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206B1 - 주화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주화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206B1
KR950003206B1 KR1019910013956A KR910013956A KR950003206B1 KR 950003206 B1 KR950003206 B1 KR 950003206B1 KR 1019910013956 A KR1019910013956 A KR 1019910013956A KR 910013956 A KR910013956 A KR 910013956A KR 950003206 B1 KR950003206 B1 KR 950003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horizontal conveying
main body
flui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033A (ko
Inventor
니시우미 겐지
나까지마 겐지
미까미 미쯔구
이시다 다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니뽄 콘럭스
오까다 마사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57629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5356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0085763U external-priority patent/JP255356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7327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9007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니뽄 콘럭스, 오까다 마사하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니뽄 콘럭스
Publication of KR920005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2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07F1/041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 G07F1/045Coin chutes with means, other than for testing currency, for dealing with inserted foreign matter, e.g. "stuffing", "stringing" or "salting" the foreign matter being in the form of liqu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화선별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주화선별장치의 개념단면도.
제 2 도는 주화수평반송장치를 장치본체의 외부로 노출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 3 도는 유체포집부를 장착한 본 발명에 관한 주화선별장치의 개념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BB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주화선별장치의 개념단면도.
제 6 도 및 제 7 도는 제 5 도의 CC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주화선별장치의 제어회로의 한 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 9 도는 제 8 도에 나타낸 회로도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1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주화선별장치의 제어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주화선별장치를 적용한 주화처리장치의 개념정면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주화선별장치를 적용한 주화처리장치의 개념배면사시도.
제13도는 종래의 주화선별장치를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제14도는 주화수평반송장치가 있는 주화선별장치를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제15도는 주화수평반송장치가 있는 주화선별장치의 개념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앞문 2,22 : 주화투입구
3,10,20 : 주화선별장치 4 : 주화수납구
5 : 주화투입슈우트 11,21 : 장치본체
22 : 주화투입구 24 : 주화수평반송장치
25 : 경사주화전송로 27,29 : 벨트
30 : 발진코일 31 : 수신코일
32 : 주화판별장치 41 : 셔터솔레노이드
42 : 아암 43 : 셔터
44 : 스프링 51 : 세트스위치
52 : 액튜에이터 53 : 인버어터
58 : 주화분리레버 59 : 가짜주화슈우트
60,61,62,63 : 코인튜브 82,83 : 지지부재
90 : 카버 91 : 유체수집부
100 : 제어장치 200 : 주화처리장치
201 : 주화불출장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자동판매기, 주화교환기, 서비스기기 등에 사용되고, 투입주화를 주화종류별로 선별수용하는 동시에 선별수용된 주화를 거스름돈으로 불출하는 소위 주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 주화처리장치중 투입된 주화의 진짜가짜와 진짜주화를 주화종류별로 선별하는 주화선별부분을 구성하는 주화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 주화교환기, 서비스기기 등에 사용되는 종래의 주화선별장치(3)는 제13도의 개념단면도로 나타낸 구성에 의해 자동판매기 등이 기기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술한 주화선별장치(3)를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내부에 설치하는데에는 기기의 앞문(1)에 설치된 주화투입구(2)와 주화선별장치(3)의 주화수납구(4)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긴 주화투입슈우트(5)를 설치하고, 이 주화투입슈우트(5)의 상류단(5a)을 주화투입구(4)와 맞닿게 하는 동시에 하류단(5b)을 주화선별장치(3)의 주화수납구(2)에 맞닿게 하므로써 주화투입구(2)에서 투입되어 자유낙하하는 주화 A를 주화투입슈우트(5)내를 통과하는 사이에 가속시켜 주화선별장치(3)의 주화수납구(4)내로 투입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주화선별장치(3)에 의하면 주화투입구(2)와 주화수납구(4)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긴 주화투입슈우트(5)를 배설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기기내에서 주화선별장치(3)의 상하방향의 설치공간이 크며, 이 때문에 특히 자동판매기에서는 판매하는 상품의 수납공간이 제한되는 등의 난점이 있다.
그래서 상술한 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주화투입구에 투입된 주화를 강제적으로 주화선별장치의 장치본체내로 반송하는 주화수평반송장치를 설치하고, 이렇게 하므로써 상하방향으로 긴 주화투입슈우트(5)의 사용을 배제하며,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내에서 주화선별장치의 설치공간을 대폭적으로 삭감하도록 한 주화선별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제14도는 상술한 주화수평반송장치가 있는 주화선별장치(10)를 장착한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의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기내의 상하방향을 점유한 주화선별장치(10)의 설치공간 S'는 당해 주화선별장치(10)의 상하방향의 크기 H'와 동일하고, 기기내의 설치에 필요로 하는 주화선별장치(10)의 전용공간은 아주 작으며 또 주화선별장치(10)자체가 아주 콤팩트한 형상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주화선별장치(10)는 측면에서 보아 전체가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 장치본체(11)로 구성되어 있고, 그 좌측선단에는 직접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의 앞문(1)에 설치되는 주화투입구(22)가 배설되어 있다.
