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151B1 - 폴리부텐-l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부텐-l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151B1
KR950003151B1 KR1019910016496A KR910016496A KR950003151B1 KR 950003151 B1 KR950003151 B1 KR 950003151B1 KR 1019910016496 A KR1019910016496 A KR 1019910016496A KR 910016496 A KR910016496 A KR 910016496A KR 950003151 B1 KR950003151 B1 KR 950003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butene
resin
weight
resin composi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427A (ko
Inventor
하루히꼬 다나까
후까시 가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filed Critical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충격성, 크리프(creep)내성 및 고속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과, 이 수지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성형품(molding) 및 이 성형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납 도금강 파이프, 동파이프, 납파이프 등과 같은 금속재 파이프재료는 급수, 온수 공급용 파이프 재료로서 사용돼 왔다. 그러나, 예를 들어, 강 파이프의 경우, 녹으로 인해서 적수 또는 흑수가 생기고, 동파이프의 경우 전해 부식으로 인하여 핀홀(pinhole)과 청수가 형성된 위험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소된 파이프재료가 요방돼 왔다. 따라서, 녹형성 또는 전해 부식으로 인한 핀홀의 염려가 없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부텐-1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파이프재료가 이미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로 구성된 파이프 재료중에서, 폴리부텐-1으로 구성된 파이프는 재료인 폴리부텐-1 수지가 내압력성, 고온하 크리프내성, 내열성 및 저온하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가요성이 우수하므로, 급수 및 온수공급을 파이프재료로서 가장 적합한 것들 중 하나이다.
다른 한편, 유럽 특허공보 01722961 A1호에는, 파이프재료로서 적합한 폴리부텐-1이 개시되어 있다. 이 폴리부텐-1은 부덴-1 이외의 탄소수 2~20의 올레핀을 0~1몰% 함유하며, (1) 135℃ 데칼린 중 측정한 극한점도[η]가 1.5~4.0dl/g이고, (2) 그 중량평균 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의 비로 표현되는 분자량 분포가 6이하이고, (3) 아이소탁티시티(isotacticity)값이 95% 이상이다.
그러나, 현재 유용한 폴리부텐-1 수지는 강성, 크리프특성, 내충격강도, 결정화 속도 등이 우수하기는 하나, 그의 분자량 분포, 즉 중량평균분자량대 수평균 분자량이 5이하로써 협소하다.
따라서, 이러한 수지를 직경 30mmHg이하의 파이프로 성형하는 경우, 저속의 성형속도(3m/분 이하)로는 충분히 성형할 수 있으나, 더 고속의 성형속도의 파이프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제조된 파이프의 내, 외표면이 거칠게 되어, 외관이 양호한 제품을 얻을 수 없고, 따라서 고속성형에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강성, 크리프특성 및 내충격강도등 폴리부텐-1 수지의 고유의 특성을 갖는 동시에, 성형성, 특히 고속 성형속도에서의 성형성 즉, 소위 고속성형성이 우수한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우수한 특성들을 갖는 폴리부텐-1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이점은, (A) (i) 용융유속(melt flow rate)이 0.01~5g/10분이고, (ii) 중량평균분자량대 수평균 분자량의 비 (Mw/Mn)가 6이하이고, (iii) 아이소탁틱 값이 93%이상인 폴리부텐-1수지 (A) 60~95중량부와, (B) (i) 용융유속이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의 20배이상이고, (ii) 중량평균분자량대 수평균 분자량의 비율(Mw/Mn)이 6이하이고, (iii) 아이소탁틱 값이 93% 이상인 폴리부텐-1 수지(B) 40~5 중량부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하기에서, 이 수지조성물을 "폴리부텐=l 수지 조성물-I"이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1) 상기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I 100중량부와, (2) 핵제 0.01~2중량부와, (3) 폴리부텐-1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중합체 0~20 중량부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하기에서,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II"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a) 