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912B1 - 전자식 내연기관의 저온시동 제어방법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식 내연기관의 저온시동 제어방법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912B1
KR950000912B1 KR1019880700064A KR880700064A KR950000912B1 KR 950000912 B1 KR950000912 B1 KR 950000912B1 KR 1019880700064 A KR1019880700064 A KR 1019880700064A KR 880700064 A KR880700064 A KR 880700064A KR 950000912 B1 KR950000912 B1 KR 95000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short
pulses
ignition
tim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제나우 윌리
바렌타 파울
씨에메 미카엘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랄프 베렌스, 페터 뢰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랄프 베렌스, 페터 뢰저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02D41/06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at cold st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the corrections being time depend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02D41/402Multiple inj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6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전자식 내연기관의 저온시동 제어방법 제어 시스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는 도면에 나타나 있으며 이하에서 그 설명을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제 1 도는 전자식 내연기관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
제 2 도는 이 기능의 결정에 대해 이미 필요로 하는 인자들이 그곳으로부터 그들의 호칭에 의해 취해질 수 있는 종래 저온 시동 기능의 진행을 도시한 도면.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해 실현되는 새로운 저온 시동 기능(CS 기능)의 진행을 도시한 도면.
제 4 도는 점화 포인트의 적절한 시기의 발생에 관련한 것으로 CS 단기간 분사 펄스(t1 *)의 발생에 대한 연속적인 실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5 도는 저온 시동 분사펄스(t1 *)의 다른 순서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 6 도, 제 7 도 및 제 8 도는 제 4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테이블(table)로부터 t1 *수의 결정을 가지며, 제어된 증가의 경우에 부가적인 경사 표시를 가지며, 그리고 부가적인 엔진 속도 표시를 가지는 각 TD 간격으로 참조된 단펄스의 연속 다이아그램.
[발명의 상세한 설명]
[종래 기술]
본 발명은 연료 계량용 신호 발생 단(stage)을 갖는 전자식 내연기관의 저온 시동 제어 방법(process)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에 제공된 연료 계량(fuel meteing) 시스템, 예를 들면 연료 분사 시스템, 기화기 등과 같은 저온 시동(cold-start) 제어 또는 저온 시동 부스팅(boosting)의 측정은 공지되어 있다(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제2,511,974호 및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공보 제3,042,245호). 이 공지된 시스템들은 특히 저온 범위에서 내연기관을 시동하는 동안 상기 엔진이 저온 흡입 파이프벽과 실린더 내벽에 기인한 응축손실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상하기 위하여 연료의 보충 공급(supplementary feed)에 의해 계량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보충 공급이 온도에 의존하도록 미리 설정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즉, 초기 분사시간(t1)을 시동중에 주위 온도의 함수로 미리 설정하고 연속하여 이 보충 공급을 속도에 의존하도록 또는 시간에 의존하도록 감소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시동중에 속도 의존 점화조정이 공지되어 있는 유사한 경우와 점화영역에 적용되며, 이것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이 상술한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공보 제3,042,245호 기재되어 있다.
더 양호한 시동성능에 대한 요구와 가능한 최소 연료 소모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욱 엄격하게 되는 방출 조정을 고려해도, 보충 연료 공급 제어 및 보충 공급 감소에 대한 3개의 다른 국면(phase)이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공보 제3,042,24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공되며, 점화각은 온도에 의존하고 속도에 의존하도록 조정된다. 이 경우에 공급된 연료량은 시동중에 어떤 곡선 진행(curve progression)을 따르며, 내연기관의 속도에 적합하거나 시간에 관련한 것 중에 이 곡선 진행은 내연기관의 미리 설정된 점화 또는 회전 수가 [플래토(plateau)영역에] 도달될 때까지 제1국면 동안에 공급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그곳으로부터 보충 공급 감소 국면이 존재하며 여기서 공급된 연료량은 선형적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전이 영역까지 가파른 급강하 기능을 따르고 이는 예를 들어 상부 시동속도에 도달하자마자 개시되고 소위 시동후의 농후화 또는 워엄구동(warm running)으로의 변환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마찬가지로 점화 시스템에서, 저속범위에서 증가하는 전진조정과 더욱 높은 온도를 향해 더 크게 되는 지연 조정을 일으킨다.
