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014B1 - 폴리카보네이트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014B1
KR940010014B1 KR1019890003883A KR890003883A KR940010014B1 KR 940010014 B1 KR940010014 B1 KR 940010014B1 KR 1019890003883 A KR1019890003883 A KR 1019890003883A KR 890003883 A KR890003883 A KR 890003883A KR 940010014 B1 KR940010014 B1 KR 940010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group
mol
represented
phenoxy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605A (ko
Inventor
마사야 오까모도
히로시 구로가와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홍고오 무쓰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4131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4001001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71984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76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0261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74303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홍고오 무쓰비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08G64/14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containing a chain-terminating or -crosslink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제 1 도는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수지 조성물로 부터 얻은 시료의 아이조드 충격강도와, 그 시료 중의 p-큐밀페녹시기와, p-t-부틸페녹시기의 몰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 2 도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수지 조성물로 부터 얻은 시료의 아이조드 충격강도와, p-t-옥틸페녹시기와 p-t-부틸페녹시기의 몰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그 제조방법 및 그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하게는 유동성과 내충격성의 균형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및 그것의 효율적인 제조방법.
그리고, 그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각종 물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시판되고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가운데 일부는 복잡하고 얇은 제품의 성형을 가능하게 하고자, 단순히 분자량을 줄인 고유동급(high grade of fleidity)의 것이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 유동급의 폴리카보네이트는, 기계적 강도, 특히 저온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저분자량화하여도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폴리카보네이트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했다.
그 결과, 분자량 조절제로서 큐밀페놀(즉, α,α-디메틸벤질페놀) 또는 t-옥틸페놀(즉, 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과, p-t-부틸페놀 또는 페놀을 일정한 비율로 사용하여, 이들이 분자말단위치에 결합된 폴리카보네이트가 상기 목적에 적합한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점에 기초하여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유동성과 내충격성의 균형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저온에서도 우수한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얇고 복잡한 제품의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의 목적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각종 물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식
Figure kpo00001
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주사슬로 함과 동시에,
⒜ 일반식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A는 일반식
Figure kpo00003
으로 표시되는 α,α-디메틸벤질기, 또는 일반식
Figure kpo00004
으로 표시되는 1.1.3.3-테트라메틸부틸기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치환된 페녹시기 및,
⒝ 일반식
Figure kpo00005
로 표시되는 p-t-부틸페녹시기, 및/또는 일반식
Figure kpo00006
으로 표시되는 페녹시기가, 그 분자의 말단위치에서 ⒜ 상기 치환된 페녹시기 10-99몰% ⒝ p-t-부틸페녹시기 및/또는 페녹시기 90-1몰%의 비율로 결합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 일반식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Q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음)로 표시되는 치환된 페놀 10-99몰% 및 ⒝ p-t-부틸페놀 및/또는 페놀 90-1몰%의 비율로 결합된 분자량 조절제를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계 산화방지제 0.01∼0.13중량부의 범위로 구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는, 상술한 식(I)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주사슬로 하고, 또 말단위치에는, 식(II)로 표시되는 치환된 페녹시기(말단기 ⒜)와 동시에, 식(III)으로 표시되는, p-t-부틸페녹시 및/또는 식(IV)로 표시되는 페녹시기(말단기 ⒝)가, 말단기⒜10-99몰%, 말단기⒝ 90-1몰% 비율, 바람직하게는 말단기⒜ 20-99몰%, 말단기⒝ 80-1몰%의 비율로 배합된다.
