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220B1 - 엔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엔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220B1
KR950000220B1 KR1019890015866A KR890015866A KR950000220B1 KR 950000220 B1 KR950000220 B1 KR 950000220B1 KR 1019890015866 A KR1019890015866 A KR 1019890015866A KR 890015866 A KR890015866 A KR 890015866A KR 950000220 B1 KR950000220 B1 KR 950000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gnition
cylinder
angl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168A (ko
Inventor
쇼지 사사끼
겐지 다부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히다찌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모리 미찌쯔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히다찌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모리 미찌쯔구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0000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5/00Electric spark ignition having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P1/00 - F02P13/00 and combined with layout of ignition circuits
    • F02P15/008Reserve ignition systems; Redundancy of some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F02P3/04Layout of circuits
    • F02P3/045Layout of circuits for control of the dwell or anti dwell time
    • F02P3/0453Opening or closing the primary coil circuit with semiconductor devices
    • F02P3/0456Opening or closing the primary coil circuit with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gital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5Analogue data processing
    • F02P5/1553Analogue data processing by determination of elapsed angle with reference to a particular point on the motor axle, dependent on specific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6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circuit-makers or -breakers, or pick-up devices adapted to sense particular points of the timing cycle
    • F02P7/077Circuits therefor, e.g. pulse generators
    • F02P7/0775Electronical vern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엔진 제어 시스템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제어 시스템의 한 실시예(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 다이어그램.
제 2 도는 제 1 도의 전자 배전회로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 3 도는 제 1 도의 I/O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 4 도는 I/O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챠트.
제 5 도는 POS신호가 결함있을 때 I/O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챠트.
제 6 도는 점화신호의 백업을 위한 플로우챠트.
제 7 도는 백업점화신호발생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챠트.
제 8 도는 실린더신호의 백업을 위한 플로우챠트.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배전회로의 내부구성의 다른 실시예(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제 10 도는 본 발명에 따른 I/O의 내부구성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제 11 도 및 12 도는 제 2 실시예의 플로우챠트.
제 13 도는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챠트.
본 발명은 엔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랭크각센서가 이상으로 될 때 백업에 적절한 엔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크랭크각센서가 이상으로 될 때 점화제어를 위한 백업방법으로써 종래 엔진 제어는 정상제어를 위한 크랭크각센서 뿐만 아니라 백업크랭크각센서를 제공하므로써 달성되어 일본국 특허공개 제62-22577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상크랭크각센서의 이상의 검출시 백업크랭크각센서의 출력이 점화시기를 연산하도록 스위치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점화시기 제어는 이상 작동에서 정상크랭크각센서가 백업크랭크각센서로 스위치될 때 적절히 달성되지 않는다. 그결과 정상점화시기신호는 크랭크각센서로부터 출력된 위치신호가 부족하게 될 때 돌연한 차단에서 출력될 수 없으나 즉시 회수된다. 따라서 회전변동이 최악의 경우에 엔진스톨을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화시기제어에 필요한 데이터중 하나인 크랭크각센서의 위치신호(POS신호)의 순간적인 결함에 의해 엔진의 스톨 또는 회전변동이 없는 엔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점화시기 제어가 각 점화신호에 의거하여 실행되게 하는 엔진 제어 시스템에 있으며, 이 시스템은 각각 엔진의 제 1 의 임의의 회전각 간격에서 출력되고 엔진의 각 실린더의 상사점에 일정한 각도관계를 갖는 기준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신호 발생수단과, 점화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의 임의의 회전각 간격보다 짧은 제 2 의 임의의 회전각 간격을 각각 갖는 위치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위치신호 발생수단과, 기준신호와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각도 점화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각도 점화신호 발생 수단과, 일정한 시간에 클럭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클럭신호 발생수단과, 기준신호와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시간점화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시간 점화신호 발생수단과, 위치신호에서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이상검출수단과, 위치신후에서 이상을 검출할 때 시간점화신호와 정상상태에서 각도점화신호를 출력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출력선택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점화시기가 위치신호의 정상 및 이상상태에서 제어된다.
상기 특정구성에 따라 점화시기제어는 정상상태에서 REF신호와 위치(POS)신호에 의거하여 달성되고 POS신호발생이 이상으로 될 때 기준(REF)신호와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달성된다.
