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545B1 - Uo₂펠릿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Uo₂펠릿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545B1
KR940006545B1 KR1019880009412A KR880009412A KR940006545B1 KR 940006545 B1 KR940006545 B1 KR 940006545B1 KR 1019880009412 A KR1019880009412 A KR 1019880009412A KR 880009412 A KR880009412 A KR 880009412A KR 940006545 B1 KR940006545 B1 KR 940006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u
pellets
molar ratio
aqueous solution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178A (ko
Inventor
다다오 야도우
쓰요시 오노우에
히로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긴소꾸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긴소꾸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긴소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6/00Compounds of transuranic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3/00Compounds of uranium
    • C01G43/01Oxides; Hydroxides
    • C01G43/025Ur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UO2펠릿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ADU 법에 의한 UO2펠릿의 제조방법에 관한 특히, ADU의 침전생성조건을 조절함으로서 ADU로부터 UO2분말을 거쳐 얻어지는 UO2펠릿의 결정입경을 제어하는 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UF6로부터 UO2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ADU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ADU법은, UF6가스와 물과의 반응으로 얻어진 UO2F2수용액과 NH3과를 반응시켜 ADU를 침전시키고 이 AUD를 여과, 건조한후, 배소·환원하여 UO2분말로 하는 것으로서 ADU가 생성하는 반응은 다음식과 같이 표시된다.
UF6+2H2O→UO2F2+4HF…………………………………………………‥(1)
UO2F2+4HF+7NH4OH→(1/2)(NH)2U2O7+6NH4F+(11/2)H2O…(2)
UF6은 우선 (1)식에 표시하는 가수분해반응에 의하여 UO2F2수용액으로 변환되는데, 수용액중에는 우란1몰에 대하여 4몰량의 HF가 존재하기 때문에, (2)식의 ADU 침전생성반응에 있어서는 HF의 중화반응이 선행 또는 동시에 일어나고, 얻어진 ADU의 열차입자는 비교적 크고 불활성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불활성인 ADU로부터 배소·환원의 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UO2분말을 원료로 하여 펠릿을 제조하면, 그 결정입경은 통상 10μm 전후로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데 원자로내에 있어서 UO2펠릿이 안정하게 연소하기 위해서는, 펠릿에 의한 핵분열 생성가스(FP가스)의 유지력을 높이고, 펠릿으로부터의 FP 가스방출량을 될수있는대로 억제하는 것이 유효하다. 펠릿의 결정입경을 크게하면 FP 가스유지력이 향상하는 것이 판명되고 있지만, 결정입경이 너무 크면 펠릿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초래할 염려가 있고 최적입경은 아직 명백하지 않는 것으로서 눈대중으로서는 100μm을 상한으로 하면 충분하다고 예측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등은 먼저 특원소 61-제190079호에서 결정입경이 보다 큰 UO2펠릿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HF를 포함하지 않는 UO2F2수용액에 NH3을 반응시켜 ADU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UO2F2수용액의 U 농도를 50-1000gU/ι의 범위로 하고, 더욱 이 UF2수용액으로의 NH3의 첨가속도를 1몰의 U에 대하여 2몰 NH3/min 이상으로 한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면, UO2F2수용액의 U 농도가 작을수록 또 UO2F2수용액으로의 NH3의 첨가속도가 클수록 생성하는 ADU의 일차입자는 