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710B1 -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 - Google Patents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710B1
KR101496710B1 KR20130103901A KR20130103901A KR101496710B1 KR 101496710 B1 KR101496710 B1 KR 101496710B1 KR 20130103901 A KR20130103901 A KR 20130103901A KR 20130103901 A KR20130103901 A KR 20130103901A KR 101496710 B1 KR101496710 B1 KR 101496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butene
polymer
weight
polymer composi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익희
박경배
고승일
류제훈
박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렘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렘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렘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20130103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8Applications used for pipes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내구성이 우수한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온에서 자일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함량이 1 내지 10 중량%이고,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1238, 온도 190℃, 하중 2.16kg)가 0.1 내지 5g/10min인 폴리부텐-1 중합체(a) 100중량부, 및 실리콘계 오일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CONPOSITION OF POLYBUTENE-1 POLYMER AND OBJECTS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향상된 유연성 및 내한성을 가지고 장기내구성이 우수한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부텐-1은 지글러-나타(Ziegler-Natta)계 촉매로 제조하는 약 50%의 결정성을 지니는 입체 규칙성 고분자이며, 입체규칙성 폴리부텐-1은 1-부텐을 단량체로 하는 반결정성 고분자로, 폴리에틸렌 그리고 폴리프로필렌과 유사한 일반적 물성을 갖는 고분자량의 폴리올레핀이다.
폴리부텐-1 중합체는 내압성, 내크리프성(creep resistance), 내마모성 및 강성이 우수하고, 특히 고온에서도 장기간의 내구성을 갖는 등 훌륭한 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기존의 폴리올레핀에 적용되었던 가공기계를 사용하여 이를 압출(extrusion), 사출(injection), 중공성형(blow molding) 등의 가공기계를 사용하여 성형체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주로 파이프, 케이블, 피복 및 식품포장용 재료로 사용된다.
그러나 파이프의 재료로 사용되는 폴리부텐-1 중합체의 경우, 곁사슬(chain branching)이 많을수록 산화반응이 쉽게 발생하고 플라스틱의 분해를 야기한다. 이를 방지하고자 플라스틱 내에 생성된 라디칼과 반응하여 라디칼을 포착하는 기능을 갖는 페놀계 및 아민계의 1차 산화방지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퍼옥사이드를 분해하는 기능을 갖는 포스파이트계 및 유황계로 이루어진 2차 산화방지제를 첨가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체로 제조할 경우, 장기내구성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산화방지제의 종류, 배합 및 첨가량을 조절하였으나 염소계 성분이 함유된 물이 장기간 사용될 경우, 상기 염소계 성분에 의해서 산화방지제가 용출 및 반응하여 장기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497,885호에서는 에틸렌 공중합체와 일정한 점도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이 포함된 중합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에틸렌 공중합체의 마찰계수가 90% 이상을 유지하여 내마모성은 우수하나,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곁가지가 많이 존재하므로 장기간 염소계 성분이 함유된 물에서 사용시,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59,305호에는 온수, 온돌 파이프용 폴리프로필렌/폴리부텐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에틸렌 함량이 10 내지 22몰%인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블록공중합체 60 내지 97중량부, 호모폴리프로필렌 3.0 내지 30중량부, 폴리부텐 0.1 내지 10.0중량부 및 적량의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및 활제를 혼합, 용융시켜 유연성, 내충격성, 열간내압크리프성이 향상된 파이프용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서는 산화방지제로서 메틸렌(3,5-디터시어리-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디티시어리-부틸-하이드록시 톨루엔 및 열안정제를 첨가하였다. 하지만 상기 중합체 조성물로 성형된 파이프는 염소계 물에 장시간 노출시, 산화방지제가 용출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파이프로 제조 시, 염소계 성분이 함유된 물에서 사용하더라도 염소계 성분으로부터 산화방지제 성분의 용출을 막고, 고분자 사슬의 열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장기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실리콘계 오일을 함유하는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체를 제조하여 장기내구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그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연성 및 내한성이 향상된 폴레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그 성형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온에서 자일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함량이 1 내지 10 중량%이고, 온도 190℃ 및 하중 2.16kg에서 멜트플로우레이트(MFR)가 0.1 내지 5g/10min인 폴리부텐-1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계 오일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폴리부텐-1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 내지 0.3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폴리디메틸실록산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점도는 1,000 내지 1,000,000cPs 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의 점도가 10,000 내지 100,000cPs 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실온에서 자일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함량이 10 내지 30 중량%이고,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1238, 온도 190℃, 하중 2.16kg)가 0.1 내지 0.5g/min인 폴리부텐-1 조성물(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부텐-1 중합체(a) 및 폴리부텐-1 중합체(b)는 부텐-1의 단독 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직경이 50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폴리부텐-1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0.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탈크,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무기나노입자는 탈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를 제공한다.
