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369Y1 -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369Y1
KR900008369Y1 KR2019870020343U KR870020343U KR900008369Y1 KR 900008369 Y1 KR900008369 Y1 KR 900008369Y1 KR 2019870020343 U KR2019870020343 U KR 2019870020343U KR 870020343 U KR870020343 U KR 870020343U KR 900008369 Y1 KR900008369 Y1 KR 900008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ear
motor
fixed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0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589U (ko
Inventor
박흥종
Original Assignee
박흥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종 filed Critical 박흥종
Priority to KR2019870020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369Y1/ko
Priority to US07/275,318 priority patent/US4938305A/en
Priority to JP63297132A priority patent/JPH01168549A/ja
Publication of KR8900105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5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3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20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20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 B60S9/21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 B60S9/21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driven by an auxiliary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방향 전환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 측면도.
제 2 도는 보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방향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이기 위하여 커버판을 제거한 상태의 개략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III-III선 확대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IV-IV선 확대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방향 전환장치의 이송수단에 의하여 차량이 우측으로 소정거리 이송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향 전환장치의 회전수단에 의하여 차량이 좌측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좌, 우이송수단의 일부 동력전달기구를 보인 설명도.
제 8 도는 본 고안의 자동방향 전환장치에 적용되는 파이프라인 배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버판 11, 11 : 가이드레일
12, 12 : 가이드롤러 13 : 이송용모터
14 : 워엄기어 15, 16 : 감속용대, 소기어
17 : 랙 20 : 지지판
21 : 회전용모터 22 : 위엄기어
23, 24 : 감속용대, 소기어 25 : 내치기어
26, 26 : 지지롤러 27 : 베어링
28 : 중공축 30 : 원형기판
31 : 에어튜브 32, 32 : 인장스프링
33 : 받침판 34 : 호스
35 : 링체결수단
본 고안은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지되어 있는 차량을 좌,우로 소정거리만큼씩 이송시키거나 좌,우로 임의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하여 차량이 전,후로 잼이 되거나 막다른 골목과 같은 좁은 및 밸브조립체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좌,우 이송수단의 랙과 피니언은 베벨기어와 나사봉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방향 전환장치는 차량의 저면에 소정깊이의 요홈을 형성하여 부상수단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그 요흠내부에 설치되게 할 수도 있고, 차량의 저면판에 간단히 부착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나, 본 장치의 장착으로 인한 차량저면의 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소정깊이의 요홈을 형성하여 그 요홈에 모든 기계적인 요소들이 장착될 수 있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설치위치는 차량이 부상될 때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무게 중심부가 적합하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과 특정 및 이점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다음의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더욱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 전환장치의 부상수단에 의하여 차량이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H)만큼 부상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개략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방향 전환장치는 차량의 저면에서 약간 전방측에 설치되는데, 이는 엔진무게로 인하여 차량의 무게중심이 전방측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그 무게중심부에설치된 것이다. 여기서 부상높이(H)는 실제에 있어서 대략 15cm정도이나, 차량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한 크기의 에어튜브를 선택하여 체용함으로써 알맞는 높이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제 2 도 내지 제 5 도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방향 전환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자동방향 전환장치는 좌,우이송수단과 회전수단, 그리고 부상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이송수단은 장방갑체상 커버판(10)의 저면 양측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평행하게 하향돌설된 가이드레일(11)(11)과, 커버판(10)의 하측의 지지판(20) 상면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1)(11)과 맞물리는 수개의 가이드롤러(12)(12)와,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 고정되어 정,역회전이 가능한 이송용모터(13)와, 그 모터(13)의 회전축에 부착된 워엄기어(14)와, 그 워엄기어(14)와 맞물려 모터(13)의 회전력을 적절한 감속비로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용대, 소기어(15)(16)와, 상기 커버판(10)의 저면 일측에 차체의 폭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소기어 즉, 피니언(16)과 맞물리는 렉(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판(10)은 길이 방향의 양측면부가 하향절곡되고 그 하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판(20)의 양측면부와의 접촉부에 마찰저항이 적은 별도의 접촉부제(18)(18)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 고정된 정,역회전가능한 회전용모터(21)와 그 모터(21)의 회전축에 고정된 워엄(22)과, 그 워엄(22)과 맞물리는 감속용대, 소기어(23)(24)와, 상기 지지판(20)의 하측 원형기판(30)의 상면중앙부에 고정되어 상기 감속기어의 소기어 즉, 피니언(24)과 맞물리는 원형내치기어(25)와, 상기 지지판(20)의 저면사방에 부착되어 상기 좌,우이송수단 및 회전수단을 원형기판(30)의 상면에 지지시키는 지지롤러(26)(26)와, 상기 지지판(20)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그 하단부가 상기 원형기판(30)의 중앙부에 베어링(27)으로 지지되는 중공축(28)으로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24)은 대기어(23)의 샤프트(23')가 지지판(20)을 하향관통하여 지지판(20)의 하측에서 내치기어(25)와 맞물리도록 되어있다.
