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979B1 - 접점 부재 - Google Patents

접점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979B1
KR950004979B1 KR1019900700195A KR900700195A KR950004979B1 KR 950004979 B1 KR950004979 B1 KR 950004979B1 KR 1019900700195 A KR1019900700195 A KR 1019900700195A KR 900700195 A KR900700195 A KR 900700195A KR 950004979 B1 KR950004979 B1 KR 950004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contact member
contact
plane
pu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596A (ko
Inventor
올로브 칼썬 칼
토마스 웨스터룬드 알르프
스반테 후란썬 건나르
Original Assignee
테레포낙티이에보 라겟 엘 엠 에리크썬
렌나르트 그라베·타게 뢰브그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레포낙티이에보 라겟 엘 엠 에리크썬, 렌나르트 그라베·타게 뢰브그렌 filed Critical 테레포낙티이에보 라겟 엘 엠 에리크썬
Publication of KR90070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47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including composite tool
    • Y10T29/5148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including composite tool including severing mean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tact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점 부재
피복된 도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밀어 넣을때 피복을 뚫고 도선과 전기 접촉 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갈라진 부분이 있는 소위 슬릿 접촉팀을 가진 접점부재들은 공지되어 있고 단자함에서 도선들을 서로 연결시키거나 회로기판등에서 도선들을 전기 부품들과 연결시키기 위해 여러접속부에 이용된다.
상기한 종류의 접점부재는 형판으로부터 스탬핑하여 만들어지고 슬릿(slit)은 그 부재에서 스탬핑한다. 약 0.6㎜의 슬릿보다 좁은 슬릿을 스탬핑하는 것은 펀치가 제조에 이용될때 파손되어서 불가능하므로, 얻어지는 슬릿은 0.4∼ 0.7㎜의 도선직경을 가진 와이어에 대하여 확실한 접촉을 제공하기에는 여전히 너무 넓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접점부재가 피복을 뚫고 도선과의 기밀접촉을 제공하도록 좁은 슬릿을 얻기 위해서, 접촉영역에 있는 슬릿에 나란히 놓인 재료가 스탬핑된다. 스탬핑으로 누르기는 슬릿의 가장자리들을 서로 가까이 소성변형시키는 펀치로 실행된다. 슬릿위에서 펀치는 펀치의 작업방향으로 거의 평행한 평면 또는 다소 바깥으로 굴곡된 면들에 대해 형성하는 얕은 V자 형상을 가진다.
펀치는 플랫 다이(flat die)에서 작업한다. 슬릿폭을 신뢰성 있게 조절하기 위해서 슬리속으로 밀고 들어가는 텅(tongue)을 가진 다이를 사용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그러나 텅은 너무 작아서 쉽게 부서졌다.
발명의 개시
접점부재를 상술한 방법으로 스탬핑에 의해 제조하는데 있어서, 출발물질의 경도와 두께가 변할 때 슬릿의 필요한 두께와 공차를 얻는데에는 문제가 있다. 접점부재가 한쪽에서만 눌러지므로 재료 역시 한쪽에만 변형되어 슬릿이 쇄기형으로 된 결과 눌린쪽의 슬릿 가장자리들이 반대쪽에서 보다 서로 더 가까워진다. 따라서 도선에 대한 접촉면적은 이론적으로 가능한 것보다 작다. 결국 슬릿 접촉팀의 질이 불균일하게 되고 어떤 극단적 경우에는 기밀접촉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첫째 목적은 접점부재를 접촉영역에서 스탬핑하되 슬릿의 가장자리들에 있는 재료가 소성변형하여 올바른 폭과 공차가 얻어지도록 그리고 슬릿의 양측면은 서로 평행함과 동시에 접점부재의 폭방향으로 여타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스탬핑하므로 상기한 단점을 시정한 접점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바람직한 것은 접점부재의 한다리는 한쪽으로 부터 스탬핑되고, 다른 자리는 다른쪽으로 부터 스탱핑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에 대하여 작업하여 접점부재의 접촉영역을 스탱핑하는 제1및 제2펀치를 포함하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각 펀치는 상기 슬릿을 따른 돌출부와 슬릿의 횡방향으로 경사진 면과를 가지며, 이 면은 펀치의 작업방향에 평해안 2개의 평면에 의해 형성되고 그중 한 평면은 제1펀치의 경우에 상기 경사면과 한께 한 다리 위에서 예각을 형성하여 스탬핑중에 상기 다리의 재료를 슬릿쪽으로 소성변형시키도록 되고, 그 중 제2평면은 그것에 직각인 연속평면과 함께 제2펀치에 의해 소성변형되는 다른 다리의 재료를 향한 다이를 형성하고 상기 슬릿의 횡방향으로 측정한 펀치돌출부들의 제2평면들 사이의 거리는 슬릿의 소망폭에 해당한다.