상기 폴리부텐-1 수지 (A) 60~95중량부와, (b) 상기 폴리부텐-1 수지 (B) 40~5중량부와, (c)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와 상기 폴리부텐-1 수지(B)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핵제 0.01~2 중량부 및 (d)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와 상기 폴리부텐-1 수지(B)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폴리부텐-1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중합체 0~20 중량부를 용융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성형품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텐-1 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폴리부텐-1 수지(A)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주성분이며, 부텐-1 단독중합체, 또는 부텐-1과 탄소수 2~20의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공중합체의 경우, 공중합되는 다른 α-올레핀의 비율은, 20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0몰%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몰%이하이다. 이러한 α-올레핀의 예를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헥센, 4-메틸펜텐-1, 옥텐-1, 데센-1 옥타데센-1 등이 있다.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의 용융유속(MFR(E) : ASTM D 1238, E)은, 0.01~5g/10분, 바람직하게는 0.1~2g/10분이며, 이러한 범위이면 제조된 조성물의 압출성형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의 경우, 그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는 중량평균분자량대 수평균 분자량의 비율은 6이하이며, 이 비율이 5이하인 것이 조성물의 우수한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중량평균 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의 측정
(a) 분자량이 알려진 표준 포리스티렌(도요소다 사제, 단일분산 폴리스티렌)을 사용해서 분자량이 상이한 폴리스티렌들을 하기의 측정조건하에서 GPC(젤 투과크로마토그래피)분석 처리하고 : 장치 : 워터(water) 사제 모델 1 150C, 컬럼 : 도요소다 사제 TSKGMH-6, 6mmøx600, 샘플량 : 400μ, 온도 : 135℃ 유량 : 1ml/분
분자량 M과 EV(용출부피) 값간에 보정곡선을 작성한다.
(b) 샘플제조
분자량을 측정하려는 중합체 샘플과 용매 0-디클로로벤젠을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상기 중합체 15mg당 20ml 용매를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중합체 용액에, 안정화제로서 2, 6-디-t-부틸크레졸 가함으로써, 그 농도가 0.1중량%가 되게 한다.
얻어진 용액을 140℃에서 1시간 가열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여, 상기 중합체와 안정화제를 완전 용해시킨다.
다음, 상기 용액을 0.5㎛의 필터를 사용하여 135~140℃의 온도에서 여과한다.
그 여액을 상기 (a)의 측정조건과 동일 조건하에서 GPC 분석처리하고, 얻어진 EV값을 사용하여 얻어진 상기 보정곡선에 의하여, 수평균분자량 Mn=Σ MiNi/Σ Ni, 중량평균분자량 Mw=Σ Mi2Ni/Σ MiNi를 구하여, (Mw/Mn)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의 아이소탁틱 값은 93%이상이고, 제조되는 조성물의 강성, 내열성 및 크리프내성의 우수헝 면에서, 93~98%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소탁틱 값(II)의 측정
이 아이소탁틱 값(II)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했다.
폴리부텐-1 수지 1g을 n-데칸 100ml 중에 용해하고, 이 용액을 0℃로 냉각하고, 0℃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입체 규칙성이 높은 성분을 침전시키고, 전체 수지에 대한 불용성 부분의 중량 %를 아이소탁틱 값 II으로 하였다.
상기 폴리부텐-1 수지(B)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다른 주성분이며, 상기 폴리부텐-1(A)와 마찬가지로, 부텐-1 단독중합체, 또는 부텐-1과 탄소수 2~20의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며, 탄소수 2~20의 다른 α-올레핀을 함유하는 경우, 그의 종류와 양은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의 경우와 같다.
얻어지는 조성물의 양호한 압출성형성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폴리부텐-1 수지(B)의 용융유속(MFR(E) : ASTM D 1238, E)이 상기 폴리부텐-1(A)의 용융유속의 20배이상, 바람직하게는 50~100배이다.
