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138B1 - 콤바인의 예취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예취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138B1
KR940011138B1 KR1019920006462A KR920006462A KR940011138B1 KR 940011138 B1 KR940011138 B1 KR 940011138B1 KR 1019920006462 A KR1019920006462 A KR 1019920006462A KR 920006462 A KR920006462 A KR 920006462A KR 940011138 B1 KR940011138 B1 KR 940011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vesting
auxiliary
frame
mowing
com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804A (ko
Inventor
시게오 사또오
쥬우따로오 에구찌
류우이찌 미나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미노 시게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9775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8216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9902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8223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미노 시게가즈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930003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24Lifting devices for the cutter-b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콤바인의 예취전처리장치
제 1 도는 제어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 2 도는 예취전(刈取前)처리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제 3 도는 콤바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주행기체 10 : 프레임
11 : 예취장치 16 : 보조예취장치
21 : 제어수단 22 : 검출수단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히 말하면, 주행기체에 대하여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된 예취프레임의 전단부에 예취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예취프레임에 보조예취장치가 상기 예취프레임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작용자세와 윗쪽으로 후퇴시킨 수납자세로 전환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예취프레임의 승강 및 상기 보조예취장치의 자세전환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설치된 콤바인의 예취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콤바인에 있어서는 기체전단부의 예취장치에 더하여,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작업을 위하여 상기 보조예취장치가 설치되어 있었다. 즉, 상기 예취장치에서 예취한 곡간(穀桿)의 전량을 탈곡장치에 투입하여 탈곡하는 경우에 있어서, 서있는 곡간이 긴 줄기일 때에는 짚부스러기의 양이 많아 탈곡처리효율이 저하한다. 그래서, 불필요한 긴 줄기부분을 제외하고 벼이삭부분만을 상기 예취장치로 예취하여 탈곡장치에 반송함과 동시에, 논에 남은 긴 밑둥(그 긴 밑둥이 그대로 남아 있을 때에는 다음번 경운시의 작업성을 약화시킨다)을 상기 보조예취장치로 짧게 예취하는 작업(이하, 2단 예취작업이라고 한다)을 실시하여, 탈곡처리효율의 저하를 회피하면서 다음번 경운시의 작업성을 개선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러한 콤바인에 있어서 예컨대 상기 예취장치에 의한 예취작업을 중단 또는 종료한 상태에서 콤바인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예취장치를 주위의 것에 충돌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예취장치를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보조예취장치도 주위의 것과의 충돌을 회피하여 보호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보조예취장치를 수동조작에 의하여 윗쪽으로 후퇴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또 서있는 곡간이 짧은 줄기이고, 비교적 벼 낱알이 떨어지기 쉬운 곡간인 경우에는, 상기 예취장치를 낮은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로 설정하여, 그 예취장치로 상기 곡간을 짧게 예취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보조예취장치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보조예취장치의 보호를 위하여 그 보조예취장치를 수동조작에 의하여 윗쪽으로 후퇴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 보조예취장치를 윗쪽으로 후퇴시켜 수납자세로 전환하는 조작은, 종래, 수동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있었으므로, 작업자의 잘못 등으로 그 전환조작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상기 보조예취장치가 보호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콤바인의 예취전처리장치는 상기 예취장치의 높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이 설치되고, 그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높이가 설정범위를 상하로 벗어나고 있을 때에, 상기 보조예취장치를 수납자세로 전환하도록 상기 제어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취전처리장치에 의하면,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높이가 상기 설정범위를 상하로 벗어나고 있는 조건에서는, 상기 보조예취장치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납자세로 전환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설정범위의 상하한을 상기 2단 예취작업이 실시되는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예취장치의 높이의 상하한을 설정해주기만 하면, 상기 보조예취장치는 상기 2단 예취작업이 실시되지 않는 조건, 즉 상기 보조예취장치가 보호될 조건에서 자동적으로 수납자세로 전환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예취장치가 보호될 조건하에서는, 그 보조예취장치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수납자세로 전환되어 확실히 보호되며, 종래 생기고 있던 문제점이 해소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예취전처리장치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예취클러치에 의하여 상기 예취장치의 작동이 끊긴 경우,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보조예취장치를 수납자세로 전환하면, 상기 보조예취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상황에 있어서는 자동적으로 수납자세로 복귀된다.