각 펀치돌출부의 제2평면과 연속평면 사이에 바람직하게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은 제2평면의 연장부와 연속평면을 향해 경사진 면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부재를 구현하는 것은 여러 장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부재가 종래의 이러한 부재들에 대해 가지고 있는 중요한 장점은 슬릿의 폭이 도선의 두께와 관련하여 잘 형성된 공차내에 들도록 스탬핑될 수 있기 때문에 슬릿안으로 밀려들어가는 도선이 접점부재와 확고한 전기접촉을 이루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특히 장점이 되는 것은 슬릿의 양 측면들은 서로 평행함과 동시에 여타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서 도선간에 넓은 접촉면이 얻어진다는 것이다. 측면들이 서로 나란하므로 습기가 부재와 도선 사이에 침투하여 부식을 일으키지 못하고 기밀접촉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도구는 슬릿에 필요한 폭과 공차가 주어지도록 접점부재가 소성변형되도록 접점부재를 펀칭하는데 매우 만족스럽게 기능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도구는 2개의 반쪽용 펀치를 포함하므로 별도의 다이가 전혀 필요치 않고 각 펀치를 포함하므로 별도의 다이가 전혀 필요치 않고 각 펀치의 일부가 그 구실을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명의 최적한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접점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나 있다.
접점부재(1)는 소위 말하는 슬릿접촉팀(slit contact tip)이고, 2개의 다리(3a,3b)와 중간슬릿(slit)(4)으로 구성된 한쌍의 갈라진 부분(2)을 가지고 있다. 이 두 갈라진 부분(2)은 피복된 도선이 횡방향으로 그 속에 밀어 넣을때 피복이 뚫려서 도선과의 전기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선은 슬릿(4)안으로 접촉영역(5)까지 밀려서 들어간다. 슬릿(4)은 접점부재(1)에서 스탬핑하여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점부재가 가는 도선과 확실히 접촉할 만큼 충분히 좁은 슬릿을 스탬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문제를 제거하기 위해서 접점부재(1)는 양다리(3a,3b)에서의 재료가 슬릿(4)을 향해 안쪽으로 소성변형되도록 접촉영역(5)에서 스탬핑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슬릿(4)의 폭은 슬릿(4)이 도선칫수에 관련항 올바르게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르면 한 다리(3a)가 접점부재의 한쪽으로 부터 지역(6a)에서 스탱핑되고 다른 다리(3b)는 접점부재의 다른쪽으로 부터 지역(6b)에서 스탱핑되도록 스탱핑이 수행된다.
제3도에서 가장 명확한 것과 같이, 스탬핑은 다리(3a,3b)의 재료가 지역(6a 및 6b)에서 눌려 슬릿(4)을 향하여 소성변형되도록 수행된다. 슬릿(4)의 측면들은 서로 평행하고 접점부재의 나머지보다 높이가 높다.
제4도에는 부재(1)의 지역(6a 및 6b)에 압착홈을 만드는 도구가 나타나 있다. 이 도구는 2개의 동일한 펀치(10)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펀치에는 슬릿(4)을 횡단하는 경사면(12)을 가진 슬릿을 따른 돌출부(11)가 있다. 경사면(12)는 펀치의 작업방향에 위치된 2개의 평행평면(13 및 14)에 의해 형성된다.
경사면(12)과 평면(13)은 함께 예각을 형성하여 펀치가 동작중에 있을때 이 예각이 한 다리(3a)(또는 3b)위에 놓이고 이 다리의 재료를 슬릿(4)쪽으로 소성변형시키도록 된다. 제2평면(14)과 연속평면(15)은 함께 제2의 반작용 펀치(10)에 의해 다른 다리(3b)(또는3a)에서 소성변형될 재료를 위한 다이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평면들(14 및 15)사이에는 홈(16)이 형성되어 있다. 홈(16)은 평면(14)이 연장부(17)와 형면(15)을 향하여 경사면(18)에 의해 형성된다.
홈(16)의 목적은 재료가 그 안으로 변혈될 수 있게 하여 슬릿의 측면들이 다른 방법에 의한 것보다도 많이 높아지게 하는 것이다.
이제 제5도와 제6도를 참조하여 스탬핑 작업을 설명한다.
