통신노드가 신호를 동시에 송출한 경우 우선도가 높은 통신노드에 대한 "우선순위코드"는 버스(1)상에 잔류한다. 따라서, 보다 낮은 순위가 부여된 통신노드는, 이 통신노드로부터 송출된 "우선순위코드"가 다른 코드로 변환되어 있는 사실로부터 충돌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노드의 고장프레임의 재송출을 지연시킨다. 결과적으로, 높은 우선도를 가진 통신노드는 재송출되도록 우선권을 부여된다. 고장경보프레임에 대해서는, 후기(제4도)하는 바와같이 "OE"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에에 따른 다중시스템에서는 상기 "OE"에 최우선순위가 부여되어 있다.
"프레임 ID코드"는 목적프레임을 식별하는 코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장경보프레임"은 모두, 고장경보프레임을 발생한 원래의 코드에 관계없이, 공통의 ID "1"을 가진다. 또한, 어느 노드가 고장나 있는 사실에 대한 정보는 후속의 데이터비트(DATA)중에 저장된다.
후속의 데이터항목의 수는, "데이터길이"에 기록되고, N개의 데이터가 있는 경우 N의 데이터길이가 전송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다중통신노드는 데이터길이에 대응하는 양만큼 데이터를 판독한다. 상기 데이터의 다음에 배치된 피일드는 CRC검사코드(오류검출부호)이다. 상기 CRC검사코드가 확인될 때에, 프레임의 종단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포맷은 일반적인 형식을 표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의 데이터길이는 4바이트의 공통길이를 가지고 있다.
제4도는 고장경보프레임의 포맷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프레임에 "OE"의 우선순위가 할당되어 있다. 즉, 상기 프레임에 최고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시스템 전체에 대해 고장경보프레임을 최우선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에, ID는 "1"이 되도록 배치된다. "DATA 0" 피일드는, 상기 고장경보프레임을 전송한 발신측 통신노드를 특정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0"은 발신측 EGI통신노드를 나타내고, "10000000"은 ABS/TRC통신노드를 나타내고, "1000000"은 4WS통신노드를 나타내고, "11000000"은 자체시스템 통노드를 표시한다.
DATA 2피일드는 고장난 통신노드를 특정한다. "DATA2"피일드의 제1비트는 EGI통신노드의 고장상태를 나타내고, "DATA2"피일드의 제2비트는 ABS/TRC통신노드의 고장상태를 나타내고, "DATA2"피일드의 제3비트는 4WS통신노드의 고장상태를 나타내고, "DATA2"피일드의 제4비트는 자체시스템 통신노드에서 발생한 고장상태를 표시한다. 즉, 목적비트가 "1"이면 고장이 발생된 사실을 나타내고, 상기 목적 비트가 "0"이면 고장이 발생되지 않은 사실을 나타낸다.
제5도(a), 제5(b)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각 통신노드에서의 제어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5도(a)는 고장이 발생한 특정의 통신노드의 고장경보프레임을 송출하는 절차를 나타내고, 제5도(b)는 다른 통신노드에서 고장경보프레임을 수신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제5도(a)에 있어서, 통신노드는 스텝(S2)에서 고장상태를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고장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일반적인 처리를 행하는 스텝(S4)으로 이행된다. 스텝(S2)에서 고장상태가 검출된 것이 판정되면, 스텝(S6) 이하로 진행한다. 상기 고장상태는 예를들면 목적통신노드의 제어기에 있어 메모리의 패리티에러의 발생 등이 있다.
스텝(S6)∼스텝(S12)에서, 고장경보프레임을 준비한다. 즉, 스템(S6)에서 우선순위(PR)를 "OE"로 설정한다. 스텝(S8)에서 ID를 목적프레임이 고장경보프레임인 것을 나타내는 "1"로 설정한다. 스텝(S10), 스텝(S12)에서 목적프레임을 전송할 통신노드를 나타내는 비트(DATA 0)와, 고장이 발생한 통신노드를 나타내는 비트(DATA 2)를 DATA피일드의 2바이트로 설정한다.
스텝(S6)∼스텝(S12)에서 준비된 고장경보프레임을 스텝(S16)에서 송출하기전에, 스텝(S14)에서 전송로(1)가 사용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다. 스텝(S18)에서, 이때에 전송된 고장경보프레임이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동시에 전송된 별개의 프레임과 충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것은, 고장경보프레임의 데이터비트중에서 우선순위피일드(이 피일드는 변경되지 않는다)를 제외와 데이터가 다른 프레임에 의해 변경되엇는지의 여부에 따라 검출될 수 있다.