콤바인의 논에서의 주행시, 또는 인접논으로의 이동시 등에 있어서는, 상기 예취클러치에 의하여 상기 예취장치의 작동이 끊김으로써, 작업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상기 보조예취장치가 자동적으로 수납자세로 전환되어, 장해물과 충돌하는 것이 회피된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징 및 이점은 이하 도면을 사용한 실시예의 설명과 함께 명백히 될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3 도에는 모든 줄기 투입형 콤바인이 도시되어 있다. 그 콤바인은 크롤러 주행장치(1)를 갖춘 주행기체(2)상에 탈곡장치(3)가 탑재됨과 동시에 그 주행기체(2)의 앞부분에 예취전처리장치(4)가 승강이 자유롭게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탈곡장치(3)는 기체전후축심둘레에 구동회로하는 급동(扱胴)(5)으로 투입곡간을 홑기처리하는 급실(6)이 갖추어짐과 동시에, 그 급실(6)의 아래쪽에 홑기처리되어 콘케이브(7)로 부터 떨어지는 처리물을 곡립선별하는 선별부(8)가 배설됨으로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예취전처리장치(4)는 서있는 곡간의 벼이삭부분을 긁어 넣는 회전릴(9)이 설치되고, 상기 주행기체(2)에 대하여 상하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예취프레임(10)의 전단부에 이발기형 예취장치(11)가 설치되며, 또한 그 후방에 예취된 곡간을 중앙쪽으로 모으는 수집부재(12)와, 모은 곡간을 후부탈곡장치(3)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 콘베이어(13)가 갖추어짐으로써 구성되고 있다.
상기 예취프레임(10)은 구체적으로는 탈곡장치(3)의 앞부분에 회축심(P4)둘레에 요동이 자유롭게 피봇지지되어 있다. 그 예취프레임(10)의 하부 후단쪽에는 유압실린더(14)의 선단부가 연계되어 있고, 그 유압실린더(14)의 기단부는 상기 주행기체(2)의 앞부분에 연계되어 있다. 그리고, 그 유압실린더(14)의 구동(그 구동은 나중에 설명하는 제어장치(21)의 제어에 의하여 행하여진다)에 의거하여 상기 예취프레임(10)이 승강되고, 그 승강에 의하여 상기 예취장치(11)의 높이(즉, 예취높이)가 변경되게 되어있다.
상기 유압실린더(14)의 구동은 제어수단(21)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행기체(2)상에 탈곡장치(3)등과 함께 탑재된 마이크로컴퓨터 이용의 제어장치(21))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크롤러 주행장치(1)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주행장치(1)용의 미션케이스(M)에 엔진(E)의 출력이 주행용 변속장치(24)에 변속되면서 전해짐으로써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주행용 변속장치(24)의 변속은 상기 제어수단(21)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엔진(E)의 출력부와 상기 예취장치(11)의 입력부와의 사이의 벨트 전동부에는 텐션풀리식의 예취클러치(5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예취클러치(50)는 상기 주행기체(2)상의 조작실(2A)에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조작되는 예취클러치 레버(51)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예취클러치 레버(51)에는 그 ON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예취스위치(SW1)가 부설되고, 그 예취스위치(SW1)의 ON-OFF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어 수단(21)에 입력되게 되어 있다.
상기 예취프레임(10)의 요동의 중심이 되는 상기 횡축심(P4)의 근방에는 상기 예취프레임(10)의 요동각을 검출하는 각도센서(22)가 설치되어 있다. 그 각도센서(22)는 구체적으로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예취프레임(10)과 연동하는 아암(10a)에 입력축(22a)이 링크연계되어 그 입력축(22a)이 상기 예취프레임(10)의 요동에 종동하여 회동하도록 설정되며, 또한 기부가 기체쪽(고정측)에 부착된 로우터리 포텐쇼미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도센서(22)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요동각에 관한 정보는, 제 1 도에 도시한 제어수단(21)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행기체(2)상에 탈곡장치(3) 등과 함께 탑재된 마이크로컴퓨터 이용의 제어장치(21))에 입력된다. 그리고, 그 제어장치(21)에 있어서는, 상기 각도센서(22)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예취장치(11)의 높이가 구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각도센서(22)는 상기 예취장치(11)의 높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예취프레임(10)에는 상기 예취장치(11)를 설치한 위치보다도 후방의 위치에 지지아암(15)을 통하여 예취프레임(10)의 아래쪽에 돌출하는 작용자세와 윗쪽에 후퇴시킨 수납자세로 전환이 자유롭게 보조예취장치(16)가 부착되어있다. 그 보조예취장치(16)는 탈곡장치(3)에 있어서의 탈곡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있는 곡간의 벼이삭부분만을 예취하여 그것을 탈곡장치(3)에 투입하여 높게 자르는 자세로 상기 예취장치(11)의 자세를 설정한 경우, 상기 작용자세가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작용자세가 된 보조예취장치(16)에 의하여 상기 벼이삭부분만을 예취한 후에 논에 남아있는 긴 줄기가 짧게 예취되게 된다.
