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849B1 - 금속 스트립 코일의 권선 해제기로의 공급 및 이 금속 스트립의 권선 해제방법 및 설비 - Google Patents

금속 스트립 코일의 권선 해제기로의 공급 및 이 금속 스트립의 권선 해제방법 및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849B1
KR940007849B1 KR1019870005808A KR870005808A KR940007849B1 KR 940007849 B1 KR940007849 B1 KR 940007849B1 KR 1019870005808 A KR1019870005808 A KR 1019870005808A KR 870005808 A KR870005808 A KR 870005808A KR 940007849 B1 KR940007849 B1 KR 940007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etal strip
winding
winding releas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157A (ko
Inventor
마꼬또 시또미
유다까 나루세
나미오 수가누마
다다요시 다케오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05Opening of web rolls; Removing damaged outer layers; Detecting the leading end of a closed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33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guiding the leading end of the material, e.g. from or to a c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65H19/123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with cantilever suppor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7Supporting web roll on its outer circumference
    • B65H2301/41372Supporting web roll on its outer circumference rollers or balls arrangement
    • B65H2301/41374Supporting web roll on its outer circumference rollers or balls arrangement arranged in a stationary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2Handling web roll by circumferential portion, e.g. rolling on circum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45Handling web roll by axial movement of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40Holders, supports for rolls
    • B65H2405/42Supports for roll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 B65H2405/422Trolley, cart, i.e. support movable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금속 스트립 코일의 권선 해제기로의 공급 및 이 금속 스트립의 권선 해제방법 및 설비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스트립의 권선 해제용 및 공급용 설비의 양호한 실시예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금속 스트립의 권선 해제용 및 공급용 설비의 적합한 실시 예를 화살표 Ⅱ를 따라 취한 측면도.
제 3 도는 금속 스트립의 권선 해제용 및 공급용 설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금속 스트립의 권선 해제용 및 공급용 설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권선 해제기 21 : 맨드릴
22 : 코일 24 : 코일 운반 장치
26 : 코일 개봉기 28 : 코일 단부 고정 장치
본 발명은 금속 스트립 코일과 같은 코일을 권선 해제기(uncoiler)로 공급하기 위한 방법 및 설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염처리 라인(pickling line) 또는 염처리 공장, 압연기(mill) 등과 같은 연속 처리 라인에 금속 스트립을 공급하기 위하여 이 금속 스트립을 권헌 해제시키는 데에 적용가능한 방법 및 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금속 스트립 또는 시트를 연속 처리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설비들이 개발 및 제안되었다. 금속 스트립을 처리할 연속 처리 라인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금속 스트립이 처리 라인으로 공급될 때 금속 스트립 코일을 풀거나 또는 권선 해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처리 라인의 상류에 권선 해제기를 구비한다. 먼저 코일로부터 금속 스트립의 단부를 자유롭게 하고, 다시 말하면 "코일을 개봉하고", 이후에 권선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존의 설비에서 코일 개봉기에 의해 수행되는 코일 개봉 작업은 비교적 긴 시간이 요구되어 전체 공정 시간을 증가시킨다. 예컨대, 기존의 라인에 있어서, 선행 코일이 소비된 시간으로부터 새로운 코일을 개봉하여 이 코일의 스트립이 처리 라인으로 공급되는 시간까지 악 180초가 소요된다. 이에 비하여 금속 스트립 처리에 필요한 전체 공정 시간은 약 300초이다. 이러한 권선 해제 작업 시간은 금속 스트립 처리 공정 에 있어서 "손실 시간"이 된다. 따라서, 공정 시간에 대한 손실 시간의 비율은 약 37.5%가 된다. 이는 다수의 권선 해제기를 구비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즉 2기 이상의 권선 해제기가 구비되는 때에는, 하나의 권선 해제기가 권선 해제하는 동안에 다른 하나에서는 코일 개봉 작업을 하도록 함으로써 권선 해제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라인에 2기의 권선 해제기를 구비함으로써 손실 시간을 약 110초로 줄일 수 있고 손실 시간 비율을 약 26.8%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2기 이상의 권선 해제기를 구비함으로써 더 많은 공간과 원가 상승을 요한다. 더욱이, 권선 해제기로의 코일의 선택적 공급을 위한 추가 설비가 필요하게 되므로 권선 해제 라인의 구조는 더욱 복잡해진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 스트립의 연속 처리를 위한 개선된 설비들은 "자국(自國)에 있어서 최신 냉각 스트립 공정과 제조 기술의 발달"이라는 제목의 잡지 (1977년 8월 20일자 일본 금속 협회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잡지에는, 금속 스트립 코일을 운반하는 장치와 권선 해제를 위해 코일로부터 금속 스트립의 단부를 풀어주는 코일 개봉기와 권선 해제기를 포함하는 금속 스트립 코일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가 기재되어 있다.
