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918B1 - 결정성 데옥시스퍼구알린 삼염산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결정성 데옥시스퍼구알린 삼염산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918B1
KR940005918B1 KR1019900007699A KR900007699A KR940005918B1 KR 940005918 B1 KR940005918 B1 KR 940005918B1 KR 1019900007699 A KR1019900007699 A KR 1019900007699A KR 900007699 A KR900007699 A KR 900007699A KR 940005918 B1 KR940005918 B1 KR 940005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xyspergualin
hydrochloride
form crystals
deoxyspergualin hydrochloride
cryst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015A (ko
Inventor
카츠 시게 이카이
마코토 모리구치
요시히사 우메다
이쿠노신 카토
테츠시 사이노
Original Assignee
타카라 슈조오 가부시키가이샤
타나베 데츠
닛뽄 가야구 가부시키가이샤
다케다 가즈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카라 슈조오 가부시키가이샤, 타나베 데츠, 닛뽄 가야구 가부시키가이샤, 다케다 가즈히코 filed Critical 타카라 슈조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8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9/00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9/04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guanidin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 C07C279/14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guanidin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결정성 데옥시스퍼구알린 삼염산염 및 그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가로좌표에서 회절각(도) 및 세로좌표에서 강도(kcps)를 가지는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α-형 결정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이다.
제 2 도는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α-형 결정의 차동 열분석(DTA) 및 열무게 분석(TG)의 결과이다.
제 3 도는 가로좌표에서 회절각(도) 및 세로좌표에서 강도(kcps)를 가지는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β-형 결정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이다.
제 4 도는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β형 결정의 차동 열분석(DTA) 및 열 무게 분석(TG)의 결과이다.
본 발명은 제암 활성 및 면역억제 활성을 가지는 , N-[4-(3-아미노프로필)아미노부틸]-2-(7-구아니디노헵탄아미드)-2-히드록시-에탄아미드 삼염산염(이후에, 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으로 언급된)의 결정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식]
Figure kpo00001
을 가지는 데옥시스퍼구알린은 다양한 동물의 종양에 대한 탁월한 제암 활성 및 면역억제 활성을 가짐으로 임상학적 용도 용으로 유용한 화합물이다. 데옥시스퍼구알린은 삼염산염 염처리 통상적으로 제조된다.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제조를 위해, 글리옥실일스퍼미딘과 7-구아니디노헵탄아미드의 산-촉매화된 탈수 축합반응을 사용하는 합성 방법이 공지된다.[미합중국 특허 제 4,518,532호 및 제 4,603,015호]
상기-언급된 합성 방법에 의해 얻어진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분말은 흡습성 및 열불안정성 같은 원하지 않는 성질을 가진다. 본 발명은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흡습성 및 열-불안정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결정을 제공한다.
간단하게, 본 발명은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결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물 및 물과 섞이거나 물에 녹는 유기용매의 존재하에서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물-현탁 시럽 또는 분말을 결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결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이 결정화되고, 통상적으로 제조되고 사용되는 분말 또는 동결건조분말과 비교하여 결정은 현격하게 개선된 흡습성, 취급 성질 및 열안정성을 가짐이 밝혀진다. 본 발명은 그러한 발견에 기준을 둔다.
본 발명에서, 용어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분말"은 감압하에서 건조시킴으로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물-현탁시럽으로부터 얻어진 분말 또는 동결건조된 분말을 의미한다. 용어"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물현탁 시럽"은 감압하에서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수용액을 농축시킴으로 얻어진 시럽잔류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시럽에서 물의 함량은 30% 이하이다.
본 발명의 결정성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은 개선된 흡습성 및 열안정성을 가지고 결정은α형 또는 β-형이다.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α-형 결정은 하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 자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방법중 하나는 미합중국 특허 제 4,518,532호의 실시예 4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은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임의의 특별한 제조방법에 대해 한정되지 않는다.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분말을 바람직하게 52% 이하의 상대습도(이후에는 RH로 언급됨)에서, 낮은 습도 분위기하에 방치시킬때, 분말은 본 발명의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α-형 결정으로 결정화된다.
결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온도는 온도가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분해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임의의 특별한 온도 또는 온도의 범위에 제한되지 않고, 실행을 위한 온도는 0℃-30℃이다. 결정화를 위해 요구되는 시간은 분말양 및 습도에 따라 2-20일이고, 일반적으로 약 10일 이다.