작고 높은 활성으로 되고, 그 결과 이 ADU로부터 UO2분말을 거쳐 얻어지는 UO2펠릿은 결정성장이 진행하여 입경이 커지기 때문에 전기범위에서 적당한 침전조건을 설정함으로서 10-100μm의 결정입경을 갖는 UO2펠릿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전기한 방법에 있어서는, ADU 침전을 생성함에 있어서, 생산성을 충분히 높이는 필요에서 U와 NH3의 접촉속도 및 NH3/U 몰비는 어느 것이든 충분히 큰 값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는 NH3/U비가 6비만(Ph 10미만)에서는 ADU가 충분히 침전하지 않고 폐액중에 U가 잔류하고, 또 접촉속도가 작아지는 생산성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U 농도만을 제어하여 ADU의 일차입자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되므로 10-100μm의 범위중 비교적 결정입경의 작은 UO2펠릿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UO2F2의 수용액을 500gU/ι이상의 농도로 하지 않으면 안되고, 필연적으로 UO2F2수용액의 점도가 현저히 증가하고 그 결과 생성하는 ADU 침전의 불균질성이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UO2펠릿의 물성이 불균질로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워진 것으로 UO2펠릿의 입경을 10-100μm의 범위의 임의의 크기로 제어가능하고, 그리고 어느 것이든 입경에 있어서도 물성의 균질한 펠릿을 제조할 수 있는 UO2펠릿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UO2펠릿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방법에서는, ADU를 침전시키는데 있어서 UO2F2수용액의 U 농도를 50-500gU/ι로 함과 동시에, 이 UO2F2수용액과 NH3을 2단계로 나누어서 반응시켜 1단계째에서는 NH3/U 몰비를 3-6로 2단계째에서는 NH3/U 몰비를 6-12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은 방법에 의하면, 생성하는 ADU의 성질은 1단계째의 침전반응에 의하여 거의 결정되고, 그때 NH3/U 몰비가 6이하의 조건이면 U 농도가 500gU/ι 이하의 경우에서도 비교적 1차입자의 크기 ADU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NH3/U 몰비가 6이하의 경우에서는, UO2F2수용액으로부터 ADU가 생성하는 다음식(3)의 반응에 의하여 NH4F 농도가 증가하면,
UO2F2+3NH4OH→(1/2)(NH4)2U2O7+2NH4F+(3/2)H2O………………(3)
이 NH4F에 의하여, 다음식(4) 및 (5)와 같이 플루오루화 우라니일 암모늄(AUF)을 경유하여 ADU가 생성하는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UO2F2+3NH4F→(NH4)3UO2F5………………………………………………(4)
(NH4)3UO2F5+3NH4OH→(1/2)(NH4)2U2O7+5NH4F+(3/2)H2O………(5)
AUF는 결정성의 불활성 물질이므로, 이 AUF를 경유하여 생성하는 ADU도 불활성으로 1차입자의 비교적 큰 것으로 된다. 그리고 1단째 반응에 있어서 NH3/U 몰비를 작게 설정할수록 생성하는 ADU는 AUF를 경우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열차입자의 보다 큰 불활성의 것이 얻어진다.
1단째 침전반응에 있어서 NH3/U 몰비가 3미만에서는 U가 침전하는 비율이 작아지고 바람직하지 않고, 다른 한편 6이상에서는 종래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며, 더욱 NH3/U 몰비가 3-6 범위에 있어서도 수용액중에 U는 잔존하지만, 2단째 반응에서 NH3/U 몰비를 6-12로 하면 충분히 회수할 수 있다.
또 2단째 반응의 NH3/U 몰비가 6미만이면 U가 충분히 침전하지 않고, 다른 한편 12보다 크게하더라도 NH3수의 사용량과 폐액량이 증가할 뿐 쓸데없으며, 이리하여 2단계에서 NH3/U 몰비를 6-12로 하여 ADU를 충분히 침전시킨 경우에도 얻어지는 ADU의 성질은 1단계에서 생성한 것과 변함이 없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하면, U 농도가 500gU/ι이하의 조건에서도 U를 쓸데없게 하는 일없이 10-100μm의 범위내의 임의의 입경을 갖고 그리고 물성이 균질한 펠릿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일이 가능하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효과를 실증한다.
UO2F2분말을 순수한 물에 용해하여 40-600gU/ι의 수용액으로 작제하고, 이 수용액 및 NH3수를 NH3/U 몰비 2.5-6.5로서 우선 1단째의 침전조에 연속송입하고, 1단째의 ADU 침전생성을 행하였다.