또한, 상기 폴리부텐-1 수지(B)에서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는 중량평균분자량대 수평균분자량의 비율(Mw/Mn)은 6이하이며, 얻어지는 조성물의 우수한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상기 비율이 5이하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폴리부텐-1 수지(B)의 아이소탁틱 값(II)은 93%이상이며, 얻어지는 조성물의 강성, 내열성 및 크리프내성의 우수성면에서 93~98%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서, 이 조성물의 용융된 파리손(parison) 멜트텐션(melt tension)이 높아지며, 따라서 성형시, 가공성이 양호해지고, 상기 조성물을 고속으로 파이프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성형품의 양호한 충격강도의 관점에서, 상기 폴리부텐-1 수지(A)/폴리부텐-1 수지(B)의 배합비는 60/40~95/5, 바람직하게는 90/10~70/30중량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파이프 성형시에 다이로부터 압출된 수지 용융물의 고화 속도가 더 빨라지고 보다 안정된 고속성형성이 얻어지는 경우, 이 고화후에도, 폴리부텐-1 수지 특유의 결정전이 속도가 촉진되고 또한 강성증진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폴리부텐-1 수지(A) 및 (B) 이외에 핵제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핵제의 예를들면, 폴리에틸렌수지, 폴리에틸렌왁스, 에틸렌비스스테아로아미드, 폴리프로필렌수지 등이 있다. 상기 폴리부텐-1 수지(A) 또는 (B)보다 결정화온도가 높은 폴리올레핀이 상기 핵제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상기 핵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비는, 상기 폴리부텐-1 수지(A) 및 (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0.01~2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5 중량부이다. 또한, 내충격성 또는 기타 물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폴리부텐-1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중합제의 예를들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폴리이소부티렌등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중합체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비는, 상기 폴리부텐-1 수지(A) 및 폴리부텐-1 수지(B)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하이다. 특히, 내충격성의 개량을 위하여 올레핀계 앨라스토머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성형품의 내열노화성, 내염소수성등의 장기 내구성의 개량을 위하여, 상기 조성물이 각종의 안정제, 특히 산화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예를 들면, 페놀계 및 인계 산화방지제, 예를들어, 2, 6-디-T-부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N-헥사대실 3, 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1, 3, 5-트리메틸-2, 4, 6-트리스(3, 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1, 3, 5-트리스(4-t-부틸-3-히드록시-2, 6-디메틸페닐)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이소시아누레이트, n-옥타대실, 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비스(3, 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일-포스폰산), 모노에틸에스테르의 니켈염, 2, 2'-디히드록시-3, 3'-디(메틸시클로헥실)-5, 5'-디메틸 디페닐메탄 4, 4-치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1, 1, 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2, 6-디-t-부틸-p-크레졸, 4, 4'-메틸렌-비스(2, 6-디-t-부틸페놀), 트리스(2, 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비타민 E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사용한다.
산화방지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함량은,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와 폴리부텐-1 수지(B)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0.1~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1.8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 살균제, 녹방지제, 활제, 충전제, 안료, 내열안정화제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부텐-1 수지(B)와,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핵제, 열가소성 중합체등을 상기의 배합비로, 헨쉘믹서, V-블렌더, 리본블렌더, 텀블러 블렌더 등을 사용하여 용융 혼합하는 방법 ; 또는 상기 혼합후, 이 혼합물을 단축 압출기, 다축 압출기, 밴부리믹서, 혼련기 등을 사용하여 용융 혼련한 후, 혼련된 것을 입상화 또는 분쇄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조성물은,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와 (B)를 중합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얻고, 이 얻어진 중합액들을 교반에 의하여 직접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성형가공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용융유속은 통상 0.2~5g/10분, 바람직하게는 3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들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로된 압축 쉬트의 내열성, 연장향복응력 및 충격강도의 측정과, 상기 수지조성물의 내압내성과 파이프의 성형성의 평가를 하기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내열성
JIS K7206(열가소성 플라스틱의 비커트(Vicut)연화온도 시험방법에 의하여 내열성을 측정했다. 이 연화 온도는, 수지의 최고 사용가능온도를 나타내는 척도이고, 급수용 및 온수공급용 파이프의 경우는, 온수와 접촉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100℃ 이상이 바람직하다.
인장항복응력
ASTM 형 IV 담벨을 사용하여 ASTM D638에 의하여 측정했다.
