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538B1 - Pcm 신호의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Pcm 신호의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538B1
KR950005538B1 KR1019860005538A KR860005538A KR950005538B1 KR 950005538 B1 KR950005538 B1 KR 950005538B1 KR 1019860005538 A KR1019860005538 A KR 1019860005538A KR 860005538 A KR860005538 A KR 860005538A KR 950005538 B1 KR950005538 B1 KR 950005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cm
index
record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543A (ko
Inventor
다까오 다까하시
히로시 오까다
아끼히로 기꾸찌
유리꼬 기시따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0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a pilot signal inside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main information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36Time code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PCM 신호의 기록 재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일예의 블럭도.
제2도는 PCM 데이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그 설명을 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제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회전 헤드 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5도 및 제6도는 그 기록 트랙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제7도 및 제8도는 그 구체적인 트랙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9도는 헤드 전환 타이밍과 트랙 패턴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5 : 인덱스 신호 또는 소거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
60 : PCM 신호계 71 : 인덱스 신호용 발진기
72 : 소거신호용 발진기 80 : 인텍스 신호의 구역 지정신호의 형성 회로
83 : 그 어드레스 데이타의 래치 회로
88 : 구역 지정신호 형성용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본 발명은 예컨대 오디오 신호를 PCM화하여 회전 헤드에 의해 기록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두출 신호등의 인덱스 신호의 애프터 레코딩이나 소거시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 헤드에 의해 기록한 PCM 신호의 기록영역에 연장한 위치의 소정의 구역 부분에 회전 헤드에 의해 인덱스 신호를 기록하거나 혹은,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 신호를 소거하는 경우에, 이 인덱스 신호의 구역을 결정하는 구역 지정신호를 재생한 PCM 신호중의 어드레스 데이타에 의거하여 형성하도록 한 것으로, 인덱스 신호의 구역은 항상 PCM 신호의 기록 영역에 대해서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는 위치에 결정되므로, 인덱스 구역으로 인덱스 신호를 기록 또는 소거할때, PCM 신호 부분이나 다른 신호를 소거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mm 비디오의 경우, 오디오 신호는 주파수 변조하여 주파수 상태로 분리할 수 있는 상태에서 칼라 영상 신호와 혼합하여 기록하는 방식외에, 선택적으로 이 오디오 신호를 PCM화하여 칼라 해상 신호와 영역적으로 분리하여 양자에 의해 1개의 트랙을 형성하여 기록하는 형태가 채택될 수 있다.
제4도는 8mm 비디오의 회전 헤드 장치의 일예를 도시하고, 제5도는 그 테이프 포맷을 도시한다.
제4도에서, HA, HB는 기록 재생용 회전 자기 헤드로, 이들 헤드 HA, HB는 그 동작 갭의 방위각이 서로 다르게 됨과 동시에, 서로 180°의 각 간격만큼 떨어져서 설치되고, 드럼(1)의 주면보다 약간 돌출하는 상태에서 프레임 주파수(30Hz)로 화살표(3H)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래서, 자기 테이프(2)가 드럼(1)의 주면에 대해서 221°의 각 범위에 걸쳐서 감겨짐과 동시에, 화살표(37)의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주행된다.
따라서, 테이프(2)위에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헤드 HA 및 HB에 의해 221°분의 길이의 트랙(4A) 및(4B)와 교대로 형성되어서 신호가 기록되나, 트랙(4A),(4B)중 회전 헤드 HA 및 HB가 주사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약 36도의 각 범위분(PCM 오디오 신호용의 아프레코 마이진 및 가이드 밴드분 포함함)의 영역 AP에는 영상 신호의 1필드분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가 PCM화 됨과 동시에 시간축 압축된 상태에서 기록되어, 그후의 180도의 각 범위분의 영역 AV에는 1필드분의 칼라 영상 신호와 FM 오디오 신호, 나아가서는 트래킹용 신호가 기록된다. 나머지는 5°분은 헤드가 테이프로부터 이간할때의 여유기간으로 된다.
이와 같이 8mm 비디오에서는 PCM 오디오 신호의 녹음 재생이 가능하므로, 특히 이점에 착안하여서 칼라 영상 신호의 기록 영역 AV도 PCM 오디오 신호 기록용으로서 사용하여, 8mm 비디오 PCM 오디오 전용의 기록 재생기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허 공개 소화 58-222402호 참조).