다음에 1단째의 침전조에서 생성한 ADU 슬러리와 NH3수를 2단째의 침전조에 연속송입하여 NH3/U 몰비를 5-15로 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2단째의 ADU 슬러리를 여과·건조한후, H2분위기하에서 450℃로 배소·환원을 행하고 UO2분말로 변환하였다.
그리고 이 UO2분말을 프레스압 5t/cm2으로 성형하고, H2분위기중에서 1750˚C로서 4시간 소결하여 펠릿으로 하였다.
이하의 표는 1단째 및 2단째 침전조에 있어서 ADU 침전조건과 펠릿 결정입경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Figure kpo00001
위의 표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UO2F2수용액의 U 농도가 50gU/ι의 경우에도,1단째의 NH3/U 몰비가 3-6의 범위에서 10-100μm의 결정입경을 갖는 펠릿이 얻어졌다.
또 1단째의 NH3/U 몰비를 6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U 농도가 50-500gU/ι의 범위에서 10-100μm의 결정입경을 갖는 펠릿이 얻어진다. 더욱 U 농도가 100gU/ι로 1단째의 NH3/U 몰비를 5로 하였을 경우, 2단째의 NH3/U 몰비를 5-15로 변화시켜도 펠릿의 결정입경은 변하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2단째의 NH3/U 몰비가 5인 경우에는 U의 손실이 크고 약 20%의 U가 폐액중에 남고, 한편 2단계의 NH3/U 몰비를 15로 하여도 6-12의 경우와 변함이 없이 6-12일지라도 충분한 회수율이 얻어졌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UO2펠릿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U 농도가 500gU/ι 이하의 조건에서도 U를 쓸데없게 하는 일없고 10-100μm의 범위내의 임의의 입경을 갖고, 그리고 물성이 균질한 펠릿을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펠릿에 의한 핵분열 생성가스의 유지력을 바라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펠릿의 연소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

  1. UO2F2수용액이 NH3을 더하여 ADU을 침전시켜, 이 ADU로부터 UO2분말을 경유하여 UO2소결펠릿을 얻을 수 있는 UO2펠릿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UO2F2수용액의 U 농도를 50-500gU/ι로 함과 동시에, 이 UO2F2수용액과 NH3을 2단계로 나누어서 반응시켜, 1단계째에는 NH3/U 몰비를 3-6으로 2단계째에는 NH3/U 몰비를 6-12로 설정함으로서, 결정입경이 10-100μm의 UO2펠릿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O2펠릿의 제조방법.
KR1019880009412A 1988-05-25 1988-07-26 Uo₂펠릿의 제조방법 KR940006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27935A JPH0623050B2 (ja) 1988-05-25 1988-05-25 Uo▲下2▼ペレットの製造方法
JP???63-127935 1988-05-25
JP63-127935 1988-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178A KR890017178A (ko) 1989-12-15
KR940006545B1 true KR940006545B1 (ko) 1994-07-22

Family

ID=1497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412A KR940006545B1 (ko) 1988-05-25 1988-07-26 Uo₂펠릿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15422A (ko)
EP (1) EP0344395B1 (ko)
JP (1) JPH0623050B2 (ko)
KR (1) KR940006545B1 (ko)
CN (1) CN1027254C (ko)
DE (1) DE6890607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9557B2 (ja) * 1988-12-27 1997-12-1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Uo▲下2▼ペレットの製造方法
US5514306A (en) * 1993-02-01 1996-05-07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to reclaim UO2 scrap powder
US5558158A (en) * 1994-05-19 1996-09-24 Elmore; Robert L. Hygienic air handler
US5698173A (en) * 1996-06-21 1997-12-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Purification of uranium alloys by differential solubility of oxides and production of purified fuel precursors
US20030113246A1 (en) * 2000-12-28 2003-06-19 Akiko Saitou Deodorizing device
US20030224669A1 (en) * 2002-05-30 2003-12-04 Yuan James T.C. Method of improving cooking efficienc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4997A (en) * 1965-04-12 1968-07-30 Gen Electric Method of preparing uranium diuranate
