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179B1 - 제1전기장치와 그에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전기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장치시스템 - Google Patents

제1전기장치와 그에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전기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장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179B1
KR940009179B1 KR1019900702266A KR900702266A KR940009179B1 KR 940009179 B1 KR940009179 B1 KR 940009179B1 KR 1019900702266 A KR1019900702266 A KR 1019900702266A KR 900702266 A KR900702266 A KR 900702266A KR 940009179 B1 KR940009179 B1 KR 940009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lectrical system
bodies
panel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601A (ko
Inventor
귄터 바이츠
하르트무트 카민
Original Assignee
닉스도르프 콤퓨터아게
볼프강 라움, 하인즈 하 호오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닉스도르프 콤퓨터아게, 볼프강 라움, 하인즈 하 호오만 filed Critical 닉스도르프 콤퓨터아게
Publication of KR910700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29Housings for circuits carrying a CPU and adapted to receive expansion c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전기장치와 그에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전기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장치시스템
도면은 다음과 같다.
제1도는 기능부품과 판넬 그리고 거기에 맞는 커버 케이스를 지닌 한 본체의 사시도.
제2도는 2개의 본체를 연결한 본체유니트와 여기에 맞는 커버 케이스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본체유니트가 기계적으로 결합되기전 제2도의 반대편에서 본 사시도.
제4도는 제2도, 3도에 따른 본체유니트의 요부발췌 상세 평면도.
제5도는 제2도, 3도에 다른 본체유니트의 연결을 위한 괘지 후크(hook)설치 부위의 발췌상세도.
제6도는 격판에 의해 닫혀질 수 있는 기능부품으로의 접근구멍들이 있는 커버 케이스에 의해 씌워진 본체유니트의 사시도.
제7도는 4개의 연결된 본체로 이루어진 본체유니트와 거기에 맞는 커버 케이스의 도식적인 사시도.
본 발명은 상호 연결가능한 전기장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전기장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전기장치는 이를 확장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 종종 요구되어진다. 사용자는 예컨대 제1확장단계로서 우선 당장 쓸 수 있는 정해진 용량의 기본 전기장치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후에 용량을 늘리기 위해 기본장치와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추가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그밖의 적용범위는 수많은 소형컴퓨터로 구성된 네트워크인데, 이는 대용량 기억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소형컴퓨터들이 기본장치인 반면 대용량 기억장치는 기본장치에 부속된 추가장치에 다량의 자기디스크(磁氣) 저장장치의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적용용역은 백화점에서 사용하기 위해 고려한 자동금전등록기이다. 이 경우 마스터 등록기는 기본장치와, 여기에 연결되고 단지 한번만 필요로 하는 부품을 지닌 추가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속 등록기(하부(터미날)등록기)는 단지 하나의 기본장치로 이루어진다. 그 이외의 적용영역은 전체 시스템을 조직하기 위해 상호 연결된, 컴퓨터로 조작되는 기계장치, 은행 온라인망 등이다.
일반적으로 확장가능한 기본장치의 출력을 확장하는 추가기능부품에 대비한 공간을 처음부터 확보해 두도록 하여 만드는 것은 널리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가 기본 확장단계의 장치만을 필요로 할 경우에도 필요치 않은 기능부품에 대한 컨넥터시스템(connector system), 배선(wiring)과 같은 사용되지 않는 구조적 공간을 받아 들여야 하며, 이에 따라 부적절하게 큰 공간뿐 아니라 구매시 불필요한 가격을 감수해야 한다.