즉, 영상 신호등이 기록되는 180°분의 각 범위의 영역 AV는 36°분의 각 범위의 PCM 영역 AP의 5배의 길이가 되므로, 영역 AV를 5등분하여,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트랙(4A),(4B)당, ①로 도시하는 기본 PCM 오디오 신호의 트랙 영역 AP1외에 ② 내지 ⑥으로 도시하는 5개의 분할 트랙 영역 AP2내지 AP6을 설치한다. 그래서, 이 6개의 분할 트랙 영역 AP1내지 AP6의 각각에 1채널분의 PCM 오디오 신호 즉, 1필드 기간분의 오디오 신호를 PCM화하고 시간축 압축한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하나 하나의 영역 단위로 1채널분의 오디오 신호의 기록, 재생이 가능하게 되므로 6채널분의 오디오 신호의 기록, 재생이 가능하며, 종래의 6배의 기록시간(용량)이 얻어진다(이하, 이 기술을 멀티 PCM이 라 칭함).
그래서, 이 멀티 PCM의 경우의 PCM 신호의 처리 회로는 각 분할 트랙 영역 단위 마다 기록 재생하는 것을 생각하면, 종래의 8mm 비디오의 갖는 1채널분의 처리 회로만으로 좋다.
그런데, 상술하는 8mm 비디오의 트랙 포맷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7도와 같이 된다. 즉, 동일 도면에 있어서, 회전 헤드가 테이프(2)에 대해 접하기 시작하는 우측에서, 먼저 선단부에 헤드의 회전각에서 5도분은 돌입부(11)로 하고, 이 돌입부(11)의 후반의 2.06도(비디오 신호의 3H(H는 수평기간)분에 해당)의 기간은 후속하는 PCM 데이타에 동기하는 클럭 런인의 부분으로 되는 프리앰블부(12)로 된다. 이 프리앰블부(12)에 이어서 시간축 압축된 음성 신호의 PCM 데이타의 기록 구역(13)이 26.32도에 걸쳐서 설치된다. 이 PCM 데이타의 기록 구역(13)에 이어지는 2.06도(3H)의 기간은 애프터 레코딩시의 기록 위치 어긋남등에 대한 백마아진으로 되는 포스트 앰블부(14)로 되고, 그 후의 2.62도는 비디오 신호부와 PCM 데이타부와의 가드부(15)로 된다. 그래서 이 가드부(15)에 이어서 1필드분의 비디오 신호의 기록 구역(16)이 180도에 걸쳐서 설치된다. 또 다시 그후의 5도분은 이간부(17)로 되어 있다.
또한, 제8도는 멀티 PCM의 경우의 트랙 포맷을 도시하고, 1개의 PCM 오디오 신호용 분할 트랙 영역에 대해서 보면, 제7도의 통상의 8mm 비디오의 트랙 포맷의 PCM 오디오 구역과 꼭같아, 돌입부(21), 프리앰블부(22), PCM 데이타부(23), 포스트 앰블부(24), 가드부(25)로 되어 있으며, 이것이 각 분할 트랙 영역 AP1내지 AP6의 각각에 대해서 할당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PCM 데이타는 1.0의 데이타가 변조되어서 테이프위에 기록되나, 8mm 비디오에서는 예컨대 1의 데이타는 5.8MHz, 0의 데이타는 2.9MHz의 신호로서 변조되어서 기록된다. 그래서, 프리앰블부(12) 또는 (22) 및 포스트 앰블부(14) 또는(24)에는, 종래, 모두 1의 데이타, 곧 5.8MHz의 신호가 기록된다.
그런데, 이상 기술한 8mm 비디오 및 멀티 PCM에 있어서, 말하자면 두출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한 각 트랙 포맷에 있어서 예컨대 포스트 앰블부(14) 또는(24)의 부분에 인덱스 신호를 기록하여 이 인덱스 신호를 두출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본 출원인은 먼저 제안하였다(일본국 특허출원 소화 60-64554호).
이보다 앞서 제안한 발명에 의하면, 회전 헤드에 의해 인덱스 신호가 기록, 재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고정 전용 헤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인덱스 신호를 뒤에서 기록하거나, 소거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인덱스 신호를 포스트 앰블부에 기록하거나 소거하려면 이 포스트 앰블부를 인덱스 신호의 구역으로서 지정하는 구역 지정신호를 형성하고, 그 구역 지정신호로 지정되는 구역내에서 기록, 소거를 할 필요가 있다.