한편 이 주화선별장치(10)의 장치본체(11)내에는 제14도의 확대개념단면도로 나타낸 제15도와 같이 주화투입구(22)에서 삽입된 주화 A를 한쌍의 무단벨트 사이에 파지하여 수평방향(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반송하는 주화수평반송장치(24)와, 이 주화수평반송장치(24)에서 반송된 주화를 주화종류별로 분리하는 도시하지 않은 주화분리장치가 장착된 1개의 경사주화전송로(2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주화수평반송장치(24)에 의하면 한쌍의 롤러군에 감긴 벨트, 즉 부호(26a,26b,26c,26d)로 나타낸 롤러군에 감긴 벨트(27)와 부호(28a,28b,28c,28d,28e)로 나타낸 롤러군에 감긴 벨트(29)를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장치를 거쳐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주화투입구(22)에서 삽입된 주화 A는 이 한쌍의 벨트(27,29) 사이에 파지되어 강제적으로 수평방향(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방송된다.
또한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도중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발진코일(30)과 수신코일(31)로 된 소위코일센서로 구성된 주화판별장치(3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주화판별장치(32)에 의해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구성하는 한쌍의 벨트(27,29) 사이에 파지되어 강제반송되는 주화 A의 진짜가짜와 진짜라고 본 주화의 종류가 판별된다.
제15도에서 부호(58)은 상기 주화판별장치(32)의 검출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주화분리레버이며, 이 주화분리레버(58)는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24)로부터 반송된 주화 A가 상기 주화판별장치(32)의 검출신호에 따라 가짜주화라고 판단된 경우는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대기하고, 주화수평반송장치(24)로부터 반송된 이 가짜주화 A를 가짜주화슈우트(59)로 도입하여 도시하지 않은 주화불출구로 배출하는 동시에,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24)로부터 반송된 주화 A가 상기 주화판별장치(32)의 검출신호에 따라 진짜주화라고 판단된 경우는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동하고 당해 진짜주화 A를 주화종류별로 나누는 도시하지 않은 주화분리장치가 설치된 경사주화전송로(25)로 나누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있는 주화선별장치(10)에 의하면 이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구성하는 상하에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 한쌍의 롤러군 및 이 롤러군에 감긴 한쌍의 벨트(27,29) 등은 장치본체(11)내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보수점검작업, 즉 한쌍의 롤러군(26a,26b,26c,26d,28a,28b,28c,28d,28e) 및 여기에 감긴 벨트(27,29) 등의 청소작업을 할때에는 장치본체(11)를 분해하는 등의 대대적인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한 난점이 있다.
또 상술한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있는 주화선별장치(10)에 의하면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상류측은 주화투입구(22)가 설치된 카버(90)에 의해 덮혀 있으므로 주화투입구(22)로부터 빗물이나 세제 등의 점착질 유체가 유입되면 그 유체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카버(90)의 저부(90a) 등을 따라 장치본체(11)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제 등의 점착질 유체가 장치본체(11)내로 유입되면 그 유체는 장치본체(11)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주화분리레버 등을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기깅 부착하여 그 작동을 불량으로 만들며, 이 때문에 주화선별장치의 선별기능의 저하를 초래할 염려도 있다. 또 이들 선별기기에 부착된 접착질 유체가 건조하면 이들 선별기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일도 있으므로 주화선별장치 그 자체의 기능이 정지해 버릴 염려도 있었다.
본 발명의 제 1 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주화수평반송장치의 보수점검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주화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의 목적은 주화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유체가 장치본체내로 진입하지 않도록 한 주화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제 1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주화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주화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한 한쌍의 무단벨트 사이에 파지하고, 이 무단벨트를 회전구동하므로써 강제적으로 주화를 수평방향으로 반송시키도록 한 주화수평반송장치가 있는 주화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를 상기 주화선별장치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한쌍의 무단벨트 사이를 이 벨트의 일단측을 중심으로 확개가 자유롭게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화선별장치에 의하면 주화수평반송장치의 보수점검작업시에 당해 주화수평반송장치의 전체를 장치본체내에서 인출하고, 또 인출한 후 한쌍의 무단벨트 사이를 확개하면 장치본체를 분해하는 등의 대대적인 작업을 행하지 않고서도 주화수평반송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의 보수점검작업을 아주 간단히 행하게 된다.