충격강도
ASTM D256에 의하여 노치가 있는 0℃에서 측정했다.
내압내성
상기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로된 각각의 팔레트를 사용하고 파이프 성형장치(히다찌 조오센 산교오 사제)로, 내경이 13mm, 외경이 17mm인 파이프들을 제조하고, 이 파이프들의 내압내성, 성형성을 하기 방법에 의하여 평가했다.
파이프를 90±1℃로 조정된 정온조에 침지시키고, 이 파이프에 90℃물을 도입하고 이 파이프의 후우프(hoop) 응력이 생긴 응력이 70kg/cm2이 되게 압축하고, 파이프 파열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파이프의 성형성
파이프를 10m/ 분의 성형속도로 성형하고, 얻어진 파이프의 내면, 외면을 육안관찰하고, 하기 3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 … 성형성 양호 파이프외관도 양호.
△ … 파이프 성형은 가능한 정도이나, 파이프 내, 외면상에 작고 거친 비평탄면 형성됨.
× … 파이프 성형불가.
[참조예 A]
<티탄 촉매성분(A)의 제조>
무수 염화마그네슘 4.76g(50mmol), 데칸 35ml, 2-에틸헥실알콜 23.4ml(150mmol)을 13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균일용액을 얻고 이 용액에, 무수 프탈산 1.11g(7.5mmol)을 가하고, 그 혼합물을 130℃에서 1시간 더 교반 혼합시켜 무수프탈산을 상기 균일용액에 용해시켰다.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균일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다음, 전 용액을 1시간에 걸쳐서 -20℃에 유지된 사염화티탄 200ml(1.8mmol)에 적하했다. 적하종료후, 그 혼합물의 온도를 4시간에 걸쳐서 110℃까지 승온하고, 110℃에 달했을때,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 268ml(12.5mmol)를 가하고, 그 혼합물을 그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2시간동안 유지시켰다. 이 2시간반응 종료후, 고온 여과에 의해 고체부를 수집하고, Ticl4200ml 중에 재현탁하고, 다음, 110℃에서 가열하며서 2시간동안 더 반응시켰다.
이 반응 종료후, 고온여과에 의해서 고체부를 재수집하고, 각각 110℃의 데칸과 헥산으로, 이 세정액중 유리 티탄화합물이 검출되지 않을때까지 충분히 세정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합성된 티탄촉매 성분(A)을 헥산중에 슬러리로서 보존했다. 이 슬러리의 일부를 촉매조성 검사용으로 건조했다. 상기 촉매성분(A)의 조성은, 티탄 3.1wt%, 염소 56.0wt/%, 마그네슘 17.0wt% 및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 20.9wt%였다.
<중합>
200-L SUS제 반응기에, 헥산 501/hr, 액상부텐-1 501/hr, 상기 티탄촉매성분(A) 0.6mM/hr, 트리이소부틸알미늄 100m/hr,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5mM/hr 및 수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했다. 반응기의 기상부분에서 수소/부텐-1의 몰비가 0.01이 되도록 수소를 공급했다.
중합온도는 60℃에 유지했으며, 중합압력은 4.7bar였다. 중합장치의 수준을 100L에 유지하면서, 내용물을 연속적으로 취출했다. 1L/hr의 메탄올을 상기 중합용액에 가하고, 부텐-1을 제거하여 얻어진 액체를 280℃에 가열하여 후라싱(flashing)에 의해서 헥산을 제거하고, 그 잔유물을 250℃에서 펠레트화했다. 중합 활성은 7600g/mM·Ti였다. 얻어진 폴리부텐-1 수지를 "PB-A"라고 칭한다.
[참조예 B]
수소/부텐-1의 몰비를 0.5로 변경한 외는 참조예 A와 동일하게 중합을 행하여, 폴리부텐-1 수지 ("PB-B"라고 칭함)을 합성했다.
[참조예 C]
시클로헥실메틸 디메톡시실란 20mM/hr를 사용하고 수소/부텐-1의 비율을 0.006으로 변경한 외에는 참조예 A와 동일하게 중합을 행하여, 폴리부텐-1 수지("PB-C"라고 칭함)을 합성했다.