미국특허 제4,725,244호에는 한 기본장치가 여러가지 부속 장치들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샤시를 가지고 전체 장치가 하나의 커버캡에 의해 덮혀지는 한 장치시스템이 소개되어 있다. 이는 그러나 적합한 설치면들의 부족으로 그 기본 및 부속장치들을 상호 조립함에 있어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즉, 부속장치들이 기본장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크류우의 도움을 받아 횡적으로 스크류우조임되거나 기본장치상에 위로부터 설치고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아프터서비스의 목적으로 장치를 분해 조립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게 되어 특정공구들을 구비한 전문인력만이 장치의 분해조립을 실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독립된 전기장치 본체들을 필요로 각 경우의 출력에 맞추어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상호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확장조립할 수 있고 아울러 모든 각각의 확장조립상태에서 콤팩트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동시에 그 기계적, 전기적 연결장치들이 부적절한 취급이나 손상으로부터 잘 보호될 수 있으며, 본체들간의 조립, 분해가 손쉬운 그러한 전기장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범위 제1항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전기장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각 장치는 한편으로는 이 장치의 기능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와, 다른 한편으로는 이 장치를 다른 장치의 본체와 연결하기 위한 수단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는 완성된 장치가 아니라 그 본체가 다른 본체와 기계적, 전기적으로 상호결합하여 더 큰 본체유니트를 이룬다. 이 본체유니트는 기계적으로 결합된 후에도 각자의 기능부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이것은 본체 내부에 뻗어 있는 전기 컨넥터에 의해 간단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장치 외부에 걸쳐있는 예를들면 연결케이블과 같은 연결수단을 피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본체, 혹은 이들 본체를 결합시켜서 된 본체유니트를 덮어 씌우기 위해 각 경우의 형태와 크기에 맞는 커버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체유니트의 케이스는 본체들간의 전기적, 기계적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 설치되어진다. 케이스는 각각의 본체 사이의 연결부위뿐 아니라 그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장치들도 함께 덮어주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시스템유니트가 미려하고 콤팩트한 외관을 지니도록 하여 주고, 또 한편으로는 부적절한 취급이나 손상에 대해서 기계적, 전기적 연결장치들을 보호하여 준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기계적 연결장치들을, 서로 연결할 본체들의 상호 마주보는 바깥면들에 설치하였다. 본체의 바깥면들은 서로 결합된 이후에 본체유니트의 내부 접합면이 되기 때문에, 남아있는 바깥면들은 그러한 연결장치로부터 해방되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는 바닥판과 거기에 수직으로 설치된 분리벽들을 구비한다. 기계적 연결장치는 특히 두개의 본체를 연결할 경우 서로 인접하게 되는 이들 본체의 분리벽들상에 설치되어 있다.
많은 경우, 장치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기본장치 본체와, 이 기본장치 본체에 연결되어서 작동하는 하나 혹은 다수의 추가장치 본체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상호 결합된 다수의 본체중 적어도 하나, 즉 기본장치 본체에 냉각팬을 장착시켰고, 이와 같이 냉각팬이 설치된 제1본체로부터 거기에 연결된 다른 본체로 냉각공기가 전달되도록 전달통로를 배려하였다. 이에 의해 구조적으로 상당히 단순화 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기본장치, 다른 한편으로는 기본장치와 추가장치로 구성된 유니트의 냉각출력은 냉각팬의 회전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전체유니트에 냉각공기를 필요하고 요구되는 만큼 확실히 분할해 주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배려하였다. 즉 실시예에 의거해 좀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리벽에 고정 및(혹은) 조정가능한 냉각공기 통풍구조를 고려해 넣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에 냉각공기를 통풍구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배려하였다.