상기 성형체는 항복인장강도가 17 내지 19MPa 이고, 저온취하온도가 -15℃ 내지 -13℃ 이고, 산화유도시간이 140 내지 160분일 수 있다.
상기 성형체는 파이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온에서 자일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함량이 1내지 10 중량%이고, 온도 190℃ 및 하중 2.16kg에서 멜트플로우레이트(MFR)가 0.1 내지 5g/10min인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에 실리콘계 오일을 첨가함으로써, 종래의 기술보다 유연성 및 내한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장기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은 장기간 급수급탕 및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파이프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연성 및 내한성이 향상되고 장기내구성이 우수한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은 실리콘계 오일 및 무기물 성분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은 실온에서 자일렌 불용물 분획의 함량이 1 내지 10중량%이고, 온도 190℃, 하중 2.16kg에서 멜트플로우레이트(MFR)가 0.1 내지 5g/10min인 폴리부텐-1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계 오일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을 구성하는 부텐-1은 실온에서 자일렌 불용물 분획의 함량이 1내지 5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분획함량은 입체규칙성이 95 내지 99중량%에 해당한다.
상기 자일렌에 가용성인 분획함량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자일렌 용해법(XS: Xylene soluble)을 적용시켜 수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얻어진 분획함량을 통해 중합체의 입체규칙성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상기 자일렌 용해법은 구체적으로 중합체를 환류되는 자일렌에 용해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키면 결정성 성분은 침전되고, 비결정성 성분은 용액 상태로 남아있게 되며, 상기 남아있는 용액을 %XS로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폴리부텐-1 중합체는 온도 190℃ 및 하중 2.16kg에서 멜트플로우레이트(MFR)가 0.1 내지 1.0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FR 값이 상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용융점도가 높아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의 유연성이 향상되어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MFR은 중합체의 용융특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일정한 부하와 온도에서 10분 동안 모세관을 흐르는 중합체의 무게를 의미한다.
상기 MFR은 ASTM D-1238에서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수득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중합체를 190℃로 가열하고, 2.16kg의 부하를 가할 피스톤을 제 위치에 놓은 다음 오리피스(내경: 2.09mm, 길이: 8mm)를 일정시간 동안 통과하여 나온 중합체의 중량을 10분 동안의 통과량으로 환산하여 수득할 수 있다.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체의 장기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실리콘계 오일은 실록산 결합으로 연결된 사슬모양의 분자구조로, 이러한 분자구조를 갖고 있는 분자가 집합하여 물질을 형성한 경우, 개개의 분자가 독립해 있기 때문에 분자사슬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외견상으로 유동성, 액체의 성질을 나타낸다. 