이 인덱스 구역 지정신호는 2개의 회전 헤드 HA,HB의 전환 신호 RFSW로부터 생성할 수가 있다. 즉, 전환 신호 RFSW는 회전 헤드 HA, HB의 절대 회전 위상을 도시하는 펄스 발생기(드럼 모터와 관련하여 설치된다)로부터의 펄스 PG로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의 전환 시점이 되는 그 입상 및 입하는 트랙 포맷우에서, 가드부(15)내의 시점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이 전환 신호 RFSW와 각 PCM 분할 트랙 영역을 표시하는 PCM 구역 신호 SA 및 헤드 HA 및 HB에 의한 기록 트랙과의 관계는 제9A도 내지 제9D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관계로 되어 있다. 멀티 PCM의 경우에는, 양 신호 RFSW와 SA가 도면의 위상 관계를 유지하여 36도의 회전각분씩 절대 회전 위상(드럼 위상 서보의 기준 위상)에 대해서 차례로 이동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전환 신호 RFSW의 입상 및 입하 시점에서 예컨대 지연용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를 트리거하여 타이밍을 취해서 제9E도에 도시하는 인덱스 구역 지정신호 S1가 생성된다.
그래서, 8mm 비디오의 경우, 트랙 패턴의 테이프위의 형성 위치는 ±1.5H분의 어긋남이 허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허용 오차는 회전 헤드식 기록 재생 위치에서 대소 결정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타이밍 오차가 있는 경우, PCM 데이타나 비디오 신호의 기륵후에 인덱스 신호를 뒤에서 그 기록 트랙중의 인덱스 구역에 기록하거나, 또는 소거하거나 할때, 인덱스 구역 지정신호를 상기와 같이 전환 신호 RFSW로부터 생성하면 그 타이밍 오차분만 인덱스 구역이 기록 트랙에 대해서 어긋남으로써, PCM 오디오 데이타의 영역이나 비디오 신호 영역의 일부에 인덱스 신호를 기록 또는 소거하여 버리거나 한다. 이와 같이 하면 PCM 오디오 데이타나 비디오 신호가 그 몫만큼 소거되어 버리게 된다.
1트랙의 PCM 데이타는 일반적으로 일정시간 몫의 오디오 신호등의 정보 신호가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되고, 그 분할 블럭 마다에 블럭 동기 신호 및 블럭 어드레스 신호가 부가되어 구성되어 있다.
8mm 비디오의 PCM 오디오 데이타의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트랙몫의 데이타는 132블럭으로 구성되고, 1블럭은 3비트의 블럭 동기 신호 SYNC와, 8비트의 블럭 어드레스 워드 ADR와, 착오 정정용의 패리티 워드 P 및 Q와, 8워드의 오디오 데이타 워드 W0내지 W7과 착오 검출용의 16비트의 CRC 로드로 이루어전 있다. CRC 코드는 어드레스 워드 ADRS로부터 데이타 워드 W7까지에 대해서 생성되어 있다.
그래서, 어드레스 워드 ADRS는 1트랙몫의 블럭 데이타의 몇번째의 블럭인가의 블럭 번호를 표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각 블럭 어드레스 데이타는 테이프위에 기록된 PCM 오디오 트랙의 테이프위의 절대 위치를 지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트랙 패턴의 테이프위의 형성 위치의 타이밍이 어긋나 있어도 변함은 없다.
거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PCM 데이타중의 블럭 어드레스 데이타를 검출하고, 이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인덱스 구역 지정신호를 형성한다.
인덱스 신호를 기록하고자 하거나, 혹은 소거하고자 하는 트랙의 PCM 데이타중의 어드레스 신호로부터 인덱스 구역 지정신호가 형성되므로, 항상,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트랙 포맷대로의 곧 PCM 데이타부(12) 또는(22) 혹은 비디오 신호부(16)에 걸치는 일없이 포스트 앰블부(14) 또는(24)를 인덱스 구역으로서 지정할 수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예의 블럭도로, 이 예는 상술하는 8mm 비디오의 경우의 예이다.
제1도에 있어서, (31A) 및 31B)는 기록 재생 전환 스위치 회로로, 단자(41)로부터의 기록 재생 전환 신호 SM가 OR 게이트(42)를 통해서 공급되고, 기록시는 REC 즉, 재생시는 PB측에 전환된다.
(32) 및 (33)은 헤드 전환 신호 RFSW에 의해 도면의 상태와 그 역의 상태로 1/2회전 기간마다 교대로 전환된다.
(34)는 정상시와 멀티 PCM시에서 전환 신호 RFSW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즉, 정상시는 이 스위치(34)는 N측으로 전환된다. 이때, 펄스 발생기(43)로부터의 회전 헤드 HA 및 HB의 절대 회전 위상을 표시하는 30Hz의 펄스 PG가 전환 신호 형성 회로(44)에 공급되어서 듀티 50%의 구형파 신호 SC가 이것에서 얻어지고, 이 구형파 신호 SC가 전환 신호 RFSW로서 스위치(34)를 통해서 스위치 회로(32) 및(33)에 공급된다.