각각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곡선 진행은 때로는 실현하기 어렵고 또한 복잡하고, 속도 의존 기능과 점화 수에 의존하는 기능이 적어도 보충 공급 감소 영역에 합체되어야 한다. 동시에, 플래토 영역(저온 시동 범위 I)에서의 점화 수가 고려되어야 하거나 또는, 플래토 영역으로부터 보충 공급 감소까지의 변환을 실행하기 위하여 저온 시동 속도 한계값[(threshold : NKS=f(n)]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저온 시동 기능은 현대의 내연기관 제어 시스템의 경우에 흔히 있는 것과 같이 그 기능이 컴퓨터식으로 제어되고 각 기능과 값이 일정한 프로그램 지점에서 메모리로부터 요청될 수 있는 경우에도 복잡하다.
그러나 더욱이 상기 문제는 이들이 각 작동 상태에 따라 보상되고 계산된 연료량을 분출하고 각 분사 밸브의 대응적으로 조절된 개구에 의해 점화당 일회(single-per-ingition)만 연료를 분배하는 공지된 저온 시동 제어 시스템에서 발생하며, 이것은 특히(예를 들면 임계 스파크 플러그 위치를 갖는) 일정한 엔진 형태의 경우에, 영하의 온도에서 의심스러운 점화성 혼합물의 생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그래서 종종 저온 시동 제어 시스템(CSC 시스템)의 적용은 연소공간의 설계 및 불충분한 스파크 플러그 위치 때문에 일정한 엔진 형태의 경우에는 매우 어렵게 되고, 그리하여 내연기관이 시동하게 되는 저온 시동 한계(limit)가 또한 의심스러울 수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때로는 상당한 량으로 분사된 연료가 액체 형태로 스파크 플러그에 도달한 다음 전화 스파크를 꺼버릴 수 있거나 또는 점화성 혼합물이 간단히 형성되지 않는다는 상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 목적은 공지된 저온 시동 제어(CSC)의 단순화를 달성함과 아울러, 저온 시동 한계가 낮추어질 때 점화성 혼합물이 항상 연소공간속으로 도입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각 독립항의 특징으로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며, 실험적인 조사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공지된 저온 시동 제어시스템으로 달성되는 수치 즉 -22℃로부터 현재의 시스템으로 달성되는 수치, 즉 -28℃까지의 저온 시동 한계의 상당한 저하가 얻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자동 기어박스 및 무연 동절기 가솔린을 갖는 Volvo B23F로 처리된 테스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저온 시동 시스템 및 일정한 온도 조건에 따라 내연기관을 시동할 수가 없었던 상기 엔진 형태의 경우에도 직접 자발적 시동을 양호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들 장점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엔진의 연료 범람(flooding)이 연소공간 및 흡입 파이프 영역에서 큰 습윤면을 얻음으로써 회피되는 장점을 갖는 공지된 저온 시동 제어 시스템에 철저한 단순화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시동 특성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전에 필요로 했던 인자(factor)들의 매우 정확한 조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으며, 내연기관은 기대될 수 있고 전의 경우와 같이 더 이상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다. 즉, 임계 상태에서도 확실하게 시동할 수 있던 일정한 특정 저온 시동 곡선 진행에 대한 매우 정확한 배향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내연기관의 시동 작용은 저온 및 매우 낮은 온도에서도 비임계 상태로 된다.
적용하기 어려운 속도 의존 함수 및 전이영역에 대한 점화수 의존함수[가파른 급강하 영역 GKS=f(n) 및 HKS=f(TD 점화수)]는 함수 Zo=저온 시동범위 I(플래토 여역)에서의 점화수 및 범위 I로부터 범위 II까지의 변환에 대한 속도 한계값[한계값 NKS=f(n)]을 결정을 실행할 때 없이도 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유익한 전개 및 개량점은 특허청구의 범위 종속항에 주어진 치수에 의해 가능하다. 컴퓨터에 의해 형성되고 분사 밸브를 작동시키는 최종 단계가 개시되는 시간 슬롯 패턴에 의한 다수의 단기간(short-duration) 분사 펄스(t1 *)의 간단한 실현이 특히 유익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
다음은 전자식 내연기관 제어 시스템으로 시동하는 경우의(특히 LH-Jetronic으로 공지된 본 출원인의 연료 분사 시스템에 적합한) 신호 발생을 다룬다. 이 시스템의 경우에 연료는 펄스폭(pulse-width) 변조 신호에 의해 간헐적으로 트리거(trigger)되는 분사 밸브를 거쳐 개량된다.
