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006B1 - 스위블 조인트 - Google Patents

스위블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006B1
KR950005006B1 KR1019900005822A KR900005822A KR950005006B1 KR 950005006 B1 KR950005006 B1 KR 950005006B1 KR 1019900005822 A KR1019900005822 A KR 1019900005822A KR 900005822 A KR900005822 A KR 900005822A KR 950005006 B1 KR950005006 B1 KR 950005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assage
fuel oil
annular groove
swive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556A (ko
Inventor
요시히데 시바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6961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91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9775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8792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Publication of KR90001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39/06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of the multiline swivel type, e.g. comprising a plurality of axially mounte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블 조인트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전체 스위블조인트의 수직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스위블조인트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스위블조인트가 휘일장착쇼벨에 결합된 연료오일회로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회로도.
제4도는 연료오일탱크가 상부구조에 장착된 타입의 휘일장착쇼벨의 개략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휘일장착쇼벨의 연료오일회로의 일반구조의 회로도.
제6도는 종래의 스위블조인트를 보여주는 수직단면도.
제7도는 연료오일탱크가 하부구조에 장착된 또다른 타입의 휘일장착쇼벨의 개략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구조 2 : 상부구조
4 : 엔진 5 : 작동유체용 탱크
6 : 연료오일탱크 11,21 : 스위블조인트
12,22 : 몸체 13,33 : 스템
14,24 : 제1분리몸체부분 15,25 : 제2분리모체부분
17,18 : 공기통로 및 작동오일통로 19 : 밀봉부재
27 : 관부재 31 : 드레인오일통로
본 발명은 휘일장착쇼벨 또는 휘일크레인과 같은 상부구조 회전타입의 건설장비에서 상부구조 및 하부구조 사이에서 유체관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스위블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상부구조 회전타입의 건설장비로서 휘일장착쇼벨을 예로들어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를 참조하면 도시된 종래의 휘일장착쇼벨은 하부기초부로 작용하는 하부구조(1), 피봇베어링(3)을 통해 하부구조(1) 위에 놓인 상부구조(2)로 구성되고 엔진(4), 유압장치에 공급될 작동유체용 탱크(5) 및 엔진(4)에 공급될 연료오일용 탱크(6)가 상부구조(2) 위에 설치된다.
제5도는 연료오일탱크(6)와 엔진(4)을 상호 연결하는 연료오일회로를 도시한다.
탱크(6) 안의 연료오일이 제5도의 실선 화살표와 같이 이송펌프(7) 및 주입펌프(8)에 의해 노즐 호울더(9) 속으로 공급된다. 한편 엔진(4)으로부터 넘쳐흐른 리턴오일이 점선 화살표와 같이 필터(10)를 거쳐서 연료오일탱크(6)로 복귀한다.
제6도는 종래의 스위블조인트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시된 스위블조인트(11)는 튜브형 몸체(12), 공통축 주위를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끼워진 원통형 스템(13)을 포함하여 예를들면 스템(13)은 상부구조 위에 회전측 부재로서 장착되고, 몸체(12)는 하부구조 위에 고정측 부재로서 장착된다. 몸체(12)는 스위블조인트의 작업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제1분리몸체부분(14)과 제2분리몸체부분(15)의 두 분리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두개의 몸체부분(14,15)은 볼트(16)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스템측면 공기통로(17a) 및 스템측면 작동오일통로(18a)가 스템(13)에 구비된다. 한편, 한쌍의 몸체측면 공기통로(17c) 및 작동오일통로(18c) 및 한쌍의 몸체측면 환상홈(17b,18b)이 몸체에 구비된다.
따라서 한쌍의 공기통로(17) 및 작동오일통로(18)가 몸체(12)와 스템(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복수개의 밀봉부재(19)가 몸체(12)의 내주면에 구비된다.
