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964B1 - 이동용 의자 - Google Patents
이동용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8964B1 KR940008964B1 KR1019920007750A KR920007750A KR940008964B1 KR 940008964 B1 KR940008964 B1 KR 940008964B1 KR 1019920007750 A KR1019920007750 A KR 1019920007750A KR 920007750 A KR920007750 A KR 920007750A KR 940008964 B1 KR940008964 B1 KR 9400089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r
- chair body
- traveling
- substrate
-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with endless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2—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rotating the whole seat around a vertical ax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Devices for lifting or tilting the whole wheelchai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0/00—Land vehicles
- Y10S280/10—Stair climbing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의자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의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의자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인 이동용 의자의 높이 조정 및 접는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연결레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개략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의자의 주행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도.
제8a도 및 제8b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주행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제9a도 및 제9b도는 길이가 긴 접지용 족의 개략 정면도 및 측단면도.
제10a도 및 제10b도는 길이가 짧은 접지용 족의 개략 정면도, 측단면도, 그리고 평면도.
제11도는 접지용 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제12도는 접지용 족의 주행 프레임 측으로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요부만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제13도는 제5도에 도시된 이동용 의자의 측면도.
제14도는 제5도에 도시된 이동용 의자의 평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5a도는 의자에 사람이 앉아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15b도는 그 정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6a도는 좌석에 앉아 있는 사람이 자기 중량을 스틱에 옮긴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16b도는 그 정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7a도는 좌석에 앉아 있는 사람이 강제적으로 들어 올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고, 제17b도는 그 정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의자의 다른 실시예로서 주행 모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방향전환 모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20도는 제18도의 기본적인 구성에 따른 이동용 의자의 전체적인 외형 사시도.
제21도는 제20도의 주행 모드 측면도.
제22도는 제20도의 방향전환 모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용 의자 11 : 의자본체
12 : 주행장치 13 : 사이트부
14 : 다리부 14a : 하단부
15 : 족판 16 : 팔걸이부
17 : 레버 20 : 프레임
20a : 무단레일부 21,22 : 접지용 족
23 : 무한궤도 24 : 구동벨트
25 : 힌지핀 26 : 롤러
27 : 축지지핀 28 : 족본체
29 : 결합구 30 : 구동용 레버
31 : 구동기구부 32 : 전달벨트
33 : 구동기어 33a : 전달기어부
34 : 제동레버 35 : 브레이크기구
36a : 와이어 40,41 : 크랭크샤프트
42 : 연결용 프레임 43 : 연결레버
44 : 탄성수단 46 : 설치홀더
47 : 설치홀더 48 : 조작부
50 : 연결용 하부샤프트 60 : 방향전환장치
61 : 방향전환용 기판 62 : 회전축수단
63 : 숭강기구 64 : 스틱
65 : 압축스프링 66,67 : 통체
68 : 벨브기구 69 : 조작레버
69a : 와이어 70 : 제1회전축
72 : 제2회전축 73 : 승강기구
74a,74b : 연결핀 75,76 : 리프트레버
77a,77b : 연결핀 78 : 지지판
94 : 시이트이동수단
본 발명은 다리, 허리등의 장애가 있는 사람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동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애자가 자력으로 타고 내릴 수 있도록 한 이동용 의자를 개량한 것이다.
다리, 허리등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자력으로는 서서 걸을 수가 없기 때문에, 부상자나 장애자들을 위한 이동식 의자는 가정이나 옥외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되는 물품이다.
예를들면, 가정에서는 방, 부엌, 세면실, 화장실, 목욕실, 현관등과 같은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옥외에서는 여러 종류의 도로나 도보등을 이동하거나 엘레베이터의 승강, 역 대합실 및 여러 건물 내부의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계단이나 굴곡면에서의 이동이 가능한 휠체어와 같은 이동용 의자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이동용 의자는 종래로부터 최근까지 일반적으로 전후 좌우 4개의 바퀴를 갖고서, 대구경의 후륜 바퀴는 위자에 앉은 사람을 지지하도록 하고, 소구경의 전륜 바퀴는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주행 이동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즉, 이와 같은 일반적인 휠체어에 있어서, 방향전환은 전륜측을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 시킴과 함께, 후륜측으로 그 일측을 전진방향, 다른측을 후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따라, 비교적 용이한 방향전환을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근래 복지사회의 발전과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용 의자의 휠체어도, 여러가지의 개량이 실시되고 있으나, 이것을 일상 생활과 같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직 여러가지의 개량할 문제점이 남아 있다.
즉, 여러종류의 이동용 의자로서 일상생활을 자유롭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 의자에 타고 내리는 것을 다리가 나빠 자력으로 서서 걸을 수 없는 사람도 부담없이 자력으로 이를 실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의자를 탄 상태에서 앉은 상태로부터 눕는 상태로의 자세 변환과, 경사진 도로의 주행 돌출부를 넘어가는 경우에 신체의 중심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등이 요구되나, 이와 같은 것들에 대한 대책이 불충분하여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요청에 대응하여 필요로 하는 것도 의자로의 승강과 앉는 자세의 변경등을 가능한한 적은 힘으로, 빠르게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술한 이동용 의자로서 요구되는 것은, 자동차, 열차, 비행기등의 운송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쉽게 접어 운반이 편리한 상태를 얻을 수 있고, 소형이면서 가벼운 중량을 만족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것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의자의 등받이 부를 수평으로 절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한 휠체어, 의자의 앉는 시이트부를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는 휠체어, 헤드를 접어 의자로 하는 휠체어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휠체어들은 의자의 좌석 시이트부를 하강시킬 때에 감소된 위치에너지를 스프링으로 축적하여 의자의 시이트부를 상승시키는 경우에 이용하는등의 기구 수단을 채용한 것은 존재하지 않고, 의자를 상승시키는 경우는 새로운 에너지를 부가하는 것이 필요하여 가벼운 힘으로 빠르게 상승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종래의 휠체어등에서는 접는 기구인 의자의 시이트 부분의 상하 운동기구가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구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무거위지며 또한 대형화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점도 고려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다리가 불편하여 자력으로서는 서서 타고 내릴 수 없는 사람이 용이하게 승강을 실시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된다.
또한, 상술한 의자를 접은 경우, 시이트 측도 접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이트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고, 또한 사용자의 여러가지 요구사항들 예를들면 척추의 변형방지, 욕창의 방지, 진동흡수, 보온, 안락성등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술한 이동용 의자에 개량을 실시하여, 계단이나 경사로를 주행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크롤러(Crawler)등의 무한궤도를 사용한 주행장치를 이용하거나, 이것을 주행장치인 4개의 바퀴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설치한 것, 혹은 주행성,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접지부에 슬리지(Sledge)형 프레임을 채용한 슬리지식 주행장치를 구비한 것등의 여러종류의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4륜식의 일반적인 휠체어는 바퀴가 주행하는 궤도상에 존재하는 돌기부나 방해물을 넘는 경우 방해물등을 넘을 때마다 상하로 진동하여 안락성을 얻을 수가 없고, 방해물을 넘을때마다 상하운동에 필요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문제점을 갖기 때문에 커다란 방해물을 넘기 위해서는 바퀴의 반경을 보다 키우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 결과 휠체어의 전체적인 크기가 대형화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행장치를 무한궤도식인 슬리지식으로 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무한궤도식이나 슬리지식에 의한 주행장치를 이용한 이동용 의자는 주행장치에 의한 접지점은 4점 이상이 되고, 4륜식에 비하여 굴곡면이나 방해물이 존재하는 주행면들을 주행하는 경우에 주행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어느 주행장치에서도 각 접지 부분에서 방향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각각 변경하는 것이 단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이와 같은 주행장치를 채용한 이동용 의자에서는 방향전환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였다.