제 1 도에 다르면, 전자식 내연기관 제어 시스템은 분사 펄스(t1)용 신호 발생 단계(10)를 가지며, 그곳에서 분사 밸브(11)가 트리거되고, 또한 스파크 플러그(13)를 트리거하기 위한 점화용 신호 발생 단계(12)가 더욱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되었다. 두 신호 발생 단계(10, 12)를 위한 주입 입력 변수(parameter)는 속도, 온도 및 부하에 대한 센서에서 나온다. 또한, 분사 신호 발생 단계(10)도 시동 신호를 공급한다.
제 1 도에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은 단순히 본 발명의 적용 범위 및 작용을 도시하고, 본 발명에 대한 측정인자들은 다음의 다이어그램에 지시하는 바와 같이 시동중에 작동 진행의 형식 및 설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설정된 작동, 순서 및 제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한 특수 회로는 기존의 내연기관 제어 시스템이 컴퓨터 제어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되는 바와 같이 불필요하게 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작동 및 수치는 어떤 프로그램 포인트에서 메모리로부터 찾아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한 다이어그램 및 작동 진행은 본 발명의 기본작동 효과를 도시하고, 본 발명을 개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 각 모듈발명 및 블록은 아날로그, 다지탈 도는 하이브리드(hybrid) 기술 등을 사용하여 설계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제어식 디지털 시스템 즉,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및 전체 또는 부분 조합된 종류의 대응 범위에 속할 수도 있다.
제 2 도에 도시한 종래 저온 시동 작동의 경우에, 전제 저온 시동 분사 시간은 분사 시간에 제 5 도에 도시한 "종래 t1출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범위 I(플래토 영역)로 기능이 세분되고, 분사시간을 결정하고 크랭크 샤프트 회전이 180°KW마다 변경하며, 따라서 180°KW 동안 완전 분사가 되고 각 분사 펄스가 다음 180KW 동안 차단되는 t1- 하이/로우의 절환상태가 있고, 상부 시동속도(NST 3T)가 달성될 때까지 감소기능 GKS 및 HKS(일반적으로 급경사-강하 작동진행)를 가진 저온-시동 공급 감소의 다음 범위 II에서 낮은 시동 속도 한계값(NKS)이 발생하고, 다음에 저온-시동 제어가 감소되고 후-시동 증폭(NSA) 또는 정온-주행기능(WL)을 수반하는 범위 III으로 변환하며, 이는 내연기관을 시동하는데 필요한 연료량이 공급되었을 지라도 각 경우에 점화점과 관련되며, 이에 따라 저온-시동을 위한 펄스 지속기간(pulse duration)의 장기화로 인하여 대체로 간헐적인 방법으로 연료가 공급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개념에서 벗어나고, 종래 분사 펄스의 지속기간 또는 미리 설정된 인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다른 변수를 분할하고, 이렇게 얻어진 상기 펄스폭을 분사밸브를 반복적으로 트리거하기 위해서 각 경우에 점화시간 간격 내에서 선형시간 척도(scale)로 사용하고, 가능하면 기본으로써 다른 인자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저온-시동 단기가(short-duration) 분사 펄스(t1 *)로서 참조되고, 약자로서는 단펄스(t1 *)로써 언급되는 각 경우의 제1분사 펄스의 시작은 UBatt의 기록과 동시에 이루어지고 각 점화점과 관련된 소위 TD신호에 의해 시동된다.
제 4 도에 도시한 저온 시동 단기간 분사 펄스(t1 *) 제1연속 실시예는 본 발명을 도시하고 있다. 시동중에 시간 척도로 언급된 제 2 도의 곡선 진행의 범위 I 및 II를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해서, 크랭크 샤프트 회전이 180°KW마다 발생하는 분사시간 "t1-하이/로우"는 yms마다 "t1-하이/로우"로 대체되고, Z분사가 각 경우에 미리 설정된 ms 간격에서 발생한다(여기서 Z=가변 계수, y는 t1 *단 펄스 사이에서 미리 설정 가능한 시간 간격이다).