본 발명의 한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팬의 압력면(壓力面)은 제1전달통로와 연결되 있는데, 전달통로는 냉각팬을 가지는 본체의 바깥면에 소속된 한 연결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바깥쪽으로 열려져 있다. 연결된 본체는 제1본체쪽으로 향한 바깥면에서 마찬가지로 바깥쪽으로 열려져 있고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제1전달통로와 겹쳐지는 제2전달통로를 보여준다. 이곳에서 첫번에 언급한 본체의 냉각공기가 상기 본체에 연결된 다른 본체에 전달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된 본체의 기능부는 예를들면 연결케이블을 거쳐 직접 상호연결된다. 또한 각 본체의 기능부 연결은 하나 혹은 다수의 다중 플러그에 집중될 수 있으며, 연결케이블을 거쳐 각각에 상응하는 다른 본체의 플러그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또한 본체가, 적어도 한 일측에 플러그를 위한 플러그 연결장치를, 타측에는 연결된 본체의 기능부품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 커넥터를 구비한 판넬(panel)을 보여준다. 이 판넬은 바닥판에 대해 수직으로 놓여 있으며, 커넥터는 판넬의 아무것도 없는 위쪽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플러그 연결장치는 판넬의 시스템 내부쪽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판넬은 간단한 작업과정으로 본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모든 기능부품들의 접속을 간단히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 본체에서 다른 본체로 전달되는 연결케이블의 조립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체의 분리벽은 기능부품 및(혹은) 판넬이 조립되는 레일(rail)의 역할을 하는 가이드 핀(guide fin)들을 지닌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분리벽의 일부분에는 연결케이블의 연결통로구가 설치되어 있어, 이 연결케이블이 가장 짧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두에서 이미 설명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커버 케이스를 가진다. 커버 케이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기본장치의 형태와 크기에 맞추어지거나, 또는 다른 각종의 크기를 지닌 본체유니트에 맞추어진다. 커버 케이스에는 필요에 따라 냉각공기의 송풍 및 배출구 혹은 전기 케이블의 연결구를 고려해 넣었다. 그밖에 본 발명은 커버 케이스의 측면에 격판(隔板)에 의해 닫혀질 수 있는, 기능부품으로의 접근구멍을 배려하였다. 상기 격판은 예를들면 벽뒤에 설치된 기능부품의 조작을 위한 조작요소가 장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는 기능부품을 끼워넣기 위해 바닥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옆으로 나있는 밀어넣기 구멍(삽입구)을 보여준다.
본체는 특히 그 삽입 방향이 90도로 서로 전위되어 있는 적어도 두개의 밀어넣기 구멍들을 보여준다. 이에 의해 각각의 기능부품들은 90도로 상호 전위된 방향으로 그 작동 정면부가 위치할 수 있어, 예를들면 직사각형의 외관을 지닌 시스템유니트의 경우 좁은 쪽이나 넓은 쪽의 측벽이 정면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에서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전기적 및 기계적 기능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본체(1)를 보여준다.
한 예로서 전력공급부(2)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화살표(3)의 방향으로 본체(1)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판넬(panel)(4)은 한편으로는 전력공급부(2)쪽으로 향한 면에 도시되지 않은 플러그 연결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그 위쪽 모서리에 연결케이블을 통해 다른 기능부품과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5)를 설치하였다. 6은 냉각팬을 가리키는데, 이 역시 기능부품으로서 화살표(7)의 방향으로 본체(1)에 삽입설치되어 있으며, 한편으로는 냉각팬(6)쪽에, 다른 한편으로는 본체(1) 혹은 전력공급부(2)쪽에 있는 플러그 연결장치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본체(1)는 바닥판(8)과 그 위에 수직으로 설치된 분리벽, 예를들면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외부 분리벽(9)(10)(11)들을 가진다. 이들 분리벽은 뒤에 좀 더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여러가지 기능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칸막이를 구성한다. 커버판(12)은 분리벽, 예를들면 외부 분리벽(9)(10)(11)상에 놓여진 후 나사(13)로 이들에 고정되어서 본체(1)의 위를 덮어 주도록 되어 있다.
