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173B1 - 축 형상부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축 형상부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173B1
KR940007173B1 KR1019890011585A KR890011585A KR940007173B1 KR 940007173 B1 KR940007173 B1 KR 940007173B1 KR 1019890011585 A KR1019890011585 A KR 1019890011585A KR 890011585 A KR890011585 A KR 890011585A KR 940007173 B1 KR940007173 B1 KR 940007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ly rod
head
ro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890A (ko
Inventor
요시다카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요시다카 아오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0294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95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0862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44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0862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4419B2/ja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카 아오야마 filed Critical 요시다카 아오야마
Publication of KR90000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6Holding or positioning the article in front of the applying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00Metal working
    • Y10S29/105Assembly, magnetic, or indicia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1Sizing mating parts during final positional assoc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축 형상부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제1도(a)-(c)는 축 형상부품의 여러형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축 형상부품의 공급과정을 표시하는 입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돌편의 형태를 표시하는 공급로드의 선단사시도,
제6도는 공급장치의 전체 개요를 표시하는 입단면도,
제 7도는 공급장치의 종단면도,
제8도는 이상(異常)부품유지상태를 표시하는 공급로드 선단부의 단면도.
제9도는 프로젝션 볼트의 공급과정을 표시하는 개략입단면도.
제10도는 공급장치의 종단면도.
제11도 (a)-제11도(c)는 축 형상부품의 공급과정을 표시하는 개략도.
제12도는 공급로드 선단부의 사시도.
제13도 및 제14도는 공급로드의 단면도 및 종단면도,
제15도는 부품을 유지한 상태의 공급로드선단부의 일부단면으로한 측면도,
제16도는 공급장치의 종단면도,
제17도는 전자석을 사용하는 공급로드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부품 6 : 축부
7 : 헤드 8 : 공급로드
9 : 돌편 30 : 스톱퍼
31 : 지지부
본 발명은, 축이나 볼트와 같은 축 형상부품을 상대방 부재의 소정장소, 이를 테면 강판부품의 구멍이나 수폿용접 전극의 가이드구멍 등에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의 일예를 설명하면 유체실린더에 연결된 공급 샤프트의 선단에 척기구가 부착되고, 척기구의 한쌍의 조(爪)로 볼트가 끼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공급샤프트가 진출하여 볼트가 목적 위치까지 오면 척 기구의 작동으로 조가 열리고, 볼트가 낙하하여 공급이 완료한다. 상술의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척 기구 자체에 전자적(電磁的)인 구동장치 또는 에어실린더와 같은 구동장치를 부여 하지 않으면 않되므로 척 기구가 복잡하고 그리고 대형화되어 버리며, 더욱 축 형상부품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서는 조의 치수도 커진다.
따라서, 좁은 곳에 공급이 매우 곤란하게 된다. 또 축 형상부품을 조로 끼워서 유지한다고 하는 방법 및 장치는 조의 축에 약간이라도 치수상의 어긋남이 있거나, 철부스러기와 같은 불순물이 조와 부품사이에 개재하거나 하면, 고정도(高精度)를 요구하는 곳인 만큼 부품의 유지자세가 기울거나 하여 바른 공급에 지장을 가져온다.
본 발명은, 이상에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것으로, 그 하나의 모양에 의하면, 공급로드의 선단부에 축 형상부품을 아랫측에서 유지하는 돌편을 설치하고, 공급로드 선단부에 축 형상부품을 자력으로 흡인 유지한 상태에서 비스듬한 아래 방향 또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공급로드를 진출시켜, 목적 장소의 직전에서 공급로드를 정지하고, 그 정지와 거의 동시에 축형상부품에 대한 흡인자력을 소멸시킴으르서, 축형상부품의 상부를 돌편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축 형상부품을 회전운동에 따라 기립을 시키면서 상대방부재의 소정장소에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이렇게 함으로서 축 형상부품을 공급로드에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소정장소에서 회전운동에 따라 기립을 시키면서 정확히 공급을 완료하는 것이다.