또한, 멀티 PCM시는 이 스위치(34)는 M측으로 전환된다. 그래서. 이때는 형성 회로(44)로부터의 구형파 신호 SC가 이상 회로(45)에 공급되고, 이것에서 지정된 분할 트랙 영역에 의하여 구형파 신호 SC가 36°×(n-1)(n은 분할 트랙 영역의 번호에 의한 정수로, AP1일때 n=1, AP2일때 n=2‥‥AP6일때 n=6이다)만큼 이상되고, 그 이상된 신호가 스위치(34)를 통해서 전환 신호 RFSW로서 스위치 회로(32)(33)에 공급된다 또한, 이 전환 신호 SW는 PCM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62)에 공급되고, 지정된 분할 트랙 영역을 표시하는 PCM 구역 신호가 형성된다.
먼저, 기록시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즉, 입력단자(51)를 통한 입력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계(50)에 공급되어서 처리되고, 그 출력이 스위치 회로(32)에 공급된다.
이 스위치 회로(32)는 전환 신호 RFSW에 의해 회전 혜드의 1/2회전마다 전환되나, 회전 헤드 HA 및 HB에는 펄스 PG를 기준 위상으로 하여 드럼 위상 서보가 걸려서, 상기 제7도의 영역 AV을 헤드 HA가 주사할때, 기록 증폭기(46A)를 통해, 스위치 회로(31A)를 통해 기록 오디오 신호가 이 헤드 HA에 공급되어서 트랙(4A)의 이 영역 AV에 기록된다. 동일하게 하여, 헤드 HB가 영역 AV위를 주사할때 기록 증폭기(46B)를 통해, 스위치 회로(31B)를 통해서 기록 비디오 신호가 이 헤드 HB에 공급되어저, 트랙(4B)의 영역 AV에 기록된다.
또한, 입력단자(61L) 및(61R)을 통해서 좌우 채널의 음성 신호가 PCM 신호계(60)의 PCM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62)에 공급되고, 이것에 있어서 PCM데이타로 된다.
즉, 음성 신호는 디지탈화되고, 그 디지탈 신호의 1필드 몫마다 132블럭으로 분할되고, 착오 정정 부호인 P패리티 및 Q패티리가 생성됨과 동시에 각 블럭에 대해서 CRC 로드가 생성된다. 그래서, 전환 신호 RFSW에 의거하여 형성된 PCM 구역 신호에 의해 1필드 몫의 데이타가 1/5로 시간축 압축됨과 동시에 각 블럭에 대해서 블럭 동기 신호 SYNC 및 블럭 어드레스 신호 ADRS가 부가되고, 1블럭당 제2도와 같은 상태로 되어서 판독된다. 그래서, 이 판독된 PCM 데이타가 데이타 1은 5.8MHz의 신호로, 데이타 0은 2.9MHz의 신호로 각각 변조된다. 이 변조된 신호는 후술하는 스위치 회로(35)를 거쳐서 스위치 회로(32)에 공급되고, 전환 신호 RFSW에 의한 전환에 의해 헤드 HA에 의해 제7도에 있어서 트랙(4A)의 영역 AP에, 헤드 HB에 의해 트랙(4B)의 영역 AP에 각각 기록된다.
다음에 멀티 PCM의 경우에는, 스위치(34)가 M측으로 전환되어 이상 회로(45)로부터의 PCM 구역의 지정에 의하여 36기 정수배만큼 이상된 신호가 헤드 전환 신호 RFSW로서 얻어지고, 여기에서 PCM구역 신호가 형성되어서, 제8도의 분할 트랙 영역 AP1내지 AP6중, 지정된 1개는 PCM 오디오 신호가 기록된다.
다음으로 재생시에 대해서 설명을 하면, 이 재생시에 있어서도, 신호 PG를 기준으로 하여 드럼 위상 서보가 걸려져 있다.
8mm 비디오의 경우,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말하자면 4주파의 파이롯트 신호가 트랙(4A),(4B)에 대해서 순환적으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 4주파의 파이롯트 신호가 사용되어서 이 재생시에 있어서는 트래킹 서보가 걸려져 있다.
이 재생시에 있어서는 헤드 HA 및 HB로부터의 재생 신호 출력이 각각 재생 증폭기 (47A) 및 (47B)를 거쳐서 스위치 회로(33)에 공급되고, 이 스위치 회로(33)가 전환 신호 RFSW에 의해 전환됨으로써, 영역 AV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계(50)에, 영역 AP의 PCM 데이타는 PCM 신호계(60)에 각각 공급된다.