커버 케이스(14)는 그 아랫면에 개방되어 있고 그 밖의 면들은 빙둘러 차폐되어 있다. 이것은 본체(1)의 크기와 형태에 정확히 맞추어져 있으며, 위로부터 본체(1)에 씌워지며, 여기에는 설명이 아니되어 있지만 기존의 방법으로 본체와 결합된다. 몇몇 측벽(15)(16)(17)들은 케이스(14)에서 분리할 수 있는 격판(隔板)으로 디자인되어 있는데, 이는 예를 들면 필요시 전체 케이스를 해체하지 않고도 각 측벽만 따로 분리하여 그 안쪽의 개별 기능부품에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케이스(14)는 이외에 측벽(18)에, 케이스(14)를 본체(1)상에 결합된 뒤 냉각팬(6) 앞에 높여져 냉각공기 유입구의 역할을 하는 길쭉한 틈 형태의 구멍(19)들이 있다. 케이스(14)의 커버판(20)에는 여기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도의 장치와 예를들면 여기에 올려진 그밖의 장치를 연결시킬 수 있는 케이블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21)이 있다.
분리벽(10)에는 삽입구(22)가, 분리벽 11에는 삽입구(23)(2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 삽입구는 나중에 설명되는 방법으로 본체(1)에 기타 본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2도는 제1도의 본체에 또 하나의 본체(25)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본체(1)와 본체(25)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본체유니트(26)를 이룬다. 본체(25)는 또한 바닥판(27)을 지니며, 그 위에 여러개의 분리벽(28)(29)(30)(31)(32)들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분리벽은 특히 제3도에서 설명되듯이 여러가지 기능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칸막이를 이룬다. 제3도는 본체(1)와 본체(25)가 분해된 상태로 제2도의 시각의 반대 방향에서 본 것이다. 본체(25)의 분리벽(32)은 그 자유단부쪽에서 여러번 절곡되어 그 단부에 두개의 괘지부(33)(34)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괘지부는 특히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1)의 분리벽(11)의 삽입구(23)(24)와 부합토록 만들어져 있다. 본체(25)의 분리벽(28)(31)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에는 탄력 작용을 하는 괘지 후크(35)가 설치되어 본체(1)의 분리벽(10)의 삽입구(22)에 맞물리도록 설계되어 있다(제5도 참조). 본체(1)(25)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그 대향면을 서로 마주보게 한다. 이때 본체(1)를 본체(25)에 대해 화살표(36)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나서 본체(1)를 본체(25)에 대해 괘지부(33)(34)가 삽입구(23)(24)에 맞물릴때까지 화살표(37)의 방향으로 밀어 삽입한다. 이때 밀리는 방향의 분리벽(10)의 후면(38)이 본체(245)의 분리벽(31)에 설치된 받침 돌출부(39)(제4, 5도 참조) 뒤로 삽입 고정되며, 괘지 후크(35)는 삽입구(22)의 테두리면에 의해 만들어진 괘지면(40)에 괘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본체(1)(25)들은 서로 분리되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호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본체(1)(25)들을 상호 분리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이용해 괘지면(40)에서 벗어날 때까지 괘지 후크(35)를 화살표(41)의 방향으로 구부려주어야 한다. 그리고 나서 본체(1)를 화살표(42)의 방향으로, 그 분리벽(10)의 후면(38)이 본체(25)의 분리벽(31)상의 돌출부(39)로부터 벗어나고 괘지부(33)(34)가 삽입구(22)(23)에서 벗어날때까지 밀어 보내면 된다(제4도 참조).