공급로드의 선단부에 축상부품의 헤드를 받아 멈출 스톱퍼부와 동부품의 축부가 접촉하는 지지부로 이룩됨과 동시에 부품의 아랫쪽에 위치하는 돌편을 설치하고, 헤드가 돌편의 내면을 미끄러져 움직이면서 축형상부품이 회전운동에 따라 기립하고, 상대방부재의 소정장소에 낙하하도록 하여도 좋다.
부품의, 축부나 헤드가 돌편과 접촉하면서 회전운동시의 회전력을 받아 부품전체가 회전운동에 따라 기립을 이룩하여, 돌편에서 이탈, 낙하하여 간다. 이들 및 기타의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하기하는 바에 의하여 한층 명료해질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의 부품은 모든 도면을 통하여 같은 부호로 지시하고 있다. 우선, 하나의 구체예를 표시하는 제1도에서 제7도를 참조하면, 축 형상부품(이하, 간단히 부품이라 칭한다)은 부호(5)로 지시하고 있고, 제1도(a)와 같이 축부(6)에 4각판형상의 헤드(7)가 붙여있거나, 동도면(B)와 같이 헤드(7)가 원형이거나, 또는 동도면(C)와 같은 원주형의 경우등이 있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고하여 부품(5)을 공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공급로드(8)의 선단부에는 부품(5)의 상부를 아래측에서 유지하는 것과 같은 판형상의 돌편(9)이 설치되어있다.
실선으로 표시한 부품(5)는 헤드(7)를 갖는 볼트이다
돌편(9)의 형상은, 부품의 헤드(7)가 제1도(a)와 같이 4각인 경우에는 제4도와 같은 형상도 좋지만, 헤드(7)가 제1도(b)와 같이 원판상의 경우에는, 제5도와 같이 돌편(9)의 양측에 벽부(28)를 설치하여 C자형의 틀형상으로하고, 헤드(7)의 굴러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부품(5)을 흡인자력에 의하여 선단부에 유지하기 위하여, 공급로드(8)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중공축으로 하고, 그 내부에 접동가능한 상태로 내부로드(10)가 삽입하여 있고 로드(10)의 선단부에 마그넷(영구자석)(11)이 고정되어있고, 마그넷(11)과 공급로드(8)와의 하단면이 합치하여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면일(面一)로 되어있다.
공급로드(8)는 비스듬한 아랫방향 또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스트로우크(stroke)하는 것이다.
부품(5)을 공급하여야할 상대방부재(12)의 소정장소의 예로서는, 제2도,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부재(12)에 구멍(13)이 있고, 여기서는 볼트(5)를 구멍(13)내에 진입시키려고 하고 있다.
또, 제1도(c)와 같은 형상의 부품의 경우는 제2도에 이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은 형태로 된다.
제2도는, 공급로드(8)의 선단면에 볼트(5)의 헤드(7)가 흡착된 그대로 공급로드(8)가 상대방부재(12)의 가까이까지 진출하여 정지한 것을 도면에 표시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볼트(5)의 선단이 구멍(13)의 극히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제2도의 상태에서 내부로드(10)를 후퇴시켜, 제3도와 같이 마그넷(11)을 헤드(7)로부터 격리시키면, 볼트(5)에 대한 흡인 자력이 소멸하므로, 헤드(7)는 돌편(9)의 내면에서 지지된 그대로 볼트(5) 전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에 따라 기립을 하여 가고, 구멍(13)내에 꼭끼여버린다. 이 회전운동에 따라 기립의 과도기에는 헤드(7)가 돌편(9)의 내면을 활강하면서 그 접촉점의 위치를 바꾸어, 최후에는 제3도와 같은 접촉상태에서 구멍(13)내로 낙하하도록 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장치전체를 표시하는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 제2도, 제3도에 표시한바와 같은 공급로드(8)가 외통(14)내를 진퇴가능한 상태에서 수용되고, 외통(14)의 상단에는 자동실린더(에어실린더)(15)를 결합하고, 또, 외통(14)의 하단에는 볼트(5)를 유도하여 오는 슈우트(16)가 용접되어있다.