또한, 차체를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부상시키기 위한 부상수단은 상기 원형기판(30)의 저면에 부착되는 에어튜브(31)와, 그 에어튜브(31)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원형기판(30)과의 사이에 인장스프링(32)(32)으로 연결되는 받침판(33)과, 상기 에어튜브(31)에 부착된 유연성호스(34)와, 일측단부가 상기 호스(34)와 링체결수단(35)으로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에어공급원(36)에 연결되는 연결용 유연성호스(37)로 구성된다.
상기 원형기판(30)의 주연부는 원만한 경사를 가지고 하향절곡되어 에어튜브(31)가 수축시 그 내부에 감싸지도록 되어있다.
상기 에어튜브(31)는 그 내측부에 탄성밴드(38)가 연결되어 제 3 도 및 제 4 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수축시 원형기판(30)의 밖으로 밀려나가지 못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에어공급원(36)은 차량의 베기가스를 이용하거나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별도의 압축공기통(36')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링체결수단(35)은 에어튜브(31)에 부착된 호스(34)와 에어공급원(36)(36')과 연결되는 연결호스(37)사이에 연결되어 차량이 회전시 호스(34)(37)가 서로 꼬이지 않도록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상기 연결호스(37)와 에어공급원(36)(36')의 상세한 연결구조는 제 8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에어공급원이 배기가스인 경우에는 차량의 배기관과 연결호스(37)사이에 전자식 삼방밸브(three-wayvalve) (39)와 체크벨브(40)가 중간에 구비된다.
상기 삼방밸브(39)는 운전석에 설치되는 구동용스위치(도시안됨)에 의해 조작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그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배기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에어튜브(31)내로 주입될 수 있도록하거나, 에어튜브(31)로의 유입을 차단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될 수 있게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체크벨브(40)는 에어튜브(31)내의 공기를 배출시키고자 할 때 상기 삼방벨브(39)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개방되어 에어튜브(31)내의 공기가 체크벨브(40)와 삼방벨브(39)를 통하여 대기중에 방출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에어공급원이 별도의 압축공기통(36')인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개폐벨브(39')와 체크벨브(40')가 중간에 구비되어 스위치의 조작으로 압축공기통(36')의 공기가 개페벨브(39')와 체크벨브(40')를 통하여 에어튜브(31)내의 공기를 방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삼방벨브(39)와 체크벨브(40)를 이용할 수 있다.
현편, 제 7 도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좌, 우이송수단의 일부 동력전달기구를 보인 것으로, 이송용모터(13)의 동력이 워엄(14)과 감속용대 소기어(15)를 통하여 베벨기어(15')에 전달되고, 베벨기어(15')는 나사봉(19)의 단부에 부착된 베벨기어(16')와 맞물린다. 그 나사봉(19)에는 상기 커버판(10)의 저면에 부착되는 너트(19')가 맞물려 나사봉(19)의 회전바향에 따라 차체의 좌,우이송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좌,우이송 및 회전동작,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을 좌,우로 이송시키거나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운전석의 소정부위에 부착된 작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에어공급원(36) 또는 (36')으로부터 에어를 에어튜브(31)에 주입하게 되면 에어튜브(31)가 팽창하여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체가 소정높이(H)만큼 지면으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스위치의 조작으로 이송용모터(13)를 구동시키게 되면 그 구동력은 회전축에 고정된 워엄(14)을 통하여 감속용대 소기어(15)(16)에서 소정의 속도비로 감속되고, 소기어(16)가 회전함에 따라 그와 맞물린 랙(17)이 이송된다. 랙(17)은 차체의 저면판에 고정된 커버판(1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차체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며, 그 이송방향은 모터(13)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화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차체가 소정거리만큼 좌,우로 이송하때에는 차체의 저면판에 고정된 커버판(10) 저면의 가이드레일(11)(11)이 지지판(20)에 고정된 가이드롤러(12)(12)에 지지 및 가이드되어 이송이 되고, 지지판(20) 및 그에 설치된 부품들은 정지된 상태가 된다.
이때 소정거리만큼 차체가 이송되면 그 이송된 방향으로 차체가 기울어져 이송c측의 바퀴가 지면에 접촉하게되나 이와같이 바퀴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도 어느정도는 차체의 이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론상으로는 차체가 한번에 좌,우로 이송될 수 있는 거리 즉, 이송피치는 랙기어(17)의 전장에 해당하나, 실제에 있어서 랙기어(17)의 길이는 차체의 전폭의 2/3를 초과하기가 어려우므로 차체의 전폭에 해당하는 거리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하기 위하여는 약2번의 이송동작이 필요하다.