또 상술한 제 2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주화투입구에서 투입된 주화를 강제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반송하고, 투입주화를 장치본체내로 안내하는 주화수평반송장치와 이 주화수평반송장치의 상류측을 덮는 동시에 상기 주화투입구가 형성된 카버를 가진 주화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버의 저면에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구멍의 아래쪽에 유체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유체수집부를 설치하고, 상기 주화투입구에서 진입한 유체를 상기 구멍 및 유체수집부를 거쳐 상기 장치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화선별장치에 의하면 주화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세제 등의 유체는 주화수평반송장치의 상류측을 덮는 카버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을 거쳐 유체수집부로 수집되고, 그 다음 장치본체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에 의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주화선별장치의 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주화수평반송장치가 있는 주화선별장치(20)의 개념단면도로 제15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다.
이 주화선별장치(20)에서는 주화투입구(22)를 가진 카버(90)가 장착된 장치본체(21)내에 당해 장치본체(21)와는 별도로 상하지지부재(82,8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하지지부재(82,83)중 상지지부재(82)에는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구성하는 한쌍의 롤러군중 윗쪽에 설치된 롤러군(26a,26b,26c,26d)의 각 축이 지지되어 있고, 또 하지지부재(83)에는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구성하는 한쌍의 롤러군중 아래쪽에 설치된 롤러군(28a,28b,28c,28e)의 각 축이 지지되어 있다. 또 주화판별장치(32)를 구성하는 발진코일(30)과 수신코일(31)중 발진코일(30)은 하지지부재(83)에 지지되고, 수신코일(31)은 상지지부재(82)에 지지되어 있다. 롤러(28b)의 축은 발진코일(30)을 구성하는 본체에 지지되어 있고 또 투입주화중 가짜주화를 가짜주화슈우트(59)로, 진짜주화를 주화분리장치가 설치된 1개의 경사주화전송로(25)로 각각 분리하는 주화분리레버(58)는 하지지부재(83)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상하지지부재(82,83)중 상지지부재(82)는 그 선단(82a)이 하지지부재(83)의 일단에 지지된 축(28a')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하지지부재(83)의 선단부(83a)에는 안내축(84)이 지지되고, 이 안내축(84)은 하지지부재(83)의 아래쪽에 위치한 장치본체(21)에 고착된 안내부재(85)의 홈(86)과 결합되어 있다. 이 안내홈(86)은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더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주화수평반송장치(24)에 의하면 당해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보수점검작업시에 제 1 도의 상하지지부재(82,83)를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1 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 제 2 도와 같이 상하지지부재(82,83)는 안내부재(85)의 홈을 따라 수평방향(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이 상하지지부재(82,83)를 따라 주화수평반송장치(24)도 장치본체(21)의 배면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나서 상하지지부재(82,83)를 화살표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간시키면 상하지지부재(82,83)는 축(28a')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각도로 회전하며, 이 때문에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구성하는 무단벨트(27,29)사이가 확개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도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무단벨트(27,29) 사이가 크게 확개되므로 그 사이에 면봉 등의 치구를 삽입하면 벨트(27,29), 각 롤러 및 주화판별장치(32) 등의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구성하는 각 요소의 조정 및 청소 등의 보수점검작업을 아주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보수점검작업을 종료한 후에 상술한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장치본체(21)내에 다시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상술한 조작과는 역의 조작을 행하면 된다. 제 1 도에서 부호(81)은 주화를 실에 매달아 투입하여 원하는 물건을 구입한 후 다시 주화를 인출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레버이다.
한편 이 주화선별장치(20)에서는 제 1 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 제 3 도와 같이 주화투입구(22)에서 투입된 유체가 장치본체(21)내로 진입하지 않도록 카버(90)의 저부에 유입된 유체를 포집하는 동시에 포집한 유체를 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유체수집부가 카버(90)의 저부에 장착되어 있다.