제2도∼4도의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이 두 본체(1)(25)가 결합하여서 되는 전체 본체유니트(26)에 대해 단지 한개의 냉각팬(6)만이 제공되는데, 그 냉각공기는 양쪽 본체(1)(25)에 분할공급된다. 냉각팬(6)은 분리벽(9)(10)에 의해 만들어진 본체(1)의 칸막이부에 삽입설치되며, 앞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플러그 연결장치에 의해 그밖의 기능부품, 특히 전력공급부(2)와 연결된다. 냉각팬(6)을 설치하기 위한 칸막이를 만드는 분리벽에는 최소한 한개의 구멍(43)이 있는데, 여기를 거쳐 냉각공기가 본체(1)의 내부로 전달된다. 판넬(4)은 구멍(43)의 뒤에 냉각공기가 흐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냉각공기의 양을 두 부분(44)(45)을 분할하여 준다(제4도 참조). 판넬(4)은 내부 분리벽(46)과 더불어 냉각기류(44)를 안내하는 내부 통로를 형성하는데, 이 통로는 분리벽(46)에 설치된 구멍(47)(48)을 통해, 냉각공기를 본체(1)내부의 여러가지 기능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는 쪽에 전달할 수 있다. 판넬(4)은 또한 그 바깥쪽으로, 즉 연결된 본체(25) 쪽으로 개방된 냉각기류(45)의 전달통로(49)의 내부 경계벽의 역할을 한다. 본체(25)는 본체(1)쪽을 향한 면에 마찬가지로 바깥쪽으로 열린 전달통로(50)를 가지는데, 이 통로는 분리벽(32)에 의해 경계가 설정된다. 전달통로(49)(50)들은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겹쳐져, 냉각공기(45)가 전달통로(50)를 통해 본체(25)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분리벽(32)에는 통풍구멍(51)(52)들이 설치되어, 여기를 통해 본체(25) 내부의 기능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 냉각공기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분리벽(32)에는 안내면(53)이 설치되어 있고, 이 안내면은 냉각공기를 모아 통풍구멍(51)(52)쪽으로 안내하여 준다. 분리벽(31)에 설치된 구멍(85)은 냉각공기의 통풍구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본체(1)(25) 사이를 관통하는 연결케이블의 통로의 역할을 한다.
제3도에는 서로 연결할 본체의 전형적인 설치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1)의 바닥판(8)과 평행하게 바닥판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54) 사이에 전체 바닥판(8)을 덮는 전자부품(55)이 삽입되어 있다. 분리벽(56)(57)(9)들상에도 역시 가이드 레일(58)들이 설치되어서 여러가지 기능부품이 거기에 삽입설치된다. 분리벽(9)(57)에 의해 만들어진 칸막이에는 이미 앞에서 언급한 전력공급부(2)가 삽입설치된다. 분리벽(57)(56)에 의해 만들어진 칸막이에는 그밖의 전자부품(59)(60)들이 삽입설치된다. 모든 기능부품(55)(2)(59)(60)들은 기존의 그러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방법으로, 자체에 설치된 플러그 연결장치에 의해 판넬(4)상의 연결장치(61)(제4도 참조)와 전기적으로 상호연결된다. 본체(1)와 이에 의해 장치된 기능부품들로 이루어진 장치는 예를 들면 독자적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 기본장치를 이룬다.
본체(25)의 분리벽(28)(29) 사이에는 삽입구(86)를 통해 밀어넣을 수 있는 예를들면 자기디스크장치(62)를 설치할 수 있다. 분리벽(30)(32)에도 또한 가이드레일(63)들이 설치되어, 삽입구(87)를 통해 그밖의 전자부품(64)들을 삽입설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벽(30)(32)에는 또한 수직의 가이드 레일(65)이 설치되어 있어 판넬(66)을 삽입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미 본체(1)에 의거해 설명한 방법으로 본체(25)의 기능부품(62)(64)들은 판넬(66)과 전기적으로 상호연결된다.
제2도에는 또한 전체 본체유니트(26)에 덮어 씌워지고 장치의 유니트한 외관을 제공토록 그 크기와 형태를 설계한 커버 케이스(67)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스(67)의 측벽(68)에도 또한 냉각팬에 의해 흡입되는 냉각공기의 유입을 담당하는 슬리트 형태의 구멍(69)들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판(70)에는 케이블 연결을 위해 구멍(71)을 고려해 넣었다.
제2도, 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 25에 설치된 분리벽들상에는 여러가지 기능부품을 삽입설치하기 위한 90도로 서로 전위된 삽입방향의 삽입구들이 설치된다.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기능부품의 정면부가 전체 본체유니트의 좁은 쪽 면이나 넓은 쪽 면에 설치되도록 기능부품들을 삽입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 쪽이 좁은 쪽이나 넓은쪽 면으로 되는 전체 장치를 만들 수 있다.