즉, 이들 주행장치를 이동용 의자에 설치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4륜식과 같은 방향전환은 불가능하고, 방향전환을 위해서는 주행장치의 일부 접지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이외의 접지점을 강제적으로 마찰력을 일으키면서 방향을 변환시키지 않고는 방향전환이 곤란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종류의 이동용 의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정이나 옥외에서 협소한 곳을 통과하는 경우가 많고, 이와 같은 부분에서 급격히 방향전환을 실시할 필요성이 많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향전환시의 문제점은 실용성을 크게 방해하고, 이 때문에 일반적인 4륜식에 비하여 주행성과 안정성등이 우수하지 못하며 무한궤도식이나 슬리지식의 것도 아직 실용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실용화를 위해서는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대책이 강구되어야만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토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안락감을 갖고서 주행이 이루어지는 이동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간의 승강운동이나 회전운동에 의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이동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서도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방향전환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동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의자를 접거나 펼수 있는 이동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서 상술한 종래의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이동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용 의자에 따르면, 시이트부를 갖는 의자본체와 의자본체의 전후, 좌우로 배치 설치되어 의자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장치와, 이 주행장치는 주행 방향을 따라 배치된 주행 프레임들이 주행 프레임 주위로 각각 배치된 무단궤도, 이 무단레일부 주위로 감겨진 무단트랙이 무단트랙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들, 이 구동수단들을 컨트롤 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허용되는 수단과, 상기 무단트랙은 무단 구동벨트와 무단벨트상에 설치되어 각각 다른 형태를 갖는 접지용 족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 도면들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의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먼저 전체를 참조번호 10으로 나타낸 이동용 의자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을 제1도 내지 제5도를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이동용 의자(10)는 복수개의 파이프로 절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의자본체(11)와, 이 의자본체(11)의 하측으로 이를 지지하면서 그라운드와 접지되어 해당 의자본체(11)를 주행시키기 위한 좌, 우 한쌍의 주행장치(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면중 13a, 13b를 파이프 골조로된 의자본체(11)에서 시이트 쿠숀부와 시이트 등받이부 사이로 걸어져 시이트부(13)를 구성하는 시이트상 부재이다.
또한, 의자본체(11)를 구성하는 다리부(14)의 전방 하측에는 족판(15)이, 의자본체(11)의 시이트부(13)의 쿠숀부 양측에는 팔걸이(armrest)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17은 시이트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기구의 레버이다.
여기에서 상술한 시이트상 부재(13a)(13b)는 천으로 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탈착 가능한 별도의 구조로 시이트 형태로서 적절하게 설치하여도 좋으며, 이와 같은 시이트 형태로 예를들면 사용자의 척추변형방지, 욕창의 방지, 진동흡수, 보온, 안락감을 이룰 수 있는 것을 적절히 선정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도에 도시된 구성에 의한 이동용 의자(10)에 있어서,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단부(14a)가 회전 가능한 축 지지부로서 좌, 우 주행장치(12)축에 지지되는 전, 후 한쌍의 다리부(14)를 각각 구성하는 전, 후 크랭크형 샤프트(40)(41)와, 이들 전, 후 샤프트(40)(41)의 수평부 사이로 게재되어 시이트부(13)를 구성함과 함께, 그 양단부가 각 샤프트(40)(41)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용 프레임(42)(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파이프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과 일측 샤프트(40)의 다리부(14)의 일부와 연결용 프레임(42)간에 신축 가능한 형태로 게재됨과 동시에 그 신축량이 조정 가능하고 그 조정위치로 양 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스크류 축으로된 연결레버(43)와, 전방축 사프트(40)의 수평부 측과 후방측 샤프트(41)의 다리부(14) 하단측간으로 설치되고 사용자가 앉아 있는 통상시에는 각 다리부(14)가 수직 자세 상태를 유지하도록 힘을 부여하는 인장 스프링등으로 된 탄성수단(44)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스크류축에 의한 연결레버(43)는 상술한 탄성수단(4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의자본체(11)의 시이트부(13)를 상하 운동시켜 의자를 접기 위한 조정 기구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은 다리부(14)측으로 홀딩되는 설치 홀더(46)에 유니버샬 조인트(46a)를 통해 연결되고, 다른 측단은 연결용 프레임(42)에 끼워지는 설치 홀더(47)에 대하여 유니버샬 조인트등으로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 너트 홀더(47a)에 관통 체결되고, 그 선단에는 회전 조절용의 조작부(4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연결레버(43)를 회전 조작하여 신축 동작을 시키는 것에 따라, 전술한 파이프 부재로 조립된 구조의 의자본체(11)를 제1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제2도에 도시된 상태로, 시이트부(13)의 높이를 임의로 상하 운동시켜 조정할 수 있고, 조정된 위치 상태에서 각 부재의 관계를 일정 형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제3도에 있어서, 부호 50은 전, 후 크랭크형 샤프트(40)(41)에 의한 각 다리부(14)의 하단부 사이를 전, 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용 하부샤프트로서, 이를 통해 의자본체(11)는 평행 링크 기구를 구성하여 직립 상태로부터 수평 상태까지 변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신축 가능한 연결레버(4b)로서 신축량을 조정함에 따라 전, 후 축 샤프트(40)(41)들과 연결용 프레임(42) 및 주행장치(12)로서 구성되는 평행 링크 기구에 의하여 시이트부(13)를 구성하는 연결용 프레임(42)이 다리부(14)의 직립, 수평동작에 따라 승강 운동하게 된다.
또한, 하강 동작에 의해 탄성수단(44)에 탄성력이 가해지고 연결레버(43)를 다시 신장 방향으로 조정하는 경우, 하강시에 가해지는 전술한 탄성력에 의하여 프레임 전체를 상승시켜 원위치로 복구시켜 줌에 따라 각 다리부(14)가 직립하여 통상의 사용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의자본체(11)에 대하여 앉아 있는 사람의 중심 위치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기구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각 다리부(14)가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에서는 시이트부(13)의 높이 변화가 적을지라도 시이트 위치가 의자본체(11)의 다리부(14)에서의 접지점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크게 변하게 된다.
따라서, 의자본체(11)의 시이트 등받이부를 리클라이닝 상태로 하고, 중심을 뒤로 이동하여도 시이트부(13)의 위치를 앞으로 이동시켜 중심을 시이트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후방으로의 전도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동용 의자(10)로 경사진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상승시에 중심을 앞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고 하강시에는 중심을 뒤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의자본체(11)의 다리부(14)를 전방으로 기울이거나 후방으로 기울이는 것에 따라 중심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에서의 에너지 소비량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의자본체(1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의자본체(11)의 시이트부(13)의 위치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탄성수단(44)으로 인장 스프링을 일정 초기값으로 유지하도록 셋트한다.
즉, 미리 탄성수단(44)인 스프링에 초기값의 에너지가 축적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무게를 시이트부(13)상에 걸어준다.
따라서, 시이트부(13)의 위치를 하강하고 인장 스프링(44)에는 그 에너지가 축적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술한 연결레버(43)의 조정 기구부로서, 인장 스프링(44)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후, 사람이 의자에 앉은 상태로 연결레버(43)의 스크류를 풀어주면 인장 스프링(44)에 축적된 에너지는 위치에너지로 변화한다.
따라서, 시이트부(13)를 상승시키는 경우 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의 근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새로운 약간의 에너지가 적용된다.
특히, 다리에 장해가 있는 사람이 팔의 근력이 약한자도 있기 때문에, 적은 근력 에너지로 의자본체(11)의 자세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이동용 의자(10)에 있어서, 연결레버(43)를 조작하고 의자본체(11)를 접는 것에 따라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이트부(13)를 거의 그라운드면까지 하강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다리에 장해가 있는 자기자력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시이트에 앉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때 축적된 탄성수단(44)의 스프링 에너지를 이용하여 의자본체(11)를 통상의 앉는 자세로 전환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탄성수단(44)인 인장 스프링은 다리부(14)와 수평면 사이의 각도 θ가 작으면 해당 다리부(14)을 당겨 세우는 힘이 적게 들기 때문에 해당 각도 θ를 거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의자본체(11)의 접은 상태에서는 상술한 각도 θ가 적어지고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연결레버(43)의 스크류축이 의자본체(11)의 다리부(14)를 일으켜 세우도록 유효하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하면 좋다.
그리고, 처음에는 연결레버(43)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각도 θ를 키워 의자본체(11)를 일으켜 세우나, 각도 θ가 어느정도 커지게 되면, 탄성수단(44)이 작동하게 되어 시이트부(13)를 통상의 위치까지 상승시켜 줌에 따라 의자본체(13)를 통상의 사용상태로 바꾸어 준다.
이 경우, 연결레버(43)의 회전조작은 상술한 각도 θ가 어느정도까지 커지고 탄성수단(44)에 의해 작용력이 커지게 되면 적은 힘으로 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성의 면에서 지장이 없는 것이다.
또한, 의자본체(11)의 시이트부(13)의 높이 위치를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연결레버(43)의 스크류축을 회전조작하여 순차적으로 풀어주는 것에 따라 다리부(14)가 눕혀지게 된다.