여기서, 말단기⒜가 10몰% 이하이면,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한 것으로 된다. 치환된 페녹시기 즉, 식(II)로 표시되는 상기 말단기⒜는, 일반식
Figure kpo00008
(즉, α,α-디메틸벤질 페녹시기) (p-큐밀페녹시기, o-큐밀페녹시기 및 m-큐밀페녹시기, 특히 p-큐밀페녹시기가 바람직하다)으로 표시되는 큐밀페녹시기 및
일반식
Figure kpo00009
(즉, p-t-옥실페녹시기, o-t-옥틸페녹시기 및 m-t-옥틸페녹시기, 특히 p-t-옥틸페녹시기가 바람직하다)로 표시되는 t-옥틸페녹시기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카보네이트의 말단기⒜는 식(II-2)로 표현되는 규밀페녹시기, 식(II-2)로 표현되는 t-옥틸페녹시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는, ⑴ 식 (I)의 반복단위로 된 주사슬의 한쪽 말단에 말단기(a)가 결합하고, 다른쪽 말단에 말단기(b)가 결합한 것, (2) 식(I)의 반복단위로 된 주사슬의 양말단에 말단기⒝가 결합한 것의 혼합물(예를 들면, ⑴-⑶의 혼합물, ⑴과 ⑵의 혼합물, ⑴과 ⑶의 혼합물 또는 ⑵와 ⑶의 혼합물)이며, 이들의 말단기의 평균치가 상술한 비율(몰%)로 된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는 분자량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점도 평균 분자량이 10,000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00-30,000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는 상술한 식(I)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주사슬로 하고, 말단위치에 말단기(a) 및 말단기(b)가 결합된 구성상태로 되어 있으나, 분자 사슬중에는 식(I)의 반복단위 이외의 반복단위가 소량혼합되어 있어도 지장없다.
상기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고려될 수 있는데, 크게 나누어 다음의 2개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방법 I : ⒜ 식 (II')로 표현되는 치환된 페놀(구체적으로는, p-큐밀페놀, o-큐밀페놀, m-큐밀페놀, 또는 p-t-옥틸페놀, o-t-옥틸페놀, m-t-옥틸페놀) 10-99몰%, 몰 ⒝ p-t-부틸페놀 및/또는 페놀 90-1몰%로 된 분자량 조절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방법 II : 말단기⒜ 식(II)로 표현되는 상기 치환된 페녹시기가 결합된 폴리카보네이트 10-99몰%와, 말단기에⒝ p-t-부틸페녹시기 및/또는 페녹시기가 결합된 폴리카보네이트 90-1몰%를 혼합반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상기 방법 I에서는, 불활성 유기용매의 존재하에서, 알칼리수용액에 용해한 비스페놀 A와 포스겐을 반응시키는데 있어서, 반응전 또는 반응후에, 앞서 기술한 분자량 조절제⒜식(II')의 치환된 페놀 10-99몰% 및 ⒝ p-t-부틸페놀 및/또는 페놀 90-1몰%로 된)를 첨가하여 계면중축합반응(interfacial polycondensation reaction)을 시켜, 원하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비스페놀 A와 상기 분자량 조절제를 피리딘 또는 피리딘과 불활성 유기용매의 혼합용매에 용해하고, 그 용액에 포스겐을 주입시켜 반응시킨 피리딘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원료로 사용되는 비스페놀 A대신에, 또는 그 비스페놀 A와 함께 다른 2가 페놀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폴리카보네이트가 사용하는 2가 페놀에 대응한 반복단위의 주사슬을 갖는다.
상기 방법 I에 의하면, 생성되는 폴리카보네이트는, 앞서 기술한 ⑴-⑶의 혼합물이 주체로 된다.
반면에 방법 II에 있어서는, 분자량 조절제로서, 식(II)의 치환된 페놀을 사용하여 비스페놀 A와 포스겐을 반응시켜, 분자말단에 식(II)의 치환된 페녹시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A1)을 제조하고, 또 이것과는 별도로 분자량 조절제로서 p-t-부틸페놀 및/또는 페놀을 사용하여 비스페놀 A와 포스겐을 반응시켜, 분자말단에 p-t-부틸페녹시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A2) 및 페녹시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A3)를 제조하고, 이 폴리카보네이트 A110-99몰%와 폴리카보네이트 A2및/또는 A390-1몰%를 혼합반죽하여 원하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 II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카보네이트는 앞서 기술한 ⑵와 ⑶의 혼합물을 주체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는, 말단 위치에 특정의 치환기가 일정한 비율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 충분한 기계적 특성 및 성형가공성을 갖고는 있는데,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계 산화방지제 0.01-0.13중량부를 첨가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한층 우수한 성능을 갖는 것으로 된다.