제 3 도에 나타낸 카버(90)에서는 그 후방의 상하폭 H가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수용배치하기 위해서 장치본체(21)에 형성된 개구(21a)의 상하폭 H'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카버(90)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상류측을 덮은 때에는 이 카버(90)의 저부(90a)가 개구(21a)의 하단가장자리(21b)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개구(21a)의 하단 가장자리(21b)가 카버(90)의 폭방향을 덮어 유체를 막아주는 둑의 기능을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카버(90)의 저부(90a)에는 구멍(90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90b)의 폭 W는 제 3 도의 BB단면도로 나타낸 제 4 도와 같이 카버(90)의 폭 W'보다도 약간 적게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멍(90b)의 폭 W는 카버(90)의 폭 W'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 길이의 폭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구멍(90b)의 아래쪽에는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깔대기형상을 한 본체형상의 유체수집부(9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체수집부(91)에는 그 윗쪽에 상기 구멍(90b)가 연통하고 또 당해 구멍(90b) 주위를 전부 덮는 개구부(91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쪽에는 화살표와 같이 유체수집부(91)내에 수집된 유체를 장치본체(2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91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유체수집부(91)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 3 도에 나타낸 주화선별장치(20)에 의하면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상류측은 주화투입구(22)가 설치된 카버(90)에 의해 덮혀 있고, 이 카버(90)의 저부에는 구멍(9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90b)의 아래쪽에는 당해 구멍(90b)과 연통하는 유체수집부(9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화투입구(22)에서 진입한 빗물, 세제 등의 유체(화살표)는 카버(90)의 저부(90a)를 따라 장치본체(21)측으로 이동하지만, 이들 유체는 카버(90)의 저면(90a)에 형성된 구멍(90b)을 거쳐 깔대기형상의 유체수집부(91)내에 수집되고, 또 당해 유체수집부(91)의 아래쪽에 형성된 유체의 배출구멍(91b)을 거쳐 장치본체(21)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또한 주화투입구(22)를 거쳐 제 4 도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카버(90)의 측면(90c)을 따라 유입되는 빗물, 세제 등의 유체도 마찬가지고 구멍(90b)을 거쳐 깔대기형상의 유체수집부(91)내에 수집되어 당해유체수집부(91)의 아래쪽에 형성된 유체의 배출구멍(91b)을 거쳐 장치본체(21)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제 4 도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수집부(91)의 배출구멍(91b)에 고무튜브 등의 유체안내부재(92)를 끼워서 그 하단을 주화선별장치(20)가 설치된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의 외부로 노출시키면 주화선별장치(20)의 주화투입구(22)로부터 진입한 유체는 신속하게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더구나 제 3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낸 바돠 같이 둑으로서의 기능을 가진 개구(21a)(제 3 도)의 하단 가장자리(21b)는 급격하게 주화투입구(22)내로 대량의 유체가 유입되어 이 때문에 유체수집부(91)내로 수집된 유체가 당해 유체수집부(91)내에서 넘쳐흐른 때에 이 넘쳐흐른 유체가 장치본체(21)의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가급적 저지하도록 하였으므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카버(90)의 저부(90a)와 개구(21a)의 하단가장자리(21b)가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면상에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면 깔대기형상의 유체수집부(91)를 카버(90)와 별도로 형성하였지만 이 실시예에 한정될 필요없이 단면 깔대기형상의 유체수집부(91)와 카버(90)를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한편 상술한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있는 주화선별장치(20)에 의하면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장치본체(21)에서 인출하고,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보수점검작업을 행한후에 다시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장치본체(21)에 장착하는 경우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지 않으면 주화투입구(22)에서 투입된 주화 A가 주화수평반송장치(24)에서 막혀버릴 염려가 있다.
그래서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장착위치가 정류의 위치가 아니라서 발생하는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음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더 채용해도 된다.
제 5 도는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장착위치가 정규의 위치가 아니라서 발생하는 막힘을 방지하는 구성을 채용한 주화선별장치(20)의 개념단면도이고, 제 1 도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주화투입구(22)와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선단 사이에는 셔터(43)가 설치되고, 이 셔터(43)는 이 셔터(43)를 동작시키기 위한 아암(42)에 접속되며, 이 아암(42)은 지탱점(42a)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아암(42)의 후단은 스프링(44)에 의해 항상 인장되어 있다. 또 아암(42)에는 근접하여 셔터솔레노이드(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솔레노이드(4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아암(42)은 그 후단이 스프링(44)에 의해 인장되어 있으므로 아암(42)은 도면에 나타낸 위치까지 회동하고, 셔터(43)는 주화투입구(22)를 닫고 있다.
이 상태에서 셔터솔레노이드(41)가 작동되면 셔터솔레노이드(41)는 스프링(44)의 탄성에 대항하여 아암(42)을 흡인하고, 이것에 의해 아암(42)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며 셔터(43)는 주화투입구(22)를 연다.
또 장치본체(21)내에는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기 위한 세트스위치(51)가 설치되어 있고, 주화수평반송장치(24)에는 이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정규의 위치에 장착된 때 세트스위치(51)를 구동하기 위한 액튜에이터(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정류의 위치에서 벗어나 있을 경우 세트스위치(51)는 오프로 되며,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면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액튜에이터(52)는 세트스위치(51)에 맞닿고 이것에 의해 세트스위치(51)는 온으로 된다.