이 경우 상술한 각도 θ가 적어지게 되어도 연결레버(43)의 스크류가 스톱퍼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의자본체(11)가 접혀지거나 시이트부(13)는 낙하하지 않는다.
한편, 의자본체(11)의 시이트 등받이부를 배면측으로 눕히는 경우에는 연결레버(43)의 스크류를 체결하여 확실하게 록킹시킨 상태로 중심을 미리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줌에 따라, 후방으로의 전도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의자본체(11)의 접는 기구를 작동시킨 경우에는, 전술한 팔걸이부(16)와 방향 전환장치(60)(후에 설명됨)가 작동중 서로 방해를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나 이것들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거나, 그 위치를 회전운동 혹은 가동시켜 의자본체(11)의 접는 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하면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이동용 의자(10)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여러가지의 상황시 마다, 시이트 전후 방향으로 사용자가 중심 위치를 이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에 간단하게 대응하여 의자본체(11)의 다리부(14)와 시이트부(13)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자력으로 바꾸어 전체적인 밸런스를 유지하고, 의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의한 이동용 의자(10)의 전체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이동과 운반이 용이하고, 다리에 장해를 갖고 있는 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자유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구조에서 이동용 의자(10)를 접는 경우, 종래의 휠체어와 같이 시이트부(13)를 접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이트부(13)에 설치되는 시이트부재의 기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의학적인 요청에 적합하며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시이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용 의자(10)의 각부 형상, 구조등을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 후 크랭크 샤프트(40(41)로 된 다리부(14)의 하단부를 연결용 하부샤프트(50)로서 연결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것은 전, 후 다리부(14)의 하단부를 전, 후 방향에 따라 일렬로 형성되는 주행장치(12)의 프레임(20)(후술함)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해당 연결용 하부샤프트(50)를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레버(43)를 스크류축 구조의 것을 사용하여 그 회전 조작에 의해 신축량을 조정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잭(jack) 타입의 연결레버 기구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중요한 것은 평행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다리부(14)와 연결용 프레임 간의 사이에 이것들을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여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구이면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이동용 의자(10)에 있어서, 시이트부(13)를 갖고서 의자본체(11)를 지지하는 상태로 그라운드와 접지하면서 해당 의자본체(11)를 주행시키는 주행장치(12)가 제6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다.
주행장치(12)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주행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의자본체(11)의 다리부(14)가 연결됨과 함께, 그 상, 하측 주변부 및 이들 양 단측을 연결하는 대략 T자형의 무단레일부(20a)를 갖는 좌, 우 한쌍의 주행 프레임(20)과, 이들 각 주행 프레임(20) 주위의 무단형 레일부(20a)를 따라 이동되는 복수의 접지용 족(21)(22)으로된 무한궤도(23)를 갖고 있고, 이들 복수의 접지용 족(21)(22)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족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프레임(20)의 접지측 하변부에 항상 위치하여 접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접지용 족(21)(22)을 주행 프레임(20)측의 무단형 레일부(20a)의 접촉점으로부터 접지점까지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적어도 장, 단형의 2종류의 접지용 족(21)(22)을 혼합시켜 구성하였고, 이들 복수용 접지용 족(21)(22)을 구동벨트(24)로서 상호 연결한 형태로서 주행 프레임(20)측의 무단형 레일부(20a)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열하여 설치하였다.
제1도 내지 제6도에서 참조번호 30은 무한궤도(23)로 주행 구동시키는 구동용 레버로서 사용자가 해당 레버(30)를 왕복시키는 것에 따라 구동력을 일방향 클러치와 변속치차 기구등을 갖는 구동기구부(31)(일측만을 도시하고 있음)에 전달하고, 그 회전력을 체인등의 전달벨트(32)를 통해 주행 프레임(20)의 전면 단부에 지지된 구동기어(33)의 전달기어부(33a)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기어(33)의 구동 기어부와의 맞물림에 의해 무한궤도(23)를 구성하는 각 접지용 족(21)(22)을 프레임(20) 주위로 이동시켜 이동용 의자(10)를 주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면중 34는 브레이크 기구(35)(도시는 생략함)에 설치되어 해당 무한궤도(23)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레버로서, 예를들면 와이어(36a)등을 통해 연결된 제동레버(36)를 사용자가 수동조작 가능한 구동용 레버(30)(제6도)의 상부측에 설치하는 것에 따라 무한궤도(23)를 정지시켜 이동용 의자(10)의 주행을 멈추게 된다.
제6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상술한 주행 프레임(20)은, 그 주변부에 전술한 무단레일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무단레일부(20a)에 대하여 접지용 족(21)(22)이 수동 가능하게 구동벨트(24)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들 도면에 있어서 참조번호 25는 각 접지용 족(21)(22)을 구동벨트(24)에 지지하는 힌지핀, 26은 접지용 족(21)(22)을 구성하는 족 본체(28)에 구동벨트(24)와는 무관하게 지지된 축 지지핀(27)에 끼워져 있는 롤러로서, 이들 회전롤러(26)가 상기 주행 프레임(20)의 무단레일부(20a)에 접하여 구동되는 것에 따라, 해당 접지용 족(21)(22)이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또한, 29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레일부(20a)가 끼워지는 결합구로서, 상술한 접지용 족(21)(22)은 이 결합구(29)를 통하여 삽입되는 프레임(20)측의 무단레일부(20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시켜 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주행장치(12)에 따르면 의자본체(11)를 지지하는 주행 프레임(20)의 무단레일부(20a)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접지용 족(21)(22)이 순차적으로 무단레일부(20a)를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주행 프레임(20) 및 이에 지지되어 있는 의자본체(11)가 원하는 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지용 족(21)(22)이 실제적으로는 높은 축의 접지용 족(21)에 의해 구성되는 교각위를 주행 프레임(20)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교각의 역활을 마친 접지용 족(21)(22)은 프레임(20) 주변의 무단레일부(20a)를 통하여 이동되는 것이 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다른 주행장치(12)에서 주행 프레임(20)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슬리지식과 유사하여도 해당 프레임(20)과 접지용 족(21)(22)간의 마찰이 로울러 베아링등의 슬라이딩 수단(로울러들 2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최소한으로 경감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접지용 족(21)(22)으로 구성된 교각위를 진행하기 때문에 종래 구조에 의한 주행장치에 비하여 상하운동이 작고 에너지 소비도 줄이게 된다.
이 경우, 2개의 교각을 이루는 접지용 족(21)(22)의 간격이 개방되어 있는 동안 접지면상의 굴곡면에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구성에서는 종래 장치와 같이 궤도상에서의 홈부를 따라 순차 낙하되면서 주행하는 문제를 필요 최소한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접지면상의 홈으로부터 탈출을 위한 에너지의 소비가 불필요한 것이다.
또한, 무한궤도식에 비하여 로울러를 이동시키는 바퀴등의 기구가 불필요하고, 기구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구조에 따르면 장, 단 2종류의 접지용 족(21)(22)을 이용함으로서, 궤도상의 방해물이나 굴곡부에서 길이 방향의 접지용 족(21)의 길이에 의해, 낮은 방해물의 영향을 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요 최소한의 힘으로 상, 하 진동이 적은 원활한 주행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길이가 기다란 축의 접지용 족(21)의 배열 간격을 조건이 허용하는 한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면 종래 장치와 같이 장해물이나 굴곡부를 통과하기 위한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나 충격등을 기다란 접지용 족(21)이 그 돌출부등을 넘지 않는 한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접지용 족(21)(22)의 길이가 서로 같기 때문에 슬리지식에 비교하여 전후로의 요동 동작등이 적어지게 된다.