통로(17,18)의 각각은 한쪽 단부가 상부구조(2) 측면에서 도시되지 않은 대응관에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가 하부구조(1) 측면에서 도시되지 않은 또다른 대응관에 연결되어 공기를 위한 상부관 및 하부관과 작동오일을 위한 상부관 및 하부관이 스위블조인트(11)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그러한 통로(17,18)가 각각 복수개로서 정상적으로 구비되지만 도면설명의 편의상 이들중의 단지 하나만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휘일장착쇼벨은 전술한 바와같이 연료탱크(6)가 상부구조에 장착되는데 그곳은 상당히 높은 위치이기 때문에 연료오일공급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연료오일공급작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제7도에서와 같이 하부구조(1) 상에 연료오일탱크(6)를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게 보인다. 이러한 예에서, 연료오일탱크(6)로부터 엔진(4)으로 연료오일을 공급하는 연료오일공급관과 리턴오일을 탱크(6)로 복귀시키는 리턴오일관이 공기나 작동유체와 같은 다른 유체용 관과 유사하게 각각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되어 관의 상부 및 하부가 스위블조인트(1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예에서, 종래의 스위블조인트(11)의 연료오일통로의 구조가 연료오일용 통로구조와 같이 채용되면 후술하는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상세히는 전술한 타입의 스위블조인트에서 유체가 몸체측면 및 스템측면의 유체통로 사이의 조인트에서 몸체와 스템의 끼움면 사이의 부위로 누출되기 쉽고, 이러한 누출은 다른 누출유체와 혼합되거나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오일(연료공급오일 및 리턴오일)이 공기 및 작동오일의 경우와 유사하게 몸체에 환상홈을 통해 몸체와 스템사이로 공급되면 공기나 작동오일과 같은 다른 유체가 연료오일에 혼합되어 연소효율을 저하시키는 한편, 연료오일이 다른 유체에 혼합되어 그 유체와 본래의 기능을 저해하게 된다.
또한 연료오일이 외부로 누출되어 위험한 상태가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한 스위블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엔진을 싣고 있는 상부구조가 연료오일탱크를 구비한 하부구조상에서 스윙운동하도록 장착된 건설장비등에 사용되는 스위블조인트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상부 및 하부구조중의 어느 하나에 고정된 몸체와, 상부 및 하부구조중의 다른 하나에 고정되고 공통축 주위로 몸체의 내부보어안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끼워진 스템으로 구성되고, 이 스템은 연료오일을 연료오일텡크로부터 엔진으로 공급하도록 그 축을 따라 형성된 연료오일공급통로를 가지며, 엔진으로부터 연료오일탱크로 연료오일을 복귀시키도록 리턴오일통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스템측면 리턴오일통로를 더 포함하며, 몸체는 몸체측면 리턴오일통로와 스템측면 리터오일통로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리턴오일환상홈을 더 포함하며, 리턴오일환상통로로부터 누출되는 리턴오일을 포획하도록 형성된 드레인오일환상홈을 더 포함하고, 스템은 드레인오일환상통로와 연료오일탱크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드레인오일통로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구조의 스위블조인트에서, 연료공급오일이 스템축을 따라 뻗는 연료공급오일통로를 거쳐서 다른 유체와 분리된 상태로 엔진에 공급되므로, 연료공급오일이 다른 유체와 혼합되거나 스위블조인트의 외부로 누출될 염려가 없다.
한편, 리턴오일에 있어서는 리턴오일이 리턴오일환상홈으로부터 누출되더라도 드레인오일환상홈에 의해 포획되어 드레인오일통로를 거쳐서 탱크로 복귀된다.
따라서 리턴오일이 연료공급오일처럼 다른 유체와 혼합되거나 스위블조인트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스위블조인트의 연료공급오일통로가 단일관부재로 구성되어 검사, 보수등의 연료오일공급회로의 유지관리가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쌍의 드레인오일환상홈이 몸체의 리턴오일환상홈의 대향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리턴오일이 축의 대향방향의 어느쪽에서 리턴오일환상홈으로부터 누출되더라도 그것은 드레인오일환상홈에 의해 확실하게 포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부재가 몸체의 내주면의 리턴오일환상홈과 드레인오일환상홈 사이 또는 드레인오일환상홈의 어느 하나 또는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리턴오일의 누수가 밀봉부재의 밀봉작용에 의해 방지되고, 밀봉부재를 통과한 리턴오일만이 드레인오일환상홈에 의해 포획된다. 따라서, 누출된 리터오일이 드레인오일환상홈에 의해 포획되지 않고 다른 유체용 환상홈에 도달하는 상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엔진을 싣고 있는 상부구조가 연료오일탱크를 구비한 하부구조상에서 스윙운동하도록 장착된 건설장비등에 사용되는 스위블조인트가 제공되는데, 스위블조인트는 연료오일탱크와 엔진을 상호 연결하는 공기통로 및 연료오일통로를 포함하는 몇개의 유체통로를 가지며, 상부 및 하부구조의 어느 하나에 고정된 몸체, 공통축 주위로 몸체의 내부보어안에서 상태적으로 회전하도록 끼워지고 상부 및 하부구조의 다른 하나에 고정된 스템으로 구성되고, 몸체는 그 축방향으로 복수의 분리부분으로 구성되고, 분리부분중의 어느 하나는 내식성 비철금속재료로 만들어지고, 몸체의 내식성 분리부분은 각각 연료오일통로 및 공기통로의 부분을 이루는 연료오일 및 공기용 몸체측면 통로 및 환상홈을 형성한다.