실리콘계 오일은 고온 및 저온에 안정하여 상기 폴리부텐-1 중합체 성분에 첨가될 시, 성형체에 유연성 및 내한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오일은 분자간의 인력이 작아 표면장력이 낮으므로, 이러한 물성을 가진 실리콘 오일은 물체의 표면에 얇고 넓게 되려는 경향을 가지기 때문에 폴리머나 원료에 첨가함으로써 폴리머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을 이용하여, 실리콘계 오일을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의 비결정 영역에 잘 분산되어 지속적으로 표면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얇은 유막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염소계 성분 등 파이프 기재를 열화시키는 성분을 차단하여 파이프의 장기간 내구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첨가되는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폴리부텐-1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의 점도는 바람직하게 1,000 내지 1,000,000cPs 이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0,000 내지 100,000cPs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바람직하게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의 첨가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부텐-1 중합체의 중합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이 완료된 중합체에 실리콘 오일을 첨가하고 탈휘발시킨 다음, 압출공정을 거쳐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폴리부텐-1 중합체의 중합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이 완료된 중합체에 각종 첨가제가 첨가되고 탈휘발시킨 다음, 실리콘 오일이 함유된 마스터배치를 첨가하고 압출공정을 거쳐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텐-1 조성물의 가공성 향상을 위하여 직경이 500nm 이하인 무기나노입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폴리부텐-1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5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무기나노입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로 사용될 경우, 성형체 제조시, 실리콘 오일의 분산, 체류 및 표면이동(migration)을 도와, 장기내구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탈크,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은 압출, 사출, 또는 중공성형을 이용하여 성형체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성형체는 항복인장강도가 17 내지 19MPa 이고, 저온취하온도가 -15℃ 내지 -13℃ 이고, 산화유도시간이 140 내지 160분을 나타내어, 유연성, 내한성 및 장기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성형체가 파이프인 경우, 파이프 내외 표면의 거칠함을 방지하여 파이프의 외관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은 상기한 중합체, 실리콘계 오일 및 무기나노입자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살균제, 녹방지제, 활제, 충전제, 안료, 내열안정화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첨가제의 종류 및 사용량은 통상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 실시예 1>
반응기에 부텐-1, 수소, 조촉매로 트리에틸알루미늄, 전자 공여체로 실란화합물을 투입한 다음, 반응온도 80℃ 및 압력 17 bar하에서 슬러리 중합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나서, 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methane, 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의 산화방지체를 첨가하고 탈휘발시켜 실시예 1의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4>
상기 실시예 1가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 1및 표 2의 성분을 사용하여 실시예 2 내지 10 및 비교예 1내지4의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물성 단위 실시예
1 5 6 8 10
중합체 (a) MIE g/min 0.6 1.0 0.6 0.6 0.6
자일렌
용해물
중량% 5 1 5 5 5
배합량 중량% 99.8 98.9 99.3 68.8 69.8
중합체 (b) MIE g/min - - - 0.18 0.21
MIP g/min - - - 0.88 0.99
자일렌
용해물
중량% - - - 20 20
배합량 중량% - - - 30 20
실리콘 오일
성분
점도 g/10min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형상 Oil Oil Oil M/B M/B
배합량 중량% 0.2 0.2 0.2 0.2 0.2
종류 PDMS PDMS PDMS PDMS PDMS