α-형 결정은 또한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시럽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수용액은 농축되어 시럽을 얻고나서 바람직하게 52% 이하의 RH에서 낮은 습도 분위기하에서 방치시켜서 α-형 결정을 얻었다. 결정화를 위한 시간 및 온도는 상기 언급된 것과 비슷하나, 시간은 결정화동안 시럽을 휘저어 섞어주거나 시럽으로 α-형 결정의 적절한 양을 첨가시킴으로 짧아질 수 있다.
가장 실행적인 α-형 결정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20%(w/w) 이하의 물함량을 가지는 물 현탁액 시럽에 진전된 방법으로 제조된 α-형 결정의 소량을 첨가시키고, 몇 시간내에 고체화 될 때까지 30% 이하의 RH에서 휘저어 섞어준다. 결정화는 실리카겔 건조기에서 저장될때 완결된다.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 α-형 결정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하기와 같다.
1. X-선 회절 패턴 :
Cu X-선 튜브, 흑연 단색화 장치 및 감지용 섬광 계수기를 장치한 X-선 회절 장치(시마쭈 XD-610)를 제 1 도 및 표 1에서 보여주는 X-선 회절 패턴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제 1 도는 가로좌표에서 회절각(도) 및 세로좌표에서 강도(kcps)를 가지는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α-형 결정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보여준다.
[표 1]
α-형 결정의 X-선 회절 패턴
Figure kpo00002
X-선 공급원 : Cu X-선 튜브 40KV, 30mA. λ=1.54501
필터 : 흑연 단색화장치
2. 열분석 :
리가쿠 덴키(Rigaku Denki)(모델 TAS-100)를 사용하여 자발적으로 얻어진 차동 열 분석(DTA) 및 열무게 측정(TG)의 결과는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α-형 결정에 대해 제 2 도에서 보여준다. 결과는 가로좌표에서 온도(℃) 및 세로좌표에서 중량(mg) 또는 전자볼트(μV)로 표시된다.
3. 흡습성 :
에독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α-형 결정 및 분말의 흡습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각의 시료의 중량 변화는 24시간동안 상이한 RH(%)에서 저장시킨 후에 측정되었다. 결과는 표 2에서 보여준다.
[표 2]
상이한 습도의 조건하에서 중량 변화
Figure kpo00003
표 2에서 보여준 것처럼,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α-형 결정은 분말과 비교해서 흡습성이 개선됨을 보여주는 52% 이하의 RH에서 물을 흡수하지 않는다.
4. 열안정성 :
분말의 열 안정성과 비교한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α-형 결정의 열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료를 50℃에서 6일 동안 저장하고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분석하고 분해되지 않은 물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3에서 보여준다.
[표 3]
열 안정성의 비교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표 3에서 보여준 것 처럼, α-형 결정은 열 안정성에서 현저한 개선점을 보여준다.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β-형 결정은 하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 자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방법중 하나는 미합중국 특허 제 4,518,532호 실시예 4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은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임의의 특별한 제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얻어진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분말이 물의 혼합물내에 방치될때, 물에 녹거나 물과 섞이는 유기 용매는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β-형 결정으로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결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유기 용매는 균일하게 물과 혼합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Figure kpo00006
-프로판올,
Figure kpo00007
-프로판올,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푸란, 1, 4-디옥산 및 그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용매는 에탄올이나, 특히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용액내에 용매, 예컨대 에탄올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85-99.5%(v/v), 바람직하게 90-98%(v/v) 이다.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분해를 일으키지 않는 온도를 조건으로 하는 결정화 온도는 중요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20-50℃, 바람직하게 5℃-실온이다. 결정화를 위해 필요한 온도는 사용되는 염산염의 농도에 따라서 2-20일이고, 약 10일이다. 결정화의 초기 단계에서, 진전된 방법에서 얻어진 β-형 결정의 소량의 접종은 결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시럽(물 현탁 시럽)은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분말대신 사용될 수 있다. 이경우, 결정화계내의 유기용매, 예컨대 에탄올의 농도를 85-99.5%, 바람직하게 90-98%(v/v)로 하기 위해 시럽내에 포함되는 물의 양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으로 결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 용매의 비율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3 : 1-20 : 1(v/w)의 비이다.