전형적인 코일 개봉기로서 치제루(chizeru) 자기 시스템 코일 개봉기를 코일 개봉에 사용할 수도 있다. 치제루 자기 코일 개봉기는, 코일을 회전 구동시키는 장치와 코일로부터 금속 스트립의 단부를 박리시키기 위한 칼날과 박리된 단부를 고정하여 이를 처리 라인의 입구로 공급하는 자기 척(magnetic chuck)을 포함 한다. 예컨대, 자기 척은 금속 스트립의 단부를 탠덤 밀(tandem mill)의 핀치 롤러(pinch roller)내로 공급 할 수 있다.
코일 개봉기의 사용에 의하여, 금속 스트립이 처리 라인으로 공급되는 효율이 증가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코일 개봉기를 설치하여 권선 해제기와 상호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금속 스트립 코일 운반용 이동 비임 (walking beam)형 컨베이어, 코일 운반 장치 및 코일 승강 장치, 또는 이들을 조합한 장치와 같은 추가적인 설비들이 필요하다. 이것은 처리 라인용 금속 스트립 공급 설비의 크기를 크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는 권선 해제기용 금속 스트립 공급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별한 목적은 금속 스트립 처리 공정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금속 스트립 공급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금속 스트립 처리 공정을 위한 보다 소형의 금속 스트립 공급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
전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금속 스트립 공급 설비는 운반 라인에 대하여 직렬로 배열된 권선 해제기 및 코일 개봉기의 조합을 포함한다. 금속 스트립 코일은 코일 개봉기를 통해서 권선 해제기로 운반된다. 상기 이동 중에 금속 스트립 코일의 권선 해제된 단부는 권선 해제기가 코일 개봉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코일을 권선 해제하도록 개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금속 스트립 처리 라인에 금속 스트립을 권선 해제하여 공급하는 방법은, 권선 해제되는 금속 스트립의 공급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금속 스트립 코일을 공급하는 단계와, 코일의 개봉을 위하여 코일 운반 경로에 인접하게 배치된 코일 개봉기에 대면되는 위치로 금속 스트립의 코일을 운반하는 단계와, 코일 개봉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코일 개봉기에 의하여 코일로부터 풀려지는 스트립 단부를 코일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유지시키는 단계와, 코일로부터 코일 단부로 멀리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권선 해제기로 개봉된 금속 스트립 코일을 운반하여 권선 해제기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금속 스트립 처리 라인으로 권선 해제된 금속 스트립을 공급하기 위한 권선 해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호한 공정에 있어서. 하나의 코일이 권선 해제되는 동안에 코일 개봉 작업은 다른 코일에서 수행된다. 금속 스트립 코일의 중심축은 권선 해제기의 회전축과 거의 평행하게 유지된다.