[참조예 D]
시클로헥실메틸 디메톡시실란 20mM/hr를 사용하고 수소/부텐-1의 몰비를 1.5로 변경한 외에는 참조예 A와 동일하게 중합을 행하여 폴리부텐-1 수지("PB-D"라고 칭함)을 합성했다.
[참조예 E]
200-L SUS제 반응기에, 헥산 5001/hr, 액상 부텐-1 501/hr, 사염화티탄(도호 티타늄 사제, TAC-141)100mM/hr, 디에틸알미늄클로라이드 100mM/hr, 디에틸알미늄 아이오디드 100mM/hr 및 수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반응기의 기상부분에서 수소/부텐-1의 몰비가 0.04가 되도록 수소를 공급했다. 중합온도는 60℃에 유지했으며, 중합 압력은 4.8bar였다.
중합장치의 수준을 100L에 유지하면서, 내용물을 연속적으로 취출했다. 1L/hr의 메탄올을 상기 중합용액에 가하고, 부텐-1을 제거하고, 100L/hr의 물을 가하고, 교반후 물을 제거하고, 잔존된 액체를 280℃로 가열하여 후라싱(flashing)에 의하여 헥산을 제거하고, 그 잔유물을 250℃에서 펠레트화했다. 중합활성은 63g/mM/Ti였다. 얻어진 폴리부텐-1 수지를 "PB-E"라고 칭한다.
[참조예 F]
시클로헥실 메틸 디메톡시실란 1mM/hr를 사용하고 수소/부텐-1의 몰비를 0.02로 변경한 외에는 참조예 A와 동일하게 중합을 행하여, 폴리부텐-1 수지("PB-F"라고 칭함)를 합성했다.
[참조예 G]
수소-부텐-1의 몰비를 0.02로 변경한 외에는 참조예 A와 동일하게 중합을 행하여 폴리부텐-1 수지("PB-G"라고 칭함)을 합성했다.
[실시예 1~3]
부텐-1 단독중합체(PB-A)(MFR : 0.2g/10분, (ASTM : D1238, E), Mw/Mn=4.5, II=95%)와, 부텐-1 단독중합체(PB-B)(MFR : 20g/10분, (ASTM : D1238, E), Mw/Mn-4.5, II=95%)의, 표 1에 나타낸 바의 비율로된 각각의 혼합물에, 산화방지제 Irganox 1330, Irganox 1010, Irganox 1076을 각각 0.4중량부, 0.3중량부, 0.2중량부의 양으로 각각 가했다. 이들 각각의 혼합물에, 핵제로서 폴리에틸렌 0.2 중량부, 안료로서 이소인돌리논 옐로우 유기안류 0.05중량부 및, 산화티탄 0.2중량부를 가했다. 다음, 각각의 혼합물을 헨쉘믹서로 교반 혼합하고, 65mmø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훈련하여,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의 펠레트를 제조했다.