그결과 엔진제어는 POS신호가 돌연히 부족하게 될 때에도 적절히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제 1 도에서 크랭크각센서(1)는 엔진 크랭크샤프트가 임의의 회전각으로 될 때 신호를 발한다. 즉 크랭크각센서(1)는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의 개개분당 각도(예를들면 2도)에서 위치신호(즉 POS신호)(1b)와 크랭크샤프트의 2회전 동안에 동등한 간격(6실린더 내연기관에 대해 120도)에서 엔진실린더의 갯수의 기준위치신호(즉 REF신호)(la)를 발생한다. REF신호는 예를들면 한 피스톤의 상사점에서 70℃까지 진전된 상대 각 위치에서 발생된다. 점화시기제어를 위한 신호는 REF신호에 의거하여 발생된다.
이들 REF와 POS신호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I/O)(2)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CPU)(3)에 공급된다. CPU(3)는 ROM(4)에 격납된 일시적 데이터와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처리작동을 완료한다. 부수적으로 CPU(3)에 의해 처리되는 일시적 데이터는 RAM(5)에 의해 래치된다. 처리된 데이터는 점화코일(9 내지 14)을 제어하도록 전자배전회로(8)에 I/O(2)를 통하여 각도점화코일(2a)로써 공급된다.
제 2 도는 전자배전회로(8)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크랭크각센서(1)에 의해 검출된 POS신호(1b)와 REF신호(la)는 AND게이트(21)에 의해 논리적으로 작동되고 실린더식별회로(22)에 입력되며, 여기서 각 실린더들이 서로 식별된다. REF신호(la)는 개개 실린더들에 의해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다. 예를들면 제 1 실린더를 가리키는 REF신호는 POS신호의 24쇼트의 펄스폭을 가지고, 제 2 실린더를 가리키는 REF신호는 POS신호의 20쇼트의 펄스폭을 가지며, 제 3 실린더를 가리키는 REF신호는 POS신호의 16쇼트의 펄스폭을 가지고, 제 4 실린더을 가리키는 REF신호는 POS신호의 12쇼트의 펄스폭을 가지고, 제 5 실린더을 가리키는 REF신호는 POS신호의 8쇼트의 펄스폭을 가지고, 제 6 실린더을 가리키는 REF신호는 POS신호의 4쇼트의 펄스폭을 가진다. 즉각 REF신호는 REF신호들 중 하나와 이 신호에 인접하고 펄스폭이 다른 하나사이에서 동일한 펄스간격으로 된다.
REF(la) 와 POS신호(1b)는 AND게이트(21)로 공급되고, REF신호의 펄스폭에 대응하는 펄스수를 갖는 출력을 출력한다. 실린더판별회로(22)는 카운터로 펄스수를 카운트하므로써 기준실린더신호(22a)를 출력하도록 실린더를 결정한다. 부수적으로 카운트값은 펄스상승검출회로(20)로 REF신호의 상승을 검출하므로써 소거된다. 시프트리지스터(24)는 기준실린더신호(22a)에 응하여 각 실린더로 각도점화신호(2a)를 이동시킨다. 더욱이 각도점화신호(2a)는 AND게이트(27)내지 (32)를 부가되어서 대응점화코일(9) 내지 (14)을 통하여 시프트리지스터(24)의 출력에 따라 점화되도록 실린더로 출력된다.
제 3 도는 I/O(2)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이 I/O(2)는 펄스를 입력하고 카운트하기 위한 ADV카운터(33)와, 진각치를 기억하기 위한 ADV리지스터(34)와, 비교기(37)와, 비교기(37)와, 펄스를 입력하고 카운트 하기 위한 DWELL카운터(35)와, 비동력공급각 DWELL을 기억하기 위한 DWELL리지스터(36)와, 비교기(38)와, 플립-플롭(FF)(39)으로 이루어진다.
I/O(2)의 작동은 제 4 도에 도시된 타이밍챠트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CPU(3)는 크랭크각센서(1)의 출력으로부터 엔진속도를 계산하고, ADV리지스터(34)와 DWELL리지스터(36)에서 진각치 ADV와 비동력공급 각 DWELL을 기억하도록 센서들(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엔진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받는다.
ADV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REF신호의 펄스상승으로부터 점화위치까지의 각도이다. DWELL은 점화위치로부터 점화코일에 동력공급의 다음 개시까지의 각도이고, 점화코일에 동력공급은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DWELL중에 실행되지 않는다.
ADV카운터(33)는 REF신호(la)와 POS신호(1b)를 입력하고, REF신호(la)의 펄스상승으로부터 POS신호를 카운트하기 시작하고, 다음 REF신호의 펄스상승에 의해 리셋트된다. ADV카운터(33)가 카운트하는 동안에 카운터치는 비교기(37)로 보내져 ADV의 리지스터 값과 비교된다. 카운터값이 리지스터값에 도달할 때 비교기(37)는 신호(37a)를 발하고 이것을 플립-플롭(39)의 리셋입력으로 보내며, 이에 의해 플립-플롭을 저레벨로 만든다.