제6도는 제3도의 예와 같이 두개의 본체를 결합시켜서 되고 그 전체를 하나로 덮는 커버 케이스(72)가 있는 한 본체유니트를 도시한 것이다. 측벽 73은 격판으로 디자인되어 있어 분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이 격판 뒤의 기능부품을 취급할 수 있다. 측벽(74)은 케이스(72)와 연결되어 고정된 부분(74a)과 분리가능한 부분(74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같은 방법으로 측벽(75)은 케이스와 연결되어 고정된 부분(75a)과 분리가능한 부분(75b)으로 구성된다. 분리가능한 부분(74b)(75b)들은 예컨대 그 뒤에 설치된 기능부품의 조작과 정비를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제7도는 4개의 본체(76)(77)(78)(79)들을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앞서 기술한 방법대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본체에 의해 구현된 본체유니트(80)는 그 크기와 형태에 맞는 하나의 커버 케이스(81)에 의해 덮혀져서 한 단일한 외관을 갖는 장치로 완성된다. 측벽(82)에 설치된 구멍(83)에서 본체(76)에 설치된 냉각팬(84)에 의해 냉각공기가 흡입된다. 이 냉각공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에 설치된 분리벽, 안내면, 그리고 통풍구들을 통해 각 본체로 분할 공급된다.

Claims (19)

  1. 각각 필요한 기능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해 만들어진 본체(1)(25)와, 이들 본체(1)(25)를 상호결합시키기 위한 기계적 연결장치(23, 24, 33, 34)(22, 35)들과, 본체(1)의 기능부품들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된 다른 본체(25)의 기능부품들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기적 연결장치들과, 개개의 본체 또는 복수의 본체를 상이한 배열로 상호연결시켜서 된 본체유니트를 꼭 맞게 덮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커버 케이스(14)(67)를 가지는 전기장치시스템으로서, 상기 본체(1)(25)가 각각의 바닥판(8)(27)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분리벽(9,10, 11, 56, 57)(28, 29, 30, 31, 32)들을 가지고, 두 본체(1)(25)를 결합시킬때 이들 본체의 상호 맞닿는 분리벽(10, 11)(31, 32)들에 연결장치(23, 24, 40)(33, 34, 35)들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전기장치와 그에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전기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장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가 본체(25)에 설치된 괘지부(33, 34)와, 이 본체(25)에 연결되는 다른 본체(1)에 상기 괘지부와 부합토록 설치된 삽입구(23, 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가 본체(25)에 장치된 탄력 괘지 후크(35)와, 이 본체(25)와 연결될 다른 본체(1)에 설치되어 상기 괘지 후크(35)와 협력 작용하는 괘지면(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호연결된 다수의 본체(1)(25)중 적어도 제1본체(1)에 냉각팬(6)이 설치되어 있고, 분리벽(32, 46)을 관통하는 구멍(51)(52)(47)(48)들과 연결된 냉각공기 전달통로(49)(50)가 제1본체(1)로부터 그에 연결된 다른 본체(25)로 냉각공기를 전달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5)(1)의 분리벽(32)(46)에 냉각공기용 고정 및/혹은 조절가능한 통풍구멍(51)(52)(47)(48)들을 설치하여서 된 전기장치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5)가 냉각공기를 통풍구멍(51)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5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냉각팬(6)의 압력면이 제1전달통로(49)와 연결되고 이 통로는 연결될 본체(25)를 향한 제1본체(1)의 바깥면에 설치되어 있고 바깥쪽으로 열려져 있으며, 연결될 본체(25)는 제1본체(25)로 향한 바깥면에 바깥쪽으로 열려져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제1전달통로(49)와 겹치는 제2전달통로(50)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1)(25)가 일측에 기능부품을 삽입키 위한 플러그 연결장치(61)를, 타측에는 연결될 본체(25)(1)의 기능부품을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5)가 설치된 판넬(4)(6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판넬(4)이 이 바닥판(8)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커넥터(5)가 이 판넬의 아무것도 없는 상단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플러그 연결장치(61)가 판넬(4)의 본체 내부쪽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판넬(4)이 바닥판(8)의 외곽모서리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모서리와 마주하여 안쪽으로 옮겨져 설치되어 있고, 