상기 얻어진 펠레트들을 200℃에서 10분간 가열프레스 처리하여 용융시키고, 약 30℃의 냉각 프레스로 5분간 가압하여, 두께가 각각 2mm, 3mm인 2종의 압축쉬트를 제조했다. 이 쉬트들을, 상기 방법들에 의하여 내열성, 인장항복능력, 충격강도를 측정키 위한 샘플로 사용했다. 다음, 파이프를 제조하여 이 파이프의 내압내성 및 성형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4]
핵제로서 에틸렌비스스테아로아미드(EBSA)를 가한외는, 실시예 2와 동일방법으로 폴리부텐-1 수지조성물로된 펠레트를 제조했다. 이 펠레트로 압축쉬트를 제조하고, 내열성, 인장항복응력 및 충격강도를 측정했으며, 이 펠레트로 파이프를 제조하고, 이 파이프의 내압내성 및 성형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5]
핵제를 사용치 않은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방법으로 폴리부텐-1 수지조성물로된 펠레트를 제조했다. 이 펠레트로 압축쉬트를 제조하고, 내열성, 인장항복응력 및 충격강도를 측정했으며, 이 펠레트로 되이프를 제조하고, 이 파이프의 내압내성 및 성형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6 및 7]
부텐-1 단독중합체(PB-C)(MFR : 0.05/10분, Mw/Mn=5, II=97%)와 부텐-1 단독중합체(PB-D)(MFR : 100g/10분, Mw/Mn=5, II=97%)를 표 1의 비율로 배합한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방법으로 폴리부텐-1 수지조성물로된 펠레트를 제조했다. 이 펠레트로 된 압축쉬트를 제조하고, 내열성, 인장항복응력 및 충격강도를 측정했으며, 이 펠레트로 파이프를 제조하고, 이 파이프의 내압내성 및 성형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상기 부텐-1 단독중합체(PB-B)를 사용치 않은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조성물로부터 쉬트를 제조하고, 내열성, 인장항복응력, 충격강도를 측정했으며, 파이프를 제조하고, 이 파이프의 내압내성과 성형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같이, 파이프 성형을 10m/분으로 행하였을시에 얻어진 파이프의 내, 외표면상에 현저하게 거친면이 형성됐다.
[비교예 2]
상기 부텐-1 단독중합체(PB-1)를 사용치 않은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조성물로부터 쉬트를 제조하고, 내열성, 인장항복응력, 충격강도를 측정했으며, 파이프를 제조하고, 이 파이프의 내압내성과 성형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상기 얻어진 쉬트들은 충격강도가 작았으며, 상기 파이프의 성형시, 용융된 파리손의 점도가 극히 작아서 파이프성형이 불가능했다.
[비교예 3]
상기 부텐-1 단독중합체(PB-A) 및 (PB-B)대신에, 부텐-1 단독중합체(PB-E)(MFR : 0.5g/10분, Mw/Mn=12, II=95%)를 사용한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조성물로부터 쉬트를 제조하고, 내열성, 인장항복응력, 충격강도를 측정했으며, 상기 조성물로부터 파이프를 제조하고, 이 파이프의 내압내성과 성형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4]
상기 부텐-1 단독중합체(PB-A) 및 (PB-B) 대신에, 부텐-1 단독중합체(PB-F)(MFR : 0.5g/10분, Mw/Mn=4.5, II-90%)를 사용한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조성물로부터 쉬트를 제조하고, 내열성, 인장항복응력, 충격강도를 측정했으며, 상기 조성물로부터 파이프를 제조하고, 이 파이프의 내압내성과 성형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상기 얻어진 쉬트들은 인장항복응력이 작았으며, 상기 파이프의 내압내성은, 75kg/cm2의 응력에서 파이프가 터졌다. 또한 파이프 성형에서, 얻어진 파이프의 내,외표면상에 현저하게 거친면이 형성됐다.
[비교예 5]
상기 부텐-1 단독중합체(PB-A) 및 (PB-B) 대신에, 부텐-1 단독중합체(PB-G)(MFR : 0.5g/10분, Mw/Mn-4.5, II=95%)를 사용한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조성물로부터 쉬트를 제조하고, 내열성, 인장항복응력, 충격강도를 측정했으며, 상기 조성물로부터 파이프를 제조하고, 이 파이프의 내압내성 및 성형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1]
[표 2]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우수한 강성, 크리프 특성, 내충격강도등, 폴리부텐-1 수지 고유의 특성을 갖으며, 성형성, 특히 고속 성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파이프는, 온수 공급 및 급수용 파이프재료로서 적합하다.