무기나노입자
성분
종류 - TiO2 Talc - Silica
배합량 중량% - 1.0 0.5 - 0.05
PDMS : 폴리디메틸실록산
PMPS : 폴리메틸페닐실록산
구분 물성 단위 비교예
1 2 3 4
중합체 (a) MIE g/min 0.6 0.6 0.6 0.3
자일렌
용해물
중량% 5 10 10 10
배합량 중량% 100 99.4 99.3 89.95
중합체 (b) MIE g/min - - - 0.18
MIP g/min - - - 0.88
자일렌
용해물
중량% - - - 20
배합량 중량% - - - 10
실리콘 오일 점도 g/10min - - 100 -
형상 - - Oil -
배합량 중량% - - 0.2 -
종류 - - PDMS -
무기나노입자성분 종류 - Talc Talc Silica
배합량 중량% - 0.6 0.5 0.05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부텐-1 중합체 (a) 및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의 물성은 하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여기서, 중합체 (a) 및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의 자일렌 가용성 분획함량은 물성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중합체 (a)의 물성 측정방법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자일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함량(자일렌 용해물 )
냉각장치 및 자석 교반기를 갖춘 유리 플라스크에 폴리부텐-1 중합체(a) 0.5g 및 자일렌 50ml을 주입하고, 온도를 30분 동안 용매의 끓는점까지 상승시켰다. 그 다음 수득된 용액을 환류 및 교반하에 30분 동안 유지시켰다. 폐쇄된 플라스크를 빙수조에서 30분 동안 유지시키고, 25 ℃의 항온수조 안에서 추가로 30분 동안 유지시켰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고체를 퀵 여과지 (quick filtering paper)로 여과하고, 여과된 액체 100mL을 미리 칭량한 알루미늄 용기에 투입하고, 이 용기를 질소 흐름하에 가열 플레이트에서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그 후 일정한 중량이 수득될 때까지 용기를 진공하에서 80℃에서 유지시켰다. 잔류물을 측량하여, 실온(25℃)에서 자일렌에 가용성인 중합체 (a)의 중량%을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XS(중량%)=(잔류물의 중량/ 폴리부텐-1 중합체 (a)의 초기 총 중량)* 초기 자일렌 첨가량
MIE( 멜트플로우레이트 )
ASTM D-1238에서 규정한 방법에 따라, 폴리부텐-1 중합체 (a)는 온도가 190℃, 하중이 2.16kg 조건하에 측정하며, 10분 동안 용융되어 나온 중합체 (a)의 무게(g)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1. 항복인장강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을 ISO 293에서 규정된 방법에 따라 폴리부텐-1 압축성형 시트를 제작하고, ISO 2817에서 규정된 방법에 따라 가공하여 폴리부텐-1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한 시험편을 온도 25℃, 습도 20%의 숙성기(Desiccator)에서 10일 동안 숙성시켰다. ZWICK 사제 UTM을 이용하여 ISO 527에 의한 항복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2. 저온취하온도
한국공업규격 KSM 6676에 의거하여 6.35mm×39mm×1.9015mm의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한 시편은 물림장치(Clamping Device)에 고정시킨 다음, 드라이아이스로 조절된 50%의 파괴예상 온도에서 충격을 가해 시편의 취성 파괴를 일으키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3. 산화유도시간
한국공업규격 KSM ISO TR 10837에 의거하여 시차주사열분석기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사용하였다. 시험편을 가열하기 전에, 질소 기류하에서 유량계로 공급되는 질소의 유량을 측정하여 조절하였다. 잔류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5분간 질소를 (50±5)ml/min의 유속으로 흘려준 다음 동일한 질소 분위기 하에서, 실온에서 200℃까지 20℃/min의 가열속도로 시험편을 가열하였다. 그리고 나서, 200℃에서 5분간 평형을 유지시킨 다음 질소는 차단하고 산소로 바꾸어 (50±5)ml/min의 유속으로 흘려주고 이때를 산화유도시간의 초기점으로 하였다.
산화유도시간의 종료점은 발열반응곡선의 베이스라인과 발열반응에 따른 급격한 기울기선의 외접선이 만나는 점으로 하며, 총 산화유도시간은 초기점으로부터 종료점까지의 시간(분)으로 하였다. 두 개의 시료를 0.1분까지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결과로 표시하였다.