이 슈우트(16)는 헤드(7)를 메달은 것과 같은 상태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슈우트(16)의 단부에는 가이드판(17)이 고정되어있고, 거기에 매설한 마그넷(영구자석)(18)이 볼트(5)의 흡인 도입을 달성하고 있다.
제3도와 같은 마그넷(11)(내부로드(10))이 강제적으로 후퇴되어지는 기구를 제7도에서 설명하면, 내부로드(10)에 고정한 규제핀(19)이 공급로드(8)의 스트로우크방향으로 열린 긴구멍(20)을 관통하여 공급로드밖으로 돌출하여 있다.
외통(14)의 바깥축에 구동장치(21)가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장치(21)로서는, 전자솔레노이드등도 채용할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에어실린더(22)를 예시 하였고, 그의 피스톤로드(23)의 선단에 고정한 계합편(24)이, 외통(14)에 열린 스트로우크 방향의 긴구멍(25)을 관통하여 외통내에 마주앉아 있고, 규제핀(19)과 계합편(24)이 서로 충합(衝合)할수 있도록 대향시키고 있다. 더욱, 압축코일 스프링(26)이 내부로드(10)과 공급로드(8)와의 사이에 끼우고, 그의 탄발력은 규제핀(19)이 긴구멍(20)의 하단부에 누르게 됨으로서 받아멈추어지게하고 있다.
또, 부호 27이 가르키고 있는 것은 전술의 작동실린더(15)의 피스톤로드로 공급로드(8)에 결합하고 있다.
제7도의 상태에서 피스톤로드(27)에 의하여 공급로드(8)가 진출하고, 목적장소의 직전에서 정지하면, 규제핀(19)도 걸어맞춤(24)의 직전에서 정지한다.
다음에 에어실린더(22)에 의하여 걸어맞춤편(24)이 인상(引上)되면, 내부로드(10)는 규제핀(19)을 사이에 제3도와 같이 강제적으로 후퇴되게 된다.
볼트(5)의 흡인자력을 소멸시키는 타이밍은, 공급로드(8)의 정지와 거의 같은 시기이고, 가장좋은 것은 공급로드(8)의 정직직후이다. 기술한 바와같이, 부품을 공급로드의 선단부에 자력으로 유지하는 것이지만, 종래예와 같이 복잡한 구조로 대형의 척기구를 채용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좁은 장소에의 부품공급이 가능하다. 공급로드의 선단부에 부품을 아래에서 유지하는 돌편을 설치하고, 공급로드의 진출정지와 거의 동시에 흡인자력을 소멸시키는 것이므로, 부품은 돌편의 내면면에 접촉하면서 회전운동하여 기립하고, 이것으로 인하여 부품의 거동궤적(擧動軌跡)을 항상 일정하게 하여 목적장소로의 공급정도(精度)를 확실한 것으로된다. 다음에, 제9도-제16도에 표시하는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프로젝션 볼트(ProjectionboIt)와 가은 헤드가 달인 축형상부품을 목적장소, 이를테면 고정전극의 가이드구멍으로 삽입하는 것과 같은 분야에서 이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헤드가 달린 축형상부품의 초기자세를 바르게 구하는 것에 중점으로 놓여지고 있다. 상술의 하나의 구체예를 프로젝션볼트와 같은 헤드탈린 축상부품에 적용하는 경우는, 제8도와 같은 보통과 유지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즉 무엇인가의 원인으로 부품(5)은 도시한 바와같이 공급로드의 하단면 과의 사이에 큰 간격이 생겨 부품(5)의 축선과 공급로드의 축선이 일직선상에 정렬하지 않는 것으로되고, 결국은 부품(5)의 초기의 유지자세가 바르게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된다. 이렇게 되면 공급로드의 진출시에 부품(5)이 공급로드에서 벗어나거나, 상대방부재의 목적장소에 바르게 공급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생긴다. 전술한 무엇인가의 원인이라는 것은, 주로, 마그넷(11)의 흡이력이 저하하여, 다른 마그넷(18)의 흡인력의편이 크게된다는 것이 거론된다. 우선, 제9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는 강판부품(40)에 프로젝션볼트(5)를 용접하는 경우이고, 고정전극(34)위에 강판부품(40)이 재치되고, 강판부품의 뚫린구멍(41)과 전극의 가이드구멍(35)이 합치되어 있다. 공급로드(8)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은 비스듬한 윗쪽방향으로 부터 강하하여 오기 때문에, 그 단면에는 볼트(5)의 헤드(7)가 자력으로 흡착되어 있다.