이 조성물은 앞서 기술한 폴리카보네이트와 인계 산화방지제를 전통적인 방법으로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사용되는 인계 산화방지제로서는,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2-에틸헥시디페닐포스파이트, 트리메틸포스파이트,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부틸포스파이트, 트리옥틸포스파이트, 트리노닐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쓰리틸디포스파이트,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파이트, 트리스(2.3-디클로로프로필)포스파이트 등의 트리알킬포스파이트 : 트리시클로헥실포스파이트 등의 트리시클로알킬포스파이트 :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크레실포스파이트, 트리스(에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하이드록시페닐)포스파이트 등의 트리아릴포스파이트 :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옥틸포스페이트, 트리데실포스페이트, 트리옥타데실포스페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쓰리틸디포스페이트,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2.3-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의 트리알킬포스페이트 : 트리시클로헥실포스페이트 등의 트리시클로알킬포스페이트 :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페이트, 2-에틸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등의 트리아릴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사용할 수 있다.
인계 산화방지제의 배합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0.13중량부의 범위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인계 산화방지제의 배합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생성되는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조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고, 또 자칫하면 착색되기 쉽다. 반대로 0.13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다른 첨가제, 예를 들어 윤활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윤활제로는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린산모노글리세라이드, 펜타에리쓰리톨스테아린산 에스테르, 밀랍 등이 있다.
이 윤활제를 첨가하는 경우는, 조성물에 대하여 2000-4000ppm의 범위에서 배합하는 것이 성형시의 이 형성을 향상시키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그외에 무기충전제, 난연제, 안정제, 착색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성이 높고 내충격성 특히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한, 소위 고유동성 및 고내충격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수지 조성물은, 종래 곤란했던 얇은 필름 성형이나 복잡한 형상의 성형도 가능하게 되고, 또 분자량을 줄여 고유동급으로 하여도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수지 조성물은, 각종 공업재료, 예를 들어 가전제품, 사무자동화기기, 건축재료 등에 폭넓게 그리고 유효하게 사용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다.
[제조예]
(폴리카보네이트 소중합체(oligomer)의 제조)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4001에, 비스페놀 A 60Kg을 용해하여, 비스페놀 A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제조했다.
뒤이어, 실온으로 유지된 이 비스페놀 A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381/시간의 유량으로, 또 메틸렌클로라이드를 691/시간의 유량으로, 내경 10mm, 관의 길이 10mm, 관형반응기에 오리피스판을 통하여 주입하고, 여기에 포스겐을 10.7Kg/시간의 유량으로 주입시켜 3시간 연속적으로 반응시켰다.
여기서, 사용된 관형반응기는 2중관으로 되어 있고, 자켓 부분에는 냉각수를 통하여 반응액의 배출온도를 25℃로 유지했다.
또한 배출액의 pH는 10-11을 나타내도록 조정했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반응액을 방치하여 물상을 분리제거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상(2201)을 모으고, 여기에 또 메틸렌클로라이드 1701을 첨가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소중합체(농도 317g/ℓ)을 얻었다.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소중합체의 중합도는 3-4였다.
[합성예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의 제조)]
상기 제조예에서 얻은 폴리카보네이트 소중합체 9.01에, 분자량조절제로서 p-큐밀페놀 0.51몰을 용해시켰다.
한편, 수산화나트륨 23.5g(0.59몰)을 물 600cc에 용해시켜 트리에틸아민 5.2cc를 첨가하고, 이들을 앞서 기술한 분자량 조절제를 용해한 폴리카보네이트 소중합체에 첨가하여, 500rpm으로 상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시켰다.
그 후, 메틸렌클로라이드 9.61 및 비스페놀 A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비스페놀 A611G, 수산화나트륨 357g 함유)를 가하고, 500rpm으로 상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시켰다.
그런 다음, 메틸렌클로라이드 3ℓ를 첨가하고, 또 물 5ℓ로 수세하고, 0.01N 수산화나트륨 5ℓ로 알칼리 세정, 0.1N 염산 5ℓ로 산세정, 그리고 물 5ℓ로 수세를 순차적으로 행한 다음, 최후에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제거하여 칩형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2)를 얻었다.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1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104였다.
[합성예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2의 제조)]
합성예 1에서, 분자량 조절제를 p-큐밀페놀로부터 p-t-부틸페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예 1과 같은 조작을 하여 칩형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2)를 얻었다.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2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104였다.