4. 파이프 외관 및 성형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은 이축압출기에서 각각 용융혼련하고, 그 혼련물을 펠렛상으로 제립하였다. 그 다음, 파이프 압출기로 18m/분 성형 속도로 성형하여 파이프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파이프의 외관을 육안 관찰한 다음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 파이프의 성형성이 우수하고, 파이프의 내외면 상에 작고 거친 비평탄면이 형성되지 않아 파이프의 외관이 우수함
○: 파이프의 성형성이 양호하고, 파이프의 내외면 상에 작고 거친 비평탄면이 약간 형성되어 파이프의 외관이 양호함
△: 파이프의 성형성은 가능하나, 파이프의 내외면 상에 작고 거친 비평탄면이 많이 형성되어 파이프의 외관이 불량함
×: 파이프의 성형 불가
구분 항복인장강도
(MPa)
저온취하온도
(℃)
산화유도시간
(min)
파이프 외관 파이프 성형성
실시예1 17 -13 148
실시예5 18 -14 151
실시예6 19 -13 159
실시예8 17 -14 159
실시예10 18 -14 140
비교예1 19 -10 130 ×
비교예2 19 -10 117
비교예3 19 -10 115
비교예4 20 -10 120 ×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5, 6, 8 및 10은 비교예1 내지 4에 비해 항복인장강도, 저온취하온도 및 산화유도시간이 우수하여 장기내구성이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실온에서 자일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함량이 1내지 10 중량%이고,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1238, 온도 190℃, 하중 2.16kg)가 0.1 내지 5g/10min인 폴리부텐-1 중합체(a) 100중량부, 및 실리콘계 오일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점도가 10,000 이상 100,000cPs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온에서 자일렌에 가용성인 분획의 함량이 10 내지 30 중량%이고, 멜트플로우레이트(ASTM D-1238, 온도 190℃, 하중 2.16kg)가 0.1 내지 0.5g/min인 폴리부텐-1 중합체(b)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부텐-1 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부텐-1 중합체(b)가 100 내지 50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폴레부텐-1 중합체(a) 및 폴리부텐-1 중합체(b)는 각각 독립적으로 부텐-1의 단독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7. 청구항 1, 2,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직경이 500nm 이하인 무기나노입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폴리부텐-1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무기나노입자는 탈크,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10. 청구항 1, 2,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항복인장강도가 17 내지 19MPa 이고, 저온취하온도가 -15℃ 내지 -13℃ 이고, 산화유도시간이 140 내지 16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KR20130103901A 2013-08-30 2013-08-30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 KR101496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901A KR101496710B1 (ko) 2013-08-30 2013-08-30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901A KR101496710B1 (ko) 2013-08-30 2013-08-30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710B1 true KR101496710B1 (ko) 2015-02-27

Family

ID=5259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3901A KR101496710B1 (ko) 2013-08-30 2013-08-30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9548B2 (en) 2017-11-24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151B1 (ko) * 1990-09-21 1995-04-01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폴리부텐-l 수지 조성물
JP2002226650A (ja) 2000-11-30 2002-08-14 Mitsui Chemicals Inc ポリ1−ブテ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KR100795913B1 (ko) 2000-12-26 2008-01-21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부텐계 수지, 그것으로 되는 관재료 및 관
KR20110006727A (ko) * 2008-05-16 2011-01-20 뮐티바스 에스아 가요성 파이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151B1 (ko) * 1990-09-21 1995-04-01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폴리부텐-l 수지 조성물
JP2002226650A (ja) 2000-11-30 2002-08-14 Mitsui Chemicals Inc ポリ1−ブテ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KR100795913B1 (ko) 2000-12-26 2008-01-21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부텐계 수지, 그것으로 되는 관재료 및 관
KR20110006727A (ko) * 2008-05-16 2011-01-20 뮐티바스 에스아 가요성 파이프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9548B2 (en) 2017-11-24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11218938B2 (en) 2017-11-24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20455A5 (ko)
EP1661935B1 (en) Transparent easy tearable film
JP6262350B2 (ja) 耐白化性および耐衝撃性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CN110832027B (zh) 包含异相丙烯共聚物的组合物
JP6499765B2 (ja) 改変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およびそのポリマーブレンド
BR112020020798A2 (pt) Composição de polipropileno e artigo moldado
KR101185710B1 (ko) 투명성 및 내충격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496711B1 (ko)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이를 성형하여 제조된 성형체 및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60039405A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성형품
JP5237376B2 (ja) 改良した加工性を有する軟質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KR100842162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이로부터 제조된 수지 성형품
KR101834078B1 (ko) 수축률 및 외관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496710B1 (ko) 폴리부텐-1 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
KR101738723B1 (ko) 저온 열봉합 특성이 우수한 어텍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664584B1 (ko) 수축율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KR102187560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909577B1 (ko) 투명성, 연질성 및 수축률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KR20080090128A (ko)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이를 포함하는 제품
CN110770292B (zh) 包含异相丙烯共聚物的组合物
JP6826595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KR10133089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3894822B2 (ja) 樹脂組成物及び延伸成形体
US11091618B2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KR101188924B1 (ko) 투명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JP2004292723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