서로 다른 유체가 스위블조인트내에서 혼합되거나 스위블조인트 외부로 유체가 누출되는 원인중의 하나는 몸체의 부식으로 인한 밀봉부재의 손상이다.
특히, 연료오일 및 공기는 원래 외부로부터 수분을 수용하는 경향이 있고 작동오일과 달리 내식성을 갖지 않는다. 한편, 제6도의 종래의 스위블조인트의 경우에 몸체(12)의 두개의 분리부분(14,15)은 모두 부식되기 쉬운 철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몸체의 내주가 부식되면 거기에 구비된 밀봉부재(19)의 밀봉작용이 저하되고 이것은 서로 다른 유체의 혼합 또는 스위블조인트의 외부로의 유체의 누출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에 따른 구조의 스위블조인트에 있어서는 수분을 함유하는 연료오일 또는 공기에 의한 몸체의 내주의 부식은 방지되며 몸체의 내주의 부식으로 인한 밀봉부재의 손상과 이로 인한 서로 다른 유체의 혼합이나 스위블조인트의 외부로의 누출은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몸체의 내식성 분리부분은 연료오일용 환상홈으로부터 누출된 리턴오일을 포획하도록 내주에 형성된 드레인오일환상홈을 가지며, 한편 스템은 드레인오일환상홈과 연료오일탱크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드레인오일통로를 가진다.
따라서 연료오일은 다른 유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몸체의 부식으로 인한 밀봉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유체의 혼합이나 유체의 스위블조인트 외부로의 누출방지효과는 더욱 확실하다. 이러한 드레인오일환상홈이 몸체의 내식성 분리부분에 연료오일용 환상홈의 대향측면에 축방향으로 한쌍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부재가 몸체의 내주에 연료오일용 환상홈과 드레인오일환상홈 사이에 또는 드레인오일환상홈의 어느 하나 또는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이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를 통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위블조인트에 결합된 연료오일회로를 도시한다.
연료오일회로는 전술한 제5도의 연료오일회로와 대약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차이점만 기술할 것이다.
상세히는 연료공급오일 및 리턴오일용 상부 및 하부관은 스위블조인트(21)에 형성된 연료공급오일통로(27) 및 리턴오일통로(28)를 거쳐서 서로 연결된다.
리턴오일의 내부누출부분(드레인오일)을 탱크(6)로 복귀시키는 드레인오일통로(31)가 또한 스위블조인트(21)에 구비된다. 스위블조인트(21)의 상세한 구조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스위블조인트(21)는 몸체(22) 및 스템(23)으로 구성된다. 몸체(22)는 기구의 작동 및 조립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그 축방향으로 제6도의 종래의 스위블조인트(11)와 유사하게 제1분리몸체부분(24) 및 제 2분리몸체부분(25)을 포함하는 두개의 분리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분리몸체부분(24)이 상부구조(2)위에 장착되고, 스템(23)은 하부구조(도시되지 않음) 위에 장착된다. 스템(23)은 그 축을 따라 형성된 관통구멍(26)을 가지며, 스템(23) 내부의 관통구멍(26)을 통해서 연료오일공급통로가 뻗도록 관부재(27)를 구비하고 있다. 관부재(27)는 그 상단에서 상부구조 측면의 연료오일공급관(도시되지 않음)에, 그 하단에서 하부구조 측면의 또다른 연료오일공급관(도시되지 않음)에 회전식 조인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연료오일이 제3도의 연료공급탱크(6)로부터 관부재(27)를 거쳐 엔진(4)에 공급되도록 한다. 스템(23)은 각각 리턴오일용 스템측면 유체통로(28a) (스템측면 리턴오일통로) 공기를 위한 스템측면 유체통로(29a) (스템측면 공기통로) 및 작동오일을 위한 스템측면 유체통로(30a) (스템측면 작동오일통로)를 포함한다.