더욱이, 양호한 공정에 있어서 금속 스트립 코일은 통상의 코일 운반 장치에 의해서 코일 개봉기 및 권선 해제기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처리 라인으로 금속 스트립 코일을 권선 해제하고 공급하기 위한 설치비는, 권선 해제된 금속 스트립 코일을 금속 스트립 처리 라인으로 공급하기 위해 금속 스트립 코일을 권선해제하는 권선 해제기와, 권선 해제되는 금속 스트립의 공급 방향에 직각인 축을 갖는 맨드릴(mandrel)을 구비한 권선 해제기와, 공급 스테이션에서 코일 개봉 스테이션으로 금속 스트립 코일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스트립 코일의 중심축을 맨드릴의 축에 반드시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제 1 장치와, 코일 개봉 위치에 마련되어 코일을 개봉하는 제 2 장치와, 제 2 장치에 의해 코일로부터 풀려진 스트립 단부를 코일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유지시키기 위해 제 2 장치와 연관되어 있는 제 3 장치와, 그리고 제 3 장치가 스트립 단부를 코일로 부터 멀리 이격시켜 유지시키는 동안에 코일 개봉 스테이션으로부터 권선 해제기가 마련된 권선 해제 스테이션에 개봉된 금속 스트립 코일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스트립 코일의 축을 맨드릴 축에 대해 반드시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제 4 장치를 포함한다.
양호한 구조에 있어서, 제 2 장치 및 제 4 장치는 동시에 작동될 수 있어서 권선 해제기가 한 코일에 대해 권선 해제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제 2 장치는 다른 코일상에서 코일 개봉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제 1 장치 및 제 4 장치는 공통의 코일 운반 장치에 의해 금속 스트립 코일을 운반한다.
한편, 상기 공통의 코일 운반 장치는 맨드릴 축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운반 통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코일차(coil car)를 포함하고 있다.
코일차는 제 2 장치 및 권선 해제기에 금속 스트립 코일을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를 갖는다. 한편, 제 2 장치는, 금속 스트립 로일을 지지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코일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와 코일로부터 스트립 단부를 풀기 위해 코일이 회전하는 동안에 코일에 접촉하도록 금속 스트립 코일에 대해 이동가능한 안내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 2 장치는 안내 장치가 금속 스트립 코일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해 안내 장치와 결합된 작동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제 3 장치는 스트립 단부를 유지시키는 유지 장치와, 유지 장치를 운반 통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운반 장치를 포함하며, 유지 장치가 제 4 장치에 의해 금속 스트립 코일의 이동에 따라 운반 통로를 이동되도록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이제 도면, 특히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스트립 권선 해제 및 공급 설비의 적합한 실시예는 예컨대 염처리 설비나 압연기 등의 금속 스트립 처리 설비의 상류에 마련된다. 금속 스트립 권선 해제 및 공급 설비의 적합한 실시예는 맨드릴(21)이 있는 권선 해제기(20)을 포함한다. 맨드릴 (21)의 축은 풀려진 금속 스트립이 공급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다.
금속 스트립 코일(22)는 코일 운반 장치(24)에 의해서 운반된다. 코일(22)는 공지된 방식으로 권취되어 있는 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중심 원형 구멍을 갖는 코일로 구성된다. 운반 장치(24)에 의해서 맨드릴(21)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 금속 스트립 코일(22)들의 통로가 형성된다. 금속 스트립 코일들이 권선 해제기(20)으로 운반되는 동안에, 운반 장치는 금속 스트립 코일의 중심 구멍의 축을 권선 해제기(20)의 맨드릴(21)의 축과 정렬한다.
코일 개봉기(26)은 권선 해제기(20)의 상류 위치에서 운반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운반 통로 내에 마련된다. 코일 개봉기(26)은 권선 해제기(20)이 권선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권취된 코일의 단부를 약간 풀거나 자유롭게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코일 개봉기(26)은 금속 스트립의 자유단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28)을 갖는다. 이 장치(28)은 이후 "코일 단부 고정 장치"라고 칭한다.