또한, 접지용 족(21)(22)과 접지면 간의 마찰계수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사도로 계단등의 하향 경사면을 주행하는 경우에도 넘어지는 문제점이 없이 주행 제어를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90㎝ 길이의 주행장치(12)에서 접지용 족 특히 기다란 접지용 족(21)을 약 30㎝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한 경우 일반적인 굴곡부를 갖는 주행로를 주행할시 상하 및 전후로의 요동 동작의 발생이 종래의 것에 비교하여 대폭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실험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도로상의 굴곡 예를들면 도보상의 연결블럭이나 벽돌등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자갈도로가 있으나 이들 굴곡도로에 대처하기 위해 기다란 접지용 족(21)과 짧은 접지용 족(22)의 차를 2㎝ 등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용 의자(10)의 각부 형상, 구조등을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용 의자(10)의 주행장치(12)로서, 장, 단 2종류의 접지용 족(21)(22)을 구동벨트(24)로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것에 따라 이루어지는 무한궤도(23)를 주행 프레임(20)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해당 주행장치(12)상에 설치된 시이트부(13)를 이동시키는 경우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 길이의 족을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하여도 좋고, 다수의 족을 상호 밀착시켜 배열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자신이 구동용 레버(30)로서 주행장치(12)를 주행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이외의 자가 보조적으로 이동용 의자(10)을 누르는 것에 의해 주행에 필요한 전체의 운동에너지의 일부를 보조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의자(10)의 방향전환장치(60)가 제1도, 제5도,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의자본체(11)의 하방에 이를 지지하여 접지하는 주행장치(12)와는 다르게 시이트 쿠션부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접지하는 방향전환용 기판(61)과, 이 기판(61)상에 의자본체(11)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회전축 수단(62)과, 의자본체(11)와 방향전환용 기판(61)과의 사이로 설치되어 의자본체(11) 하부로 기판(61)을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기구(63)와, 의자본체(11)의 시이트부(13)에 앉아 있는 자의 체중 일부 또는 전부를 지면상에 지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이용되는 스틱(64)으로 방향전환장치(60)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향전환장치(60)에 있어서, 의자본체(11)의 시이트부(13)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팔로 체중을 스틱(64)축에 이동시킨 때에 승강기구(63)를 동작시켜 방향전환용 기판(61)을 하강시키고, 이 기판(61)의 의자본체(11)에 의한 시이트부(13)까지의 길이가, 주행장치(12)의 접지면으로부터 시이트부(3)까지의 길이보다도 길어, 이 상태로 지면에서 떠 있는 의자본체(11) 및 주행장치(12)를 회전축수단(62)으로 원하는 방향전환을 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따라 의자본체(11) 하부에 기판(61)을 승강 동작시키는 방향전환장치(60)의 승강기구(63)는 제5도와 제13도 혹은 제15도 내지 제17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의자본체(11)와 기판(61)이 떨어지는 상, 하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스프링 수단이 있어, 이 스프링력의 최대 크기가 의자본체(11)의 시이트부(13)에 앉아 있는 자의 체중 M과 그 의자본체(11)의 중량과 의자본체(11)의 하측 주행장치(12)의 무게를 합한 합계 중량보다 작고, 의자본체(11)의 중량과 주행장치(12)의 중량의 합계 보다도 큰 스프링력을 갖는 압축스프링(65)과, 이 압축스프링(65)을 끼워 상호 결합 상태로 밀폐 공간을 형성하도록 의자본체(11), 기판(61)축에 연결되는 상, 하 한쌍의 통체(66)(67)와, 이들 통체(66)(67)의 밀폐 공간(에어댐퍼)을 레버조작에 의해 외부와 연결, 차단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기밸브로된 밸브기구(68)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중 69는 상술한 스틱(64)의 상단측에 설치되어 밸브기구(68)를 와이어(69a)로서 개폐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이다.
여기에서 상술한 압축스프링(65)은, 최대로 늘어진 상태로 기판(61)의 접지면으로부터 의자본체(11)까지의 길이가 주행장치(12)의 접지면으로부터 의자본체(11)까지의 길이보다 짧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회전축 수단(62)은 방향전환용 기판(61), 의자본체(11) 및 주행장치(12)가 수평방향에서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수직축 회전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면 좋고, 그 구체적인 구조는 생략하였지만 주지된 베아링 구조등을 선택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이동용 의자(10)는 그 의자본체(11)의 시이트부(13)에 사용자 M이 앉아 있지 않고 밸브기구(68)가 개방되어 에어댐퍼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주행장치(12) 또는 방향전환용 기판(61)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이 접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인 이동용 의자(10)에 대하여 사용자 M이 앉아 있고 도면 제17a도 및 제17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틱(64)을 상방으로 당기고 밸브기구(68)를 폐쇄하여 에어댐퍼를 록크한 경우, 승강기구(63)는 압축스프링(65)으로 제어된 상태로, 제15a도 및 제15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방향전환용 기판(61)은 상술한 승강기구(63)의 작동에 의해 의자본체(11)의 하측으로 주행장치(12)보다 상방으로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고, 의자본체(11)는 주행장치(12)에 지지되어 접지됨에 따라 해당 주행장치(12)로서 주행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방향전환을 실시하는 경우는 의자본체(11)로 사용자 M이 도면 제16a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의자본체(11)의 시이트부(13)로부터 그의 히프를 일으킴과 동시에 스틱(64)에 체중을 이동시켜 작동시킴에 따라, 밸브기구(68)를 개방하여 승강기구(63)의 에어댐퍼를 록크 상태로부터 해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함에 따라, 사용자 M의 체중이 가해진 스틱(64)에 의해 방향전환용 기판(61)이 하강하여 접지됨과 동시에, 시이트부(13)측으로 사용자 M의 체중이 경감되는 것에 의해, 승강기구(63)에 의한 압축스프링(65)의 압축력을 통해 방향전환용 기판(61)과 역으로 의자본체(11)를 지지하는 주행장치(12)측이 부상하여 비접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밸브기구(68)를 폐쇄하여 에어댐퍼를 록킹시키고, 이와 같이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 M은 시이트부(13)에 앉아 상기 방향전환장치(60)로서 방향전환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 M은 접지하고 있는 기판(61)상으로 회전축 수단(62)을 통해 스틱(64)에 대하여 의자본체(11) 및 주행장치(12)축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따라, 해당 의자본체(11) 및 주행장치(12)의 방향을 임의로 변경시키고, 이에따라 주행장치(12)로서 주행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틱(64)의 하단부를 기판(61)상에 연결하고 이 스틱(64)과 의자본체(11)측의 부재가 회전방향에 대하여 간섭하기 때문에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최대방향의 전환각도가 설정되어 진다.
물론, 이들 구성부재의 위치관계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에 따라 해당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나위 없다.
한편 상술한 바와같이 방향전환 조작을 실시한 때에는, 상기 승강기구(63)를 구성하는 에어댐퍼로서의 통체(66)(67)내에는 배기 밸브인 밸브기구(68)가 개방되는 것에 따라, 에어가 유입되거나 빠지도록 되어 있고, 이에따라 압축스프링(65)이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방향전환시에는 압축스프링(65)을 일단 신장시켜 그 상태로 록킹하여줌에 따라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작한다.