그래서, 비디오 신호계(50)에서는 비디오 신호가 복조되어서 출력단자(52)에 도출된다.
한편, PCM 신호계에서, 재생 신호는 재생 등화 회로(63) 및 리미터(64)를 통해서 비트 동기 회로(65)에 공급된다. 이 비트 동기 회로(65)는 D플립플롭 회로(66)와 PLL 회로(67)로 이루어지고, D플립플롭 회로(66)로부터의 전술하는 바와 같이 변조되어 있는 1,0의 데이타가 얻어지고, 이것이 PCM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62)에 공급되어서, 착오 검출, 착오 정정등이 행해진 후, 좌우 채널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되돌려지고, 이것이 출력단자(68L) 및(68R)로 도출된다.
스위치(35)는 인덱스 구역에서 도면의 상태와는 역의 상태로 전환되는 스위치이며, 또한 스위치(36)는 인덱스 신호와 소거신호를 전환하는 스위치이며, 기록시와 소거시에서 전환 신호 SW에 의해 전환된다. 이 예의 경우, 인덱스 신호로서는 2.9MHz의 단일 톤의 신호가 사용된다. (71)은 그 2.9MHz의 인덱스 신호의 발진기이다. 또한, 소거용 신호로서는 5.8MHz의 단일톤의 신호가 사용된다. (72)는 5.8MHz의 단일톤의 신호가 사용된다 (72)는 그 5.8MHz의 소거 신호의 발진기이다.
(80)은 인덱스 구역 지정신호의 형성 회로이다.
즉, 장치를 재생 상태로 하여, 재생하면서 인덱스 신호를 포스트 앰블부(41) 또는(24)에 기록할때, 혹은 인덱스 신호를 소거할때, 다음과 같이 하여 그 구역 지정신호가 형성된다.
PCM 신호계(60)의 D플립플롭 회로(66)로부터의 비트 동기가 취해진 재생 데이타 S1(제2A도 및 2B도)는 형성 회로(80)의 복조 회로(81)에 공급됨과 동시에 블럭 동기 신호 검출 회로(82)에 공급된다. 이 블럭 동기 신호 검출 회로(82)에 있어서 블럭 동기 신호 SYNC가 검출되면, 이것에서 복조 회로(81)에서 복조된 어드레스 데이타 ADRS의 마지막 비트의 시점에서 래치 펄스 S2(제2C도)가 얻어지고, 이것에 의해 8비트 몫의 어드레스 데이타 ADRS가 래치 회로(83)에 래치된다. 이 래치출력 S3(제2D도)은 카운터(85)의 프리세트 단자에 공급된다.
한편. 복조 회로(81)로부터의 복조된 데이타는 착오 검출 회로(84)에 공급되어서, CRC 코드가 사용되어서 블럭마다 착오 검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CRC 코드는 기록시, 어드레스 데이타 ADRS도 포함시킨 워드에 대해서 생성되어 있으므로 어드레스 데이타에 착오가 있으면 그것이 검출된다.
그래서, 이 착오 검출 회로(84)에는 블럭 동기 신호 검출 회로(82)로부터의 펄스 S2가 연산 시작 펄스로서 공급되고, 착오 검출의 연산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검출 결과, 착오가 없음이 검출되었을때 이것에 의해 펄스 S4(제2E도)가 얻어지고, 이 펄스 S4에 의해 카운터(85)가 로드되어서, 이 카운터(85)에 래치 회로(83)로부터의 어드레스 값이 프리세트된다.
이 카운터(85)에는 클럭 발생기(86)로부터의 1블럭 주기의 클럭 펄스가 공급된다. 따라서, 한번 로드되어서 카운터(85)가 프리세트되면, 그후의 데이타가 모두 착오가 나 있어도 카운터(85)는 데이타 블럭마다 그 프리세트값에서 나아간다. 물론, 데이타 블럭에 착오가 없으면, 그 블럭마다 착오 검출 회로(84)로부터 펄스 S4가 얻어지고, 그때마다 그 어드레스 데이타가 이 카운터(85)에 프리세트되고, 이때는 클럭 펄스는 무시되게 된다.
이 카운터(85)의 카운트값 S5(제2F도)는 디코더(87)에 공급되어져 있다. 이 디코더(87)는 카운터(85)의 카운트값이 데이타 블럭의 마지막의 번지, 즉 131번지가 되었을때, 그것을 검출하여, 검출 펄스 S6(제2G도)를 발생한다.