한편 DWELL카운터(35)는 비교기(37)로부터 신호(37a)를 받을 때 POS신호(1b)를 총계한다. DWELL리지스터 값과 DWELL카운터값이 일치할 때 펄스신호는 FF(39)를 하이상태로 상승시키기 위해 DWELL비교기(38)로 부터 플립-플롭(FF)(39)의 셋트입력으로 공급된다. 부수적으로 DWELL카운터(35)는 DWELL비교기(38)의 펄스신호로 소거된다. 더욱이 ADV리지스터값과 ADV카운터(34)가 총계를 할 때 펄스신호(37a)는 상기한 바와 같이 FF(39)를 로우레벨로 강하되도록 ADV비교기(38)에서 플립프롭(39)의 리셋트입력으로 부가된다. 따라서 ADV카운터(33)는 REF신호(la)에 응하여 리셋트 되고 총계를 하며, DWELL카운터(35)는 ADV비교기(37)의 펄스출력(37a)에 응하여 총계를 하고, 이에 의해 각도점호신호(2a)는 IGN(2a)로서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립플롭(39)으로부터 출력된다.
보통 I/O(2)는 상기한 바와같이 각도점화신호(2a)를 발생시키도록 REF신호(la)와 POS(1b)에 의거하여 작동되지만, POS신호(1b)가 어떤 원인으로 부족하게 되는 경우에 정상작동을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 이작동은 제 5 도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제 3 도에 도시된 ADV카운터(33)는 POS신호(1b)를 총계하도록 REF신호(la)에 응하여 리셋트 된다. POS신호(1b)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족하다면 ADV카운터를 리셋트하는 REF신호(la)의 다음에 발생되는 REF신호(la)는 ADV카운터값이 ADV리지스터값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되고, ADV카운터는 리셋트상태로부터 다시 총계하도록 마지막으로 언급된 REF신호로 리셋트된다. 그결과 펄스신호는 상기 언급된 두 개의 REF신호 사이에서 발생되지 않아 플립-플롭이 로우로 될 수 없고 각도점화신호(2a)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되며, 이에 의해 점화가 실행되지 않는다. POS신호(b)가 REF신호(la)의 발생후 부족하지 않은 경우에 ADV카운터는 ADV리지스터값에 도달하도록 POS신호(1b)를 총계하여 신호가 점화코일로부터 스파크를 발생하도록 플립-플롭의 리셋트입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POS신호가 부족한 경우에 점화될 실린더는 점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POS신호(1b)의 부족의 백업은 제 6 도의 플로우챠트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개업중단신호 REFIRQ가 REF신호에 응하여 발생될 때 CPU는 본 플로우챠트에 따라 작동하기 시작한다.
스텝 601에서 REF신호들 사이에서 POS신호(1b)의 갯수가 읽어진다. POS신호의 카운트가 앞선 REF신호로 카운터를 소거하므로써 예를들면 POS신호 총계하므로써 달성될 수 있다. POS신호(1b)의 일정한 갯수가 REF신호(la) 사이에서 항상 발생된다. 예를들면 REF신호(la)가 매120도마다 발생되어 POS신호(1b)가 매 2도마다 발생되고 60개의 POS신호(1b)가 REF신호(la)사이에서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POS신호(1b)가 부분적으로 부족하게 된다면 POS신호(1b)의 갯수는 임의의 값이 아니어서 크랭크각센서(1)가 이상이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POS신호(1b)의 갯수가 임의의 범위내에 있는가에 따라 즉 다음 단계를 만족하는가에 따라 스텝 602에서 결정된다.
N1≤POS신호 갯수≤N2
여기서 N1, N2는 임의의 수다. 크랭크각센서(1)가 이상이라고 결정되는 경우에 루틴은 스텝 611로 나아가고, 여기서 POS신호(1b)에서 어떤 이상이 이전 스텝에서 발생되는가를 플랙(1)에 의해 결정된다.
POS신호(1b)가 이상이 아니라고 결정되면 즉 플랙(1)이 1이 아니라 0이라고 가리키면 점화타이밍은 보통 각 점화신호(2a)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POS신호가 이전스텝에서 이상인 경우에 DWELL카운터(35)와 ADV카운터(33)의 입력은 스텝 612에서 클럭펄스레서 POS펄스로 변환되고, 플랙(1)은 0으로 셋트되며, ADV와 DWELL은 각기 스텝 614에서 ADV리지스터(34)와 DWELL리지스터(36)로 셋트되고, 다음에 점화 타이밍은 보통의 각도점화신호(2a)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나 스텝 602에서 크랭크각센서(1)가 이상이라고 결정된 경우에도 단지 POS신호(1b)가 부족하지만 REF신호(la)가 정상으로 발생될 때 점화신호는 REF신호(la)의 주기에 의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실 말하면 점화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점화신호는 각도점화신호(2a)를 위해 사용되도록 REF신호(la)와 클럭펄스에 의거하여 발생된다.