또, 돌편(9)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스톱퍼부(30)와 지지부(31)로 이룩되고, 볼트 축이 지지부(31)에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더욱 부호(42)가 가르치고 있는 것은 고정전극(34)과 쌍을 이루는 가동전극이다.
다음에 제10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진퇴스트로우크를 하는 공급로드(8)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비스듬한 아래쪽방향 또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배치하여 있고, 그 선단부에는 헤드(7)와 축부(6)로 이룩되는 부품(15)이 자력으로 흡착되도록 되었다.
공급로드(8)의 선단부에는 부품(5)의 상방부분을 아랫측으로부터 유지하는 돌편(9)이 설치되어있다.
이 돌편은, 제11도(a)-제11도(c)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의 자형으로 굴곡한 모양을 하고 있고, 헤드(7)를 받아 멈추는 스톱퍼부(30)와 축부(6)가 접촉하는 지지부(31)로 이룩되어있다.
제1도(a)와 같은 헤드가 4각부품 일때에는 제12도와 같이 돌편(9)만으로도 좋지만, 제l도(b)와 같이 헤드가 둥근부품일때에는, 제13,1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돌편(9)의 좌우에 측벽(32)을 설치하여 C자형으로 하는 것도 적당하다.
제1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곧바른 스톱퍼부(30)에 다른 부재로 이룩되는 지지편(38)을 거의 직각으로 용접하여 역 L자형의 돌편(9)을 형성시켜도 좋다.
제10도의 장치는 돌편(9)을 제외하고 제7도의 것과 같지만, 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부품(5)을 흡인유지한 공급로드(8)가 에어실린더(15)의 출력으로 소정장소까지 진출하여 정지하면, 규제핀(l9)은 계합편(24)의 가까이까지 와있고, 여기서 에어실린더(22)의 활동으로 계합편(24)이 상승하여 그 변위가 규제핀(19), 내부로드(10)에 전말되고 마그넷(11)은 헤드(7)로 부터 격리당하여 부품(5)에 대한 흡인자력이 소멸된다.
자력이 소멸한후, 부품(5)이 낙하하여 가는 과정은 제11도(a)-제11도(c)에 표시하는 바와같고, 제11도(a)는 흡인자력으로 헤드(7)가 공급로드(8)의 단면에 밀착하고 있는 상태로, 이때 지지부(31)의 선단각부가 접촉장소(33)의 점에서 축부(6)에 접촉하여, 제8도와 같은 이상자세로 되려고 하는것을 방지하고 있다.
흡인자력이 소멸당하게 되면 부품(5)은 헤드(7)가 스톱퍼부(30)의 내면을 활동하는 것과 접속장소(33)를 중심으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 합성된 것과 같은 거동궤적을 그린다.
제11도(b)는 그 거동의 초기의 단계를 표시하고 있고, 제11도(c)는 지지부(31)로부터 헤드(7)가 벗어나 낙하하고 있는 것이다.
제16도의 장치는 제10도의 마그넷이 부착된 가이드판(22)을 퇴피시킴으로서 부품(5)에 대한 자력 유지를 소멸시키도록 한것으로서, 제10도의 경우와 상이한 곳만 설명한다.
마그넷(18)이 일폐화된 가이드판(17)은 공급로드(8)의 외측면상을 스트로우크방향으로 접동할수 있게 되어있고, 볼트(36)에 의하여 내부로드(10)와 일체화되고, 공급로드(8)의 스트로우크방향으로 열린 긴구멍(37)을 보울트(36)가 관통하고 있다.