냉각공기 전달통로(49)의 안쪽 경계벽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판넬(4)이 그와 평행한 분리벽(46)과 함께 내부 냉각공기 통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분리벽(30, 32)(56, 57)에 기능부품(64, 59, 60) 및/혹은 판넬(66)의 조립안내 레일의 역할을 하는 가이드 레일(63, 65)(5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들중 적어도 한 분리벽(31)에 연결케이블용 접속 구멍(85)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한 본체(1)에 맞는 형태와 크기의 케이스(14)를 가짐과 동시에 여러개의 연결된 본체(1, 25)(76, 77, 78, 79)에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의 커버 케이스(67)(8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에 냉각공기의 흡입을 위한 구멍(19)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에 전기 케이블을 접속시키기 위한 구멍(2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두 연결본체(1)(25)가 그에 대응하는 케이스(72)를 가지고 이 케이스(72)는 그 측벽(73, 74, 75)이 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기능부품으로 들어가는 구멍을 막는 분리가능한 격판(74b)(75b)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18.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본체(25)가 기능부품(62, 64)을 삽입설치하기 위한 바닥판(27)에 대해 평행한 측면 삽입구(86, 8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본체(25)가 그 삽입방향이 상호 90도로 전위된 적어도 2개의 삽입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치시스템.
KR1019900702266A 1989-02-15 1990-02-15 제1전기장치와 그에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전기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장치시스템 KR940009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8901771.4U 1989-02-15
DE8901771U DE8901771U1 (ko) 1989-02-15 1989-02-15
PCT/EP1990/000246 WO1990009731A1 (de) 1989-02-15 1990-02-15 Gerätesystem mit einem ersten und wenigstens einem daran ankuppelbaren zweiten elektrischen 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601A KR910700601A (ko) 1991-03-15
KR940009179B1 true KR940009179B1 (ko) 1994-10-01

Family

ID=683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266A KR940009179B1 (ko) 1989-02-15 1990-02-15 제1전기장치와 그에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전기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장치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458832B1 (ko)
JP (1) JPH04500010U (ko)
KR (1) KR940009179B1 (ko)
AT (1) ATE122529T1 (ko)
DD (1) DD299348A5 (ko)
DE (2) DE8901771U1 (ko)
ES (1) ES2071092T3 (ko)
WO (1) WO1990009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9887C1 (en) * 1992-03-26 1993-05-27 Bicc-Vero Electronics Gmbh, 2800 Bremen, De Drawer for holding electric components and circuit boards -
DE9214972U1 (ko) * 1992-11-04 1992-12-24 Jungheinrich Ag, 2000 Hamburg, De
DE29604674U1 (de) * 1996-03-13 1996-05-30 Hagedorn Markus Computergehäuse
WO1998041073A2 (de) * 1997-03-12 1998-09-17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g Elektronisches gerät mit peripheriegeräteaufsatz
TWI456854B (zh) 2011-12-14 2014-10-11 Timotion Technology Co Ltd 線性傳動器之電源供應模組及其轉換模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6482A (en) * 1953-11-05 1959-09-29 U M & F Mfg Corp Radio chassis, or the like
DE1099001B (de) * 1959-05-06 1961-02-09 Siemens Ag Schutzkappe aus press- oder spritzfaehigem Material fuer Bauelemente der Fernmelde-, insbesondere der Fernsprechtechnik
DE1590715A1 (de) * 1966-04-09 1970-06-25 Bunker Ramo Steckbarer elektrotechnischer Baustein