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S22)으로 진행하여, 상기 통신노드가 고장발생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스텝(S18)에서 판정되면, 스텝(S20)으로 진행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대기한다. 그 결과 스텝(S14)으로 복귀하여, 상기 고장경보프레임을 다시 전송한다. 여기서, 스텝(S20)에서 취해진 대기시간은, 본 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시스템의 통신노드가 충돌을 검출할 때 취해지는 통상주기의 최소시간이 되도록 설정된다. 즉, 일반적으로, 분산형의 다중 통신시스템은 상기 대기시간으로서 예를들면, 난수방식으로 설정한 임의시간을 채용하거나, 각 통신노드에 대해 미리 결정된 고정시간을 채용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노드중 어느 한 통신노드가 고장경보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상기 대기시간은 최소의 시간으로 설정된다. 그 결과, 고장경보프레임은 시스템전체에 신속하게 전송된다.
제5도(b)는 고장경보프레임을 수신하는 절차이다. 스텝(S30)에서, 전송로(1)상에 SD코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D코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S31)으로 진행하여, 상기 SD코드가 부여된 프레임을 수신한다. 스텝(S32)에서, 수신된 프레임에서의 ID가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프레임의 ID가 고장의 발생을 표시하는 "1"이면, 스텝(S34)으로 진행하여, 통신노드에 의해 고장처리를 행한다.
상기 고장처리는, 고장통신노드를 특정하기 위해 상기 2개의 DATA피일드(제4도에 도시된 DATA 0, DATA 2)를 검사하고, 상기 통신노드는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된다. 현행의 노드가 고장통신노드의 정보가 필요한 경우, 그 정보로서 미리 설정된 공칭값을 사용하여, 긴급한 동작을 계속해서 제어할 수 있다.
스텝(S32)에서, 프레임의 ID가 "1"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S36)으로 진행하여 프레임이 일반적으로 처리된다.
스텝S30에서 SD코드가 전송로 상에 검출되지 않는 경우 스텝(S38)으로 진행하여, 목적통신노드가 다른 통신노드에 전송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목적 통신노드가 다른 통신노드에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 스텝(S40)으로 진행하여 다른 통신노드에 전송되도록 프레임의 형태로 데이터가 배열된다. 제5도(a)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스텝(S40)에서, 제5도(a)에 도시된 스텝(S14)에서 행한 비지(busy) 판정을 행한다. 스텝(S42)에서 목적통신노드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이 다른 통신노드의 데이터와 충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같은 충돌이 없었던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S50)으로 진행하고, 목적프레임은 전송데이터의 큐(cue)로부터 삭제된다.
스텝(S42)에서 충돌이 발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실행되는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충돌은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송출된 일반적인 프레임과의 충돌이나 고장경보프레임과의 충돌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텝(S44)에서, 고장경보프레임과 충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고장경보프레임과 충돌하였을 경우, 스텝(S46)으로 진행하여, 소정의 최장시간만큼 재송출을 대기한다.
고장경보프레임과 충돌하지 않은 것이라고 스텝(S44)에서 판정된 경우, 스텝(S48)으로 진행하여, 상기 통신노드에 미리 할당되었던 소정의 대기시간주기동안 재송신을 대기한다. 이와 관련하여, 비교적 높높은 우선순위노드에 할당된 대기시간 주기는 비교적 짧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① 통신노드중 어느 한 통신노드가 통신노드의 고장을 검출한 경우에도, 고장경보프레임에 최고의 우선순위를 부여한 상태로 고장경보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노드가 고장경보프레임을 발생한다. 따라서, 고장상태의 발생을 시스템전체에 신속하게 경보할 수 있다.