숫자의 값을 검토하면, 예를 들어 180°KW당 종래의 단일 분사 펄스 대신에, 단 분사 펄스(t1 *: 예를 들어 Z=4)는 분사 밸브(밸브들)의 최종 단의 작동에 대응하는 선형시간 간격에서 y=40ms마다 분사될 수 있고, 물론 이것은 시동 중에 각 경우에 도달된 속도의 문제이다. 즉, 단 펄스(t1 *)가 얼마나 많은(수=X) TD 간격에 적합한지에 대하여 점화점(TD)의 발생과 이 발생으로 형성된 각 간격의 문제가 된다. 제 4 도에 따르면, 5개의 단 분사 펄스(t1 *)는 40ms의 시간 간격으로 제1TD1펄스와 제2TD2펄스 사이에 배치되고, 동시에 n증가와 함께 단지 4개의 단 분사 펄스(t1 *)가 TD2와 TD3 사이에서 TD 간격에 일치한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일은 비교적 간단하게 성취된 공급 감소를 초래하며, 또한 더 짧아지는 TD 간격과 함께 더 짧은 단 분사 펄스(t1 *)를 발생하게 되는 유리한 방법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것은 자연적인 절차에서 전체적으로 요구되며, 상부 시동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더 작아지게 되는 점화시간 간격으로 간단하게 제 3 도에 대응하는 저온-시동 기능의 연속적인 순간 진행을 만든다. 각각의 경우에 점화시간 간격과 일치하는 다수의 단 분사 시동 펄스는 시동의 시작 직후에 점화 성능을 달성할 정도로 연료의 보다 미세한 분무를 생설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다수의 단기간 저온-시동 분사 펄스(t1 *)의 주파수 분포는 시간-선형 척도에서 명백하게 되고, 정상과 정상적으로 계산된 분사 펄스간의 중간 펄스가 내연기관의 시동중에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는 공지된 처치법과 어떠한 관계도 가지지 않으며, 상기 중간 펄스가 분사 펄스와 일치하여 발생하든지 하지 않든지의 관계가 없음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변수 명칭의 기술적 의미를 하기 표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FKST=저온 시동 인자(T=테이블에서)=f(θ)
TLST=시동중(기본) 분사시간(t1: 여기서 t1는 최종적으로 보정된 분사 펄스를 지칭한다.)
TIH, L=하이 및 로우 바이트(byte)로부터의 분사 시간+전압보정
TMOT=엔진 온도(θ)
NST2=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즉, 341rpm) 이하로 하강할 시에 KSIANZ의 (재)시동 속도 한계값
KAIANZ=n〈NST2〈48TD에서 t1/TD의 수
HKSIAN=TD에서 48TD까지 미리 설정된 단계(즉, 8TD)에서 TD당 분사수에 대한 테이블
NST3T=상부 시동 속도 테이블=f(θ)
KSSTEI=t1경사 변화에 대한 변수(parameter)
제 5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종래 저온-시동 t1출력"의 종래 공정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분사된 소위 FKST-t1연료 양이 점화성 혼합물을 자발적으로 즉시 생성할 정도로 미세하게 분무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동시에, 점화(TD)당 시동 범위에 혼합물을 자발적으로 즉시 만들어낼 정도로 미세하게 분무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동시에, 점화(TD)당 시동 범위에 대해 현재 FKST-t1로 분사된 연료량은 숫자로 도시된 X단펄스(t1)가 식(x t1/z)에 따라 예를 들어, z=4로 각 점화시간 간격에서 발생되는 방법으로 분할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100MHz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에서 작용되는 카운터와, 제 5 도의 곡선 진행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제1점화 펄스(제1TD)로 형성되는 x펄스의 시간 슬롯 패턴에 의해 실현되고, 이 패턴에서 분사 밸브용 최종 단계가 제어된다. 따라서, x t1 *펄스는 두 점화 사이에 발생되고, x폴드(fold : t1 *)는 각각의 TD 간격이 적합한 시간에서 x t1펄스보다 더 클때마다 다음 차단 =TD에서 재시동된다. x t1 *보다 작은 TD 간격이 발생되면, 상기 계산은 차단되고, 이에 의해 또한 미리 설정된 량에 대한 소정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덧붙여 말하면, 제 5 도의 다이어그램에서 점화점(TD)은 동일한 간격으로 설정된다. 상부 시동 속도(NST3T)가 달성되는 순간(후-시동 및 정온 주행으로 전이)에, 주파수 제어는 상쇄된다. 끝으로, 저온 시동을 위한 다수의 단 분사 펄스(t1 *)는 모터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터리 전압, 공기 습도 및, 분사 밸브의 분무 특성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제수(Z)에 대한 양호한 수치는 낮은 배터리 전압을 갖는 분사 밸브의 픽업(pickup) 및 드롭아웃(dropout) 시간을 고려하여 4와 16 사이에 놓이고, 이 범위 내에서 저온-시동 분사의 다단계 분할이 양호하게 배열될 수 있다.