2개의 반작용 펀치(10a,10b)는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열되고 접점 부재(1)의 양 다리(3a,3b)는 이 펀치들 사이에 놓인다. 접점부재의 횡방향으로 측정한 펀치(10a,10b)의 각 평면들(14)사이의 거리는 접촉영역의 슬릿의 소망폭에 해당한다.
스탬핑중에 변형력이 일어나는 것 때문에 펀치들이 측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펀치 각각에는 펀치와 서로 결합하고 펀치를 보강하는 넥(neck) 지지체들이 배열된다. 스탬핑중에 일어난 변형은 제6도에 더욱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각 다리(3a,3b)의 재료는 지역(20)에 눌러지고 슬릿을 향해 변형되어 영역(21)을 채우는데 변형중에 평면(14,15)은 다이의 기능을 한다.
제6도에 명백히 나타나 있듯이 홈(16) 역시 변형된 재료로 채워져서 슬릿의 양 측면들은 접점부재의 여타부분의 두께보다 더욱 두껍게 된다. 따라서, 접점부재와 도선간의 접촉면적은 실질적으로 증가된다.
본 발명은 당연히 위에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의 범위내에서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점점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개의 다리와 중간슬릿으로 구성되어서 절연피복된 도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밀어 넣을때 피복을 뚫고 도선과 전기접촉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갈라진 부분을 가진 접점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접점부재를 스탬핑하는 도구에도 관련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부재를 위에서 본 확대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접점부재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따른 접점부재의 부분 단면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에 따른 접점부재를 가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치를 한쪽에서 본 확대도.
제5도는 제4도에 따른 2개의 반작용 펀치를 사용하여 제1도에 따른 접점부재를 스탬핑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개략도. 그리고,
제6도는 스탬핑 작업중에 접점부재가 변형되는 상황을 보다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5)

  1. 두다리(3a,3b)의 중간슬릿(4)을 가진 한쌍의 갈라진 부분(2)이 있고, 피복된 도선을 횡방향으로 밀어넣을 때 그 피복을 뚫고 도선과 전기접촉하도록 된 접점부재(1)로서, 도선과 접촉하는 접촉영역(5)에 한쌍의 갈라진 부분(2)이 스탬핑되었을때 슬릿(4)에 평행한 다리들의 재료가 상기 슬릿을 향하여 소성변형되어 도선과 관련하여 올바른 폭과 공차가 슬릿(4)에 주어지게 되는 접점부재가 있어서, 상기 다리(3a,3b)가 지역(6a,6b)에서의 재료의 변형에 따라서 슬릿(4)의 양측면들이 서로 평행함과 동시에 접점부재(1)의 두께방향으로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접점부재91)의 한 다리(3a)는 한쪽에서 눌러지고, 다른 다리(3b)는 다른쪽에서 눌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리(3a,3b)는 각각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슬릿(4)에 따라 재료가 접점부재(1)의 양쪽으로 밀고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부재.
  4. 제1항에 따른 두 갈라진 접점부재를 스탬핑하는 도구로서, 이 도구가 2개의 반작용펀치(10)를 포함하고, 반작용 펀치(10)의 각각이 상기 슬릿을 따른 돌출부(11)와 상기 슬릿의 횡방향으로 경사진 면(12)을 가지며, 이 면은 펀치의 작업방향에 평행한 평면(13,14)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1평면(13)은 경사면(12)과 함께 한 다리위에서 예각을 형성하여 스탬핑중에 상기 다리의 재료를 슬릿쪽으로 소정변형시키도록 되고, 제2평면(14)은 그것에 지각인 연속 평면(15)과 함께 제2펀치에 의해 소성변형되는 다른 다리의 재료에 대한 다이를 형성하고, 상기 슬릿에 직각으로 측정한 펀치 돌출부들의 제2평면(14)사이의 거리가 슬릿의 소망폭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부재.
  5. 제4도에 있어서, 펀치돌출부의 제2평면(14)과 연속평면(15)사이에 홈(16)이 형성되고, 이 홈(16)이 제2평면의 연장부(17)와 연속평면(15)을 향해 경사진 면(18)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부재.