상기 보조예취장치(16)의 상기 예취프레임(10)에 대한 부착구조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예취프레임(10)의 일부를 구성하는반송 콘베이어(13)의 바닥판에는 브라켓(17)이 부착되어 있고, 그 브라켓(17)을 통하여 통형상 지지프레임(18)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 통형상 지지프레임(18)에는 보조예취장치(16)를 지지하는 지지아암(15)의 일부를 구성하는 좌우 1쌍의 제 1 지지아암(15a)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그 좌우 1쌍의 제 1지지아암(15a)은 상기 통형상 지지프레임(18)의 축심(P1)둘레의 회전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좌우 1쌍의 제 1 지지아암(15a)의 일부에는 상기 예취프레임(10)쪽에 기단부가 연계된 전동실린더(20)의 선단부가 연계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지지아암(15a)의 각각의 선단부에는 자르는 폭 전역에 걸친 파이프 프레임(19)이 걸려 설치되어 연결되며, 그 파이프 프레임(19)의 좌우 양단에는 각각 상기 지지아암(15)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지지아암(15b)이 연결되고, 또한 그 제 2지지아암(15b)의 각각의 선단부에 걸쳐 보조예취장치(16)가 걸려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예취프레임(10)에 부착된 상기 보조예취장치(16)는 상기 전동실린더(20)의 의거하여 상기 통형상 지지프레임(18)의 축심(P1)둘레에 요동구동되고, 상기 예취프레임(10)에 대하여 상기 축심(P1)을 승강요동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동하며, 그 상하동에 의하여 상기 수납자세와 상기 작용자세와의 전환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조예취장치(16)가 수납자세로된 상태에서, 그 보조예취장치(16)가 상기 수납부재(12)의 후방 아래쪽의 빈 공간에 유효히 격납되도록 상기 부착구조를 전후경사자세로 변화시키는 링크기구(R)가 설치되어 있다.
그 링크기구(R)는 구체적으로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예취장치(16)의 좌우 지지부(34)가 상기 제 2지지암(15b)에 각각 횡축심(R2)둘레에 회전이 자유롭게 피봇지지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17)에 고정된 연결부(35)와, 한쪽의 제 1지지아암(15)과 제 2지지아암(15b)에 걸쳐 회전이 자유롭게 걸어설치지된 회전로드(36)에 고정된 아암(37)과의 사이는 밀고당기는 로드(38)를 통하여 피봇지지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지지아암(15b)의 옆쪽부분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드(36)와 일체로 회전하는 아암(39)과, 보조예취장치(16)의 좌우지지부(34)의 지지점 뒷쪽개소와는 연동부재(40)를 통하여 연동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예취장치(16)의 좌우지지부(34), 상기 연동부재(40), 상기 회전로드(36) 및 상기 각 아암(37,38)에 의하여 상기 링크기구(R)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링크기구에 의하면, 상기 보조예취장치(16)의 상대승상에 따라, 상기 승강요동지지점(P1)과 링크기구(R)의 기단쪽 피봇지지점(P3)이 치우쳐 있는데 기인하여, 보조예취장치(16)의 전후경사자세가 상대적으로 하강하며, 그 보조예취장치(16)는 수집부재(12)의 후방 아래쪽의 빈 공간에 유효히 격납되게 되어, 예취프레임(10)보다 아래쪽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수납되게 된다.