단 펄스(t1 *)의 수(x)는 예를 들어, 크랭크 샤프트 회전의 기능으로써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적합한 방법으로 저장되는 즉, x=f(KWU) 또는 x=f(HKSIA)TAB로 저장되는 변수의 정의로 상술한 바와 같이 HKSIAN 테이블을 기본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 6 도에 도시한 공정은 어떤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저장된 HKSIAN 테이블에서 얻은 단 펄스(t1 *)의 수(x)를 나타내고, 40ms의 각 단펄스 사이의 시간 간격이 기본(가능한 실시예로써)으로써 사용되고 있다.
동시에,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고, 저온 시동 동안에 통상적인 심한 변동 및 낮은 배터리 전압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시 말해서, 분사 밸브의 전압-종속 픽업 시간을 고려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상태는 기록되고 판독되며, 비례 보정이 각 분사 주기에 f(UBatt)로써 부가된다. 이러한 UBatt기록은 미리 설정된 시간 슬롯 패턴 다시 말해서 이 경우에는 40ms마다 동기적으로 실행되고, t1 *단 펄스가 다음식의 시동 작동시에 분사된다.
t1 *=FKST(θ) TLST+tsstart(UBatt)
상기 테이블 값상의 단 분사 펄스 수(x)의 상기 예시적 실시예의 경우에, 이러한 방법으로 공급된 저온-시동 공급은 혼합물이 농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블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증가하는 크랭크 샤프트 회전동안 각 경우에 두 점화 사이에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점화 사이의 분사수(x)는 시동후 시간(△t : TD로부터 TD까지)의 함수이다. 이러한 감소는 제 4 도의 연속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각 경우에 두 TD 펄스 사이에서 주기의 종료에 의해서가 아니라 단위 시간당 크랭크 샤프트 회전의 기록된 수를 고려하여 실제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 경우에 단펄스 시간 간격(y)의 선택이 자유롭다.
또한, 어떤 상황에서 공급량에 관한 연료 문제점은 분사가 360°KW마다 다시 이루어지는 동안 시동 펄스로부터 후시동 펄스까지의 변화 동안에 발생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7 도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즉, 프로그램 가능한 시간 후에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예를 들어, 단 펄스(t1 *)가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각 상대지속 기간 내에 증가되는 시동 시작으로부터 TDs수로 결정될 수 있고, 단지 그 차이는 단기간 t1 *기본 펄스 t10 *와증가된 t1 *펄스 사이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어된 증가는 제 7 도에서 세 개의 다른 경사(1, 2, 3)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변화의 미리 설정된 수로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제어된 증가는 시동 작동이 간접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제한된 증가없이 시동 시작시부터 TD 펄스 수임) 내에서 완성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증가된 속도에 의해 발생된 과농후 혼합물 때문에 엔진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연기관이 온도 의존 속도 한계값(NST3)에 도달하지 않을 때 다시 전환시켜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과농후 혼합물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시 말하면, 긴 시동 시간의 경우에 내연기관의 연료 범람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어진 TD수(≥48) 이후의 t1 */TD수를 하나의 (t1 */TD의 최소 수치로 감소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8 도의 실시예에 따르면, 속도가 미리 설정된 하부 속도 한계값 이하로 떨어진다면 미리 설정된 하부 속도 한계값(n 한계값 NST2)으로부터 t1 */TD의 선택 가능한 (하부) 수까지 절환시키므로써 "연료 범람"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8 도에는 TD3에서 엔진 속도가 TST2보다 낮은 범위까지 하강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지점으로부터 단지 두 t1 *단 펄스는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지점 TD5까지 정확히 분사되고, 이로부터 t1 *단 펄스의 미리 설정된 수 즉, x=5는 미리 설정된 TD수(TD≥48)에 도달할 때까지 다시 분사되고, 이 시간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t1 *수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두 경우에 즉, 속도가 속도 한계값(NST2) 이하로 하강할 때 그리고 속도가 이 속도 한계값 이상으로 상승할 때, 공급될 단펄스(t1 *)수는 상술한 테이블로부터 KSIANZ와 HKSIAN를 미리 프로그램한다.