전술한 운반 장치는 전술한 운반 통로를 형성하는 한쌍의 고정 스키드(skid, 30) 및 다수의 코일차(32)로 구성된다. 고정 스키드(30)들은 코일 저장부(도시안됨)로부터 권헌 해제기(20)까지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어, 코일차(32)가 그를 따라 이동하여 금속 스트립 코일(22)를 권선 해제기에 공급하도록 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금속 스트립 코일(22)은 각각 코일 저장소로부터 기중기에 의해 견인되어 코일차(32)에 장착된다. 그리고 나서 코일차(32)는 공지된 방식으로 고정 스키드들을 따라 구동된다.
그 코일차(32)는 그 위에 장착된 금속 스트립 코일(22)를 견인하는 견인기 (lifter, 34)를 구비한다. 견인기(34)는 금속 스트립 코일(22)를 코일 개봉기(26)에 대향된 위치에서 크래들 롤러(cradle roller, 36)들 상에 위치되도록 그리고 권선 해제기(20)의 맨드릴(21)상에 위치되도록 구동된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개봉기(26)은 전술한 크래들 롤러(36)들과 결합된다. 크래들 롤러(36)들은 그들의 회전축이 고정 스키드들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고정 스키드(30)들 상에 장착된다. 각각의 크래들 롤러(36)들은 구동 모터(도시안됨)와 연관되어 있어 그 위에 위치된 금속 스트립 코일(22)가 회전하도록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안내판(38)은 크래들 롤러(36)들 상의 금속 스트립 코일(22)의 주연부를 향하도록 마련된다. 안내판(38)은 기부(43)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피봇 아암(39)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안내판(38)은 피봇 아암(39)의 자유단에 지지된 피봇부(38a)에 대하여 선회될 수 있다. 한편, 피봇 아암(39)는 기부(43)의 장착 브래킷(41)에 의하여 지지되는 피봇부(39a)에 대하여 선회될 수 있다. 피봇 아암(39)는 또한 작동기(40)에 연결되어 있다.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기(40)은 피봇부(4Ob)에 대하여 피봇 아암(39) 및 실린더 로드(40a) 사이에 상대 각 변위가 허용되도록 피봇 아암(39)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실린더 로드(40a)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로 구성된다. 한편, 안내판(38)은 작동기(42)와 연관되어 있다. 작동기(42)는 피봇부(41b)에 대하여 안내판(38)과 실린더 로드(41a) 사이에 상대 각 변위가 허용되도록 안내판(38)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실린더 로드(41a)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로 구성된다. 공기압 실린더(40, 42)는 코일로부터 금속 스트립의 단부를 풀기 위하여 안내판의 자유단 연부가 금속 스트립 코일(22)의 주연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피봇 아암(39) 및 안내판(38)을 작동시킨다. 안내판(38), 피봇 아암(39), 공기압 실린더(40, 42)는 코일 개봉기(26)내에 코일 개봉 장치를 형성한다.
코일 단부 고정 장치(28)은 크래들 롤러(36)의 위에 마련되어 있다. 코일 단부 고정 장치는 안내 장치(46)에 현수되어 있는 자기 척(44)를 포함한다. 안내 장치(46)은 코일 개봉기(26)과 권선 해제기(20) 사이에서 금속 스트립 코일들의 운반 통로의 일부를 따라 연장된 운반 비임(transfer beam, 48)을 포함한다. 롤러(50a)들을 갖는 안내 캐리지(guide carriage, 50)은 운반 비임(48)에 결합되어 이를 따라 이동한다. 안내 캐리지(50)은 수직 안내부(53)을 지지한다. 수직 안내부(53)은 원통형의 외부 안내부(53a) 및 외부 안내부 내에 동축으로 배치된 원통형 또는 로드형의 내부 안내부(53b)로 구성된다. 외부 안내부(53a)는 안내캐리어(50)에 그 상부단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내부 안내부(53b)는 상하로 가동된다. 내부 안내부(53b)의 하단부는 장착 브래킷(53c)를 통해서 전술한 자기 척(44)에 연결된다. 장착 브래킷(53c)는 연장부(53d)를 갖는데, 여기에는 작동기(52)의 실린더 로드(52a)의 하단부가 연결된다. 적합한 구조에서, 작동기(52)도 또한 공기압 실린더로 구성된다. 공기압 실린더 (53)는 자기 척(44)를 지지하는 수직 안내부의 내부 안내 부(53b)를 상하로 구동시킨다.