한편, 몸체(22)의 부분을 형성하는 제1분리몸체부분(24)은 종래의 스위블조인트의 몸체에서와 유사하게 철로 형성되나 제2분리몸체부분(25)은 알루미늄 같은 내식성을 가진 비철금속으로 형성된다. 통로(30c)를 스템측면 작동오일통로(30a)와 연통하도록 하는 몸체측면 작동오일통로(30c) 및 작동오일환상홈(30b)이 몸체(22)의 제1분리몸체부분(24)에 형성되어 작동오일통로(30)를 구성한다. 한편, 통로(28c)를 대응 스템측면 유체통로(28a)와 연통시키도록 리턴오일환상홈(28b) 및 몸체측면 리턴오일통로(28c)가 몸체(22)의 제2분리몸체부분(25)에 형성되어 리턴오일통로(28)를 구성한다.
또한, 통로(29c)를 공기를 위한 대응 스템측면 유체통로(29a)와 연통시키도록 공기환상홈(29b) 및 몸체측면 공기통로(29c)가 몸체(22)의 제2분리몸체부분(25)에 형성되어 공기통로(29)를 구성한다. 더욱이, 한쌍의 몸체측면 드레인오일환상홈(31a,31b)이 제2분리몸체부분(25)의 내주에서 리턴오일환상홈(28b)의 대향쪽에 축방향(대향 상부 및 하부위치)에 형성되고, 한편 한쌍의 리턴오일누출방지 밀봉부재(32)가 리턴오일환상홈(28b) 및 두개의 드레인오일환상홈(31a,31b) 사이에 형성된다.
한편, 스템(23)은 두개의 드레인오일환상홈(31a,31b)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드레인오일통로(31c)를 가진다. 드레인오일통로(31c)가 도시되지 않은 관에 의해 연료오일통로(6)에 연결되고, 드레인 오일환상홈(31a,31b) 및 드레인오일통로(31c)는 드레인오일통로(31)를 구성한다. 복수의 밀봉부재(33)가 리턴오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부재(32)와 함께 몸체(22)의 내주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다.
전술한 스위블조인트 구조에서는 연료오일이 연료탱크(6)에서 관(27)을 거쳐서 다른 유체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엔진(4)에 공급되며, 따라서 연료공급오일이 다른 연료와 혼합되거나 스위블조인트의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은 없다.
한편, 리턴오일이 다른 유체와 유사하게 몸체(2) 및 스템(23)을 관통하여 뻗는 리턴오일통로(28)를 거쳐서 연료오일탱크(6)로 복귀한다.
이 실시예에서, 리턴오일이 리턴오일환상홈(28b)에서 제2분리몸체부분(24) 및 스템(23) 사이의 끼움면 사이의 부위로 누출되는 일이 발생할 경우, 밀봉부재(32)의 밀봉작용에 의해 축방향으로 누출오일이 축상침투 또는 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드레인오일환상홈(31a,31b)이 리턴오일환상홈(28b)의 대향측면에 축방향으로 구비되므로, 리턴오일환상홈(28b)으로부터 누출된 리턴오일이 밀봉부재(32)의 어느 하나를 통과하더라도, 그것은 드레인오일환상홈(31a,31b)의 대응하는 것에 의해 포획되어 드레인오링통로(31)를 거쳐 탱크(6)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몸체(22)의 제2분리몸체부분(25)이 내식성을 가진 비철금속재료로 만들어지고, 각각 리턴오일환상홈(28b), 공기용 환상홈(29b) 및 통로(28c,29c)가 내식성 제2분리몸체부분(25)에 구비되므로 제2분리몸체부분(25), 특히 밀봉부재(32,33)가 구비된 내주는 수분을 함유하는 리턴연료오일이나 공기에 의해 부식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분리몸체부분(25)의 부식으로 인해 밀봉부재(32,33)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스템(23)의 내주가 적당한 금속으로 도금되므로, 스템(23)의 내주에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템측면의 부식으로 인한 밀봉부재(32,33)의 손상가능성도 없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의 스위블조인트에 있어서, 연료공급오일 및 리턴오일이 다른 유체와 분리된 상태로 스위블조인트에 이송됨과 더불어, 서로 다른 유체의 혼합 및 유체가 스위블조인트 외부로 누출되는 것은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2분리몸체부분(25)과 유사하게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식성의 비철금속재료로 제1분리몸체부분(24)을 형성하는 것이 편리하게 보이지만, 연료오일 및 공기의 압력(대체로 10㎏/㎠ 이하)과 비교하여 작동오일압력(350㎏/㎠내외)이 대체로 매우 높으므로 제1분리몸체부분(24)은 고상도의 철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정예]
(Ⅰ) 전술한 실시예의 스위블조인트는 연료공급오일통로 및 리턴오일용 통로가 다른 유체통로와 분리된 상태로 형성된 구조와, 리턴오일 및 공기용 몸체측면 유체통로와 환상홈이 내식성 분리몸체부분 위에 구비된 구조의 결합된 형태인 반면, 각 구조는 그 자체로서 다른 유체의 혼합 또는 유체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효과가 있으므로 이들 구조중의 어느 하나만이 채택될 수 있다.