다음에 상술한 액튜에이터(52)와 세트스위치(51)의 동작을 제 5 도의 CC단면으로 나타낸 제 6 도 및 제 7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정규의 위치에 장착된 위치에서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장치본체(21)내에서 인출하면 세트스위치(51)에 맞닿아 있던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액튜에이터(52)는 세트스위치(51)로부터 떨어지고, 세트스위치(51)의 작동돌기(51a)는 세트스위치(51)내에서 돌출하여 세트스위치(51)는 오프로 된다.
다음에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보수점검작업을 종료한 후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다시 장치본체(21)내로 장착하기 위해서 제 7 도의 화살표와는 반대방향으로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밀어넣고, 이렇게 하므로써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장치본체(21)내의 정규의 위치에 도달하면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액튜에이터(52)는 세트스위치(51)에 맞닿으므로 세트스위치(51)의 작동돌기(51a)(제 7 도)가 세트스위치(51)내로 끌어들여져 세트스위치(51)는 온으로 된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서 부호(37)은 주화수평반송장치(24)내를 반송하는 주화를 안내하는 안내판을 나타낸다. 또 부호(22a)는 입구코일센서이며, 이 입구코일센서(22a)는 주화투입구(22)에서의 주화의 삽입을 검출하는 것이다.
제 8 도는 상술한 주화선별장치(20)의 주화수납처리를 행하는 제어회로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 8 도에서는 세트스위치(51)와 셔터솔레노이드(41)에 대하여 나타내고 다른 장치의 제어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다.
제 8 도에서 세트스위치(51)가 오프되면 저항(54)의 존재에 의해 제어장치(100)에는 접지레벨인 로우레벨의 신호가 세트스위치(51)의 오프를 나타내는 신호로 가해져 있다. 또 세트스위치(51)가 온이면 제어장치(100)에는 5V의 하이레벨의 신호가 세트스위치(51)의 온을 나타내는 신호로 가해져 있다.
또 제어장치(100)는 인버어터(53)를 거쳐 셔터솔레노이드(41)에 구동신호를 가한다. 이것에 의해 셔터솔레노이드(41)는 24V에서 구동된다.
다음에 상술한 제어장치(100)의 동작을 주화수납처리에 관하여 제 9 도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9 도에서 먼저 세트스위치(51)가 온인가 아닌가를 조사한다(스텝 101). 이것은 상술한 세트스위치(51)로부터의 신호로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세트스위치(51)가 온이 아니면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장치본체(21)내의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경보를 발하는 등의 소정의 이상처리를 실행한다(스텝 106).
스텝 101에서 세트스위치(51)가 온이라고 판정되면 다음에 주화투입구(22)에 주화가 삽입되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스텝 102). 이것은 제 6 도 및 제 7 도에 나타낸 입구코일센서(22a)의 출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텝 102에서 주화투입구(22)에 주화가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장치(100)는 셔터솔레노이드(41)의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셔터솔레노이드(41)를 작동시킨다(스텝 103). 이렇게 하므로써 셔터(43)는 주화투입구(22)를 연다. 이어서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구동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반송모터를 구동한다(스텝 104). 이것에 의해 주화투입구(22)에 삽입된 주화는 주화수평반송장치(24)내로 도입되어 소정의 주화선별처리가 이루어진다(스텝 105).
이와 같이 상술한 주화선별장치(20)에 의하면 세트스위치(51)가 온이라는 조건에서 셔터솔레노이드(41)가 구동가능하므로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장치본체(21)내의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화가 주화수평반송장치(24)내로 도입되는 일은 없다.
더구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세트스위치(51)의 출력을 그대로 제어장치(100)로 입력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트스위치(51)를 인버어터(53)와 셔터솔레노이드(41) 사이에 접속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제어장치(100)의 주화수납처리에 있어서, 제 9 도에 나타낸 스텝 101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도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장치본체(21)내의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고 세트스위치(51)가 온으로 되지 않으면 셔터솔레노이드(41)는 구동가능으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화선별장치(20)에 의하면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장치본체(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주화수평반송장치(24)가 장치본체(21)내에 정규의 위치에 장착되지 않는 한 셔터(43)가 열리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주화수평반송장치(24)의 장착위치가 정규의 위치가 아니라서 발생하는 주화막힘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주화선별장치(20)는 자동판매기, 주화교환기, 서비스기기 등에 사용되고, 투입주화를 주화종류별로 선별수용하는 동시에 선별수용된 주화를 거스름돈으로 불출하는 소위 주화처리장치의 주화선별부분을 구성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관한 주화선별장치(20)를 적용한 주화처리장치의 전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술한 주화선별장치(20)를 적용한 주화처리장치의 한 예를 다음에 나타낸다.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주화선별장치(20)를 적용한 주화처리장치(200)의 개념정면사시도 및 개념배면사시도이고, 제 1 도 내지 제 7 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이 주화처리장치(200)는 본 발명에 관한 주화선별장치(20)의 장치본체(21)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전체의 형상 및 크기는 종래의 주화처리장치와 비교하여 아주 콤팩트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술한 주화처리장치(200)에서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부가 본 발명에 관한 주화선별장치(20)로 구성되고, 그 아래쪽에 선별된 각 주화를 수용하는 코인튜브(60,61,62,63)가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인튜브(60,61,62,63)의 하부에 당해 각 코인튜브(60,61,62,63)에 수용된 주화를 거스름돈에 따라 불출하는 주지의 페이아웃슬라이더 등으로 구성된 주화불출장치(201)가 설치되어 있다.