그래서, 이 검출 펄스 S6에 의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88)를 트리거 하고, 이것에서 인덱스 구역 신호 S7(제2H도)를 얻는다.
이 경우, 카운터(85)의 값이 131이 아니고, 여유를 두고 예컨대 133으로 되었을때, 디코더(87)로부터 검출 펄스 S6를 얻도록 하여도 좋다.
이같이 하여 얻어진 인덱스 구역 신호 S7는 후술하는 스위치 회로(38) 및 게이트 회로(39)를 거쳐서 스위치 회로(35)에 공급되고, 이 스위치 회로(35)가 PCM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62)측에서 스위치 회로(36)측으로 전환된다. 이와 동시에 게이트 회로(39)를 통한 구역 신호 S7는 OR 게이트(42)를 거쳐서 기록 재생 전환 스위치 회로 (31A) 및 (31B)에 공급되어서, 인덱스 구역 기간에서 이들 스위치 회로 (31A) 및 (31B)는 기록측 단자 REC측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인덱스 신호의 기록시이며. 스위치 회로(36)가 도면의 상태로 전환되어 있을때는 2.9MHz의 인덱스 신호가 구역 신호 S7로 지정된 포스트 앰블의 구간에 있어서 트랙위에 기록되고, 또한, 소거시에 스위치 회로(36)가 도면의 상태와는 역의 상태로 전환될때는 5.8MHz의 소거신호가 신호 S7로 지정되는 기간으로 기록되어, 이전의 인덱스 신호가 소거된다.
게이흐 회로(39)는 기록시간 및 소거시간을 제어하는 회로로, 제어 신호 GT에 의해, 예컨대 3초간 내지 10초간 동안, 이 게이트 회로(39)가 열려서 인덱스 신호의 기록, 혹은 소거가 행해진다.
이 예에 있어서는, 기록시나 재생하면서 인텍스 신호의 기록 혹은 소거를 할때, 정확한 PCM 데이타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PCM 데이타가 없는 경우도 포함)에 있어서도 인덱스 구역 신호를 얻을 수가 있도록 고려하고 있다.
즉, 그 경우에는 전환 신호 RFSW로부터 구역 신호를 형성하는 것으로, 스위치 회로(34)로부터의 전환 신호 RFSW(제31도)는 변화점 검출 회로(91)에 공급되어서, 그 입상 및 입하가 검출된다. 그래서, 그 검출 펄스 SD(제3J도)에 의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92)가 트리거되어서, 이것에서 헤드 전환 시점에서 포스트 앰블부(14) 또는 (24)의 처음위치보다도 약간 앞의 시점까지에 해당하는 시간에 늦어진 펄스 M1(제3K도)가 얻어진다. 그래서, 이 펄스 M1에 의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93)가 트리거되고, 이것에서 인텍스 구역 신호 M2(제3L도)가 얻어진다. 그래서, 이 구역 신호 M2가 스위치 회로(38)의 다른쪽의 입력단에 공급된다. 또한, 변화점 검출 회로(91)의 출력 펄스는 SR 플립플롭 회로(94)의 세트 단자에 공급됨과 동시에 SR 플립플롭 회로(95)의 리세트 단자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 플립플롭 회로(94)의 Q출력은 헤드 전환 시점에서 반드시 1로 되어, 이것에 의해 스위치 회로(37)가 온으로 된다. 그래서, 이 스위치 회로(37)를 거쳐서 착오 검출 회로(84)로부터의 펄스 S4가 SR 플립플롭 회로(95)의 세트 단자에 공급된다. 따라서, PCM 데이타가 없고, 착오 검출 회로(84)로부터 펄스 S4가 얻어지지 아니할 때에는, SR 플립플롭 회로(95)의 Q출력은 0으로 되어, 스위치 회로(38)는 도면의 상태와는 역의 상태로 전환되어. 신호 S7로 바뀌어 신호 M2가 구역 신호로서 게이트 회로(39)를 통해서 스위치 회로(35)에 공급된다.
PCM 데이타가 있고, 착오 검출 회로(84)로부터 펄스 S4가 얻어질때는 SR 플립플롭 회로(95)는 세트되어서, 그 Q출력은 1로 되기 때문에 스위치 회로(38)는 도면의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스위치 회로(35)에는 신호 S7가 구역 신호로서 공급된다.
그래서,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게이트 회로(39)를 통한 신호 S7또는 M2에 의해 플립플롭 회로(94)는 리세트되고, Q출력이 0으로 되고, 스위치 회로(37)는 오프로 된다.