그리고, 제16a도 및 제16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판(61)측이 접지하고 주행장치(12)가 떠있는 상태로 사용자가 시이트에 앉고 의자본체(11)측에 체중을 걸어준 상태로 그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승강기구(63)에 압축스프링(65)의 압축력을 작용시켜도 신장된 압축스프링(65)은 이 힘에 대향하여 그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의자본체(11)측과 기판(61) 사이의 상하운동을 배기밸브인 밸브기구(68)의 비가역적 운동에 따라 원하는 상태로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방향전환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이동용 의자(10)의 방향을 변경한 후, 전술한 조작레버(69)를 조작하여 배기밸브인 밸브기구(68)를 개방하고, 내부의 에어를 배기하여 에어댐퍼를 록크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에 따라 압축스프링(65)의 압축방지 기능이 해제되고, 이에따라 압축스프링(65)은 사용자 M의 체중이 작용되어 그 결과 기판(61)은 상승하고 주행장치(12)측이 접지된 상태로 되어 변경시킨 방향으로의 주행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조작레버(69)의 조작만으로는 압축스프링(65)의 압축량이 작고 승강기구(63)에 의한 기판(61)의 상승량이 작아 그 접지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상태이나, 이때에는 상술한 에어댐퍼의 록크 상태 해제시까지 압축스프링(65)을 갖는 승강기구(63)를 사용자 M이 스틱(64)을 강제적으로 상승시키고, 압축스프링(65)을 압축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주행장치(12)의 주행이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와 같이 압축스프링(65)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기구(68)를 폐쇄하고 에어댐퍼를 록크한 상태로, 스프링(65)이 늘어나는 것을 막아줌에 따라 기판(61)이 접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하면, 상술한 승강기구(63)는 사용자 M이 체중을 시이트부(13)측 또는 스틱(64)측의 어느것을 작용시킬 것인가, 밸브기구(68)의 개폐 제어 조작에 의한 에어댐퍼의 록크, 록크 해제의 어느 상태로 되어 있는가, 또한 스틱(64)이 상승되어 있는가에 의해 필요한 상하 동작을 실시하도록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15도 내지 제17도에서 부호 Z는 주행장치(12)와 기판(61)이 선택적으로 접지하는 지면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의자본체(11)에 앉아 있는 사용자 M이 자기의 체중을 의자본체(11)의 시이트부(13)와 스틱(64)에 선택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에 따라 주행장치(12)와 방향전환장치(회전장치)(60)의 기판(61)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접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방향전환장치(60)의 측이 접지한 경우 주행장치(12)를 부상시켜 그 방향을 자유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시이트부(13)와 스틱(64)으로 사용자 M의 체중이 걸리는 경우에는 필히 전체적인 무게를 걸을 필요가 없고, 해당 무게를 적당하게 배분하여 작용시키는 것에 따라 주행장치(12)와 방향전환용 기판(61)을 선택하여 접지시키도록 조작하면 된다. 이와 같이 분배하여 체중을 작용시키는 것에 따라 주행장치(12)와 기판(61)을 선택적으로 접지시켜 여러종류의 주행 조건과 주행 상황에 대응하여 이동용 의자(10)의 조작성을 다변화 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방향전환장치(60)에 있어서는 휠체어등의 이동용 의자(10)에 장시간 걸쳐 앉아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욕창을 경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즉, 이와 같은 이동용 의자(10)의 사용자 M에게는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때때로 압박되어 있는 상태의 히프나 대퇴부등을 시이트로부터 일으켜 세우는 동작을 정기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으나, 상술한 바와같은 조작을 필요로 하는 방향전환장치(60)를 갖는 이동용 의자(10)에서는 해당 장치를 이용하여 방향전환을 실시할때 마다 시이트에 얹혀 있는 대퇴부등을 시이트로부터 부상시켜야 하기 때문에, 욕창방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방향전환장치(60)에 따르면 방향전환조작을 실시하는 경우에 주행장치(12)를 비접지 상태로 하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여 주행장치(12)의 주행면 부분에 옥내용 및 옥외용의 커버등을 선택적으로 장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옥내, 옥외 주행시 사용이 간편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전환시 사용자 M이 체중을 걸어주는 스틱(64)의 하단측을 절곡되게 형성하고, 기판(61)상에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틱(64)을 의자본체(11)의 적절한 장소에 상, 하 운동 가능하게 유지시키고, 그 하단을 직접 지면 Z에 접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이동용 의자(10)의 방향전환장치(60)에 대한 변형 예를 제18도와 제19도에 도시하였다.
제1도 내지 제17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였다.
상술한 실시예의 이동용 의자(10)에서 방향전환장치(61)는 의자본체(11)에 수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방향전환시 기판(61)을 지면과 접지시켜 의자본체(11)와 크롤러로된 주행장치(12)를 지면으로부터 부상시켜, 그 기판(61)과 의자본체(11)를 연결하는 회전축 수단(62)을 중심으로 하여 의자본체(11)를 회전시켜 방향전환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동용 의자에서는 의자본체(11)를 회전시키는 힘을 이동용 의자(10)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실시하기 위해서는 반력의 지지점을 기판(61) 혹은 지면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고, 이를위해 스틱(64)등의 도구가 필요 불가피하여 주행장치의 방향을 전환시키면 사용자의 방향도 동시에 전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스틱(64)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방향전환을 실시하고, 이동용 의자(10)에 앉아 있는 사람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도 주행장치(12)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한것이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이동용 의자를 변형한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주행모드 상태이다.
제19도는 방향전환 모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8도 및 제19도에서 주행장치로 크롤러 타입의 앤드리스(endless)트랙을 사용하였다.
참조번호 10으로 나타나 있는 이동용 의자(10)는 의자본체(11), 의자본체(11)상에 배치된 시이트부(13), 의자본체(11)상에 시이트부(13)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제1회전축(70), 의자본체(11)를 지지한 상태로 접지하고 의자본체(11)를 주행 이동시키는 좌, 우 한쌍의 주행장치(12)와, 의자본체(11)의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접지하는 방향전환용 기판(61)과, 이 기판(61)상에 의자본체(11)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제2회전축(72)과, 의자본체(11)와 방향전환용 기판(61) 사이로 설치되어 의자본체(11) 하부로 기판(61)을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기구(73)와, 주행장치(12)를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용레버(30)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기구(73)는 의자본체(11)의 전, 후 다리부(14A)(14B)의 하단에 각각 연결핀(74a)(77b)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 후 한쌍의 리프트레버(75)(76)와 리프트레버(75)(76)의 하단사이로 연결핀(77a)(77b)를 통해 지지된 지지판(78)을 갖고, 이 지지판(78)의 하면 중앙에 제2회전축(72)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다.
후방측 리프트레버(76)의 상단은 시이트부(13)에 앉아 있는 자가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다리부(14A)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기구(73)는 후방측 리프트레버(76)를 사용자가 상, 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용 의자(10)를 주행장치(12)가 접지되는 주행모드와 방향전환용 기판(61)이 접지되는 방향전환 모드로 바뀌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리프트레버(76)를 후방측으로 대략 수직인 위치로 회전시켜 기판(61)을 들어올린 주행모드 상태에서는 제18도와 같이 방향전환용 기판(61)이 제2회전축(70)(72)의 축선 A, B가 각각 이동하며, 리프트레버(76)를 전방으로 대략 수평이 되기까지 주행모드 상태로부터 방향전환 모드 상태로 바꾸어 주면,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본체(11)가 부상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여 방향전환용 기판(61)을 시이트부(13)의 직하방으로 위치시켜 제1, 제2회전축(70)(72)의 축선 A, B를 일치시킨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용 의자(10)의 방향전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8도에 도시한 주행모드 상태로부터 제19도에 도시한 후방측의 리프트레버(76)를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전방측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켜 방향전환용 기판(61)을 접지시키면, 상기한 바와같이 의자본체(11)가 떠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시이트부(13)를 방향전환용 기판(61)의 직 상부로 위치시킨다.
따라서, 제1, 제2회전축(70)(72)의 축선, A, B가 일치하기 때문에 의자본체(11)와 시이트부(13)는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의자본체(11)를 손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시이트부(13)는 회전되지 않고, 이것보다 질량이 적어 관성모멘트가 작은 의자본체(2)만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의자본체(11)와 주행장치(12)를 합한 질량은 대락 10㎏정도로서, 시이트부(13)와 사용자를 합한 질량에 비하여 매우 작아 의자본체(11)만이 회전하고, 사용자의 방향은 변화없이 주행장치(12)의 방향만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1도는 주행모드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22도는 방향전환 모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때, 제18도 및 제19도의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이동용 의자(10)는 플레이트 형상의 전, 후 다리부(14A)(14B)와 천정판(14C)으로된 의자본체(11)를 구비하고, 전, 후 다리부(14A)(14B)의상단이 천정판(14C)의 전후단에 힌지(80)로서 각각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시이트부(13)는 시이트(13A), 등받이(13B) 및 좌우 한쌍의 측판(13C)(13D)를 갖고, 등받이(13B)의 하단이 힌지(81)로서 시이트(13A)의 후단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의자본체(11)의 전, 후 다리부(14A)(14B)의 하단에는 파이프(90)(91)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들 파이프(90)(91)의 좌우에 주행장치(12)와 승강기구(73)를 구성하는 리프트레버(75)(76)의 하단굴곡부(75a)(76b) 및 링크레버(77)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리프트레버(75)(76)의 하단 사이에는 지지판(78)이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리프트레버(75)(76)를 전방으로 눕히면, 제2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방향전환용 기판(61)이 접지하여 방향전환 모드 상태로 바뀌고, 반대로 상방으로 당겨 제2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립시켜 주면, 방향전환용 기판(61)이 상승되는 대신에 주행장치(12)가 접지하여 주행모드 상태로 바뀌게 된다.
의자본체(11)의 내부에는 시이트부(13)를 전후 이동시키는 시이트 이동수단(9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수단(94)은 복수개의 볼들을 내장한 파이프(95)와 이 파이프(95)에 스크류 체결된 스크류로드(96)로 구성되고 파이프(95)의 하단이 후방다리부(14B)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크류로드(96)의 상단이 전방 다리부(14A)와 시이트(13A)와의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크류로드(96)를 회전 조작하여 파이프(95)에 대하여 전진 이동하면 제22도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전방 다리부(14A)가 전방으로 시이트부(13)를 이동시키고 이에따라 제1, 제2회전축(70)(72)의 축선 A, B가 일치되며, 반대로 후퇴 이동시키면 전방 다리부(14A)가 대략 수직으로 기립하여 시이트부(13)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1, 제2회전축(70)(72)의 축선 A, B는 각각 이동되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시이트부(13)를 회전시키지 않고 의자본체(11)와 주행장치(12)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의자는 의자본체가 시이트부와 의자본체를 지지하면서 지면과 접촉하여 의자본체를 이동시켜 주는 주행장치와 주행장치의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방향전환장치를 갖는다.