상술된 모든 형태와 청구범위 및 도면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필수적이다.

Claims (12)

  1. 동시 또는 후속 흐름 제어와 함께 연료 증가 계량이 시동 중에 일어나고, 단위 시간당 및/또는, 회전 수당 및 또는, 점화 회수당 저온 시동중에 출력된 분사 펄스(t1)의 수를 복수배 초과하는 규정된 수의 순차 저온 시동 단기간 분사 펄스(t1 *)가 순차 점화 시간 간격당 최종 단에 공급되어 분사 밸브 또는 밸브들을 제어하고, 상기 점화 시간 간격이 회전 속도의 증가시 좁아질 때마다 상기 저온 시동 단기간 분사 펄스(t1 *)의 발생이 차단되는, 연료 계량용 신호 발생 단들을 갖는 전자식 내연기관 제어 시스템의 저온 시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시간 간격을 갖는 동수의 상기 저온 시동 단기간 분사 펄스들(t1 *)로 시동 범위에 대한 점화당 분사될 연료량이 세분되고, 상기 저온 시동 단기간 분사 펄스 간의 시간이 규정된 분할 계수(Z)와는 독립적이므로 점화 시간 간격(td1/td2/td3…)이 길 때에는 저온 시동 단기간 분사 펄스가 더 많이 발생하고 점화 시간 간격이 짧을 때에는 저온 시동 단기간 분사 펄스가 더 작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시동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 분사 펄스(t1 *) 회수가 상기 크랭크 샤프트 회전[x=f(KWU)]의 함수로서 저장 테이블(HKSIAN)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시동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시동 개시(0TD)로부터 규정된 전체수(48TD)까지 규정된 수의 TD 간격들에 대해 TD 펄스 간의 각 시간 간격동안 상기 저장 테이블(KHSIAN)이 단기간 분사 펄스(t1 *)의 분사회수(x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시동 제어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개시부터의 TD수인 규정된 프로그램 가능 시간 후에, 시동 국면으로부터 시동후 국면까지의 전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단기간 분사 펄스(t1)의 지속 기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저온 시동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시동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절차로부터 규정된 시간 지속 기간 내에서 상기 시동 절차가 온도 의존 회전 속도 한계값(NST3) 도달하므로써 끝나지 않을 때마다 상기 제어가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시동 제어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농후 혼합물(엔진 정지)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속도가 규정된 다른 회전 속도 한계값(n 한계값=NST2)보다 더 낮을 때, 제1테이블(HKSIAN)로부터 규정된 단 펄스 분사 회수가 더 적은 수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시동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속도가 상기 제2회전 속도 한계값(NST2)보다 더 낮을 때 시간 간격(TD)당 단기간 펄스(t1 *)의 회수(x)를 결정하기 위해 다른 저장 테이블(KSIAN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시동 제어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규정된 경사 변수에 따라 연료량 증가의 상기 제어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시동 제어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8 이상의 점화 펄스 회수로 참조된 TD 펄스 회수가 초과되는 규정된 시간 지속 기간이 경과된 후에, TD당 하나의 단기간 분사 펄스(t1 *)를 최소한으로 규정된 수까지 단 분사 펄스(t1 */TD) 회수(x)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시동 제어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시동 분사 펄스(t1 *)의 발생과 동기하여 배터리 전압 기록이 실행되고, 상기 분사 밸브의 전압 의존 작동 회수를 고려하기 위하여, 특정 단 분사 펄스가 다음 식으로 주어지도록 부가적으로 비례 배터리 전압 보정이 실행되며
    t1 *=FKST(θ) TLST+tSstart(Ubatt)
    여기서, FKST는 저온 시동 계수를 지시하고, TLST는 시동시의 기본 분사 회수를 지시하며, tSstart(UBatt)는 배터리 전압에 의존하는 보정 변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시동 제어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 회전을 증가시킴으로써 두 점화간의 각각에 공급된 상기 저온 시동량이 하향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시동 제어 방법.