[합성예 3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3의 제조)]
합성예 1에서, 분자량 조절제를 p-큐밀페놀로 부터 페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예 1과 같은 조작을 하여 칩형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3)를 얻었다.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3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104였다.
[합성예 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4의 제조)]
합성예 1에서, 분자량 조절제를 p-큐밀페놀 0.51몰 대신에 p-규밀페놀 0.255몰 및 p-t-부틸페놀 0.255몰을 사용한 이외는 합성예 1과 같은 조작을 하여 칩형 폴리카보네이트(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4)를 얻었다.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4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104였다.
[합성예 5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5의 제조)]
합성예 1에서, 분자량 조절제를 p-큐밀페놀 0.51몰 대신에 p-큐밀페놀 0.459몰 및 페놀 0.051몰 사용한 이외는 합성예 1과 같은 조작을 하여 칩형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5)를 얻었다.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5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 S104였다.
[실시예 1-9, 비교예 1 및 참고예 1-3]
하기 제1표에 나타난 중량비로 상기 합성예 1-4로 부터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혼합하고, 220-270℃에서 압출기로 조립했다.
생성된 펠릿을 사출성형하고,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10
[표 2]
아이조드 충격강도 *1
Figure kpo00011
*1 JIS-K-7110에 따름, 즉, 전체 시료 10개에 대하여 아이조드 충격시험을 실시하고, 이 가운데 연성 파손된 시료를 표시한다.
다른 시료는 메짐성 파단(brittle-fracture)시켰다.
모든 시료를 노치부착시켜 두께 3mm의 것을 사용하고, 평량 4.0J로 측정했다.
[실시예 10-15, 비교예 2 및 참고예 4, 5]
아래의 제3표에 나타난 비율로 상기 합성예 1-4로부터 얻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인계 산화방지제(B1: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B2: 2-에틸헥실디페닐 포스파이트)를 혼합하고, 220-270℃에서 압출기로 조립했다.
생성된 펠릿을 사출성형하고,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제4표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kpo00012
*2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의 내역을 나타냄.
*3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한 인계 산화방지제의 비율을 나타냄.
[표 4]
Figure kpo00013
*1 제2표와 같음.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수지 조성물 중의 p-규밀페녹시기, p-t-부틸페녹시기 및 페녹시기의 몰비를 양성자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중클로로포름용매)의 측정치로부터 산출했다.
결과를 제5표에 나타낸다.
[표 5]
Figure kpo00014
또한, 상술한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은 시료의 -5℃에서의 아이조드 충격강도와, 그 시료 중의 p-큐밀페녹시기와 p-t-부틸페녹시기의 몰비와의 관계를 제 1 도에 나타낸다.
[합성예 6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1의 제조)]
상기 제조예로부터 얻은 폴리카보네이트 소중합체 9.01에, 분자량 조절제로서 p-t-옥틸페놀(즉, 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0.51몰을 용해시켰다.
한편, 수산화나트륨 23.5g(0.59몰)을 물 600cc에 용해시켜 트리에틸아민 5.2cc를 가하고, 이것을 앞서 기술한 분자량 조절제를 용해시킨 폴리카보네이트 소중합체에 첨가하여, 500rpm으로 상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시켰다.
그런 다음, 메틸렌클로라이드 9.61 및 비스페놀 A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비스페놀 A 661g, 수산화나트륨 357g 함유)을 가한 다음, 500rpm으로 상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시켰다.
그 후, 메틸렌클로라이드 31를 가하고, 또 물 51로 수세하고, 0.01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알칼리 세정하고, 0.1N 염산 수용액으로 산세정하고, 그리고 물 51로 수세를 순차적으로 실시했고, 최후에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제거하여, 칩형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1)을 얻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1의 점도 평균분자량은 1.9×104였다.
[합성예 7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4의 제조)]
합성예 6에서, 분자량 조절제를, p-t-옥틸페놀 0.51몰로부터 p-t_옥틸페놀 0.255몰 및 p-t-부틸페놀 0.255몰로 변경한 이외는 합성예 6과 같은 조작을 하여 칩형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4)를 얻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4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104였다.
