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3712A - 펄스신호지연 및 펄스신호의 폭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펄스신호지연 및 펄스신호의 폭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3712A
KR970013712A KR1019950027281A KR19950027281A KR970013712A KR 970013712 A KR970013712 A KR 970013712A KR 1019950027281 A KR1019950027281 A KR 1019950027281A KR 19950027281 A KR19950027281 A KR 19950027281A KR 970013712 A KR970013712 A KR 970013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input signal
delay
delaying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7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55870B1 (ko
Inventor
남병덕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50027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870B1/ko
Publication of KR970013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7Adjustment of width or dutycycle of pul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펄스 신호를 일정 시간 지연시키거나 펄스 신호의 폭을 가변하여 출력하는 펄스 신호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 가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펄스 신호의 시작 에쥐를 지연시키는 회로와 펄스 신호의 끝에쥐를 지연시키는 회로를 별도로 구성하여, 두 에쥐를 지연시키는 회로의 기본 클럭이 동일하게 하여 펄스 신호의 지연 동작을 행하고, 두 지연 회로의 기본 클럭이 다르게 하거나 지연 기간이 다르도록하여 펄스폭의 가변 동작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지연 기간의 부정확성 및 기본 클럭과의 비동기성 개선하여, 정확한 기본 클럭의 펄스 수에 따라 입력펄스 신호를 지연 시키거나 폭을 가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펄스신호지연 및 펄스신호의 폭 가변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 신호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 가변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 신호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 가변 장치의 제1실시예의 실제 회로도.
그리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 신호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 가변 장치의 제2실시예의 회로도이다.

Claims (4)

  1. 인가되는 입력 신호 펄스의 시작 에쥐를 지연시키는 수단; 및 인가되는 입력 신호 펄스의 끝 에쥐를 지연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신호 지연 및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 가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작 에쥐를 지연시키는 수단 및 끝 에쥐를 지연시키는 수단은, 입력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설정된 시간 뒤에 출력하는 딜레이 수단; 상기 입력 신호를 인가 받아 기본 클럭이 상기 딜레이 수단이 구동 클럭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어하는 기본 클럭 구동/중단 수단; 그리고 상기 기본 클럭 구동/중단 수단의 출력과 상기 기본 클럭의 논리적을 구하는 앤드게이트;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기본 클럭 구동/중단 수단의 출력 신호를 각각 카운터하여 상기 각 딜레이 수단의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입력 신호의 시작에쥐 및 끝 에쥐를 각각 출력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펄스를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신호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 가변 장치.
  3. 인가되는 입력 신호 펄스의 시작 에쥐를 지연지키는 수단; 인가되는 입력 신호 펄스의 끝 에쥐를 지연시키는 수단; 상기 입력 신호 펄스의 시작 에쥐를 지연시키는 수단 및 상기 입력 신호 펄스의 끝 에쥐를 지연시키는 수단의 펄스 지연 및 펄스 폭의 가변 범위를 임의로 로딩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상기 입력 신호 펄스의 지연 및 상기 입력 신호 펄스 폭의 가변 범위를 각각 저항하는 제1래치 및 제2래치 ; 상기 제1래치 및 제2래치에 저장되는 데이타 값에 따라 상기 시작에쥐 지연 수단 및 상기 끝 에쥐 지연 수단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도록 하는 상태 버퍼들; 그리고 상기 상태 버퍼들에 의해 선택된 상기 시작 에쥐 지연 수단 및 상기 끝 에쥐 지연 수단의 출력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로딩된 상기 입력 신호 펄스의 지연 및 상기 입력 신호 펄스 폭의 가변 범위에 대응하도록 결합하여 출력하는 논리 게이트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신호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 가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에쥐를 지연시키는 수단 및 끝 에쥐를 지연시키는 수단은, 입력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설정된 시간 뒤에 출력하는 딜레이 수단; 상기 입력 신호를 인가 받아 기본 클럭이 상기 딜레이 수단의 구동 클럭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어하는 기본 클럭 구동/중단 수단; 그리고 상기 기본 클럭 구동/중단 수단의 출력과 상기 기본 클럭의 논리적을 구하는 앤드 게이트;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기본 클럭 구동/중단 수단의 출력 신호를 각각 카운터하여 상기 각 딜레이 수단의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입력 신호의 시작 에쥐 및 끝 에쥐를 각각 출력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펄스를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신호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 가변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27281A 1995-08-29 1995-08-29 펄스 신호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 가변 장치 KR0155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7281A KR0155870B1 (ko) 1995-08-29 1995-08-29 펄스 신호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 가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7281A KR0155870B1 (ko) 1995-08-29 1995-08-29 펄스 신호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 가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712A true KR970013712A (ko) 1997-03-29
KR0155870B1 KR0155870B1 (ko) 1998-12-15

Family

ID=1942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7281A KR0155870B1 (ko) 1995-08-29 1995-08-29 펄스 신호 지연 및 펄스 신호의 폭 가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8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87A (ko) * 2002-04-27 2003-11-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티 보정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87A (ko) * 2002-04-27 2003-11-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티 보정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5870B1 (ko) 1998-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1447A (en) Timing circuit that selectively triggers on a rising or falling input signal edge
KR0151261B1 (ko) 펄스폭 변조 회로
KR970049573A (ko) 동기형 디램 장치의 데이터 출력 버퍼용 클럭 발생 회로
KR910014713A (ko) 2개의 비동기 펄스간의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및 시간 측정 회로
KR970029312A (ko)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를 이용하여 바이오스에 관계없이 프리챠지를 하는 스타트 펄스 버티컬 신호(STV : Start Pulse Vertical) 생성기
KR950015034A (ko) 컴퓨터 시스템 내의 전력을 보존하기 위한 napnop 회로
KR880000880A (ko) 비 교 기
US5175453A (en) Configurable pulse generator, especially for implementing signal delays in semiconductor devices
US4282488A (en) Noise eliminator circuit
KR970013712A (ko) 펄스신호지연 및 펄스신호의 폭 가변장치
KR950020730A (ko) 동기 메모리용 가변성 대기시간 제어 회로, 출력 버퍼 및 동기 장치
KR960018829A (ko) 시스템 클럭으로 부터 내부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870010692A (ko) 주파수 체배회로
IT1004381B (it) Dispositivo elettronico bistabile verificabile durante il servizio
WO2002099443A3 (de) Vorrichtung zur frequenzmessung
RU2224321C1 (ru) Реле синхронизации
RU1800595C (ru) Многоканальный генератор серии задержанных импульсов
RU2071170C1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ксации временных положений сигналов с флуктуирующими параметрами
KR970002589Y1 (ko) 로우어드레스 스트로브의 출력회로
RU1803968C (ru) Устройство стробировани задержанных импульсных сигналов
SU1443745A1 (ru) Многока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 импульсных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ей
KR970055242A (ko) 주기적인 디지탈 신호의 주파수를 배가하는 주파수 배가장치
SU1091159A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SU401011A1 (ru) Дискретный фильтр
KR940027300A (ko) 스트레치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