코일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자기 척을 사용하나, 코일(22)로부터 풀린 스트립 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클램프 또는 흡착기(suction holder)를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금속 스트립 공급 설비의 전술한 양호한 실시예의 작동에 있어서, 금속 스트립 코일(22)는 연속적으로 코일 운반 장치에 공급된다. 코일 운반 장치의 코일차(32)는 각각의 금속 스트립 코일(22)들을 수납하여 고정 스키드(30)들에 의해 형성된 공급 통로를 따라 이들을 운반한다. 이때에, 코일차(32)상의 금속 스트립 코일(22)는 그로부터 풀려진 금속 스트립의 이송 방향과 권선 해제기(20)의 위치에서의 금속 스트립 처리 설비의 공급 방향이 일치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제 2 도의 실시에 있어서, 금속 스트립 코일(22)는 시계 방향으로 풀리도록 코일차 위에 위치한다.
코일 개봉기(26)에 대향된 공급 통로의 위치에서 코일차(32)의 견인기(34)는 금속 스트립 코일(22)를 견인하여 크래들 롤러(36)들 상에 장착하도록 작동된다.
다음에,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 롤러(36)은 구동 모터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며, 이에 따라, 크래들 롤러 위에 위치하는 금속 스트립 코일(2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크래들 롤러(36)에 의해 금속 스트립 코일(22)가 회전하도록 구동됨에 따라. 공기압 실린더(40, 42)는 안내판의 연부가 좌측면으로부터 금속 스트립 코일의 주연부와 접촉되도록 피봇 아암(39) 및 안내판(38)을 선회 가능하게 이동시키도록 작동된다. 피봇 아암(39) 및 안내판(38)의 각 위치는 제 2 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스트립 코일의 직경에 따라 조절된다.
안내판의 연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금속 스트립 코일(22)의 주연부와 좌측에서부터 접촉함으로써, 금속 스트립의 연부는 안내판의 연부와 접촉되며 따라서 코일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금속 스트립의 단부는 자유 상태가 된다.
다음에, 공기압 실린더(52)는 자기 척이 금속 스트립의 자유단과 접촉하도록 수직 안내부(53)의 내부 안내부(53b)를 하향 구동하도록 작동되고, 이럼으로써 자기 척 (44)가 스트립 코일 단부를 자기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자기 척이 코일 단부를 파지한 후에, 코일차(32)의 견인기(34)는 금속 스트립 코일(22)를 권선 해제기(20)쪽으로 운반하도록 다시 작동된다. 동시에, 자기 척 (44)로 스트립의 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수직 안내부(53)을 갖는 안내 캐리지(50)은 금속 스트립 코일(22)와 함께 이동한다.
권선 해제기(20)에 대향된 위치에서, 코일차(32)의 견인기(34)는 금속 스트립 코일(22)의 중심 구멍을 맨드릴(21)과 일치시키도록 다시 작동된다. 이제 금속 스트립 코일(22)는 권선 해제기(20)의 맨드릴 상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권선 해제기(20)에 의해서 권선 해제 작업이 수행된다.
하나의 금속 스트립 코일이 권선 해제기(20)에 의해서 풀려질 때, 다음 코일(22)가 코일 개봉기(26)에 정착된다.