[합성예 8(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s의 제조]
합성예 6에서, 분자량 조절제를, p-t-옥틸페놀 0.51몰로부터 p-t-옥틸페놀 0.459몰 및 페놀 0.051몰로 변경한 이외는, 합성예 6과 같은 조작을 하여 칩형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5)를 얻었다.
[실시예 16-24, 비교예 3 및 참고예 6]
아래의 제6표에 나타난 중량비로 상기 합성예에서 얻은 폴라카보네이트를 혼합하고, 220-270℃에서 압출기로 조립했다.
이 펠릿을 사출성형하고,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제7표에 나타낸다.
[표 6]
Figure kpo00015
[표 7]
Figure kpo00016
*1 제1표의 *1과 같음
[실시예 25-30, 비교예 4 및 참고예 7]
하기 제8표에 나타난 비율로 상기 합성예로부터 얻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인계 산화방지제(B1: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B2: 2-에틸헥실디페닐 포스파이트)를 혼합하고, 220-270℃에서 압출기로 조립했다.
이 펠릿을 사출성형하고,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제9표에 나타낸다.
[표 8]
Figure kpo00017
*2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의 내역을 나타냄.
*3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한 인계 산화방지제의 중량부를 나타냄.
[표 9]
Figure kpo00018
*1 제7표의 *1과 같음
그 다음,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또는 수지 조성물 중의 p-t-옥틸페녹시기, p-t-부틸페녹시기 및 페녹시기의 몰비를 양성자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중클로로포름용매)의 측정치로부터 산출했다.
결과를 제10표에 나타낸다.
[표 10]
Figure kpo00019
상술한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나타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은 시료들의 -5℃에서의 아이조드 충격강도와, 그 시료들 중의 p-t-옥틸페녹시기와 p-t-부틸페녹시기의 몰비와의 관계를 제 2 도에 나타낸다.

Claims (7)

  1. 구조식
    Figure kpo00020
    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주사슬로 함과 동시에, 말단위치에 ⒜일반식
    Figure kpo00021
    (상기 식에서, A는 구조식
    Figure kpo00022
    으로 표시되는 α,α-디메틸벤질기, 또는 구조식
    Figure kpo00023
    으로 표시되는 1.1.3.3-테트라메틸부틸기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치환된 페녹시기 및,
    ⒝ 구조식
    Figure kpo00024
    로 표시되는 p-t-부틸페녹시기, 및 구조식
    Figure kpo00025
    으로 표시되는 페녹시기 둘 중의 한개 이상의 작용기가 ⒜ 치환된 페녹시기 10-99몰%, ⒝ p-t-부틸페녹시기와 페녹시기 둘 중의 한개 이상의 작용기 90-1몰%의 비율로 결합된 폴리카보네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 치환된 페녹시기가 구조식
    Figure kpo00026
    으로 표시되는 p-큐밀페녹시기에 해당하는 폴리카보네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 치환된 페녹시기가 구조식
    Figure kpo00027
    으로 표시되는 t-옥실페녹시기에 해당하는 폴리카보네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가, 분자의 말단위치에 ⒜ 식(II)로 표시된 치환된 페녹시기가 결합된 폴리카보네이트와, 말단위치에 ⒝ p-t-부틸페녹시기와 페녹시기 둘 중의 한개 이상의 작용기가 결합된 폴리카보네이트와의 혼합물에 해당하는 폴리카보네이트.