(Ⅱ)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또는 제5항에 규정된 드레인오일환상통로는 반드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축방향으로 리턴오일환상홈의 각각의 측면에 구비될 필요는 없고, 예를들면 대향 축방향의 소정 위치에 리턴오일의 누출이 주로 발생하는 곳에만 구비될 수 있다.
(Ⅲ) 전술한 실시예에서 밀봉부재가 리턴오일환상홈 및 드레인오일환상홈 사이에 구비되는 반면, 비록 밀봉부재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스위블조인트는 드레인오일환상홈이 있기 때문에 연료오일의 다른 유체와의 혼합의 방지 및 연료오일의 외부유출방지의 측면에서 종래의 스위블조인트에 비해 훨씬 유리하다.
(Ⅳ)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리턴오일용 통로(28c) 및 환상홈(28b)이 내식성 분리몸체부분(25) 위에 구비되고, 연료공급오일이 스템의 축을 따라 뻗는 관통구멍(26)에 배치된 관부재(27)를 따라 흐르지만, 연료공급오일이 통로(28c) 및 내식성 몸체부분(25)의 환상홈(28b)을 거쳐 흐르고 리턴오일이 스템(23)의 관통구멍(26) 안의 관부재(27)를 따라 흐르는 반대구조도 채용될 수 있다.
(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위블조인트가 휘일장착쇼벨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본원 발명은 하부 베이스 및 상부 회전구조로 구성되는 상부구조 회전타입의 작업기계에서 사용되는 어떠한 스위블조인트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으므로 당해 기술부야의 전문가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엔진을 싣고 있는 상부구조가 연료오일탱크를 구비한 하부구조상에서 스윙운동하도록 장착된 건설장비등에 사용되는 스위블조인트 상부 및 하부구조중의 어느 하나에 고정된 몸체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구조중의 다른 하나에 고정되고 공통축 주위로 상기 몸체의 내부보어안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끼워진 스템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템은 연료오일을 상기 연료오일텡크로부터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도록 그 축을 따라 형성된 연료오일공급통로를 가지며, 상기 스템은 상기 엔진으로부터 연료오일탱크로 연료오일을 복귀시키도록 리턴오일통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스템측면 리턴오일통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측면 리턴오일통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측면 리턴오일통로를 상기 스템측면 리턴오일통로와 연통하도록 하는 리턴오일환상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리턴오일환상통로로부터 누출되는 리턴오일을 포획하도록 형성된 드레인오일환상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템은 상기 드레인오일환상통로와 상기 연료오일탱크를 연통하도록 형성된 드레인오일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드레인오일환상홈이 상기 리턴오일환상홈의 대향측면의 상기 몸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조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밀봉부재가 상기 몸체의 내주에서 상기 리턴오일환상홈과 상기 드레인오일환상홈 사이 또는 상기 드레인오일환상홈의 어느쪽 또는 각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조인트.