또한, 의자본체는 주행장치를 각각 지지하는 다리부를 갖는다.
주행장치는 주행방향을 따라 일련으로 형성되는 무단트랙을 지지하는 주행프레임을 갖는다.
방향전환장치는 의자본체나 주행장치에 설치되어 장치가 지면과 접촉함에 따라 의자본체를 들어올리고 방향전환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용 의자는 구조가 간단하고, 여러 형태의 주행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주행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최소한의 영향을 부가하면서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의자는 하단측이 회전 가능한 축지부로서 좌, 우 주행장치축에 지지되고, 전, 후 2쌍의 다리부를 각각 구성하는 전, 후 크랭크 샤프트와 이들 전, 후 샤프트의 수평부간에 게재되어 시이트부를 구성함과 함께, 그 양단부가 각 샤프트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용 프레임과, 일측의 샤프트측의 다리부의 일부와 연결용 프레임 사이에 신축 가능한 상태로 게재되어, 그 신축량이 조정 가능함과 동시에, 그 조정 위치에서 양 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레버와 전방축 샤프트의수평부측과 후방측 샤프트의 다리부 하단측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아 있는 통상시는 각 다리부가 대략 수직 자세를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인장스프링 등으로 된 탄성수단을 구비하도록 함에 따라,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저가인 동시에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1) 시이트부가 지면 근처까지 하강하도록 의자 전체를 접는 것이 가능하며, 다리에 장해를 갖는 사람이 자력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시이트로 앉는 것이 가능하며, 스프링등의 탄성수단에서 축적되어 있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의자의 시이트 위치를 통상의 사용 높이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의자의 시이트 위지를 하강시키는 경우에도, 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의 신체 위치 에너지와 중심 위치등을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빠르게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3) 의자를 이용하여 일상 활동을 실시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여러가지의 상황시에 시이트 전후 방향으로 사용자의 중심 위치를 이동시킬 필요성이 있는 경우 이에 간단하게 대응하여 의자의 다리부와 시이트부 간의 상대적 위치를 자력으로 변환시켜 전체의 발런스를 유지하고, 의자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4) 의자 전체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소형, 경량화를 기함과 동시에 이동과 운반이 용이하며 다리에 장해를 갖고 있는 사람의 일상 생활에 대한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5) 종래의 휠체어와 같은 시이트부를 절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이트부에 설치하는 시이트의 기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의학적 요구 사항에 합치시켜 주는 것이 가능하고, 안락감이 좋은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용 의자의 주행장치에 따르면 주행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과 함께 상, 하측 주변부 및 양단측의 만곡된 만곡부를 따라 일련되게 형성되는 무단형 레일부를 갖고서 의자본체를 지지하는 좌, 우 한쌍의 주행프레임과 이들 각 주행프레임 주변의 무단상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복수의 접지용 족을 갖고, 이들 복수의 접지용 족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족을 주행프레임의 접지측 하변부에 통상 위치하도록 접지 구성하여, 간단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프레임 주변의 무단상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복수용 접지용 족이 순차적으로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의자본체를 주행프레임을 통하여 원하는 상태로 주행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동용 의자가 굴곡을 갖는 접지면 위를 주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상하 진동을 종래 구조에 비하여 대폭 경감시킬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와 구성의 간소화를 기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용 접지용 족을 주행프레임측의 무단형 레일부로의 접촉점으로부터 접지점까지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적어도 장, 단형의 2종류의 접지용 족을 혼합하여 구성하거나, 이들 복수의 접지용 족을 무단 벨트로서 상호 연결한 상태로 주행프레임측의 무단형 레일부에 소정간격으로 배열하여 설치하도록 한것에 의해, 궤도상에 존재하는 방해물, 굴곡부를 길이가 기다란 족의 길이에 의하여 방해물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필수 최소한의 힘으로 상하 진동을 줄여 원활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의자에 의하면 의자본체의 하방으로 이를 지지하여 접지되는 주행 장치와는 별도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접지되는 방향전환용 기판과, 그 기판상에 의자본체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회전축 수단과, 의자본체와 기판 사이로 게재되어 의자본체 하부로 기판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의자본체의 시이트부에 앉아 있는 자의 체중을 지면상에 지지하기 위한 스틱을 구비한 구성에 의해,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의자본체에 앉아 있는 자가 자기의 체중을 시이트부와 스틱으로 적절하게 이동시켜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주행장치와 방향전환장치측이 접지할때 주행장치를 부상시켜 그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주행방향을 임의로 변경시키는 것이 자유로운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방향전환장치에서는 해당 장치를 이용하여 방향전환을 실시할때마다 시이트와 접하고 있는 히프등을 시이트로부터 들어올리게 되므로, 휠체어등을 장시간에 걸쳐 앉아 있는 경우에 발생하기 쉬운 욕창을 막아주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방향전환장치에 따르면 방향전환 조작을 실시하는 때마다 주행장치를 비접지 상태로 만들어 주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주행장치의 주행면 부분에 옥외용 내지 옥내용 커버를 선택적으로 장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옥외, 옥내 주행시에 사용이 간편한 이동용 의자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용 의자에 따르면 의자본체에 대하여 시이트부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의자본체의 하부에 방향전환용 기판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승강기구로서 주행모드와 방향전환 모드를 선택적으로 바꾸어, 방향전환 모드 상태에서는 시이트부측 회전축과 기판측 회전축의 축선을 일치시키도록 구성함에 따라, 스틱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손으로 의자본체를 회전시키는 경우 의자본체측과 시이트부측의 질량 차이로서 시이트부측은 회전하지 않고 의자본체측만이 회전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향전환용 기판을 탑재하여 맨땅, 모래, 자갈, 눈등에도 용이하게 방향전환을 실시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24)
- 시이트(13)를 갖는 의자본체(11)와 ; 상기 의자본체(11)를 지지한 상태로 접지하여 상기 의자본체(11)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의자본체(11)의 각 좌우측에 배치되는 주행장치(12)가, 주행방향을 따라 배치된 주행프레임(20)을 상기 주행프레임(20) 주위로 각각 배치된 무단레일부(20a), 상기 무단레일부(20a) 주위로 각각 감겨진 무단궤도(23), 상기 무단궤도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들(31, 32, 33 : 24), 상기 구동수단들(31, 32, 33 : 24)을 컨트롤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허용되는 수단(30), 상기 무단트랙(23)이 무단 구동벨트(24)와, 그리고 상기 무단벨트(24)상에 설치되어 다른 형태를 갖는 다수의 접지용 족(21, 22) ; 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벨트(23)상에 설치되는 상기 접지용 족이 상기 레일부(20a)로의 접촉점으로 부터 접지점까지의 길이가 다른 적어도 장, 단형의 접지용 족(21, 22)을 혼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지용 족(21, 22)이 적어도 두개의 족은 항상 상기 주행프레임(20)의 상기 무단레일부(20a)의 저 모서리부로 위치하여 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12)는 상기 구동레일부(20a)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다수의 접지용 족(21, 22)들을 지지하는 롤러(26)들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트랙(23)의 구동을 위한 상기 구동수단들(31, 32, 33 ; 24)이 구동기구부(31)와, 구동벨트(32)를 통하여 상기 접지용 족(21, 22)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33)와, 상기 구동기구부는 사용자 M이 구동레버(30)를 조작함에 따라 구동력을 상기 전달벨트(32)에 전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33)는 상기 주행프레임(20)의 무단레일부(2a)를 따라 이동되는 접지용 족(21, 22)들을 갖는 무단 구동벨트(24)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수단은 상기 구동 기구부(31)와 연결되어 의자에 앉아 있는 사용자 M의 수조작에 의하여 조작이 이루어지는 구동레버(3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레버(30)는 상기 접지용 족(21, 22)들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들(31, 