스템 603에서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REF신호(la)의 주기 T가 읽어진다. 스텝 604에서 진각치 ADV가 다음식에 따라 각도치에서 시간치 TADV로 변환된다.
TADV=T/A×ADV
여기서 A는 상수이고 이것은 REF신호(la) 사이에서 크랭크각도치에 의해 결정되며, 예를들어 각도는 6기통 엔진을 사용할 때 120도이고, 즉 상수가 120이다.
부수적으로 ADV카운터(33)는 REF신호에 응하여 리셋트되고, TADV는 REF신호의 발생에서 점화코일에 의한 점화까지의 시간주기를 가리킨다. 스텝 605에서 비동력 공급각도 DWELL은 시간주기로 변환된다. 부수적으로 이 플로우챠트는 REF신호로 시작되고, 시간주기 TDWELL에서 일정한 값 D을 빼므로써 연산된다.
사용될 TDWELL은 단순히 일정한 값으로될 수 있다. 스텝 606에서 플랙(1)이 이전의 단계에서 POS신호(1b)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1을 가리키는 가를 결정한다. POS신호(1b)의 부족이 앞선 개시(플랙(1)=1일때)에서 일어나는 경우에 시간점화신호를 갖는 제어는 계속하여 달성된다. 루틴이 스텝 610으로 나아가고, 여기서 시간주기 TADV와 TDWELL은 ADV리지스터(34)와 DWELL리지스터(36)에서 셋트되며, 다음에 루틴이 종료된다. 스텝 606에서 FLG1=1이라고 결정되지 않는 경우에 각도점화제어는 이미 달성된다. 그 결과 스텝 607과 이 후에 달성될 프로세싱은 제어가 시간 점화제어로 이동되므로 POS신호(1b)가 각도점화신호를 가진 제어중에 부족할때를 위한 것이다. ADV카운터값이 ADV리지스터 값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이값은 스텝 607에서 플립-플롭(39)의 리셋트 터미널로 입력된다. 그결과 점화코일은 실제적으로 점화된다. 스텝 608에서 DWELL카운터(35)와 ADV카운터(33)의 입력은 클럭펄스로 스위치된다. 스텝 610에서 시간주기 TADV와 TDWELL은 ADV리지스터(34)와 DWELL리지스터(36)에 셋트되어서 루틴이 종료된다. 부수적으로 제 7 도는 타이밍챠트이다.
더욱이 전자배선회로를 갖는 엔진 제어 시스템에서 REF신호가 발생되는 동안에 POS신호의 갯수는 상기와 같이 카운트되어 실린더를 결정하도록 기준실린더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POS신호가 REF신호의 발생중에 부족하게 되는 경우에 기준실린더의 신호는 발생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백업은 보조실린더신호를 발생하므로써 달성된다.
REF신호는 개개 실린더에 대해 다른 펄스폭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예를들어 제1 내지 제6 실린더를 위한 POS신호의 펄스수는 각기 24, 20, 16, 12, 8, 4펄스이다. 이것은 앞선 REF신호와 현재의 REF신호의 시간폭이 비교된다면 실린더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최대 비교치 즉 제 1 과 제 6 실린더 사이의 최대비는 6이고, 단일 실린더는 펄스폭의 시간비교가 임의의 값보다 큰지를 결정하므로써 쉽고 또 신뢰할 만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 8 도는 실린더결정의 백업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스텝 801에서 현재의 REF신호의 펄스폭에 대응하는 시간폭 t2가 읽어진다. 스텝 802에서 이전의 REF신호의 펄스폭에 대응하는 시간폭 t1이 읽어진다. 스텝 803에서 시간폭 t1과 시간폭 t2를 비교하므로써 비교치 예를들어 t1/t2가 규정치인지 즉 제 1 실린더를 표시하는 지를 판단하려고 하는 경우에 비교치가 6인치 즉 제 6 실린더의 POS신호 갯수 4에 대해 제 1 실린더의 POS신호갯수 24의 비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충분하다. 스텝 803에서 YES를 결정하는 경우에 즉 임의의 실린더 예를들어 제 1 실린더가 되는 경우에 카운터값 n은 스텝 807에서 초기치 1로 셋트된다. 스텝 803에서 NO인 경우에 즉 임의의 실린더로 되지 않는 경우에 그 값은 스텝 804에서 총계된다. 스텝 804와 807에서 보조실린더신호(3b)는 셋트된 값에 의거하여 구해지고 실린더신호 스위칭회로(23)에 부가된다. 스텝 805에서 POS신호가 부족한지 결정된다. YES이라면 실린더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신호(3C)가 하이레벨로 스텝 805에서 부족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스위칭신호(3C)는 로우레벨로 스텝 808에서 강하되어서 실린더신호 스위칭회로(23)의 출력이 기준실린더신호(22a)로 된다.