제12도에서 부호(202)는 특히 사용빈도가 높은 주화를 수용하는 보조코인튜브, 부호(203)은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설치된 주화수평반송장치(24)를 장치본체(21)에 록하는 래치이다.
본 발명은 그 정신이나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 있고 명세서 본문에는 하등 구속되지 않는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Claims (24)

  1. 주화투입구에서 투입된 주화를 서로 대향하여 배설된 한쌍의 무단벨트 사이에 파지하고, 이 무단벨트를 회전구동하므로써 강제적으로 투입주화를 수평방향으로 반송시키고, 장치본체내로 주화를 투입하는 주화수평반송장치를 가진 주화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를 상기 주화선별장치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한쌍의 무단벨트 사이를 이 벨트의 일단측을 중심으로 확개가 자유롭게 배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는 상기 장치본체와는 별도이며, 또 상기 장치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설치된 상하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지지부재의 상지지부재와 하지지부재는 일단을 중심으로 확개가 자유롭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지지부재와 하지지부재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는 롤러군이 지지되고, 이 대향하는 롤러군 중 상지지부재에 지지된 롤러군에는 상기 한쌍의 무단벨트중 한쪽이 감기고, 하지지부재에 지지된 롤러군에는 상기 한쌍의 무단벨트중 다른쪽이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의 도중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발진코일과 수신코일로 된 주화판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5. 주화투입구에서 투입된 주화를 서로 대향하여 배설된 한쌍의 무단벨트 사이에 파지항 강제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는 주화수평반송장치와, 이 주화수평반송장치의 상류측을 덮는 동시에 상기 주화투입구가 형성된 카버를 가지고 있는 주화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버의 저면에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구멍의 아래쪽에 유체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유체수집부를 설치하고, 상기 주화투입구에서 진입한 유체를 상기 구멍 및 유체수집부를 거쳐 장치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는 상기 주화선별장치의 장치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 한쌍의 무단벨트 사이를 이 벨트의 일단측을 중심으로 확개가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는 주화장치 본체와는 별도이고, 상기 장치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설치된 상하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지지부재의 상지지부재와 하지지부재는 일단을 중심으로 확개가 자유롭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지지부재와 하지지부재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는 롤러군이 지지되며, 그 대향하는 롤러군 중 상지지부재에 지지된 롤러군에는 상기 한쌍의 무달벨트중의 한쪽이 감기고, 하지지부재에 지지된 롤러군에는 상기 한쌍의 무단벨트중 다른쪽이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카버 저면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수집부는 단면이 깔대기형상의 본체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상기 구멍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수집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수집부는 상기 카버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수집부는 상기 카버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13. 장치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설치되고, 주화투입구에서 투입된 주화를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한쌍의 무단벨트 사이에 파지하고, 이 무단벨트를 회전구동하므로써 강제적으로 투입주화를 수평방향으로 반송시키는 주화수평반송장치와,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가 상기 장치본체내의 정규위치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장치와, 상기 주화투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주화투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구동하는 셔터구동장치와,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의 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장치의 검출출력이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셔터구동장치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셔터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는 상기 한쌍의 무단벨트 사이를 이 벨트의 일단측을 중심으로 확개가 자유롭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는 상기 장치본체와는 별도이고, 상기 장치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설치된 상하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지지부재의 상지지부재와 하지지부재는 일단을 중심으로 확개가 자유롭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지지부재와 하지지부재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는 롤러군이 지지되고, 그 대향하는 롤러군중 상지지부재에 지지된 롤러군에는 상기 한쌍의 무단벨트중의 한쪽이 감기고, 하지지부재에 지지된 롤러군에는 상기 한쌍의 무단벨트중의 다른쪽이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장치는 상기 장치본체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세트스위치와, 이 세트스위치를 구동하는 액튜에이터로 되고, 이 액튜에이터는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는 그 주화통로의 도중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설된 발진코일과 수신코일로 된 주화판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수평반송장치의 상류측은 상기 주화투입구가 형성된 카버에 의해 덮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카버의 저면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의 아래쪽에는 유체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유체수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카버 저면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수집부는 단면이 깔대기형상의 본체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상기 구멍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수집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수집부는 상기 카버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수집부는 상기 카버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선별장치.