더욱 내부로드(10)에는 마그넷이 설치되어있지 않지만, 부품의 중량이나 헤드와 축부의 밸런스등에 따라서는 제10도와 같이 설치하여도 좋다.
부품이 지지부를 보유하는 돌편으로 바른자세로 자력유지를 이루는 그대로 소정위치까지 이송되고, 목적장소의 가장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부품의 자세가 항상일정화되며, 그 부품정지상태에서 전술한 바와같이하여 회전운동에 따라 기립을 하면서 낙하하여 가는 것이므로, 상품의 거동궤적이 균일화하고 공급미스가 없는 높은 신뢰성이 얻어진다. 더욱, 상술한 바와같은 실용성이 높은 부품거동을 실현시키는 것은 물론이지만, 공급로드에 특수형상의 돌편을 설치하는 것과, 흡인자력의 유무를 조절한다고 하는 구성이므로, 공급로드의 선단에 척기구를 갖춘 종래의 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의 적은 스페이스로 실시할수가 있고 좁은장소로의 부품공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 독특한 효과를 발휘하면서 첫머리에 개재한 척기구나 스페이스상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는 것이다. 공급로드의 선단부에 자력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는 이상의 각구체예에 있어서 영구자석에 한하지 않고, 이외에 여러가지 방식이 있고, 이를테면 제17도에 있어서는 전자석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여자코일(58)의 내부에 공급로드(8)을 관통시킨 것으로 공급로드(8)가 소정량 진출한후에 여자전류를 끊으므로서 흡인자력을 소멸시키는 것이다.

Claims (3)

  1. 공급로드(8)의 선단부에 축 형상부품(5)을 아랫측에서 유지하는 돌편(9)을 설치하고, 공급로드(8) 선단부에 축 형상부품을 자력으로 흡인 유지한 상태로 비스듬한 아랫방향 또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공급로드(8)를 진출시켜 목적 장소의 직전에서 공급로드를 정지하고, 그 정지와 거의 동시에 축 형상부품(5)에 대한 흡인자력을 소멸시키므로서, 축 형상부품의 상부를 돌편(9)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축 형상부품(5)을 회전운동에 따라 기립시키면서 상대방부재의 소정장소에 낙하시키는 축 형상부둥의 공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공급로드(8)의 선단부에 축 형상부품(5)의 헤드(7)를 받아 멈추게하는 스톱퍼부(30)와 동부품의 축부(6)가 접촉하는 지지부(31)로 이룩됨과 동시에 부품(5)의 아랫측에 위치하는 돌편(9)을 설치하고, 헤드(5)가 돌편(9)의 내면을 활동하면서 축 형상부품이 회전운동에 따라 기립을 하고, 상대방부재의 소저장소로 낙하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형상부품의 공급방법.
  3. 비스듬한 아랫방향 또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진퇴하는 공급로드(8)의 선단부에 축 형상부품(5)의 헤드(7)를 받아 멈추게 하는 스톱퍼(30)부와 동부품의 축부가 접촉하는 지지부(31)로 이룩됨과 동시에 부품의 아랫측에 위치하는 돌편(9)을 설치하고, 공급로드(8)와 선단부에 축 형상부품(5)을 흡착하는 자력을 부여하고, 이 자력을 임의로 소멸시키도록 구성한 헤드 달린 축 형상부품의 공급장치.