따라서 실린더판별은 POS신호(1b)가 부족하다도 할지라도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제 9 도 내지 13 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 9 도는 제 2 실시예의 전자배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제 2 도의 것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인용번호로 지시하였다.
제 9 도에서 각도점화신호(2a)와 시간점화신호(3a)는 후술될 스위칭신호(3c)에 의해 점화신호스위칭장치(25)로 선정되고 AND게이트(27) 내지 (32)로 보내진다. 더욱이 기준실린더신호(22a)와 보조실린더신호(3b)는 스위칭신호(3c)에 의해 스위치되고 선정된 신호는 시프트리지스터(24)로 공급된다.
제 2 실시예의 기본개념은 제13 도의 타이밍챠트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REF신호(la)와 POS신호(1b)에 의거한 각도점화신호는 2a로써 지정된다. 여기서 시간점화신호(3a)가 REF신호(la)의 주기 T에 의거하여 출력되어 이것의 상승 및 하강이 각도점화신호(2a)의 상승 및 하강보다 더 지연되는 경우에 각도점화신호(2a)는 시간점화신호(3a)가 IRQ에서 상승할 때 크다면 정상적으로 상승한다고 결정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시간점화신호(3a)가 화살표로 가리킨 바와 같이 하강할 때 각도점화신호(2a)가 로우로 된다면 시간점화신호(2a)는 정상적으로 하강된다고 결정된다. 따라서 POS신호(1b)가 부족할 때 각도점화신호(2a)가 시간점화신호(3a)로 그 결정에 의거하여 스위치된다면 점화시기제어는 총계로 될 수 있다.
시간점화신호(3a)로 각도점화신호(2a)의 스위칭은 스위칭신호(3c)에 따라 실행되고, 이 스위칭신호(3c)는 각도점화신호(2a)가 화살표 "a"로 도시한 바와같이 시간점화신호(3a)의 하강에서 크게될 때 크게되고 각도점화신호(2a)가 시간점화신호(3c)의 하강에서 작게될 때 작아진다.
다음에 시간점화신호(3a)의 발생이 제 11 도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제 11 도는 시간점화신호(3a)를 출력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스텝 1101에서 REF주기 T가 읽어진다. 스텝 1102에서 진각치 AVD가 REF신호의 주기에 따라 시간으로 변환되고 시간점화신호의 진각치 TADV를 연산하도록 T'ADV에 의해 부가된다. 마찬가지로 동력공급치 DWELL은 다음식에 따라 TDWELL로 되도록 스텝 1103에서 시간으로 변환된다.
TDWELL=T/A×DWELL-T'DWELL
값 T'DWELL은 REF신호의 발생으로부터 시간주기 TDWELL이 각도점화신호의 하강으로부터 지연되도록 셋트된다. 스텝 1104에서 값 TDWELL은 제 10 도의 ADV리지스터 1002와 DWELL리지스터 1004에서 셋트된다. 제 10 도의 블록다이아그램에 도시된 구성은 제 3 도에 있는 것과 다르며, REF신호(la)와 클럭펄스 그리고 상기 언급된 TADV와 TDWELL에 의거한 시간점화신호(3a)를 만들도록 I/O(2)가 제공된다.