  12. 연료 계량 및 점화용 신호 발생 단을 가지며, 단위 시간당 및/또는, 회전수당 및/또는, 점화 회수당 저온 시동중에 출력된 분사 펄스(t1)의 수를 복수배 초과하는 규정된 수의 순차 저온 시동 단기간 분사 펄스(t1 *)가 순차 점화 시간 간격당 최종 단에 공급되어 분사 밸브 또는 밸브들을 제어하고, 상기 점화 시간 간격이 회전 속도의 증가시 좁아질 때마다 상기 저온 시동 단기간 분사 펄스(t1 *)의 발생이 차단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저온 시동 제어를 위해 제 20 항 내지 제 30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식 내연기관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분사 펄스 시간을 갖는 상기 저온 시동 단기간 분사 펄스(t1 *)의 동일수로 시동 범위에 대한 점화당 분사될 연료양이 분할되도록 상기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저온 시동 단기간 분사 펄스 간의 시간이 규정된 분할 계수(Z)와는 독립적이므로 점화 시간 간격(td1/td2/td3…)이 길 때에는 저온 시동 단기간 분사 펄스가 더 많이 발생하고 점화 시간 간격이 짧을 때에는 저온 시동 단기간 분사 펄스가 더 적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내연기관 제어 시스템.
KR1019880700064A 1986-05-21 1987-01-14 전자식 내연기관의 저온시동 제어방법 제어 시스템 KR950000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63617104 DE3617104A1 (de) 1986-05-21 1986-05-21 Verfahren und elektronisches brennkraftmaschinensteuersystem zur kaltstartsteuerung
DEP3617104.2 1986-05-21
PCT/DE1987/000010 WO1987007329A1 (en) 1986-05-21 1987-01-14 Process and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cold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912B1 true KR950000912B1 (ko) 1995-02-03

Family

ID=63013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064A KR950000912B1 (ko) 1986-05-21 1987-01-14 전자식 내연기관의 저온시동 제어방법 제어 시스템
KR877000064A KR887001321A (ko) 1986-05-21 1987-11-14 저온시동 제어용 프로세스 및 전자식 내연기관 제어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7000064A KR887001321A (ko) 1986-05-21 1987-11-14 저온시동 제어용 프로세스 및 전자식 내연기관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76238A (ko)
EP (1) EP0307393B1 (ko)
JP (1) JPH01502600A (ko)
KR (2) KR950000912B1 (ko)
DE (2) DE3617104A1 (ko)
WO (1) WO1987007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9820B2 (ja) * 1990-12-27 1999-03-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方法
JPH05214985A (ja) * 1992-02-05 1993-08-24 Fuji Heavy Ind Ltd 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方法
DE19728721A1 (de) * 1997-07-04 1999-01-0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Zumessen einer Kraftstoffmenge im Startfall einer Brennkraftmaschine
US6050243A (en) * 1998-07-17 2000-04-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US6360531B1 (en) 2000-08-29 2002-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vehicle emissions
DE10115969B4 (de) * 2001-03-27 2010-04-01 Volkswagen Ag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zugeführten Kraftstoffmenge während eines Startvorganges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AU2003249698A1 (en) * 2002-07-12 2004-02-02 Cummins Inc. Start -up control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6701895B1 (en) * 2003-02-26 2004-03-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ylinder event based spark
DE602005026974D1 (de) * 2004-11-03 2011-04-28 Philip Morris Usa Inc Hochfrequenzeinspritzdüse für verdampften brennstoff
JP2007032382A (ja) * 2005-07-26 2007-02-08 Toyota Motor Corp 筒内直噴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8474432B2 (en) 2007-02-15 2013-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vent-based direct injection engine starting with a variable number of injections
US7866303B2 (en) 2007-02-15 2011-01-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 injection event-based engine starting
EP2083162B1 (en) * 2008-01-28 2012-11-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 method for controlling two consecutive injection pulses in an electrically-actuated fuel injector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347862B2 (en) * 2009-12-23 2013-0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jecting fuel to a gaseous fueled engine
GB2503468B (en) * 2012-06-27 2015-02-11 Perkins Engine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fuel to be injected within a combustion engine
US9347390B2 (en) 2013-03-20 2016-05-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de-choking in response to an engine flood event
JP6152685B2 (ja) * 2013-04-09 2017-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噴射量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98748A (ko) * 1968-05-06 1970-07-06