제 5 도에서는 자체가 소정거리만큼 우측으로 이송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모터(13)를 이와반대로 회전시켜 주면 차체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차체가 좌,우측으로 이송될 때 그 이송거리를 규제하기 위하여 랙리어(17)나 커버핀(11)의 소정부위에 감지센서를 부착할수도 잇다.
한편, 제 6 도는 차체가 좌측으로 소정각도 회전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와같이 차체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에어튜브(31)를 팽창시켜 차체가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H) 상승된 상태에서 스위치의 조작으로 회전용모터(21)를 구동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이 워엄(22), 감속용대기어(23)를 통하여 피니언(24)에 전달되고, 피니언(24)은 그와 맞물린 내치기어(25)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지판(20)의 저면에 부착된 지지롤러(26)(26)는 원형기판(30)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판(20)에 설치된 회전용모터(21)와 이송용모터(13), 커버판(10)등이 일체로 회전을 하게되고, 이에따라 커버판(10)위에 지지된 차체도 함께 회전을 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좌,우이송 또는 회전동작으로 원하는 방향으로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스위치 조작으로 삼방벨브(39)에 신호를 인가하여주면 에어튜브(31)의 공기는 체크벨브(40)를 경유한다음 삼방벨브(39)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이때 원형기판(30)과 받침판(33) 사이에 연결된 스프링(32)(32)과 에어튜브(31)의 내측에 연결된 탄성밴드(38)(38)의 복원력에 의하여 에어튜브(31)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원형기판(30)의 저면에 달라붙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방향 전환장치는 에어튜브를 팽창시켜 차체를 부상시킨 상태에서 좌,우로 이송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최소의 소용공간내에서 차량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질수 있으며, 차체가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지지되어 상승되므로 차량의 바퀴가 진흙길과 같은곳에 박혀버리는 경우에도 차체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되는 이점을 아울러 갖게된다.

Claims (6)

  1. 차체의 저면에 부착되는 장방갑체상의 커버판(10)과, 그 커버판(10)의 저면 양측에 하향돌설된 가이드레일(11)(11)과, 커버판(10) 하측의 지지판(20)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1)(11)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2)(12)와,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 고정되어 정, 역회전이 가능한 이송용 모터(B)와, 그 모터(13)의 회전축에 부착된 워엄기어(14)와, 그 워엄기어(14)와 맞물려 모터(13)의 회전력을 차량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지지판(20)의 상단에 고정된 정, 역회전 가능한 회전용 모터(21)와, 그 모터(21)의 회전축에 고정된 워엄기어(22)와, 그 워엄기어(22)와 맞물리는 감속용 대,소기어(23)(24)와 상기 지지판(20) 하측의 원형기판(30)의 상면중앙부에 고정되어 상기 소기어(24)와 맞물리는 원형내치기어(25)와, 상기 지지판(20)의 저면사방에 부착되어 지지판(20)을 상기 원형기판(30)의 상면에 지지시키는 지지롤러(26)(26)와, 상기 지지판(20)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그 하단부가 상기 원형기판(30)의 중앙부에서 베어링(27)으로 지지되는 중공축(28)을 포함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원형기판(30)의 저면에 부착되는 에어튜브(31)와 그 에어튜브(31)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원형기판(30)과 인장스프링(32)(32)으로 연결되는 받침판(33)과, 상기 에어튜브(31)에 부착되어 상기 중공축(28)을 관통하는 호스(34)와, 일측단부가 상기 호스(34)와 링체결수단(35)으로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에어공급원에 연결되는 유연성호스(37)를 포함하는 자체상승용 부상수단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환수단이 이송용모터(13)의 동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15')(16')와, 베벨기어(16')와 연결되는 나사봉(19)과, 커버판(10)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나사봉(19)과 맞물리는 너트(19')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원이 차량의 배기가스인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원이 별도의 압축공기통인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호스(37)와 에어공급원 사이에 삼방벨트(39)와 체크벨브(40)가 구비되는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환수단이 모터(13)의 회전력을 소정의 속도비로 감속시키는 감속용 대,소기어(15)(16)와, 상기 커버판(10)의 저면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소기어(16)와 맞물리는 랙(17)을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KR2019870020343U 1987-11-24 1987-11-24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KR900008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343U KR900008369Y1 (ko) 1987-11-24 1987-11-24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US07/275,318 US4938305A (en) 1987-11-24 1988-11-23 Automatic direction changing apparatus for vehicle
JP63297132A JPH01168549A (ja) 1987-11-24 1988-11-24 車両用自動方向変換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343U KR900008369Y1 (ko) 1987-11-24 1987-11-24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589U KR890010589U (ko) 1989-07-11
KR900008369Y1 true KR900008369Y1 (ko) 1990-09-15

Family

ID=1926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0343U KR900008369Y1 (ko) 1987-11-24 1987-11-24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38305A (ko)
JP (1) JPH01168549A (ko)
KR (1) KR90000836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5411B1 (fr) * 1990-08-03 1993-08-06 Richard Juan Dispositif de changement de direction sur place pour chariot de manutention.