전산 제어 장치 (computer-based control unit)로 제어기에 의한 크래들 롤러(36), 공기압 실린더(40, 42, 52) 및 코일차의 견인기(34)등의 구동 타이밍과 코일차의 구동과 같이 설비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차(32)는 코일 저장소로부터 공급되는 금속 스트립 코일들을 수납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어기는 코일차(32)들이 코일 개봉기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정지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코일차들의 위치를 탐지한다. 코일 개봉 위치에 코일차(32)가 정지한 후에, 제어기는 코일(22)를 크래들 롤러(36) 위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견인기 (34)로 구동 신호를 보낸다. 금속 스트립 코일(22)를 크래들 롤러(6)에 위치하였다는 것을(도시되지 않은) 코일 감지기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제어기는 구동 모터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여 크래들 롤러(36) 위에 장착되어 있는 금속 스트립 코일(22)를 회전시키도록 크래들 롤러(36)을 회전 구동시킨다. 크래들 롤러(36)상의 금속 스트립 코일(22)의 회전이 개시된 후에, 제어기는 공기압 실린더(40, 42)가 피봇 아암(39) 및 안내판(38)을 가동시키도록 작동 신호를 압력 제어 장치(도시안됨)로 공급한다. 상기 가동 중에 피봇 아암(39) 및 안내판(38)의 각도 위치들은, 피봇 아암 및 안내판의 각도 위치를 직접 검출하거나, 또는 공기압 실린더를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여 상기 위치를 간접적으로 검출하는(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 피드백 제어된다. 금속 스트립 코일(22)의 단부가 전술한 코일 개봉 장치에 의해서 개봉되었을 때, 제어기는 이를 감지하여 금속 스트립 코일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동시에 공기압 실린더(52)가 자기 척(44)를 하강시키도록 작동 신호를 압력 제어 장치 (도시되지 않음)로 공급한다. 상기 이동 중에, 제어기는 자기 척이 코일의 자유단을 고정하고 있을 때 자기 척의 위치를 감시 및 검출한다.
다음에, 제어기는 크래들 롤러(36)으로부터 금속 스트립의 개봉된 코일(22)를 풀도록 견인기(34)로 다시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금속 스트립 코일(22)가 크래들 롤러(36)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후에 제어기는 코일차를 권선 해제기를 향해 구동시킨다. 제어기는 코일차가 권선 해제기(20)에 도달하는지를 감지하여 코일이 맨드릴에 정확하게 장착되도록 코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압 실린더(52)에 대한 압력 제어 장치로 작동 신호를 공급한다. 제어기는 맨드릴의 위치를 확인한다. 다음에, 권선 해제 작업을 시작하기 위하여 작동 신호를 권선 해제기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금속 스트립 공급 설비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구동 타이밍을 최적화 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스트립 공급 설비는 염처리 설비, 압연 설비 등과 같은 금속 스트립 처리 설비가 상당히 작은 손실 시간으로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연속적이고 효율적으로 금속 스트립 코일을 권선 해제함에 있어 효과적이다. 나아가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운반 장치 즉 코일차를 코일 개봉 전후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금속 스트립 공급 설비의 구조는 보다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더욱이, 금속 스트립 공급 설비가 보다 적은 수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므로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제 3 도 및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스트립 공급 설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코인 제조장(coil yard)으로부터 공급된 금속 스트립 코일들은 고정 스키드(52)에 장착된 이동 비임(56)에 의해서 코일 개봉 장소로 운반된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비임(56)은 구동 실린더(58)와 연관된 이동가능한 캐리지(60)을 포함한다. 이동 비임 본체(66)은 견인 링크(64)를 통해서 이동가능한 캐리지 (60)에 장착된다. 견인 실린더(62)는 캐리지(60)에 대한 이동 비임 본체(66)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견인 링크(64)들 중의 최소한 하나에 연결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연관하여 상술한 구조와 동일 구조를 갖는 코일 개봉기(26) 및 스트립 단부 고정 장치(28)들은 코일 개봉 위치에 마련된다. 따라서, 코일 개봉 위치에서, 이동 비임 (56)에 의해서 운반되는 금속 스트립 코일(22)는 전술한 코일 개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정 스키드(52)들에 의해 지지되는 크래들롤러(54) 상에 장착된다.