② 상기 실시예에 의한 구조는 고장을 경보하기 위한 전용의 프레임을 가진다. 즉, 상기 실시예는 일반의 프레임중에 고장의 발생을 표시하는 비트를 삽입하는 방식을 채택하지 않는다. 전용의 고장경보프레임을 채택함으로써 고장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③ 고장경보프레임을 발생하는 발신축노드를 나타내는 비트와, 고장상태가 발신축노드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비트를 각각 가지도록 고장경보프레임을 배치하기 때문에, 고장을 확실하게 경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통신노드의 수는 상기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의한 구조는, 고장을 경보하는 전용의 프레임을 가지고 있지만, 다음과 같이 하여도 된다. 즉, 그 노드에 지정된 일반적인 형식의 프레임중에 고장상태를 식별하는 비트를 설치하고, 고장상태를 경보하는 경우에는, 최고의 우선도를 상기 일반적인 형식의 프레임에 부여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장경보프레임은, 고장경보프레임이 발생되는 발신축노드를 명시하는 비트와, 상기 고장경보프레임을 전송하는 발신축노드에 고장상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비트를 개별적으로 가지고있다. 이것은, 고장상태가 제2도에 표시한 고장진단통신노드(6)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경보하도록 통신노드 전체에 지시하는 진단모드를 고장진단노드(6)가 가질때에 특히 유효하다. 따라서 이러한 고장진단노드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제4도의 고장경보프레임이 발생되는 발신축노드를 명시하는 비트는 상기 구조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통의 다중전송로에 접속된 복수의 통신노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노드 사이에 프레임을 송수신하여, 차량주행제어를 위한 정보교환을 행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통신노드는, 자기의 고장발생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된 고장발생을 나타내는 프레임에 최고의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최고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전송로상에 송출하는 송출수단과, 자기이외의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수신하여, 고장에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는 실행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해 고장상태를 표시하는 프레임에 대략 최고의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최고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전송로상에 송출함으로써 시스템전체에 고장발생을 신속하게 경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시스템에서는 고장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공통의 다중전송로에 전속된 복수의 통신노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노드 사이에 프레임을 송수신하여, 차량주행제어를 위한 정보교환을 행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통신노드는, 자기의 고장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된 고장상태를 나타내는고, 최고의 우선순위가 부여된 상기 프레임을 상기 전송로상에 송출하는 송출수단과, 자기이외의 다른 통신노드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수신하여, 고장에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는 실행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과 상기 송출수단은 상기 통신노드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1개의 통신노드가 자기의 고장발생을 검출하면, 고장발생을 나타내는 프레임을 상기 전송로에 송출하고, 다른 통신노드의 상기 실행수단은 고장에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고장발을 경보하기 위한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고장발생을 경보하기 위한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노드 전체의 실행수단은 상기 고장에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이 프레임의 충돌을 검출한 경우, 상기 프레임의 재송신을 개시할 때까지의 대기시간을 최소로 설정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차량용 다중전송장치에 접속된 전체의 통신노드의 각각에 대해, 통신노드를 특정하는 정보피일드와, 상기 통신노드에 대한 고장발생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피일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수단은, 수신된 프레임에 의거하여 고장이 발생한 통신노드를 특정하는 수단과, 특정된 통신노드를 동작불능으로 표시한 수단을 포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통신노드의 각각의 상기 실행수단은 다른 통신노드에 의해 정상시에 전송되는 정보의 공칭값데이터를 미리 가지고 있고, 특정된 통신노드가 동작불능으로 표시되고, 상기 동작불능으로 표시된 통신노드로부터 정보가 필요한 때에는 상기 공칭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KR1019910004984A 1990-03-30 1991-03-29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KR950008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1412 1990-03-30
JP2081412A JP2904298B2 (ja) 1990-03-30 1990-03-30 車両用多重伝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802A KR910017802A (ko) 1991-11-05
KR950008425B1 true KR950008425B1 (ko) 1995-07-28

Family

ID=1374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984A KR950008425B1 (ko) 1990-03-30 1991-03-29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74638A (ko)
EP (1) EP0449304B1 (ko)
JP (1) JP2904298B2 (ko)
KR (1) KR950008425B1 (ko)
DE (1) DE6912951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7023A (ja) * 1992-01-24 1993-08-13 Hitachi Ltd 大量データ伝送方法
JP2844036B2 (ja) * 1992-10-20 1999-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
US5572209A (en) * 1994-08-16 1996-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data
DE19612631A1 (de) * 1995-03-31 1996-10-02 Mazda Motor Multiplexdatenübermittlungssystem
JPH0923241A (ja) * 1995-07-05 1997-01-21 Fujitsu Ltd 非同期型データの通信制御方法
DE19530727B4 (de) * 1995-08-18 2012-09-20 Kiekert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teuersystems zur Steuerung von Kraftfahrzeugkomponenten