  5. 제 1 항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으로서, ⒜ 일반식
    Figure kpo00028
    (상기 식에서, A는 앞에 기술한 바와 같음)으로 표시되는 치환된 페놀 10-99몰%와, ⒝ p-t-부틸페놀과 페놀 둘 중의 한개 이상의 작용기 90-1몰%의 비율로 결합된 분자량 조절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6. 제 4 항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으로서, 분자의 말단위치에 ⒜ 식(II)로 표시된 치환된 페녹시기가 결합된 폴리카보네이트 10-99몰%와, 말단위치에 ⒝ p-t-부틸페녹시기와 페녹시기 둘 중의 한개 이상의 작용기가 결합된 폴리카보네이트 90-1몰%와를 혼합 반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의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계 산화방지제 0.01-0.13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9890003883A 1988-03-28 1989-03-28 폴리카보네이트 KR940010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98488A JPH0747627B2 (ja) 1988-03-28 1988-03-28 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3-71984 1988-03-28
JP071984/1988 1988-03-28
JP63-102615 1988-04-27
JP63102615A JPH0774303B2 (ja) 1988-04-27 1988-04-27 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102615/1988 1988-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605A KR890014605A (ko) 1989-10-24
KR940010014B1 true KR940010014B1 (ko) 1994-10-20

Family

ID=2641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883A KR940010014B1 (ko) 1988-03-28 1989-03-28 폴리카보네이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4977233A (ko)
EP (1) EP0335214B1 (ko)
KR (1) KR940010014B1 (ko)
BR (1) BR8901409A (ko)
DE (1) DE6891118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5214B1 (en) * 1988-03-28 1993-12-08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olycarbonate
EP0360578B1 (en) * 1988-09-22 1998-08-05 Ge Plastics Japan Lt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carbonates
US4973664A (en) * 1989-07-20 1990-11-2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polycarbonates of controlled molecular weight from bischloroformates
JP2535457B2 (ja) * 1991-03-05 1996-09-18 帝人化成株式会社 ポリカ―ボネ―ト樹脂の製造法
US5431367A (en) * 1992-08-28 1995-07-11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layer injection molds having improved surface properties
US5388803A (en) * 1993-08-17 1995-02-14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producing textured articles
US5458818A (en) * 1993-08-31 1995-10-17 General Electric Co. Insulated mold structure for injection molding of optical disks
US5728474A (en) * 1993-12-14 1998-03-17 General Electric Company Edge design for insulated mold
JP3436466B2 (ja) * 1996-03-07 2003-08-11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デジタルビデオディスク基板
TW487811B (en) 2000-01-27 2002-05-21 Idemitsu Petrochemical Co Light guide plat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2005A1 (de) * 1978-09-27 1980-04-10 Bayer Ag Polycarbonate mit alkylphenyl-endgrupp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049178A1 (de) * 1980-12-24 1982-07-29 Röhm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m verdicken von waessrigen systemen"
JPS58185619A (ja) * 1982-04-26 1983-10-29 Idemitsu Kosan Co Ltd ポリカ−ボネ−トの製造方法
US4775739A (en) * 1986-06-18 1988-10-04 Mitsubishi Chemical Industries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with tertiary alryl phenol molecular weight modifier
US4774315A (en) * 1986-12-23 1988-09-27 General Electric Company Copoly isophthalate carbonate end-capped with paracumylphenol
US4902735A (en) * 1987-06-03 1990-02-20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High impact resistant polycarbon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id polycarbonate
EP0335214B1 (en) * 1988-03-28 1993-12-08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olycarbo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35214A2 (en) 1989-10-04
US4977233A (en) 1990-12-11
DE68911180T2 (de) 1994-04-21
US5091482A (en) 1992-02-25
EP0335214B1 (en) 1993-12-08
EP0335214A3 (en) 1990-10-10
BR8901409A (pt) 1989-11-07
KR890014605A (ko) 1989-10-24
DE68911180D1 (de) 199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2735A (en) High impact resistant polycarbon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id polycarbonate
KR940010014B1 (ko) 폴리카보네이트
DE69025298T2 (de) Polycarbonat- oder Polyestercarbonat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avon
CN104470889A (zh) 羟基封端单体、其聚碳酸酯和含有该聚碳酸酯的制品
JPS5861148A (ja) ポリウレタン、ポリホスホネ−ト及びポリカ−ボネ−ト樹脂の熱可塑性三元成形用組成物
USH506H (en) Resinous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using same
KR101770453B1 (ko) 광학특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2003531926A (ja) 加水分解安定性に優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
GB1569296A (en) Polymer compositions and their preparation
JPH0774303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08378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4290250B2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
KR20180043685A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JPH0747627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063825A1 (en) Aromatic-aliphatic co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102426547B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JP2538566B2 (ja) 新規重合体とその製造方法
JPH0621226B2 (ja) ポリカ−ボネ−ト樹脂組成物
KR10203073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329520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20552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505166B2 (ja) 新規共重合体とその製造法
JPH0912843A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20220125066A (ko)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KR20220108711A (ko)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