  4. 엔진을 싣고 있는 상부구조가 연료오일탱크를 구비한 하부구조상에서 스윙운동하도록 장착된 건설장비등에 사용되는 스위블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조인트는 상기 연료오일탱크와 상기 엔진을 상호 연결하는 공기통로 및 연료오일통로를 포함하는 몇개의 유체통로를 가지며, 상부 및 하부구조의 어느 하나에 고정된 몸체, 공통축 주위로 상기 몸체의 내부보어안에서 상태적으로 회전하도록 끼워지고 상부 및 하부구조의 다른 하나에 고정된 스템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는 그 축방향으로 복수의 분리부분으로 구성되고, 분리부분중의 어느 하나는 내식성 비철금속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몸체의 내식성 분리부분은 각각 상기 연료오일통로 및 공기통로의 부분을 이루는 연료오일 및 공기용 몸체측면 통로 및 환상홈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조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내식성 분리부분은 연료오일용 환상홈에서 누출되는 리턴오일을 포획하도록 내주에 형성된 드레인오일환상홈을 가지며, 한편 상기 스템은 상기 드레인오일환상홈을 상기 연료오일탱크를 연통하도록 형성된 드레인오일통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조인트.
  6. 제5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드레인오일환상홈이 상기 몸체의 상기 내식성 분리부분에서 연료오일용 환상홈의 대향측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조인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밀봉부재가 상기 몸체의 내주에 연료오일용 상기 환상홈 및 상기 드레인오일환상홈 사이에 또는 상기 드레인오일환상홈의 어느 하나 또는 각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조인트.
KR1019900005822A 1989-04-25 1990-04-25 스위블 조인트 KR950005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6961 1989-04-25
JP10696189A JPH0799127B2 (ja) 1989-04-25 1989-04-25 スイベルジョイントの燃料回路
JP4977589U JPH0738792Y2 (ja) 1989-04-26 1989-04-26 スイベルジョイントの構造
JP1-49775 1989-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556A KR900016556A (ko) 1990-11-13
KR950005006B1 true KR950005006B1 (ko) 1995-05-17

Family

ID=2639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822A KR950005006B1 (ko) 1989-04-25 1990-04-25 스위블 조인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104154A (ko)
EP (1) EP0396451B1 (ko)
KR (1) KR950005006B1 (ko)
DE (1) DE69002382T2 (ko)
ES (1) ES2044464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105A1 (ko) * 2011-07-19 2013-01-24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스위블 조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3405A (en) * 1994-07-21 1996-09-10 Toshihiro Industry Co., Ltd. Power-assisted shovel truck equipped with a water-feeding device and a water-draining device
US6425730B1 (en) * 1999-02-11 2002-07-30 Clark Equipment Company Load bearing pivot assembly providing a fluid path
DE19942976B4 (de) 1999-09-09 2005-11-10 Keiper Gmbh & Co.Kg Fahrzeugsitz mit Schnellmontageverbindung
JP3541351B2 (ja) * 2000-03-13 2004-07-07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機械の配管構造
DE10142988A1 (de) * 2001-09-01 2003-03-20 Sig Corpopla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Verteilung von Flüssigkeiten
CN1266405C (zh) * 2001-11-23 2006-07-26 Sms迪马格股份公司 轴承座
JP2004270274A (ja) * 2003-03-07 2004-09-30 Solve Corporation Co Ltd 流体送給装置付きパワーショベル
US7083200B2 (en) * 2003-08-28 2006-08-01 Focal Technologies Corporation Fluid rotary union
KR101060939B1 (ko) * 2003-12-18 2011-08-30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의 스위블 조인트
CN101893144B (zh) * 2010-06-25 2011-10-19 徐州天地重型机械制造有限公司 涡喷消防车中心回转接头
CN102606828A (zh) * 2012-03-09 2012-07-25 河北钢铁股份有限公司唐山分公司 一种改进的热轧卷取机芯轴旋转接头
CN103790877B (zh) * 2012-10-31 2016-03-09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旋转接头及采用该旋转接头的多气路工站
CN103292102A (zh) * 2013-06-25 2013-09-11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轮式起重机及其中心回转接头
US9970577B2 (en) * 2013-09-27 2018-05-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otary union
US9599007B2 (en) 2014-08-25 2017-03-21 Komatsu Ltd. Mobile recycler
JP5918444B1 (ja) * 2015-01-07 2016-05-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リサイクル機械