32, 33 ; 24)과 고정된 브레이크 기구(35)의 조작을 위한 제동레버(3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12)의 방향전환을 위하여 상기 의자본체(11)의 하부로 설치된 방향전환장치(60)를 추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장치(60)가 상기 의자본체(11)의 하부로 설치되어 그라운드와 접촉하면서 수직 승강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방향전환용 기판(61)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본체(11)와 상기 방향전환용 기판(61) 사이로 배치되어짐과 동시에 상기 의자본체(11)를 상기 기판(61)으로 연결하여 회전을 실시하도록 하는 회전축 수단(62)과, 상기 의자본체(11)와 상기 기판(61) 사이로 배치되어 상기 의자본체(11) 하방으로 상기 디스크(61)를 수직 이동시켜 주는 승강기구(63)가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본체(11)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시이트부(13)에 앉아 있는 사용자 M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스틱(64)을 추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64)은 상기 방향전환용 기판(6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63)가 상기 시이트부(13)에 앉아 있는 사용자 M의 무게를 사용자 M의 팔을 통해 상기 스틱(64)으로 이동시킨 경우 상기 방향전환용 기판(61)을 하강시켜 그라운드와 접지하도록 하고, 상기 기판(61)으로부터 상기 의자본체(11)의 상기 시이트부(13) 사이의 거리가 상기 주행장치의 접지면으로부터 상기 시이트부(13)의 사이의 간격보다 크도록 하여, 상기 의자본체(11)와 상기 주행장치(12)를 접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도록 하여, 상기 의자본체(11)와 상기 주행장치(12)가, 그라운드로부터 상승되어 있는 동안 상기 회전축수단(62)을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전환을 시킬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63)가, 방향전환용 기판(61)이 그라운드와 접지하도록 하여 상기 의자본체(11)와 주행장치(12)를 그라운드로부터 상승시켜 방향을 전환시켜 주도록 하는 탄성수단의 압축스프링(65)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65)의 최대 압축력이 상기 의자본체(11)에 앉아 있는 사용자 M의 무게와, 상기 의자본체(11) 및 상기 주행장치(12)의 합보다 작으며, 의자본체(11)의 중량과 상기 주행장치(12)의 무게 합보다 큰 스프링력을 가지고, 상기 기판(61)의 접지면으로부터 상기 의자본체(11) 사이의 거리가 상기 주행장치(12)의 각 접지면으로부터 상기 양측 스프링(65)이 최대로 늘어난 때의 상기 의자본체(11) 사이의 길이보다 크며, 상기 기판(61)의 접지면으로부터 상기 의자본체(11) 사이의 거리가 상기 주행장치(12)의 각 접지면으로부터 상기 압축스프링(65)이 최대로 압축된 때의 상기 의자본체(11) 사이의 길이보다 작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65)을 갖는 상기 승강기구(63)가 에어댐퍼 수단과 같이 밀폐된 한쌍의 통체(66, 67)로 구성되고, 외측으로 설치되어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레버에 의하여 조작되는 밸브기구(68)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기구(68)가 상기 스틱(64)에 조정 배치된 조작레버(69)의 개폐 조작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본체(11)의 상부측으로 별도 부재로 설치되어 상기 의자본체(11)에 상기 시이트부(13)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제1회전축(70)과, 상기 의자본체(11)의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방향전환용 기판(61)상에 의자본체(11)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제2회전축(72)과, 상기 의자본체(11)와 방향전환용 기판(61) 사이로 설치되어 상기 의자본체(11)의 하부로 상기 기판(61)을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기구(73)와, 상기 승강기구(73)는 주행모드에서 상기 제1, 제2회전축(71, 72)의 축선(A, B)들을 옮기도록 되어 있으며 방향전환 모드에서는 회전축의 축선(A, B)들을 일치하도록 추가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73)를 주행모드 또는 방향전환 모드로 바꾸어 주기 위한 수단이, 상기 의자본체(11)의 전, 후 다리부(14A, 14B)의 하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리프트레버(75, 76)와, 상기 리프트레버의 하단 사이로 지지된 지지판(78)을 가지며, 상기 지지판(78)의 하면 중앙에 제2회전축(72)의 상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본체(11)와 상기 주행장치(12) 사이로 배치되어 주행모드 상에서 상기 승강기구(73)로 록킹시키기 위한 록크수단(시이트 이동수단)(94)이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본체(11)는 각각 하단부(14a)가 회전 가능한 축지지부로서 상기 좌, 우 주행장치(12)측에 지지되는 전, 후 한쌍의 다리부(14)와 상기 시이트부(13)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형 샤프트(40, 41)와, 일측 샤프트(40)의 다리부(14)의 일부와 연결용 프레임(42)간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그 신축량이 조정 가능하고 그 조정 위치로 양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43, 47a)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본체(11)의 상기 시이트부(13)가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 후의 한쌍의 다리부(14)를 유지하는 탄성수단(44)과, 상기 탄성수단의 압축스프링이 상기 시이트부(13)에 사람이 앉아 있고 무게에 대하여 수직 상태로 상기 전, 후 한쌍의 다리부(14)에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시이트부를 갖는 의자본체(11)와 ; 상기 의자본체(11)를 지지하면서 좌우측에 배치되어 의자본체(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 주행장치(12)와 ; 상기 의자본체(11)의 하방에 설치되어 의자본체(11)의 방향전환을 위한 방향전환장치(60)가, 상기 의자본체(11)의 하방으로 위치하여 수직 승강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접지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방향전환용 기판(61)과, 상기 의자본체(11)와 상기 기판(61)사이로 설치되어 상기 의자본체(11)와 상기 기판(61)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의자본체(11)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축 수단(62)과, 상기 의자본체(11)와 상기 기판(61) 사이로 배치되어 상기 기판(61)을 수직으로 승강시켜 주는 승강기구(6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 시이트부(13)를 갖는 의자본체(11)와 ; 상기 의자본체(11)를 지지하면서 좌우측에 배치되어 의자본체(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 주행장치(12)와 ; 상기 의자본체(11)는 각각 하단부(14a)가 회전 가능한 축지지부로서 상기 좌, 우 주행장치(12)측에 지지되는 전, 후 한쌍의 다리부(14a)와, 상기 시이트부(13)에 피봇 가능하게 되는 크랭크형 샤프트(40, 41)와, 일측 샤프트(40)의 다리부(14)의 일부와 연결용 프레임(42)간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그 신축량이 조정 가능하고 그 조정 위치로 양 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43, 47a)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1-130308 | 1991-05-07 | ||
JP91-130307 | 1991-05-07 | ||
JP91-130309 | 1991-05-07 | ||
JP3130307A JP3057301B2 (ja) | 1991-05-07 | 1991-05-07 | 移動用椅子の方向転換装置 |
JP3130308A JPH04331673A (ja) | 1991-05-07 | 1991-05-07 | 移動用椅子の走行装置 |
JP3130309A JPH04332551A (ja) | 1991-05-07 | 1991-05-07 | 移動用椅子 |
JP09495192A JP3208419B2 (ja) | 1992-03-23 | 1992-03-23 | 移動用椅子 |
JP92-94951 | 1992-03-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21122A KR920021122A (ko) | 1992-12-18 |
KR940008964B1 true KR940008964B1 (ko) | 1994-09-28 |
Family
ID=2746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07750A KR940008964B1 (ko) | 1991-05-07 | 1992-05-07 | 이동용 의자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5413367A (ko) |
EP (1) | EP0512449B1 (ko) |
KR (1) | KR940008964B1 (ko) |
CA (1) | CA2067937C (ko) |
DE (1) | DE69223846T2 (ko) |
DK (1) | DK0512449T3 (ko) |
FI (1) | FI96479C (ko) |
NO (1) | NO30151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41547A (en) * | 1996-01-16 | 1999-08-24 | Drake; Carl F. | Manually propelled wheelchair device |
US5868403A (en) * | 1996-12-20 | 1999-02-09 | Culp; John A. | Medical transport device |
US6263989B1 (en) * | 1998-03-27 | 2001-07-24 | Irobot Corporation | Robotic platform |
CA2282229C (en) | 1999-09-16 | 2004-12-07 | Derek Nichols | Conversion kit for creating an obstacle-mounting wheelchair |
US7407076B2 (en) * | 2000-10-13 | 2008-08-05 | Tyco Healthcare Group Lp | Surgical stapling device |
US20040144577A1 (en) * | 2002-04-23 | 2004-07-29 | Gene Anderson | Wheel chair |
WO2006099587A2 (en) * | 2005-03-14 | 2006-09-21 |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 Tracked wheelchair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