FR2151715A5 (ko) * 1971-09-10 1973-04-20 Sopromi Soc Proc Modern Inject
GB2047351B (en) * 1979-04-21 1982-11-10 Lucas Industries Ltd Control of fuel injection systems for starting i c engines
DE3042245A1 (de) * 1980-11-08 1982-06-09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onisches brennkraftmaschinensteuersystem
JPS5844232A (ja) * 1981-09-10 1983-03-15 Nippon Denso Co Ltd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
JPS58220934A (ja) * 1982-06-16 1983-12-22 Honda Motor Co Ltd 内燃エンジンの加速時燃料供給制御方法
DE3539732C2 (de) * 1984-11-09 1994-11-17 Nippon Denso Co Elektronisch gesteuertes Brennstoffeinspritz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S61258951A (ja) * 1985-05-10 1986-11-17 Nippon Denso Co Ltd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H0610439B2 (ja) * 1985-08-01 1994-0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H06103005B2 (ja) * 1986-01-31 1994-1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制御式燃料噴射制御方法
US4691680A (en) * 1986-05-22 1987-09-08 Brunswick Corporation Starting-enrichment control for a fuel-injected engine
JPS63167049A (ja) * 1986-12-27 1988-07-11 Honda Motor Co Ltd 内燃エンジンの始動後燃料供給制御方法
JPS6460756A (en) * 1987-08-28 1989-03-07 Fuji Heavy Ind Ltd Start controller for engine
DE3864829D1 (de) * 1988-11-28 1991-10-17 Siemens Ag Verfahren zum einspritzen von kraftstoff in eine brennkraftmaschine.
JP2957590B2 (ja) * 1989-02-23 1999-10-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2サイク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64271D1 (de) 1990-09-13
DE3617104A1 (de) 1987-11-26
KR887001321A (ko) 1988-07-26
EP0307393A1 (de) 1989-03-22
EP0307393B1 (de) 1990-08-08
WO1987007329A1 (en) 1987-12-03
US5076238A (en) 1991-12-31
JPH01502600A (ja) 1989-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912B1 (ko) 전자식 내연기관의 저온시동 제어방법 제어 시스템
DE19854492B4 (de) Kraftstoffeinspritz-Regel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US5231962A (en) Fuel injection control system with split fuel injection for diesel engine
US4242992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fuel injectors
US4432325A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842454A (en) Fuel pump control with control mode switching between before and after engine starting
US3867916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control system
US3812830A (en) Electronic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s for internal combustion motors
US41482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d starting fuel injec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184460A (en) Electronically-controlled fuel injection system
US4516550A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a fuel metering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elf-ignition
US4133326A (en) Fuel contro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683871A (en) Fuel supply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oviding voltage compensated cranking enrichment
JPS6029824B2 (ja) 内燃機関の低温始動方法および装置
US4284046A (en) Contactless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142479A (en) Method of preventing spark plug fouling
US5138987A (en) Process for heating the intake ai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by means of a flame starting system
US4617892A (en) Fuel-optimizing electronic control circuit for a fuel-injected marine engine or the like
US4208991A (en) Anti-flood circuit for use with an electronic fuel injection system
DE422368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fahrzeugs mit einer vielseitigen brennstoffversorgung bzw. mit einer mehrstoff-brennstoffversorgung
US5033439A (en) Injection supply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electronic control
EP0110312B1 (en) Engine control method
US4602600A (en) Method of controlling diesel engine
US4198932A (en) Anti-flood circuit for use with an electronic fuel injection system
US4479479A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ignition system and use of this igni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