KR1019910013956A 1990-08-14 1991-08-13 주화선별장치 KR950003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5763/1990 1990-08-14
JP90-85763 1990-08-14
JP8576290U JP2553560Y2 (ja) 1990-08-14 1990-08-14 硬貨選別装置
JP85762/1990 1990-08-14
JP90-85762 1990-08-14
JP1990085763U JP2553561Y2 (ja) 1990-08-14 1990-08-14 硬貨選別装置
JP91-73276 1991-04-05
JP3073276A JP2890071B2 (ja) 1991-04-05 1991-04-05 硬貨処理装置
JP73276/1991 1991-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033A KR920005033A (ko) 1992-03-28
KR950003206B1 true KR950003206B1 (ko) 1995-04-04

Family

ID=2730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956A KR950003206B1 (ko) 1990-08-14 1991-08-13 주화선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36339A (ko)
EP (1) EP0471539B1 (ko)
KR (1) KR950003206B1 (ko)
AU (1) AU636507B2 (ko)
CA (1) CA2048915C (ko)
DE (1) DE6912292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48743C (en) * 1990-08-14 1996-08-27 Kenji Nishiumi Coin selector
US5318164A (en) * 1992-05-15 1994-06-07 Mars Incorporated Vending machine apparatus and method to prevent fraud and minimize damage from injected fluids
KR970005397B1 (ko) * 1992-07-29 1997-04-16 가부시끼가이샤 닛뽄곤락스 지폐처리장치
US7028827B1 (en) 1992-09-04 2006-04-18 Coinstar, Inc. Coin counter/sorter and coupon/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US6736251B2 (en) 1992-09-04 2004-05-18 Coinstar, Inc. Coin counter and 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US5620079A (en) 1992-09-04 1997-04-15 Coinstar, Inc. Coin counter/sorter and coupon/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US6494776B1 (en) 1992-09-04 2002-12-17 Coinstar, Inc. Coin counter/sorter and coupon/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JP3476858B2 (ja) * 1992-12-30 2003-12-10 マ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書類検証装置並びにその搬送装置
US5524143A (en) * 1993-01-12 1996-06-04 Turk; Nathan N. Anti-stuffing coin realigner
US5485907A (en) * 1994-08-23 1996-01-23 Gamemax Corporation Paper money recognition and transmission system for vending machines
US5454462A (en) * 1994-08-23 1995-10-03 Gamemax Corporation Structure of paper money recognition and transmission system
EP1155988A3 (de) * 2000-05-17 2003-08-06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ktiengesellschaft Torsionsfähige Papierbahnanordnung mit einem Versteifungselement
JP3719929B2 (ja) * 2000-11-29 2005-11-24 株式会社沖データ 用紙搬送装置
US6578845B2 (en) * 2001-04-09 2003-06-17 Mustek Systems Inc. Automatic document feeding apparatus having separation mechanism
US6602125B2 (en) 2001-05-04 2003-08-05 Coinstar, Inc. Automatic coin input tray for a self-service coin-counting machine
US7865432B2 (en) 2002-02-15 2011-01-04 Coinsta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and/or transferring various forms of value
US8033375B2 (en) 2002-02-15 2011-10-11 Coinsta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and/or transferring various forms of value
EP2515281A1 (en) 2002-02-15 2012-10-24 Coinsta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and/or transferring various forms of value
JP2005173404A (ja) * 2003-12-12 2005-06-30 Fuji Photo Film Co Ltd 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78243B2 (ja) * 2008-03-05 2013-04-10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識別装置
EP2636015A4 (en) 2010-11-01 2016-05-11 Outerwall Inc GIFT CARD EXCHANGE KIOSK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874467B2 (en) 2011-11-23 2014-10-28 Outerwall Inc Mobile commerce platfor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consumer coins, cash, and/or other forms of value for use with same
US9129294B2 (en) 2012-02-06 2015-09-08 Outerwall Inc. Coin counting machines having coupon capabilities, loyalty program capabilities, advertising capabilities, and the like
US9036890B2 (en) 2012-06-05 2015-05-19 Outerwall Inc. Optical coin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consumer-operated kiosks and the like