구성은 REF신호(la) 사이에서 클럭펄스의 갯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ADV카운터(1001)와, 상기 언급된 TADV를 기억하기 위한 ADV리지스터(1004)와, 카운터 값이 TADV에 도달하고 플립-플롭(1007)의 리셋트입력을 하이로 만들 때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교기(1005)와, REF신호(la)사이에서 클럭펄스를 카운트하는 DWELL카운터(1003)와, 상기 언급된 TDWELL을 기억하기 위한 DWELL리지스터(1004)와, 카운터치와 기록된 TDWELL을 비교하고 플립-플롭(1007)의 셋트출력을 하이로 만드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로 이루어진다. 동작은 제 3 도의 것과 비슷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2 도에 도시된 프로우챠트는 시간점화신호(2a)의 각 상승 및 하강에서 시작된다. 스텝 1201에서 시간점화신호(2a)가 상승 또는 하강인지를 결정한다. 스텝 1201에서 상승으로 결정되면 FLG(2)가 1을 가리키는지 즉 각도 점화신호가 로우인지 결정된다. FLG(2)가 1이면 즉 각도점화신호가 시간점화신호의 하강에 관계없이 하이라면 POS신호가 부족하고 스위칭신호(3c)가 하이레벨로 상승된다고 결정하여 각도점화신호(2a)는 시간점화신호(3a)로 스위치된다. 스텝 1202에서 FLG(2)=1이라고 결정되지 않으면 스텝 1203에서 각도점화신호(2a)가 하이인지를 결정한다. 하이라면 FLG(2)는 스텝 1207에서 각도점화신호(2c)가 하이로 되지 않는다고 결정되면 FLG(2)=1은 스텝 1204에서 셋트되고, 스위칭신호(3c)가 스텝 1205에서 하이로 셋트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스텝 1201에서 시간점화신호(2a)가 상승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스텝 1206에서 각도점화신호(1206)이 로우인지를 결정한다. 로우의 경우에 스위칭신호(3c)는 스텝 1208에서 로우로 셋트되고 그렇지 않으면 스위칭신호(3c)는 하이로 셋트되어서 플로우챠트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크랭크각도센서(1)의 POS신호출력이 커넥터의 불충분한 접촉에 의해 일시적으로 부족하게 된다고 할지라도 적절한 점화타이밍 제어가 엔진의 회전변동과 엔진스톨을 피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달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질수 있다.

Claims (8)

  1. 점화시기 제어가 각도점화시기에 의거하여 실행되게 하는 엔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 엔진의 개개 제 1의 임의의 회전각도간격에서 출력되고 엔진의 각 실린더의 상사점에 대해 일정한 각도관계를 갖는 기준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신호 발생수단과 ; 점화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의 임의의 회전각도간격보다 짧은 제 2의 임의의 회전각도 간격을 각각 위치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위치신호 발생수단과 ; 상기 기준신호와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각도점화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각도점화신호 발생수단과 ; 일정한 시간주기로 클럭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클럭신호 발생수단과 ; 상기 기준신호와 상기 클럭신호에 의거하여 시간점화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시간점화신호 발생수단과 ; 위치신호에서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이상검출수단과 ; 위치신호에서 이상을 검출할 때 시간점화신호와 정상상태에서 각도점화신호를 선정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점화시기가 위치신호의 이상 및 정상상태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이 상기 기준신호 사이에서 상기 위치신호의 갯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팅수단과, 임의의 값에 상기 카운팅수단의 카운트된 값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수단을 포함하여서, 이상검출이 상기 비교수단의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이 약간의 지연으로 출력된 시간점화신호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시간점화신호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이상검출수단이 상기 시간점화신호의 상승을 검출하기 위한 상승검출수단을 포함하여서 이상이 상기 각도점화신호와 상기 상승에 의거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이 시간점화신호의 하강을 검출하기 위한 하강검출수단을 포함하여 이상이 상기 각도점화신호와 상기 하강에 의거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시스템.
  6. 다수의 실린더를 위한 점화시기 제어가 점화코일로 향하는 신호에 의해 실행되게 하는 엔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갯수가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의 두 번회전에서 엔진실린더의 갯수에 대응하고 각각 그들 사이에서 일정한 각도 간격을 갖는 기준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기준신호 발생수단과 ; 작은 간격에서 출력되는 주기적 펄스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주기신호 발생수단과 ; 상기 개개 실린더를 지정하는 것으로 기준신호와 주기펄스신호에 의거하여 기준실린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실린더신호 발생수단과 ; 상기 기준신호와 상기 주기펄스신호에 의거하여 점화시기제어를 위해 각도점화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각도점화신호 발생수단과 ; 주기적으로 출력된 클럭펄스와 기준신호에 의거하여 각도점화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시간점화신호 발생수단과 ; 상기 주기신호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이상검출수단과 ; 보조실린더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현재의 실린더신호와 이전의 실린더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보조실린더신호 발생수단과 ; 상기 이상을 검출할 때 상기 보조실린더신호와 정상작동에서 기준실린더실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수단과 ; 상기 주기신호가 이상일 때 상기 시간점화신호와 정상상태에서 각도점화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펄스신호가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의 일정한 각도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시스템.