GB0517341D0 (en) * | 2005-08-24 | 2005-10-05 | Caudle Andrew | Pushchair |
US20080073869A1 (en) * | 2006-09-26 | 2008-03-27 | Sam Harwell Patterson | Human powered vehicle drive system |
US8413752B2 (en) * | 2006-10-06 | 2013-04-09 | Irobot Corporation | Robotic vehicle |
US7784570B2 (en) | 2006-10-06 | 2010-08-31 | Irobot Corporation | Robotic vehicle |
US8327960B2 (en) | 2006-10-06 | 2012-12-11 | Irobot Corporation | Robotic vehicle |
US7891446B2 (en) * | 2006-10-06 | 2011-02-22 | Irobot Corporation | Robotic vehicle deck adjustment |
US8644991B2 (en) * | 2006-10-06 | 2014-02-04 | Irobot Corporation | Maneuvering robotic vehicles |
US7654348B2 (en) | 2006-10-06 | 2010-02-02 | Irobot Corporation | Maneuvering robotic vehicles having a positionable sensor head |
EP2006178B1 (en) * | 2007-06-19 | 2010-12-15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 hybrid vehicle, a hybrid vehicle propulsion system and a method for an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in a such a system |
US20100101882A1 (en) * | 2008-10-28 | 2010-04-29 | Thompson Scott R | Portable Powered Mobility Device with Removable Cushions To Improve Foldability |
US8783392B2 (en) | 2009-08-04 | 2014-07-22 | Freedom One Mobility Llc | Tracked mobility device |
US8371403B2 (en) * | 2009-08-04 | 2013-02-12 | Travis Underwood | Tracked mobility device |
WO2011100556A2 (en) * | 2010-02-11 | 2011-08-18 | Snow Solutions Llc | Convertible wheelchairs with movable carriages for transferring patients to/from the wheelchairs |
US8459660B2 (en) * | 2010-12-04 | 2013-06-11 | Livingston Innovations LLC. | Multi function patient transport |
US8876138B2 (en) * | 2012-12-13 | 2014-11-04 | Francis Wilde | Height adjustable wheelchair seat |
EP3043762A4 (en) * | 2013-09-12 | 2017-05-24 | T.G. Underwood LLC | Tracked mobility device |
CN106109124A (zh) * | 2016-08-20 | 2016-11-16 | 李小齐 | 一种方便上下爬楼的轮椅 |
CN112078680A (zh) * | 2020-08-21 | 2020-12-15 | 安徽晟东科技有限公司 | 一种高原环境急救型智能机器人 |
USD1026389S1 (en) * | 2021-04-20 | 2024-05-07 | Climbing Steps Inc. | Stairlift |
USD1026387S1 (en) * | 2021-04-20 | 2024-05-07 | Climbing Steps Inc | Mobile stairlift spiral |
USD1026388S1 (en) * | 2021-04-20 | 2024-05-07 | Climbing Steps Inc | Wheelchair stairlift |
USD1003772S1 (en) | 2021-10-14 | 2023-11-07 | Trackmaster, LLC | Chassis for a tracked mobilit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4291A (en) * | 1899-12-26 | 1900-07-24 | Henry T Stith | Traction-wheel. |
CH32510A (de) * | 1904-12-02 | 1905-08-15 | Eduard Riedlin | Transportelement |
US1101316A (en) * | 1913-04-10 | 1914-06-23 | Allen R Moore | Vehicle-wheel or runner. |
DE534437C (de) * | 1929-10-07 | 1931-09-29 | Michel Feldine | Vorrichtung zum Heben und Drehen eines Kraftwagens |
US3259200A (en) * | 1965-04-26 | 1966-07-05 | Maijala William Rudolph | Folding self-propelled invalid chair |
AU476656B2 (en) * | 1973-08-06 | 1976-02-12 | Theuniversity Of Melbourne | Stair climbing wheel chair |
US4118046A (en) * | 1977-07-14 | 1978-10-03 | Vaughan Curtis T | Rocker assembly for wheelchairs |
US4566707A (en) * | 1981-11-05 | 1986-01-28 | Nitzberg Leonard R | Wheel chair |
SE458502B (sv) * | 1984-04-19 | 1989-04-10 | Torgny Jan Ab Jatab | Saett och rullstol foer att hantera en person med begraensad roerelsefoermaaga |
FR2574740B1 (fr) * | 1984-12-18 | 1987-10-23 | 3 14 Applic Multiples | Equipement permettant le franchissement d'obstacles, destine a un fauteuil roulant pour handicape |
FR2591987B3 (fr) * | 1985-12-19 | 1988-04-15 | Bourg Claude | Porteur sur chenilles a geometrie variable |
NL8701561A (nl) * | 1987-07-02 | 1989-02-01 | Jan Roelof Veldink | Rolstoel. |
US4966379A (en) * | 1987-10-19 | 1990-10-30 | Mulholland Designs, Inc. | Reclinable wheelchair |
KR900008369Y1 (ko) * | 1987-11-24 | 1990-09-15 | 박흥종 |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
SU1607805A1 (ru) * | 1988-05-11 | 1990-11-23 | Е. В. Шуранов | Кресло-кол ска Е.В.Шуранова |
DE3922582A1 (de) * | 1988-07-12 | 1990-01-18 | Guenter Holona | Liegesitz fuer reisemobile |
US5020818A (en) * | 1988-10-27 | 1991-06-04 | Oxford Stuart G | All-terrain wheelchair |
-
1992
- 1992-04-27 NO NO921621A patent/NO301519B1/n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2-05-03 DE DE69223846T patent/DE69223846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2-05-03 DK DK92107487T patent/DK0512449T3/da active
- 1992-05-03 EP EP92107487A patent/EP051244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2-05-04 CA CA002067937A patent/CA2067937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2-05-07 KR KR1019920007750A patent/KR94000896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2-05-07 FI FI922070A patent/FI96479C/fi active
-
1994
- 1994-04-29 US US08/235,249 patent/US541336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067937C (en) | 1994-07-26 |
NO921621D0 (no) | 1992-04-27 |
EP0512449A1 (en) | 1992-11-11 |
DE69223846T2 (de) | 1998-08-06 |
NO301519B1 (no) | 1997-11-10 |
DE69223846D1 (de) | 1998-02-12 |
CA2067937A1 (en) | 1992-11-08 |
FI922070A0 (fi) | 1992-05-07 |
KR920021122A (ko) | 1992-12-18 |
FI96479C (fi) | 1996-07-10 |
NO921621L (no) | 1992-11-09 |
FI96479B (fi) | 1996-03-29 |
FI922070A (fi) | 1992-11-08 |
DK0512449T3 (da) | 1998-09-07 |
EP0512449B1 (en) | 1998-01-07 |
US5413367A (en) | 1995-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40008964B1 (ko) | 이동용 의자 | |
CN109620586B (zh) | 床椅一体式护理机器人 | |
CN105796255B (zh) | 一种智能康复训练电动轮椅 | |
US7165778B2 (en) | Manually operable standing wheelchair | |
US6006377A (en) | Patient carrying device | |
CN106214368B (zh) | 一种新型座椅机构及设有该座椅机构的轮椅车 | |
KR20020064648A (ko) | 기능강화훈련기 | |
WO2021200945A1 (ja) | 段差踏破機構を有する移動支援装置 | |
KR20210067375A (ko) | 신체약자용 휠체어 | |
CN112353632B (zh) | 一种床上康复装置 | |
CN211561739U (zh) | 一种多功能康复椅 | |
CN210542121U (zh) | 一种新型心内科急救转运椅 | |
CN115849146B (zh) | 一种建筑适老化改造用的半失能老人移动辅助装置 | |
CN215307532U (zh) | 一种新型防摔助行椅 | |
JP3057301B2 (ja) | 移動用椅子の方向転換装置 | |
CN111888125B (zh) | 一种辅助病人下肢康复训练的护理床 | |
CN213346405U (zh) | 一种具有加热功能的轮椅座椅 | |
CN2136653Y (zh) | 摇摇康复床 | |
JP2958197B2 (ja) | 椅 子 | |
JP2003159281A (ja) | 移動装置 | |
CN220459515U (zh) | 越障爬楼轮椅驱动装置 | |
CN220877103U (zh) | 一种履带轮椅车 | |
KR100311907B1 (ko) | 계단을 오를 수 있는 휠체어 | |
CN214512542U (zh) | 一种老年人行走锻炼辅助装置 | |
CN213098852U (zh) | 一种神经内科康复训练轮椅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809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