US3751127A (en) * 1970-09-10 1973-08-07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I Modular instrument housing
GB1460759A (en) * 1974-05-06 1977-01-06 Quantel Ltd Component cabinet for electronic circuitry
US4084250A (en) * 1976-09-27 1978-04-11 Honeywell Information Systems Inc. Modular assembly for an electronic computer
AT374034B (de) * 1980-07-18 1984-03-12 Siemens Ag Oesterreich Bauteileanordnung fuer das steuergeraet einer daten-verarbeitungsanlage
DE3038719C2 (de) * 1980-10-14 1984-01-26 Nixdorf Computer Ag, 4790 Paderborn Baugruppenträger für elektronische Baugruppen
JPS5833735A (ja) * 1981-08-24 1983-02-28 Sony Corp 電子機器装置
US4401351A (en) * 1981-09-28 1983-08-30 Advant Corporation Expandable card cage
US4383286A (en) * 1982-04-09 1983-05-10 Hicks Roy T Cooling and power input assembly
US4479198A (en) * 1983-02-23 1984-10-23 Honeywell Information Systems Inc. Modular computer system
EP0162044A1 (en) * 1983-11-23 1985-11-27 Roton Corporation Attachable housing unit for powered electrical component unit
DE3417451C2 (de) * 1984-05-11 1986-06-12 Heckler & Koch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7230 Schramberg Einschub-Gehäuse
JPH0441396Y2 (ko) * 1985-09-09 1992-09-29
DE3608046A1 (de) * 1986-03-11 1987-09-24 Nixdorf Computer Ag Baugruppentraeger fuer elektronische und/oder elektromechanische einschubbaugruppen
US4725244A (en) * 1987-07-02 1988-02-16 Tektronix, Inc. System for assembling an electronic work station
DE3724620A1 (de) * 1987-07-25 1989-02-02 United Carr Gmbh Trw Einschubbox mit federelementen
DE8714894U1 (ko) * 1987-11-09 1988-01-07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58832B1 (de) 1995-05-10
ES2071092T3 (es) 1995-06-16
DD299348A5 (de) 1992-04-09
WO1990009731A1 (de) 1990-08-23
EP0458832A1 (de) 1991-12-04
JPH04500010U (ko) 1992-12-03
KR910700601A (ko) 1991-03-15
DE8901771U1 (ko) 1990-06-21
ATE122529T1 (de) 1995-05-15
DE59009068D1 (de) 199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1779B2 (ja) ファンユニット
US5479747A (en) Conduit connecting mechanism for a screen panel
EP0247522B1 (en) Electronic equipment housing
US8077455B2 (en) Server cabinet and computer server system using same
US6304443B1 (en) Power supply equipped with extractable fan deck
US5663868A (en) Stackable electronic equipment assembly with improved circuit board cooling arrangement
TW201249282A (en) Rack mounted computer system and cable management mechanism thereof
JPH05267860A (ja) 電子装置モジュール・ハウジング
US4466049A (en) Modular circuit board guide
JPH07332727A (ja) 熱交換換気装置
KR940009179B1 (ko) 제1전기장치와 그에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전기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장치시스템
EP0654880A1 (en) Modular wall-mounted equipment enclosure
CN113576161B (zh) 一种线路端口安装壳体及具有其的智慧讲桌
CN215729603U (zh) 服务器机箱
US7445546B2 (en) Housing for an extractor hood and ventilator housing
CN215729605U (zh) 服务器机箱
JP3792906B2 (ja) 制御盤
JPH0320664Y2 (ko)
CN211707315U (zh) 一种嵌入式安装超声波发生器
JPH0821229B2 (ja) 補助記憶装置の筺体実装構造
IES60099B2 (en) Rack system
JPH0625778Y2 (ja) 空調用室外ユニット
JP2650581B2 (ja) 室内空気調和機
JP2001267770A (ja) 冷却ファンを備えた制御装置
JPH0791698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