코일 개봉 작업 후에 금속 스트립 코일(22)는 이동 비임(56)에 의해서 코일 단부 고정 장치(28)과 함께 코일차(32)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원리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속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원리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실시될 수 있는, 도시한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가능한 실시예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Claims (12)

  1. 금속 스트립을 권선 해제하고 금속 스트립 처리 라인에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권선 해제되는 금속스트립의 공급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금속 스트립 코일을 공급하는 단계와, 코일의 개봉을 위하여 코일 운반 통로에 인접하게 배치된 코일 개봉기에 대면되는 위치로 상기 금속 스트립 코일을 운반하는 단계와, 코일 개봉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코일 개봉기에 의해 코일로부터 풀어진 스트립 단부를 코일로부터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단계와, 코일 단부를 코일로부터 이격되게 유지하면서 개봉된 금속 스트립 코일을 권선 해제기로 운반하여 권선 해제기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풀려진 금속 스트립을 상기 금속 스트립 처리 라인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권선 해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코일에서 권선 해제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에 다른 코일에 상기 개봉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스트립 코일의 중심축이 상기 권선 해제기의 회전축에 평행한 상태로 금속 스트립 코일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스트립 코일이 공통의 코일 운반 장치에 의해서 상기 코일 개봉기 및 권선 해제기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금속 스트립을 권선 해제하고 금속 스트립 처리 라인으로 이송하기 위한 설비에 있어서, 금속 스트립 코일을 권선 해제하며 이 풀려진 코일을 금속 스트립 처리 라인으로 이송하는 권선 해제기와, 상기 금속 스트립 코일을 공급 위치로부터 코일 개봉 위치로 운반시키기 위한 제 1 장치와, 상기 코일 개봉 위치에 마련되어 코일을 개봉하는 제 2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와 연관되며 상기 제 2 장치에 의해 코일로부터 풀린 스트립 단부를 코일로부터 이격되게 유지시키기 위한 제 3 장치와, 제 3 장치가 코일로부터 이격되게 스트립 단부를 유지하는 동안에 상기 코일 개봉 위치로부터 상기 권선 해제기가 구비된 권선 해제 위치로 개봉된 금속 스트립 코일을 운반하기 위한 제 4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권선 해제기는 그 축이 권선 해제되는 금속 스트립의 공급 방향에 수직한 맨드릴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금속 스트립의 중심축을 상기 맨드릴의 상기 축에 평행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제 4 장치는 상기 금속 스트립 코일의 축을 상기 맨드릴의 상기 축에 대해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해제기가 하나의 코일에 대해서 권선 해제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제 2 장치가 다른 코일에 대해서 코일 개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장치 및 제 4 장치가 동시에 가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 및 제 4 장치가 공통의 코일 운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금속 스트립을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코일 운반 장치가 상기 맨드릴의 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운반 통로를 따라 가동되는 코일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차가 상기 금속 스트립 코일을 상기 제 2 장치 및 상기 권선 해제기에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가, 상기 금속 스트립 코일을 지지하고 상기 코일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와, 상기 코일이 코일로부터 스트립 단부를 해제하도록 회전하는 동안 상기 코일에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 스트립 코일에 대해 전후로 이동하는 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가 아닌 안내 장치를 상기 금속 스트립 코일에 대해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내 장치와 연관된 작동 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12. 제10항에 있어서, 제 3 장치가 스트립 단부를 이격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 장치와 상기 유지 장치가 상기 운반 통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이것을 지지하는 운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 장치가 상기 금속 스트립 코일의 이동에 따라 제 4 장치에 의해 상기 운반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KR1019870005808A 1986-06-09 1987-06-09 금속 스트립 코일의 권선 해제기로의 공급 및 이 금속 스트립의 권선 해제방법 및 설비 KR940007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33106A JPS62289324A (ja) 1986-06-09 1986-06-09 巻戻機へのコイル挿入方法