KR1019900700195A 1988-06-01 1989-04-05 접점 부재 KR950004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802043 1988-06-01
SE8802043-3 1988-06-01
SE8802043A SE461307B (sv) 1988-06-01 1988-06-01 Kontaktelement med ett slitsformat parti samt verktyg foer att praegla ett dylikt kontaktelement
PCT/SE1989/000175 WO1989012335A1 (en) 1988-06-01 1989-04-05 Contact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596A KR900702596A (ko) 1990-12-07
KR950004979B1 true KR950004979B1 (ko) 1995-05-16

Family

ID=2037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195A KR950004979B1 (ko) 1988-06-01 1989-04-05 접점 부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983129A (ko)
JP (1) JP2878747B2 (ko)
KR (1) KR950004979B1 (ko)
AU (1) AU608444B2 (ko)
DE (1) DE3990594C2 (ko)
DK (1) DK170936B1 (ko)
FI (1) FI93594C (ko)
FR (1) FR2632457B1 (ko)
GB (1) GB2229586B (ko)
NL (1) NL193645C (ko)
SE (1) SE461307B (ko)
WO (1) WO1989012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167Y2 (ja) * 1992-06-10 1997-10-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DE69422445T2 (de) * 1993-04-28 2000-08-03 Sumitomo Wiring Systems Elektrischer Steckverbinder, Kabelbau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Kabelbaums
DE29611078U1 (de) * 1996-06-25 1997-10-23 Robert Bosch Gmbh, 70469 Stuttgart Verbindungsklemme mit Schneid-Klemmkontakt
JP2020009625A (ja) * 2018-07-06 2020-0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6500A (en) * 1969-03-14 1972-01-18 Reliable Electric Co Clip-type terminal
SE363544B (ko) * 1971-01-14 1974-01-21 Reliable Electric Co
US4113338A (en) * 1977-01-03 1978-09-12 Bunker Ramo Corporation Insulation-piercing contact
SE421572B (sv) * 1978-04-13 1982-01-04 Ericsson Telefon Ab L M Anslutningsklemma samt forfarande och medel for framstellning av nemnda klemma
DE3311447A1 (de) * 1983-03-29 1984-10-0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nschlussklemme zum abisolierfreien anschluss elektrischer leiter in verteilern von fernmeldeanlagen, insbesondere fernsprechvermittlungsanlagen
USRE32898E (en) * 1983-08-09 1989-04-04 Molex Incorporated Multigaug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nd contacts therefor
US4671591A (en) * 1985-07-15 1987-06-09 Physio-Contro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4671595A (en) * 1985-10-21 1987-06-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Multigauge-multiwire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DE3637929C1 (de) * 1986-11-06 1988-01-28 Krone Ag Schneidklemm-Anschlusselement fuer elektrische Lei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000395D0 (en) 1990-06-20
DK170936B1 (da) 1996-03-18
FR2632457A1 (fr) 1989-12-08
FI900274A0 (fi) 1990-01-17
GB2229586B (en) 1992-08-26
SE8802043L (sv) 1989-12-02
GB2229586A (en) 1990-09-26
NL193645B (nl) 2000-01-03
JPH02504568A (ja) 1990-12-20
NL8920388A (nl) 1990-05-01
JP2878747B2 (ja) 1999-04-05
AU3556289A (en) 1990-01-05
SE8802043D0 (sv) 1988-06-01
FI93594C (sv) 1995-04-25
FR2632457B1 (fr) 1994-05-13
DK19890A (da) 1990-01-25
FI93594B (fi) 1995-01-13
NL193645C (nl) 2000-05-04
KR900702596A (ko) 1990-12-07
WO1989012335A1 (en) 1989-12-14
DE3990594C2 (de) 1998-03-12
US4983129A (en) 1991-01-08
SE461307B (sv) 1990-01-29
DK19890D0 (da) 1990-01-25
AU608444B2 (en) 1991-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4563A (en) Press-in terminal for a connector
US4764133A (en) Male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US4728164A (en) Electrical contact pin for printed circuit board
EP0034000A2 (en) Terminal for circuit board
JPS5920982A (ja) 二連ビ−ム電気接点の製造方法
US6406338B1 (en) Board terminal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380218A (en) Pressure-contact terminal structure
US6431903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for use with fine wires
US5533910A (en) Electrical connector
US5688150A (en) Solder bearing lead
KR950004979B1 (ko) 접점 부재
US20020002007A1 (en) Board terminal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709565A (en) Press-connecting terminal
US4918813A (en) Method of shaping plug receptacle
JPH065137U (ja) 表面実装用電気コネクタに於ける端子
JP3484235B2 (ja) 金属製の接続部支持体を製造するため又は接続部支持体に金属線材を固定するための方法
US5768766A (en) Press-connecting tool
US5256087A (en) Method for fastening a flat plug in the base of an electrical component and a base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JP2719077B2 (ja) 横連鎖状電気接続子及びピッチ調整方法
JPH10199590A (ja) 電気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174989A (ja) 雄端子の製造方法
JP3269809B2 (ja) 圧接電気コネクタ
US5643004A (en) Electric connection contact in a single piece
JP3335731B2 (ja) リード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48569A (ja) 圧接端子の電線圧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