Claims (13)

  1. (A) (i) 용융유속이 0.01~5g/10분이고, (ii) 중향평균 분자량대 수평균 분자량의 비(Mw/Mn)가 6이하이고, (iii) 아이소탁틱값이 93%이상인 폴리부텐-1 수지(A) 60~95중량부와, (B) (i) 용융유속이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의 20배 이상이고, (ii) 중량평균 분자량대 수평균 분자량의 비율(Mw/Mn)가 6이하이고, (iii) 아이소탁틱값이 93% 이상인 폴리부텐-1 수지(B) 40~5중량부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텐-1 수지 (A) 70~90중량부와 상기 폴리부텐-1 수지 (B) 30~10중량부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의 용융유속이 0.1~2g/10분인 것이 특징인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의비가 5이하인 것이 특징인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의 아이소탁틱 값이 93~98%인 것이 특징인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텐-1 수지(B)의 용융유속이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의 용융유속이 50~1000배인 것이 특징인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텐-1 수지(B)의비가 5이하인 것이 특징인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텐-1 수지(B)의 아이소탁틱 값이 93~98%인 것이 특징인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
  9. (1) 상기 제 1 항 기재의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와, (2) 핵제 0.01~2중량부와, (3) 폴리부텐-1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중합체 0~20중량부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폴리부텐-1 수지 조성물.
  10. 제 9 항 기재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성형품.
  11. 제 9 항 기재의 수지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파이프
  12. (a) 상기 제 1 항 기재의 폴리부텐-1 수지(A) 60~95중량부와, (b) 상기 제 1 항 기재의 폴리부텐-1 수지(B) 40~5중량부와, (c)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와 상기 폴리부텐-1 수지(B)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핵제 0.01~2중량부 및. (d) 상기 폴리부텐-1 수지(A)와 상기 폴리부텐-1 수지(B)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폴리부텐-1-1 수지 이외의 열가소성 중합체 0~20중량부를 용융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성형품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텐-1 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이 파이프인 것이 특징인 폴리부텐-1 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9910016496A 1990-09-21 1991-09-20 폴리부텐-l 수지 조성물 KR950003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53568 1990-09-21
JP25356890 1990-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427A KR920006427A (ko) 1992-04-27
KR950003151B1 true KR950003151B1 (ko) 1995-04-01

Family

ID=1725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496A KR950003151B1 (ko) 1990-09-21 1991-09-20 폴리부텐-l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221715A (ko)
EP (1) EP0476660B1 (ko)
KR (1) KR950003151B1 (ko)
AT (1) ATE131847T1 (ko)
AU (1) AU645134B2 (ko)
CA (1) CA2051959A1 (ko)
DE (1) DE69115617T2 (ko)
ES (1) ES2082075T3 (ko)
FI (1) FI104831B (ko)
NO (1) NO308039B1 (ko)
NZ (1) NZ23981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456A (ko) * 2011-03-14 2014-01-2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에틸렌-기재 조성물
KR101496710B1 (ko) * 2013-08-30 2015-02-27 주식회사 일렘테크놀러지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
KR101496709B1 (ko) * 2013-08-30 2015-03-02 주식회사 일렘테크놀러지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체
KR101496711B1 (ko) * 2013-08-30 2015-03-03 주식회사 일렘테크놀러지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이를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체 및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652B2 (ja) * 1992-06-30 2000-11-27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及びそのフィルム
WO1999045043A1 (en) 1998-03-05 1999-09-10 Montell Technology Company B.V. Polybutene-1 (co)polymer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2002241553A (ja) * 2000-11-30 2002-08-28 Mitsui Chemicals Inc ポリ1−ブテ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02256024A (ja) * 2000-12-26 2002-09-11 Mitsui Chemicals Inc ポリブテン系樹脂、それからなる管材および管
KR100472771B1 (ko) * 2003-08-30 2005-03-14 주식회사 일렘테크놀러지홀딩스 고입체규칙성 폴리부텐-1 중합체 및 이의 고활성 제조방법
DE10340830B4 (de) * 2003-09-04 2006-04-13 Schülke & Mayr GmbH Verbesserte mikrobizide Zusammensetzung auf Basis von Formaldehyd-Depotverbindungen und Antioxidantien
US20100324244A1 (en) * 2008-03-20 2010-12-23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1-butene copolymers
EP2254918A1 (en) * 2008-03-20 2010-12-01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1-butene terpolymers
ATE543870T1 (de) * 2008-03-20 2012-02-15 Basell Poliolefine Srl Zusammensetzungen aus polymeren auf 1-buten-basis