따라서, 기록시는 항상 신호 M2가 인덱스 구역 신호로서 얻어지고, 인덱스 신호를 기록하고 싶을때에는 2.9MHz의 신호가 또한, 그렇지 아니할때는 5.8MHz의 포스트 앰블 신호가 기록되게 된다. 이 기록시에 있어서는, 게이트 회로(39)는 항상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멀티 PCM의 경우에 있어서도 스위치(34)를 전환하는 것만으로 꼭같이 하여 인덱스 신호의 소거, 기록이 가능하다.
또한, 전환 신호 RFSW로부터 구역 신호 M2를 작성할때에, 이 구역 신호 M2의 타이밍은. 신호 S7의 구역 신호의 타이밍보다 앞에 있다. 이것은, 트랙의 길이방향의 오차가 있을때, 비디오 신호를 지워 버리면 복원이 되지 않는데 대해서, PCM 데이타의 경우에는 다소 지워져도 착오 정정에 의해 혹은 보간에 의해 커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인텍스 신호로서는 상기한 예에서는 포스트 앰블 신호가 1의 데이타인 5.8MHz이므로, 0의 데이타 인 2.9MHz의 신호를 사용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타로서 출현하지 않는 패턴의 신호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인덱스 신호로서 코딩 데이타를 기록하도록 하여도 물론 좋다. 이와 같이 코딩한 경우에는, 만곡의 처음뿐이 아니고, 만곡의 가운데를 표시하는 데이타나, 기타의 테이프속도, 시각 정보등도 인텍스 신호로서 기록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PCM화하여 기록 재생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PCM 데이타의 기록 재생 장치의 모두에 적용이 가능함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PCM 데이타의 트랙의 뒤의 부분에, 이 PCM 신호를 재생하면서 인덱스 신호를 기록 혹은 소거할때, PCM 신호중의 어드레스 데이타에 의거하여 인덱스 신호용 구역 신호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스큐(skew), 지터, 조정 오차등에 의해 기록 트랙에 길이방향의 어긋남이 있더라도 항상 PCM 데이타의 트랙에 대해서 정해진 위치를 인덱스 신호용의 구역으로서 지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트랙 타이밍의 길이방향의 어긋남 때문에 PCM 데이타를 인덱스 신호가 소거되어 버릴 우려가 없어진다.

Claims (2)

  1. 소정의 시간분의 데이타가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된 것으로서 구성되고, 각 블럭에 어드레스 데이타가 부가된 PCM 신호가 회전 헤드에 의해 기록 매체 위에 경사지게 1개씩의 트랙으로서 기록되고, 재생되는 PCM 신호의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PCM 신호를 재생하면서 이 PCM 신호의 기록 구역으로 연장한 위치의 소정 구역 부분에 회전 헤드에 의해 인덱스 신호를 소거하는 경우에, 상기 인덱스 신호의 구역을 정하는 구역 지정신호를 상기 PCM 신호중의 어드레스 데이타에 의거하여 형성하도록한 PCM 신호의 기록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M 신호의 어드레스 데이타가 검출될때는 이 어드레스 데이타에 의거하여 인덱스 신호의 구역 지정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어드레스 데이타가 검출되지 아니할때는 회전 헤드의 회전 위상을 도시하는 신호로부터 상기 인덱스 신호의 구역 지정신호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M 신호의 기록 재생 장치.