GB1222807A (en) * 1968-04-04 1971-02-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Process for recovery of uranium values
US3726650A (en) * 1969-09-24 1973-04-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Process for recovery of uranium values by precipitation of ammonium diuranate
US3758664A (en) * 1970-12-29 1973-09-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Process for producing ammonium diuranate
US3998925A (en) * 1973-06-22 1976-12-2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Production of ammonium diuranate
US4401628A (en) * 1981-01-19 1983-08-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Process for making high quality nuclear fuel grade ammonium diuranate from uranyl fluoride solutions
US4430276A (en) * 1981-10-02 1984-02-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making stable UO2 fuel pellets
JPS5950030A (ja) * 1982-09-14 1984-03-22 Mitsubishi Nuclear Fuel Co Ltd 二酸化ウラン粉末の製造法
JPS59137320A (ja) * 1983-01-28 1984-08-07 Mitsubishi Metal Corp 二酸化ウラン粉末の製法
JPH0653572B2 (ja) * 1986-05-27 1994-07-2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六フツ化ウランから二酸化ウランを製造する方法
JPH0729774B2 (ja) * 1986-06-18 1995-04-0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Uo▲下2▼ペレツトの結晶粒径をコントロ−ル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06078T2 (de) 1993-10-21
KR890017178A (ko) 1989-12-15
US5015422A (en) 1991-05-14
CN1037879A (zh) 1989-12-13
JPH0623050B2 (ja) 1994-03-30
JPH01298027A (ja) 1989-12-01
EP0344395A2 (en) 1989-12-06
CN1027254C (zh) 1995-01-04
DE68906078D1 (de) 1993-05-27
EP0344395A3 (en) 1990-01-24
EP0344395B1 (en) 199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3294A (en) Method of preparing uranium dioxide powder from uranium hexafluoride
KR890002443B1 (ko) 안정된 uo₂연료 펠릿의 제조 방법
KR940006545B1 (ko) Uo₂펠릿의 제조방법
JPH0662303B2 (ja) Uo▲下2▼ペレツトの結晶粒径をコントロ−ルする方法
US4401628A (en) Process for making high quality nuclear fuel grade ammonium diuranate from uranyl fluoride solutions
KR940006544B1 (ko) Uo₂펠릿의 제조방법
JP2758574B2 (ja) 水酸化ニッケルの製造方法
US3236634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high surface area tungsten and tungsten trioxide powders
KR950005255B1 (ko) 이산화우라늄(uo₂)펠릿의 결정입자지름을 조절하는 방법
US4255393A (en) Method of precipitating ADU
JP2023507708A (ja) 酸欠乏硝酸ウラニル溶液の調製
JPH0717716A (ja) フッ化ウラニルの製造方法
JPH0717717A (ja) 二酸化ウラン粉末の製造方法
JPH0637305B2 (ja) Uo▲下2▼粉末の製造方法
KR940011896B1 (ko) 6플루오르화 우라늄으로부터 이산화우라늄을 제조하는 방법
US3513101A (en) Preparation of stable sols of thoria-uranium trioxide
US3709963A (en) Process for producing dense particles of plutonium compounds usable as fuels for nuclear reactors
JPH0717718A (ja) 二酸化ウラン粉末を製造する方法
Yato et al. UO 2 pellet fabrication process
JPS621581B2 (ko)
JPH05132311A (ja) 酸化第二セリウムゾルの製造方法
JPH0657608B2 (ja) 二酸化ウラン粉末の製法
JPH0812264B2 (ja) 核燃料焼結体の製造方法
JPH08239220A (ja) 二酸化ウラン粉末の製造方法
JPS6374916A (ja) 二酸化ウラン粉末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