JP86-133106 1986-06-09
JP61-133106 1986-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157A KR880000157A (ko) 1988-03-23
KR940007849B1 true KR940007849B1 (ko) 1994-08-26

Family

ID=1509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808A KR940007849B1 (ko) 1986-06-09 1987-06-09 금속 스트립 코일의 권선 해제기로의 공급 및 이 금속 스트립의 권선 해제방법 및 설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249543B1 (ko)
JP (1) JPS62289324A (ko)
KR (1) KR940007849B1 (ko)
AU (1) AU599664B2 (ko)
CA (1) CA1316796C (ko)
DE (1) DE3789254T2 (ko)
ES (1) ES205011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901B1 (ko) * 2002-10-31 2004-12-23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철판띠 공급용 언코일러
DE102007015636A1 (de) * 2006-11-24 2008-05-29 Sms Demag Ag Vorrichtung zum Führen eines Metallbandes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JP6619241B2 (ja) * 2016-01-19 2019-12-11 コマツ産機株式会社 コイル材通板装置、およびコイル材通板方法
CN115194579B (zh) * 2022-09-15 2022-12-09 中铝材料应用研究院有限公司 磨光式表面处理设备及操作方法
CN116060472B (zh) * 2023-02-28 2023-08-29 佛山市三水雄金机械有限公司 一种多用途金属卷材转料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0778A (en) * 1956-09-13 1959-04-07 United States Steel Corp Apparatus for pulling the end from a coil of strip
US3226050A (en) * 1961-10-12 1965-12-28 Beteiligungs & Patentverw Gmbh Unwinding device for band-shaped rolled goods
JPS4917837B1 (ko) * 1970-06-12 1974-05-04
AU471832B2 (en) * 1972-10-26 1976-05-06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Method of automatically loading a coil of material onto a blanking line
IT1037812B (it) * 1975-05-02 1979-11-20 Innocenti Santeustacchio Spa Apparecchiatura per alimentare rotoli successivi di lamiera ad una stazione di svolgimento
JPS57149020A (en) * 1981-03-13 1982-09-14 Kobe Steel Ltd Leader for preparation for unco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385287A (en) 1987-12-10
EP0249543A2 (en) 1987-12-16
EP0249543B1 (en) 1994-03-09
KR880000157A (ko) 1988-03-23
DE3789254D1 (de) 1994-04-14
DE3789254T2 (de) 1994-08-25
ES2050119T3 (es) 1994-05-16
EP0249543A3 (en) 1990-03-21
CA1316796C (en) 1993-04-27
AU599664B2 (en) 1990-07-26
JPS62289324A (ja) 198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761B2 (en) Center/surface rewinder and winder
US7909282B2 (en) Center/surface rewinder and winder
CA1318646C (en) Web rewind apparatus with cutless web transfer
US4730781A (en) Conveyor for feeding strip material in a machine for working on the same
KR940007849B1 (ko) 금속 스트립 코일의 권선 해제기로의 공급 및 이 금속 스트립의 권선 해제방법 및 설비
JP2780635B2 (ja) スクラップコイルの処理装置
JP2620459B2 (ja) 自動線掛装置
JPH06198335A (ja) コイルオープナー
KR100353179B1 (ko) 코일의이재방법및코일의감아쌓기장치
US49780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ing the yarn end of a package in a further handling disposition
JP2785611B2 (ja) 被処理鋼板材コイルの先端口出し装置
JP4110592B2 (ja) ウエブ巻取装置のロール紙端押え装置
JP2002192227A (ja) 金属帯の巻取装置
JPH0212811B2 (ko)
JPH09271839A (ja) 複胴型コイル巻出し装置
WO2022250529A1 (en) Unwinding system, assembly and method for unwinding a tire component from a stock reel
JP2879036B1 (ja) コア整列体用スペーサーの自動戻し搬送装置
JP2657592B2 (ja) ホース端部への金具装着装置
JPH05212476A (ja) 全自動巻取装置
JPH05277557A (ja) ストリップ搬送装置
JPH0154258B2 (ko)
JPH0654412U (ja) 鋼ストリップの横型搬送ルーパー装置
JPH08174059A (ja) 金属帯コイルへの間紙挿入方法
JPH06135687A (ja) リバース圧延における円筒状体搬送装置
JPS6284826A (ja) 線材製造機の屑線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