JP3438473B2 (ja) * 1996-06-20 2003-08-18 矢崎総業株式会社 多重伝送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異常処理制御方法並びに異常処理装置
US5968189A (en) * 1997-04-08 1999-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of reporting errors by a hardware element of a distributed computer system
US5923840A (en) * 1997-04-08 1999-07-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reporting errors by a hardware element of a distributed computer system
JP2000156685A (ja) * 1998-11-18 2000-06-06 Fuji Heavy Ind Ltd 車両制御システムの異常監視装置
US6292718B2 (en) * 1999-01-28 2001-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Electronic control system
JP4254027B2 (ja) 2000-07-26 2009-04-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統合制御システム
JP3797166B2 (ja) * 2001-09-18 2006-07-12 株式会社デンソー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DE10206239A1 (de) * 2002-02-15 2003-08-28 Bosch Gmbh Robert Datenbus zur elektrischen Ansteuerung bei Modulaufbau
FR2852761B1 (fr) * 2003-03-21 2005-07-2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communication d'informations entre stations, raccordees par un reseau multiplexe de transmission d'informations,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KR20040096216A (ko) 2003-05-07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US7983820B2 (en) 2003-07-02 2011-07-19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xy control functions in a work machine
US7516244B2 (en) 2003-07-02 2009-04-07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er operations in a work machine
US7532640B2 (en) 2003-07-02 2009-05-12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protocol conversions in a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8446A1 (de) * 1982-12-29 1984-07-05 Philips Kommunikations Industrie AG, 8500 Nürnberg Verfahren zum zugreifen auf eine erste ader einer mehradrigen leitung
DE3335932A1 (de) * 1983-10-04 1985-04-18 Wabco Westinghouse Fahrzeugbremsen GmbH, 3000 Hannover Einrichtung zum abfragen und steuern von mehreren komponeneten eines fahrzeuges
DE3546662C3 (de) * 1985-02-22 1997-04-0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atenverarbeitungsanlage
JPS624658A (ja) * 1985-07-01 1987-01-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多重通信システム
US4715031A (en) * 1985-09-23 1987-12-22 Ford Motor Company Vehicular data transfer communication system
EP0246666B1 (en) * 1986-05-22 1994-05-04 Chrysler Corporation Serial data bus for different modes of operation (SCI, SPI and buffered SPI) and methods for a serial peripheral interface in a serial data bus
US4841520A (en) * 1986-10-21 1989-06-20 Amp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system with bus failure detection system
US4939725A (en) * 1987-11-30 1990-07-03 Furukawa Electric Co., Ltd.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US4951281A (en) * 1987-11-30 1990-08-21 Furukawa Electric Co., Ltd.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JP2904283B2 (ja) * 1989-05-22 1999-06-1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多重伝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83845A (ja) 1991-12-13
EP0449304A2 (en) 1991-10-02
DE69129510D1 (de) 1998-07-09
KR910017802A (ko) 1991-11-05
EP0449304A3 (en) 1993-06-30
US5274638A (en) 1993-12-28
DE69129510T2 (de) 1998-10-01
EP0449304B1 (en) 1998-06-03
JP2904298B2 (ja) 199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425B1 (ko) 차량용 다중전송장치
US8094688B2 (en) Voltage supply unit for diagnosing electrical disconnection occurring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voltage supply unit
US5856976A (en)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for use in vehicles
EP0367177B1 (en)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5090012A (en)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for use in a vehicle
JP2904297B2 (ja) 車両用多重伝送装置
JPH02153646A (ja) 多重伝送方式
KR100362236B1 (ko) 다중데이타통신시스템
US5309436A (en)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for vehicles
JP4124427B2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KR100336067B1 (ko) 다중전송장치
KR960009471B1 (ko) 다중전송방법
US5272699A (en) Method of multiplex transmission
JP2933972B2 (ja) 車両用多重伝送装置
JP2904304B2 (ja) 多重伝送装置
JP7415364B2 (ja) 車載中継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故障判定方法
JPH03283843A (ja) 車両用多重伝送装置
JP3401360B2 (ja) 多重伝送装置
JP3401361B2 (ja) 多重伝送システム
JP3383462B2 (ja) 多重伝送システム
JP2980709B2 (ja) 多重伝送装置
JP3088200B2 (ja) 多重通信装置
JP3050961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故障診断方法
JPH0683176B2 (ja) 多重伝送システム
JPH08275269A (ja) 多重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