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27300A - 스트레치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레치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27300A KR940027300A KR1019930008930A KR930008930A KR940027300A KR 940027300 A KR940027300 A KR 940027300A KR 1019930008930 A KR1019930008930 A KR 1019930008930A KR 930008930 A KR930008930 A KR 930008930A KR 940027300 A KR940027300 A KR 9400273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ck signal
- time
- cpu
- stretching
- input c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Landscapes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Executing Machine-Instruc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7)
- CPU가 메모리 액세스를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감소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CPU가 입력 클럭신호로부터 유도된 CPU클럭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CPU클럭신호의 한 1/2 주기와 동일한 시간 만큼 CPU클럭신호를 스트레칭하기 위한 제 1 수단, CPU클럭신호의 한 1/4 주기와 동일한 시간 만큼 CPU클럭신호를 스트레칭하기 위한 제 2 수단 및 메모리 액세스 시간의 함소로 선택된 시간 만큼 CPU동작을 지연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트레칭 수단 또는 상기 제 2 스트레칭 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트레칭 수단이 CPU클럭신호의 2개의 연속적인 펄스 사이의 시간이 입력 클럭신호의 한 주기와 동일한 시간 만큼 연장되도록 입력 클럭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트레칭 수단이 CPU클럭신호의 2개의 연속적인 펄스 사이의 시간이 입력 클럭신호의 1/2 주기와 동일한 시간 만큼 연장되도록 입력 클럭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수단이 상기 CPU클럭신호가 상기 입력 클럭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도록 상기 입력 클럭신호의 하나의 펄스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CPU클럭신호의 2개의 연속적인 펄스 사이의 시간이 상기 입력 클럭신호의 한 주기만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수단이 상기 입력 클럭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상기 CPU클럭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입력 클럭신호로부터 유도된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CPU클럭신호의 2개의 연속적인 펄스 사이의 시간이 상기 입력 클럭신호의 1/2 주기와 동일한 시간 만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CPU가 적절한 명령 또는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CPU가 입력 클럭신호로부터 유도된 CPU클럭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제 1 선택 시간만큼 CPU클럭신호를 스트레칭하기 위한 제 1 수단, 제 1 선택 수단과 상이한 제 2 선택 시간만큼 CPU클럭신호를 스트레칭하기 위한 제 2 수단 및 상기 제 1 선택 시간 또는 제 2 선택 시간만큼 CPU동작을 지연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트레칭 수단 또는 상기 제 2 스트레칭 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CPU가 적절한 명령 또는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CPU가 입력 클럭신호로부터 유도된 CPU클럭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제 1 선택 시간 또는 제 2 선택 시간 중의 어느 하나의 시간만큼 CPU클럭신호를 스트레칭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입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선택 시간 또는 제 2 선택 시간 중의 어느 하나의 시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08930A KR100284990B1 (ko) | 1993-05-24 | 1993-05-24 | 1/4 싸이클 증가의 스트레치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08930A KR100284990B1 (ko) | 1993-05-24 | 1993-05-24 | 1/4 싸이클 증가의 스트레치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7300A true KR940027300A (ko) | 1994-12-10 |
KR100284990B1 KR100284990B1 (ko) | 2001-03-15 |
Family
ID=6713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08930A Expired - Lifetime KR100284990B1 (ko) | 1993-05-24 | 1993-05-24 | 1/4 싸이클 증가의 스트레치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849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0490B1 (ko) * | 2007-12-26 | 2009-08-04 |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 1/4 주기 지연 클럭 발생기 |
-
1993
- 1993-05-24 KR KR1019930008930A patent/KR100284990B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84990B1 (ko) | 2001-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70077998A (ko) | 동기화 반도체 메모리에 사용하기 위한 제어된 지연 회로 | |
KR970023373A (ko) |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 |
KR910003638A (ko) | 데이터 처리장치 | |
KR970008876A (ko) |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회로 | |
KR970016970A (ko) | 동기메모리의 고주파동작용 데이타 출력버퍼 제어방법 | |
KR950015034A (ko) | 컴퓨터 시스템 내의 전력을 보존하기 위한 napnop 회로 | |
KR970071799A (ko) | 메모리제어회로 | |
KR920020433A (ko) | 마이크로 콘트롤러 유닛 | |
KR940027300A (ko) | 스트레치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 | |
KR920020856A (ko) | 동기 클록 발생 회로 | |
KR960018829A (ko) | 시스템 클럭으로 부터 내부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KR910020698A (ko) | 클럭 추출 회로 | |
KR920006970A (ko) | 반도체 메모리를 위한 시리얼 선택회로 | |
KR960039000A (ko) | 기입 사이클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펄스 발생기를 갖는 반도체 스태틱 메모리 장치 | |
FR2264427B1 (ko) | ||
KR0182956B1 (ko) | 클럭신호를 이용한 마이크로프로세스의 지연기능 구현 장치 | |
KR950004638B1 (ko) | 노이즈 펄스 제거 회로 | |
KR950024431A (ko) | 스태틱 램(sram)의 어드레스 입력회로 | |
SU1091159A1 (ru) |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 |
JP2545010B2 (ja) | ゲ―ト装置 | |
RU1837387C (ru) | Формирователь импульсов (его варианты) | |
KR970013712A (ko) | 펄스신호지연 및 펄스신호의 폭 가변장치 | |
JPH04276568A (ja) | 実チップシミュレータのチップ駆動回路 | |
KR900002327A (ko) | 1수평 기간마다 교대로 전송되는 서로 다른 2개의 변조색 신호를 포함하는 컬러 텔레비젼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필드 메모리 장치 | |
KR940006774A (ko) | 프린터의 헤드 임팩트 제어 회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5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1995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199705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305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13112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