KR1019890011585A 1988-08-15 1989-08-14 축 형상부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KR940007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02948A JP2519510B2 (ja) 1988-08-15 1988-08-15 軸状部品の供給方法
JP63-202948 1988-08-15
JP63-208625 1988-08-22
JP63208625A JPH0764420B2 (ja) 1988-08-22 1988-08-22 プロジエクシヨンボルト等を電極のガイド孔へ供給す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3208624A JPH0764419B2 (ja) 1988-08-22 1988-08-22 ヘツド付き軸状部品の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3-208624 1988-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890A KR900002890A (ko) 1990-03-23
KR940007173B1 true KR940007173B1 (ko) 1994-08-08

Family

ID=2732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585A KR940007173B1 (ko) 1988-08-15 1989-08-14 축 형상부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35039A (ko)
KR (1) KR940007173B1 (ko)
DE (1) DE3926832C2 (ko)
GB (1) GB22249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0141A (en) * 1989-01-25 1993-07-27 Yoshitaka Aoyama Device for feeding apertured parts
DE3911380C2 (de) * 1989-04-07 1996-05-30 Yoshitaka Aoyama Vorrichtung zum Zuführen eines mit einer Öffnung versehenen Teils, insbesondere einer Mutter oder eines kurzen Rohres, zu einem Verbindungspunkt
JP3008046B2 (ja) * 1991-09-14 2000-02-14 好高 青山 プロジェクションナットの供給制御装置
JP6191979B1 (ja) * 2016-07-19 2017-09-06 青山 省司 部品の停止通過ユニットおよびねじ締め装置
JP6432873B1 (ja) * 2018-02-06 2018-12-05 青山 省司 軸状部品用供給ロッド
JP6410070B1 (ja) * 2018-02-13 2018-10-24 青山 省司 軸状部品用供給ロッド
JP6452015B1 (ja) 2018-05-17 2019-01-16 青山 省司 軸状部品用供給ロッドおよび供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6774A (en) * 1964-03-31 Socket wrench
US2671369A (en) * 1950-08-01 1954-03-09 Wade Stevenson Magnetic socket wrench
US2676506A (en) * 1952-02-28 1954-04-27 John M Schultz Bolt-retaining socket wrench
US3261481A (en) * 1964-05-06 1966-07-19 Murray Mfg Corp Magnetic feed and positioning means for automatic assembly mechanism
GB1115126A (en) * 1966-04-14 1968-05-29 Vauxhall Motors Ltd Portable power tools and attachments therefor
FR2190039A5 (ko) * 1972-06-22 1974-01-25 Magnesium Indus Riel
US3864804A (en) * 1974-02-27 1975-02-11 Nhk Spring Co Ltd Clip fastening device
US3921822A (en) * 1974-04-26 1975-11-25 Dixon Babette Machine for picking up, transferring and placing parts
US4575143A (en) * 1984-10-04 1986-03-11 Nast Irving J Pick-up tool
GB2180405A (en) * 1985-09-14 1987-03-25 Sidney George Carter Magnetic pin aligning and driving tool
JPS6418585A (en) * 1987-07-11 1989-01-23 Yoshitaka Aoyama Feeder for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926832C2 (de) 1995-04-13
KR900002890A (ko) 1990-03-23
US5035039A (en) 1991-07-30
GB8917857D0 (en) 1989-09-20
GB2224968B (en) 1992-09-09
DE3926832A1 (de) 1990-02-22
GB2224968A (en) 1990-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9171A (en) Parts feeding device
US4943098A (en) Parts supplying apparatus
US6163004A (en) Method of welding projection nut and apparatus therefor
KR940007173B1 (ko) 축 형상부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JPH01104514A (ja) 部品供給装置
US5074742A (en) Parts feeding method and apparatus
JP2599228Y2 (ja) ねじ供給装置
JP2017013077A (ja) 抵抗溶接用電極構造
JPH0764420B2 (ja) プロジエクシヨンボルト等を電極のガイド孔へ供給す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547593B2 (ja) プロジエクシヨンナツトの供給方法
JPH0252822A (ja) 軸状の部品の供給方法
JPH01181622A (ja) 部品供給装置
JP2009172655A (ja) 電気抵抗溶接機
JP2579258B2 (ja) 部品供給制御装置
JPH01226623A (ja) 部品供給装置
JP2852490B2 (ja) 溶接電極への軸状部品供給方法
US4940217A (en) Lead frame conveying apparatus
JP7141032B2 (ja) 軸状部品の供給装置における保持構造部
JPH0353813Y2 (ko)
JPH01288522A (ja) 部品供給装置
SU1393508A1 (ru) Магнитный захватный орган
JPH0256304A (ja) ヘツド付き軸状部品の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191975A (ja) 部品供給装置
JP2020172012A (ja) 袋ナット用供給ロッドおよび供給方法
JPH0198516A (ja) 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