KR20100127226A (ko) * 2008-03-20 2010-12-03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1-부텐 공중합체
EP2199331A1 (en) * 2008-12-22 2010-06-23 Borealis AG Polyolefin composition for water pipes with improved chlorine resistance
CN102558692A (zh) * 2011-12-30 2012-07-11 大连工业大学 一种聚丁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6560342B2 (ja) * 2015-04-22 2019-08-14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1−ブテ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54128C3 (de) * 1972-11-04 1975-08-14 Chemische Werke Huels Ag, 4370 Marl Thermoplastische Formmasse aus Polybuten-I
CA1107885A (en) * 1976-11-01 1981-08-25 Roger C. Cotton Compositions comprising polybytene, epom and polyolefin
JPS59182734A (ja) * 1983-04-01 1984-10-17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ブテン−1射出成形品
JPS6137833A (ja) * 1984-07-31 1986-02-22 Mitsui Petrochem Ind Ltd 結晶性1−ブテン系重合体組成物
US4677025A (en) * 1985-08-30 1987-06-30 Shell Oil Company Uniqu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olybutylene blend and film
US4746692A (en) * 1986-05-05 1988-05-24 Shell Oil Company Polyolefin compositions for use with water systems
FI98524C (fi) * 1987-11-09 1997-07-10 Shell Oil Co Poly-1-buteenihartsikoostumus ja siitä valmistettu vedenkestävä levy
USH1213H (en) * 1990-05-17 1993-07-06 Shell Oil Company Polypropylene-polybutylene shrink film composi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456A (ko) * 2011-03-14 2014-01-2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에틸렌-기재 조성물
KR101496710B1 (ko) * 2013-08-30 2015-02-27 주식회사 일렘테크놀러지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
KR101496709B1 (ko) * 2013-08-30 2015-03-02 주식회사 일렘테크놀러지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체
KR101496711B1 (ko) * 2013-08-30 2015-03-03 주식회사 일렘테크놀러지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이를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체 및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21715A (en) 1993-06-22
EP0476660A2 (en) 1992-03-25
ES2082075T3 (es) 1996-03-16
FI914414A0 (fi) 1991-09-19
NO913671L (no) 1992-03-23
FI104831B (fi) 2000-04-14
NZ239816A (en) 1992-09-25
DE69115617D1 (de) 1996-02-01
NO308039B1 (no) 2000-07-10
DE69115617T2 (de) 1996-06-27
AU8462891A (en) 1992-03-26
KR920006427A (ko) 1992-04-27
AU645134B2 (en) 1994-01-06
EP0476660B1 (en) 1995-12-20
EP0476660A3 (en) 1992-09-02
FI914414A (fi) 1992-03-22
ATE131847T1 (de) 1996-01-15
NO913671D0 (no) 1991-09-18
CA2051959A1 (en) 199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151B1 (ko) 폴리부텐-l 수지 조성물
EP2294129B1 (en) Thermoplastic polyolefins with high flowability and excellent surface quality produced by a multistage process
EP2397517B1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having superior hexane extractables/impact balance
JP4736435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AU783600B2 (en) Polybutene resin, and pipe material and pipe comprising the same
US5955524A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JP200709204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US6777497B2 (en)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injection molded article
US6191223B1 (en) Polymer blends
JP2007092050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射出成形体
US5712344A (en) Modified polypropylene impact copolymer compositions
KR20160039406A (ko) 고충격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성형품
JP2008208303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射出成形体
JP3091534B2 (ja) ポリ1−ブテン樹脂組成物
JP5843782B2 (ja) 耐衝撃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EP2247424B1 (en) Polyolefin compositions
JP200820830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3666384B2 (ja) プロピレン共重合体
US20030212193A1 (en) Propylene-based polymer and injection molded article made of the same
JP2855459B2 (ja) エチレン重合体組成物
JP6977627B2 (ja) マット調射出成形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3849150B2 (ja) 電子線改質エチレン・α−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エラストマーおよび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4034150B2 (ja) 変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3338248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2021195553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及び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