JP5801832B2 (ja) * 2013-01-31 2015-10-28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967361B2 (en) 2013-02-27 2015-03-03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 sorting machines
US9022841B2 (en) 2013-05-08 2015-05-05 Outerwall Inc. Coin counting and/or sorting machin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443367B2 (en) 2014-01-17 2016-09-13 Outerwall Inc. Digital image coin discrimination for use with consumer-operated kiosks and the like
US9235945B2 (en) 2014-02-10 2016-01-12 Outerwall Inc. Coin input apparatuses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US10346819B2 (en) 2015-11-19 2019-07-09 Coinstar Asset Holdings, Llc Mobile device applications, other applications and associated kiosk-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in saving
US10954087B2 (en) * 2016-09-12 2021-03-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path
CN109887151B (zh) * 2019-03-05 2021-11-12 苏州少士新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硬币检测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5976A (en) * 1957-01-30 1961-08-15 Universal Controls Inc Inspection and projection device
DE1279989B (de) * 1964-09-01 1968-10-10 Zimmermann & Co F Muenzzaehl- und Verpackungsmaschine
US3667485A (en) * 1969-10-21 1972-06-06 William J Sesko Fare box with belt conveyor and coin size detector
US3621854A (en) * 1969-11-05 1971-11-23 Ncr Co Elastomeric coin sorter
DE2263973A1 (de) * 1972-12-29 1974-10-17 Alfred Krauth Apparatebau Kg P Elektrisches muenzsortier- und rueckgeld-gebegeraet
US3939954A (en) * 1974-03-18 1976-02-24 Qonaar Corporation Check receiving and testing apparatus
JPS5839465Y2 (ja) * 1974-05-31 1983-09-06 ミノルタ株式会社 複写機における複写紙搬送ユニツト
SE422375B (sv) * 1979-05-08 1982-03-01 Ericsson Information Systems A Anordning for bortsortering av enstaka arkformade foremal som avviker fran huvudmengden i en lopande utmatning
LU81645A1 (de) * 1979-09-04 1979-12-07 Krauth Apparatebau Gmbh & Co K Geldwechselvorrichtung
DE3048561A1 (de) * 1980-12-22 1982-07-22 Standardwerk Eugen Reis Gmbh, 7520 Bruchsal Vorrichtung zum zaehlen von muenzen
US4558711A (en) * 1983-07-08 1985-12-17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oin processing apparatus
US4570923A (en) * 1984-12-19 1986-02-18 Pitney Bowes Inc. Conveying apparatus
JPS62245495A (ja) * 1986-04-18 1987-10-26 オムロン株式会社 硬貨識別装置
JPS62266692A (ja) * 1986-05-15 1987-11-19 東京システムクリエ−ト株式会社 金種識別装置
JPH07118030B2 (ja) * 1987-01-12 1995-12-18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選別装置
US4850468A (en) * 1987-03-25 1989-07-25 Nippon Conlux Co., Ltd. Money discriminating apparatus
FR2634301B1 (fr) * 1988-07-15 1992-05-22 Dassault Electronique Dispositif de traitement de pieces de monnaie
CA2048743C (en) * 1990-08-14 1996-08-27 Kenji Nishiumi Coin se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48915A1 (en) 1992-02-15
AU636507B2 (en) 1993-04-29
AU8246691A (en) 1992-02-20
EP0471539B1 (en) 1996-10-30
DE69122925T2 (de) 1997-05-22
CA2048915C (en) 1996-08-27
US5236339A (en) 1993-08-17
DE69122925D1 (de) 1996-12-05
KR920005033A (ko) 1992-03-28
EP0471539A1 (en) 199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206B1 (ko) 주화선별장치
KR950003205B1 (ko) 주화선별장치
KR950014506B1 (ko) 주화처리장치
US8261904B2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JP2011133982A (ja) 硬貨処理機
JP4988748B2 (ja) 硬貨収納投出装置
JP5042223B2 (ja) 変形硬貨検知装置
US5299672A (en) Coin selector with coin slit shutter
US5328014A (en) Coin selector
JP6741809B2 (ja) 貨幣処理装置
TWI714878B (zh) 硬幣接收釋出裝置
JP3078674B2 (ja) 硬貨処理装置
JP3241578B2 (ja) 硬貨選別計数装置
JP3247185B2 (ja) 硬貨処理装置
JP7496255B2 (ja) 硬貨処理装置
JP6206157B2 (ja) 硬貨処理装置
JPH05334520A (ja) 硬貨処理装置
EP3457366B1 (en) Money handling apparatus
JP2022102479A (ja) 硬貨処理装置
JP3086150B2 (ja) 硬貨処理機
JP2022017780A (ja) 硬貨処理装置
JP2000182116A (ja) 硬貨入出金装置
JP3818703B2 (ja) カセット装填検知装置
JP2701491B2 (ja) 硬貨処理機
JPH04111091A (ja) 硬貨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