  8. 개개의 엔진실린더에 대응하는 점화코일로 향하는 점화신호에 의해 점화제어를 실행하는 엔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크랭크샤프트의 각분당 회전각도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와 엔진 크랭크샤프트의 두 회전중에 동등한 간격에서 엔진의 실린더의 갯수와 같은 만큼 출력된 기준위치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크랭크각도센서와 ; 점화시기제어를 위해 상기 점화코일로 보내진 각도점화신호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기준위치신호와 다음의 기준위치신호 사이에서 클럭펄스 또는 위치신호를 카운트하기 위해 클럭펄스 또는 위치신호와 기준위치신호를 수용하는 ADV카운터, 점화위치에 상기 기준위치신호중 하나의 펄스상승으로부터의 각도에 대응하는 진각치를 기억하기 위한 ADV리지스터, 카운트치가 기록된 진각치에 도달할 때 리셋트펄스를 발생하도록 카운트치와 기록된 진각치를 비교하기 위한 제 1 비교기, 리셋트펄스와 다음 리셋트펄스 사이에서 클럭펄스 또는 위치신호를 카운트하기 위한 클럭펄스 또는 위치신호와 비교기로부터 리셋트펄스를 수용하는 DWELL카운터, 점화위치에서 동력공급 개시위치까지의 각도에 대응하는 거주 각도값을 기억하기 위한 DWELL리지스터, 카운트치가 기록된 거주각도값에 도달할 때 셋트펄스를 발생하도록 기록된 거주각도값과 카운트치를 비교하기 위한 제 2 비교기, 상기 위치신호가 상기 ADV카운터와 DWELL카운터에 입력될 때 공급된 리셋트펄스와 셋트펄스로 각도점화신호와 상기 클럭펄스가 상기 ADV카운터와 DWELL카운터로 공급될 때 또 시간치를 변환된 진가치와 지연치가 상기 ADV리지스터와 DWELL리지스터로 공급될 때 시간점화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각도점화신호 발생수단과 ; 기준위치신호 사이에서 위치신호의 갯수가 임의의 수인지를 판단하므로서 위치신호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이상검출수단과 ; 개개 실린더를 판별하고 기준위치신호와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발생되는 실린더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실린더신호 발생수단과 ; 기준위치신호후 바로 출력되는 기준위치신호의 펄스폭에 대해 상기한 기준위치신호의 펄스폭의 비에 의거하여 보조실린더 신호를 발생하는 보조실린더신호 발생수단과 ; 위치신호에서 이상을 검출할 때 보조기준신호로 기준실린더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실린더신호 스위칭수단과 ; 상기 각도점화신호와 시간점화신호중 하나 그리고 기준실린더신호와 보조실린더신호중 하나에 의거하여 개개 점화코일로 점화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점화신호 분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시스템.
KR1019890015866A 1988-11-02 1989-11-02 엔진 제어 시스템 KR950000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76259 1988-11-02
JP63276259A JPH0751936B2 (ja) 1988-11-02 1988-11-02 エンジン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168A KR900008168A (ko) 1990-06-02
KR950000220B1 true KR950000220B1 (ko) 1995-01-12

Family

ID=1756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866A KR950000220B1 (ko) 1988-11-02 1989-11-02 엔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60092A (ko)
JP (1) JPH0751936B2 (ko)
KR (1) KR950000220B1 (ko)
DE (1) DE39362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8862T2 (de) * 1989-06-16 1995-02-16 Bosch Gmbh Robert Verteilerloses zündsystem.