NO301519B1 (no) * 1991-05-07 1997-11-10 Nippon Telegraph & Telephone Bevegelig stol
US5453931A (en) * 1994-10-25 1995-09-26 Watts, Jr.; James R. Navigating robot with reference line plotter
US6082743A (en) * 1995-12-11 2000-07-04 Tp-Jac, Inc. Method of leveling a recreational vehicle
US5890553A (en) * 1996-08-01 1999-04-0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ultifunction automated crawling system
US6286813B1 (en) 1997-12-05 2001-09-11 Albert V. Coccaro Automotive jack employing a pneumatic lifting system
ES2152862B1 (es) * 1998-10-27 2001-08-16 Martin Lunas Sourdeau Alejandr Gato elevador mecanico de vehiculos automoviles.
WO2002046031A1 (en) * 2000-12-04 2002-06-13 Allard Eric J Remote-operated multi-directional transport vehicle
US6926256B2 (en) * 2003-03-31 2005-08-09 Tix Company Center sill car jack utilizing air bellows
US7267057B2 (en) * 2003-12-17 2007-09-11 Ttx Company Enclosed railcar jack assembly
US7481285B1 (en) 2005-04-01 2009-01-27 Bobbie Savage Lifting and steering assembly
CN103787224A (zh) * 2013-12-19 2014-05-14 柳州市京阳节能科技研发有限公司 液压升降偏转轮轴
CN106828437B (zh) * 2016-12-27 2019-05-03 江苏中汽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大吨位清障车原地调头装置
CN108407777A (zh) * 2018-03-16 2018-08-17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汽车的原地转向结构以及汽车
CN108437953A (zh) * 2018-03-16 2018-08-24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能够原地转向的汽车
CN109895752B (zh) * 2019-04-19 2023-07-18 成都师范学院 一种智能汽车用全向转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7249A (en) * 1924-10-06 1927-05-03 John W Page Revolving derrick
US1879446A (en) * 1931-02-12 1932-09-27 John W Page Self-propelled apparatus
FR2175308A5 (ko) * 1972-03-09 1973-10-19 Zang Francois
US4336889A (en) * 1980-10-27 1982-06-29 Fmc Corporation Ring supported truck crane and method of setting up
SU1211111A1 (ru) * 1983-12-12 1986-02-1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Поворотный круг дл колес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4542882A (en) * 1984-04-19 1985-09-24 David Choe Air jack for use with a vehicle exhaust system
US4817412A (en) * 1987-10-23 1989-04-04 Hinson Virgil H Unibody lifting and anchoring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68549A (ja) 1989-07-04
KR890010589U (ko) 1989-07-11
US4938305A (en) 1990-07-03
JPH0525703B2 (ko) 199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369Y1 (ko)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GB2219274A (en) Manipulator for a work piece.
US4367683A (en) Driveless vehicle with speed control
US3118321A (en) Vehicle steering mechanism
US3231260A (en) Motion translating device
GB2170767A (en) Drive transmission for an overhead rail conveyor system
US2482326A (en) Drive for rotary tables
KR910002665A (ko) 오토바이와 사이드카아 커플링(coupling)
US2994896A (en) Snow clearing device
WO1992018372A1 (en) Anti-slip device and vehicles including the same
KR960003523Y1 (ko) 전위변속 틸팅 실린더
SU106053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т жени гусеничной цеп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A2401064A1 (en) Translation device for a mobile wall of a swimming pool
KR850000942B1 (ko) 수륙 양용차(水陸兩用車)
KR900008154A (ko) 내연기관의 제어부재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장치
RU2094285C1 (ru) Снегоход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SU157985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пирани замка крышки люка вагона
RU2102271C1 (ru) Ходовая часть гусеничной машины
JPH0353962Y2 (ko)
SU746107A1 (ru) Выемочно-доставочна установка
SU988634A1 (ru) Механизм нат жени гусениц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HU9401920D0 (en) Driving device for movable lover of vehicle
SU42715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груза
KR970001789A (ko) 자동차용 주차 플레이트 이송장치
KR820001076Y1 (ko) 자전거의 공기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9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