JP6511905B2 (ja) * 2015-03-26 2019-05-15 株式会社タダノ スイベルジョイント
CN105570580B (zh) * 2016-01-19 2017-11-03 江苏省无锡探矿机械总厂有限公司 一种双介质高压旋转接头
CN107081568B (zh) * 2017-06-22 2024-04-16 科希曼电器有限公司 具备冲水充氮气功能的管件焊接工装
CN107339534B (zh) * 2017-08-03 2023-02-10 无锡市艾可密封技术有限公司 一种高速高压液气旋转接头
KR20210112471A (ko) * 2020-03-05 2021-09-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스위블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8105C (de) * J. KLEINE u. F. LINDNER, Charlottenburg, Potsdamerstr. 25 Von einem Uhrwerk beeinflufste Absperrvorrichtung für Gas- und andere Leitungen
DD78150A (ko) *
DE78150C (de) * 1893-12-10 1894-11-29 A. MAGER, Berlin W., Lützowstr. 68 Masse für unverbrennliche Leucht- und Heizkörper
US1891670A (en) * 1930-11-28 1932-12-20 Cincinnati Milling Machine Co Multiconnection hydraulic cable
US2187147A (en) * 1938-01-10 1940-01-16 Englesson John Elov Swivel joint
US2820650A (en) * 1952-09-04 1958-01-21 Westinghouse Bremsen Gmbh Multiple conduit rotary union
US2781134A (en) * 1953-06-09 1957-02-12 Lee D Weir Apparatus for controlling truck operation from crane cab
US3477746A (en) * 1967-10-03 1969-11-11 Watson Mfg Co Multiline swivel and mounting system
US3923133A (en) * 1973-06-16 1975-12-02 Ilie Chivari Rotary speed for supplying fluid pressure to a clutch
US3913616A (en) * 1974-05-20 1975-10-21 Int Harvester Co Clutch shaft with fluid distribution means
NL168770C (nl) * 1976-04-13 1982-05-17 Ihc Holland Nv Draaibare koppeling voor twee of meer leidingen voor een overslagboei.
US4195741A (en) * 1978-06-01 1980-04-01 Newman Timothy L Truck mounted railroad crane hydraulic swivel means
JPS61218355A (ja) * 1985-03-22 1986-09-27 Res Dev Corp Of Japan 回転位置決め機能を有する磁気浮上アクチユエ−タ
US4683912A (en) * 1986-03-06 1987-08-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Rotary coupler for a robot
IL78582A0 (en) * 1986-04-22 1986-08-31 Amcor Ltd Air feed tube assembly for a pneumatic chuck
US4781404A (en) * 1986-05-02 1988-11-01 Key Ocean Services, Inc. Multi-path fluid swivel
WO1987006674A1 (en) * 1986-05-02 1987-11-05 Offshore Production Systems, Inc. Multi-path fluid swivel
DE3734589C1 (en) * 1987-10-13 1988-08-11 Berg & Co Gmbh Rotating hydraulic hollow clamping cylin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105A1 (ko) * 2011-07-19 2013-01-24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스위블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96451B1 (en) 1993-07-28
US5104154A (en) 1992-04-14
KR900016556A (ko) 1990-11-13
DE69002382D1 (de) 1993-09-02
US5156422A (en) 1992-10-20
DE69002382T2 (de) 1994-01-05
EP0396451A2 (en) 1990-11-07
EP0396451A3 (en) 1991-04-17
ES2044464T3 (es) 199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006B1 (ko) 스위블 조인트
EP0084790B1 (en) Stepped piston and stepped piston engine
JP2872866B2 (ja) 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軸用軸受装置
CA1076901A (en) Fuel injector internal passages and filter
US3448664A (en) Floating crown piston
JPH0799127B2 (ja) スイベルジョイントの燃料回路
JPH06147053A (ja) 燃料噴射ノズルと燃料供給管との接続装置
CN216278632U (zh) 一种应用于水泵上的水轴承
CN216555873U (zh) 一种高防护中央回转接头
CN220929838U (zh) 主油缸及泵送机械
JPS603983Y2 (ja) 油穴付燃料噴射弁継手
FR2500070A1 (fr) Buse d'injection de carburant refroidie par un liquide
CN218441768U (zh) 一种中间轴进油装置
JPH028142B2 (ko)
CN220891029U (zh) 一种齿轮箱的防漏油密封结构
JPH0538320Y2 (ko)
JPS6137778Y2 (ko)
CN214920845U (zh) 一种铣头用多位旋转接头装置
JP2536264Y2 (ja) ピン結合部の給油構造
JPS6311324Y2 (ko)
JPS6347651Y2 (ko)
JPH0547797Y2 (ko)
JPS6140957Y2 (ko)
KR890000459Y1 (ko) 자동윤활구조를 형성시킨 로타리 죠인트
JPS63208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