US5074275A (en) * 1990-04-23 1991-12-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ignal generator and an engine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US5184590A (en) * 1991-02-12 1993-0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ngine timing control apparatus
WO1992017702A1 (de) * 1991-03-30 1992-10-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adaption der schliesszeit in zündanlagen für brennkraftmaschinen
DE4313331A1 (de) * 1993-04-23 1994-10-2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Auslösung von zur Winkellage eines rotierenden Teils abhängigen Vorgängen
US5442550A (en) * 1994-05-04 1995-08-15 Chrysler Corporation Method of diagnosing a park/neutral switch for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JP3296083B2 (ja) * 1994-05-09 2002-06-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回転位置検出装置
JP3494740B2 (ja) * 1995-03-07 2004-02-09 ヤマハマリン株式会社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H1018900A (ja) * 1996-07-03 1998-01-20 Nissan Motor Co Ltd 検出手段の診断装置およびエンジンの失火診断装置
DE19735720A1 (de) 1997-08-18 1999-02-2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Erkennung des Verbrennungstaktes eines bestimmten Zylinders beim Start einer Brennkraftmaschine
JP3506116B2 (ja) * 2000-01-27 2004-03-15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制御装置
TW513522B (en) * 2000-05-19 2002-12-11 Orbital Eng Pty Sequence scheduling contro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834216B2 (en) * 2001-12-13 2004-12-2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synchronization of dynamic angular and time domain control systems
JP3763470B2 (ja) * 2002-06-24 2006-04-05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制御装置
US6675772B1 (en) 2002-09-19 2004-01-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en such engine loses a primary crankshaft position sensor
CN101769221B (zh) * 2009-09-29 2013-05-29 昆山巩诚电器有限公司 摩托车数字直流点火控制系统
DE102011007174A1 (de) * 2011-04-12 2012-10-18 Robert Bosch Gmbh Vefahren zur Bestimmung einer Anfangsposition einer zyklischen Bewegung
DE102014108521B3 (de) * 2014-06-17 2015-08-06 Borgwarner Ludwigsburg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s Verbrennungsmotors sowie Zündsteuergerät hierfür
CN116324152A (zh) * 2021-01-12 2023-06-23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曲柄角传感器控制装置和内燃机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029A (en) * 1976-07-20 1978-02-06 Mitsubishi Electric Corp Igni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FR2374528A1 (fr) * 1976-12-17 1978-07-13 Cii Systeme d'allumage electronique et moteur a combustion interne equipe d'un tel systeme
US4266518A (en) * 1977-11-18 1981-05-12 Nippon Soken, Inc. Method of controlling ignition tim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same
JPS582469A (ja) * 1981-06-30 1983-01-08 Nec Home Electronics Ltd エンジン点火制御回路
US4520781A (en) * 1981-09-16 1985-06-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gnition control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862375A (ja) * 1981-10-12 1983-04-13 Nec Home Electronics Ltd エンジン点火制御装置
US4664082A (en) * 1985-02-01 1987-05-12 Honda Giken Kogyo K.K. Method of detecting abnormality in a reference crank angle position detection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2651A (ja) * 1985-02-06 1987-01-06 Honda Motor Co Ltd 内燃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S61272471A (ja) * 1985-05-27 1986-12-02 Honda Motor Co Ltd 内燃エンジンの基準クランク角度位置検出系異常時の点火時期制御方法
JPS61275603A (ja) * 1985-05-31 1986-12-05 Honda Motor Co Ltd 内燃エンジンのクランク角信号の異常検出方法
JPS62159772A (ja) * 1986-01-08 1987-07-15 Hitachi Ltd 回転信号検出装置
JPS62178773A (ja) * 1986-01-30 1987-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点火制御装置
US4658786A (en) * 1986-03-25 1987-04-21 Motorola, Inc. Loss of input signal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for use with distributorless ignition systems
JPS62225770A (ja) * 1986-03-28 1987-10-03 Hitachi Ltd エンジン制御装置
JPS6318162A (ja) * 1986-07-10 1988-01-26 Nippon Denso Co Ltd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S6338673U (ko) * 1986-08-29 1988-03-12
JPH01267362A (ja) * 1988-04-15 1989-10-25 Japan Electron Control Syst Co Ltd 内燃機関の点火制御装置のフェイルセイ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936259A1 (de) 1990-05-03
US4960092A (en) 1990-10-02
KR900008168A (ko) 1990-06-02
DE3936259C2 (ko) 1993-09-02
JPH0751936B2 (ja) 1995-06-05
JPH02125948A (ja) 199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220B1 (ko) 엔진 제어 시스템
US4378004A (en) Engine control system with cylinder identification apparatus
KR900001444B1 (ko) 내연기관 제어장치
US4797827A (en) Angular position detector
US70891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angle of a rotating shaft
GB2099079A (en) Spark timing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2043171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timing control
KR900006878B1 (ko) 전자배선 백업장치
KR0133939B1 (ko) 고장시의 백업기능을 가지는 엔진의 점화타이밍 제어시스템
US7353104B2 (en) Signal output unit and electronic control unit
AU6346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park timing
EP0138494A2 (en) Igni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966116A (en) Electronic control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SE450029B (sv) Momentbegrensande anordning i forbrenningsmotor med magnettendsystem
US4984167A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1219341A (ja) 内燃機関の気筒判別装置
JPS5851155B2 (ja) 内燃機関用電子式点火制御装置
JPH01219342A (ja) 内燃機関の気筒判別装置
JPH0464099B2 (ko)
JPH0253632B2 (ko)
JPS6253712B2 (ko)
JP3329639B2 (ja) 点火制御バックアップ装置
JPH055217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H03213666A (ja) 点火制御装置
JPH0510229A (ja) 内燃機関点火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