상기 승강요동지지점(P1)의 근방에는 그 지지점(P1) 둘레를 요동하는 상기 제 1지지아암(15a)의 요동각을 검출하는 각도센서(23)가 설치되어 있다. 그 각도센서(23)는 구체적으로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지지아암(15a)과 연동하도록 그 제 1지지아암(15a)과 링크연계된 입력축(23a)을 갖추고, 또한, 상기 브라켓(17)에 기부가 부착된 로우터리 엔코더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그 각도센서(23)에 의하여 검출된 정보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21)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장치(21)에 있어서는, 상기 보조예취장치(16)의 자세를 전환할 때에 사용하는 설정범위의 상하한을 상기 2단 예취작업(벼이삭부분만을 예취장치(11)로 예취한 후, 논에 남아있는 긴줄기를 보조예취장치(16)로 짧게 예취하는 작업)이 실시되는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예취장치(11)의 높이의 상하한으로 미리 설정해둔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1)는 상기 예취프레임(10)의 요동중심근방에 설치된 각도센서(22)로 검출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예취장치(11)의 높이를 구하여, 그 상기 예취장치(11)의 높이가 상기 설정범위를 상하로 벗어날 때에는, 상기 보조예취장치(16)를 수납자세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동실린더(20)를 구동 제어한다. 그 제어시에 있어서, 상기 보조예취장치(16)가 수납자세로 되어 있느냐 않느냐는 상기 보조예취장치(16)의 승강요동지지점 근방에 설치된 각도센서(23)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한다.
또한, 이 제어장치(21)는 상기 예취클러치(22)에 의하여 상기 예취장치(11)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가 상기 예취스위치(SW1)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하여 판정되면, 상기 보조예취장치(16)를 수납자세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동실린더(20)를 구동제어한다. 그 결과, 상기 예취장치(11)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상기 보조예취장치(16)가 자동적으로 수납자세로 전환되어 확실히 보호되게 된다. 그리고, 그 제어시에 있어서, 상기 보조예취장치(16)가 수납자세로 되어 있느냐 않느냐는 상기 보조예취장치(16)의 승강요동지지점 근방에 설치된 각도센서(23)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판단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예취장치(11)의 높이를 검출하는 수단이 상기 예취프레임(10)의 주행기체(2)에 대한 상하 요동량을 검출하는 것이 었으나, 그 검출수단을 상기 예취장치(11)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검출하는 센서로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에 도면과 대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부호를 붙였으나, 그 부호의 기입으로 본 발명이 첨부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

  1. 주행기체(2)에 대하여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된 예취프레임(10)의 전단부에, 예취클러치(50)에 의하여 작동 또는 비작동되는 예취장치(11)가 설치되고, 상기 예취프레임(10)에 보조예취장치(16)가 상기 예취프레임(10)의 아래쪽에 돌출하는 작용자세와 윗쪽에 후퇴되는 수납자세로 전환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예취프레임(10)의 승강 및 상기 보조예취장치(16)의 자세전환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1)이 설치된 콤바인의 예취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취장치(11)의 높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22)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어수단(21)이 그 검출수단(22)으로 검출된 높이가 설정범위를 상하로 벗어나고 있을 때에, 상기 보조예취장치(16)를 수납자세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전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1)이 상기 예취클러치(50)에 의하여 상기 예취장치(11)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 상기 보조예취장치(16)를 수납자세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전처리장치.
KR1019920006462A 1991-08-07 1992-04-17 콤바인의 예취전처리장치 KR940011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97759 1991-08-07
JP3197759A JPH0538216A (ja) 1991-08-07 1991-08-07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3199025A JPH0538223A (ja) 1991-08-08 1991-08-08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91-199025 1991-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804A KR930003804A (ko) 1993-03-22
KR940011138B1 true KR940011138B1 (ko) 1994-11-24

Family

ID=2651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462A KR940011138B1 (ko) 1991-08-07 1992-04-17 콤바인의 예취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11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804A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1138B1 (ko) 콤바인의 예취전처리장치
JP2955403B2 (ja) コンバインの昇降制御装置
JP2001231329A (ja) コンバインの接地式刈高さセンサー構造
JP2010200686A (ja) コンバイン
JP2786972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H0538223A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2656961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刈取前処理装置の制御装置
JPH0538216A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2854488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H114614A (ja) 汎用形コンバイン
JP2558077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3183955B2 (ja) コンバイン
JP2760727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2907729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刈取部昇降制御装置
JP2760728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2558076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3564724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の第2刈刃装置
JP2548841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JP2815844B2 (ja) 収穫機における刈取前処理装置
JPS5841798Y2 (ja) 刈高制御用センサ−付刈取機
JP2001251952A (ja) コンバインの排出オーガ
JP3359835B2 (ja)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構造
JP4626746B2 (ja) コンバインおよびコンバインによる刈取方法
JP2004097076A (ja) 刈取り収穫機
JP3356955B2 (ja)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