KR1019860005538A 1985-07-09 1986-07-09 Pcm 신호의 기록 재생 장치 KR950005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0428 1985-07-09
JP60150428A JP2570254B2 (ja) 1985-07-09 1985-07-09 Pcm信号の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543A KR870001543A (ko) 1987-03-14
KR950005538B1 true KR950005538B1 (ko) 1995-05-25

Family

ID=1549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538A KR950005538B1 (ko) 1985-07-09 1986-07-09 Pcm 신호의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772960A (ko)
EP (1) EP0209047B1 (ko)
JP (1) JP2570254B2 (ko)
KR (1) KR950005538B1 (ko)
AT (1) ATE81418T1 (ko)
AU (1) AU587264B2 (ko)
BR (1) BR8603193A (ko)
CA (1) CA1259692A (ko)
DE (1) DE3686913T2 (ko)
ES (1) ES2000267A6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3417B2 (ja) * 1985-03-28 1997-12-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2629698B2 (ja) * 1987-04-15 1997-07-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の記録装置
US5737478A (en) * 1987-05-15 1998-04-07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a first and a second information signal
KR910009433B1 (ko) * 1987-11-27 1991-11-16 마쓰시다 덴끼 산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디지틀 테이프레코오더
JP2615788B2 (ja) * 1988-03-29 1997-06-04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ジタルオーデイオ信号再生装置
JP2684695B2 (ja) * 1988-08-05 1997-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
JPH0447566A (ja) * 1990-06-15 1992-02-17 Sony Corp 回転ヘッド型記録再生装置
JPH0461669A (ja) * 1990-06-27 1992-02-27 Sony Corp Vtr
US6188834B1 (en) * 1990-10-29 2001-02-13 Canon Kabushiki Kaisha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mage information
US5659400A (en) * 1991-10-24 1997-08-19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device for recording main information signal with index signal for rapidly and accurately searching main information signal
KR0135510B1 (ko) * 1991-03-30 1998-04-22 강진구 데이터 압축/신장 기능을 가지는 장시간 다채널 데이터 테이프 레코더
TW266292B (ko) * 1992-10-30 1995-12-21 Philips Electronics Nv
DE4241068C2 (de) * 1992-12-05 2003-11-13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m Übertragen, Speichern oder Decodieren eines digitalen Zusatzsignals in einem digitalen Tonsignal
JP3422513B2 (ja) * 1993-03-08 2003-06-3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および画像記録媒体の再生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US5715358A (en) * 1993-06-22 1998-02-03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for recording at least two picture signals and method of reproduction at least two picture signals
US7409252B2 (en) 1996-09-18 2008-08-05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US7415315B2 (en) 1996-09-18 2008-08-19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3593814B2 (ja) 1996-09-18 2004-11-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US7610109B2 (en) 1996-09-18 2009-10-27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5815A (en) * 1955-06-14 1975-12-09 Jerome H Lemelson Video trans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US4286281A (en) * 1978-09-30 1981-08-25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Video format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CA1133639A (en) * 1979-01-30 1982-10-12 Masato Tanaka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digital signals recorded on a record medium
JPS5832280A (ja) * 1981-08-17 1983-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イジタル記録テ−プの編集装置
JPS5880144A (ja) * 1981-11-09 1983-05-14 Hitachi Ltd 磁気録画再生装置の検索装置
JPS58164383A (ja) * 1982-03-25 1983-09-29 Sony Corp ビデオ信号記録装置
GB2120423B (en) * 1982-04-26 1985-10-09 Sony Corp Sequential data block address processing circuits
JPS60151859A (ja) * 1984-01-19 1985-08-09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頭出し信号記録回路
DE3504354A1 (de) * 1984-02-10 1985-08-22 Pioneer Electronic Corp., Tokio/Tokyo Bandpositionsdaten-aufzeichnungs- und -wiedergabeverfahren
JPS61162883A (ja) * 1985-01-10 1986-07-23 Pioneer Electronic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162850A (ja) * 1985-01-14 1986-07-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キユ−信号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70254B2 (ja) 1997-01-08
DE3686913T2 (de) 1993-02-18
AU587264B2 (en) 1989-08-10
CA1259692A (en) 1989-09-19
ES2000267A6 (es) 1988-02-01
AU5976586A (en) 1987-01-15
EP0209047A2 (en) 1987-01-21
EP0209047B1 (en) 1992-10-07
US4772960A (en) 1988-09-20
DE3686913D1 (de) 1992-11-12
KR870001543A (ko) 1987-03-14
BR8603193A (pt) 1987-02-24
ATE81418T1 (de) 1992-10-15
EP0209047A3 (en) 1989-05-03
JPS6212961A (ja) 198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538B1 (ko) Pcm 신호의 기록 재생 장치
EP0085578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 information signal comprising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US4758904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
US4899233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magnetically recorded digital signal using a rotary head with automatic track finding signal extraction and selection for tracking control
EP0246661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information signals
EP0213937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 information signal
JPS63108569A (ja) 情報信号の磁気記録装置
KR950003633B1 (ko)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KR950014672B1 (ko) 기록장치
JP2629698B2 (ja) 情報信号の記録装置
EP0213731B1 (en) Index signal detecting system
US4837641A (en) Rotary head type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499464B1 (en) Rotary head video tape recorders
JP2718022B2 (ja) 情報信号記録方法
JP2718021B2 (ja) 情報信号記録方法
JP2708740B2 (ja) 記録再生装置
JPH07244934A (ja) ディジタル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H0332121B2 (ko)
JPH0610901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再生装置
JPS61158007A (ja) 情報信号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S6220190A (ja) 記録再生装置
JPH10162303A (ja) 磁気記録装置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182306A (ja) デジタル信号の記録方法
JPH04163769A (ja) 情報記録装置
JPH08339638A (ja) ディジタル記録装置及び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