결정화하는 동안 휘저어 섞어주는 것은 결정화 시간을 감소시키고 ; 시간은 몇시간-몇일이 된다. 따라서 형성된 β-형 결정은 원심력을 사용하는 여과 또는 감압하에서 여과 같은 임의의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모을 수 있다.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β-형 결정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하기와 같다.
1. X-선 회절 패턴 :
Cu X-선 튜브, 흑연 단색화 장치 및 감지용 섬광 계수기를 정치한 X-선 회절 장치(시마쭈 XD-610)를 제 3 도 및 표 4에서 보여준 X-선 회절 패턴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제 3 도는 가로좌표에서 회절각(도) 및 세로좌표에서 강도(kcps)를 가지는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β-형 결정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보여준다.
[표 4]
β-형 결정의 X-선 회절 패턴
Figure kpo00008
X-선 공급원 : Cu X-선 튜브. 40KV, 30mA. λ=1.54051
필터 : 흑연 단색화장치
2. 열분석 :
리가쿠 덴키(Rigaku Denki)(모델 TAS-100)를 사용하여 자발적으로 얻어진 차동 열분석(DTA) 및 열무게 측정(TG)의 결과는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β-형 결정에 대해 제 4 도에서 보여준다. 결과는 가로좌표에서 온도(℃) 및 세로좌표에서 중량(mg) 또는 전자볼트(μV)로 표시된다.
3. 흡습성 :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β-형 결정 및 분말의 흡습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각의 시료의 중량 변화는 24시간동안 상이한 RH(%)에서 저장시킨 후에 측정되었다. 결과는 표 5에서 보여준다.
[표 5]
상이한 습도의 조건하에서 중량 변화
Figure kpo00009
제 5 도에서 보여준 것 처럼, β-형 결정의 중량 변화는 전체 습도에서 분말의 중량 변화보다 낮다. 게다가, β-형 결정은 64%의 RH에서 조해되지 않고, 분말은 동일한 습도에서 조해된다.
4. 열안정성 :
분말의 열안정성과 비교한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β-형 결정의 열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료를 50℃에서 6일동안 저장하고 분해되지 않은 물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결과는 표 6에서 보여준다.
[표 6]
열 안정성의 비교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제 6 도로부터 명백해진 것처럼, β-형 결정은 열안정성에서 현저한 개선점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의 수단에 의해 더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1]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500mg)의 분말을 결정화시키기 위해 11일 동안 25℃ 및 52%의 RH에서 방치시켰다. 얻어진 결정(506mg)은 제 1 도에서 묘사된 α-형 결정의 전형적인 X-선 회절 패턴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2]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동결건조된 분말(500mg)을 25℃ 및 43%의 RH에서 11일 동안 방치시켜서 α-형 결정(510mg)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3]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동결건조된 분말(500mg)을 25℃ 및 31%의 RH에서 11일동안 방치시켜서 α-형 결정(509mg)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4]
40g의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수용액(100ml)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서 시럽형 잔류물(46g)을 산출하였다. 잔류물에 20mg의 α-형 결정을 첨가시키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의 RH에서 휘저어 섞어주었다. 2시간동안 휘저어섞어준 후에, 고체화된 잔류물은 3일동안 실리카겔 건조기내에서 방치시켜서 α-형 결정(42g)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5]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의 분말 100mg을 함유하는 바이알에 95%(V/V)수성 에탄올 0.5ml를 첨가시키고 용액을 5℃에서 3일동안 방치시켰다. 용매내에서 형성된 결정을 감압하에서 여과에 의해 모으고 감압하에서 건조시켜서 55mg의 β-형 결정을 산출하였다. 얻어진 결정의 X-선 회절 패턴은 제 3 도에서 묘사된 β-형 결정의 전형적인 X-선 회절 패턴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6]
20g의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을 함유하는 수용액(100ml)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서 24g의 시럽형 잔류물을 산출하였다. 잔류물에 에탄올 75ml를 첨가시키고, 20mg의 β-형 결정을 접종시켰다. 혼합물을 5℃에서 9일 동안 방치시켰다. 결정을 실시예 5처럼 수집하고, 건조시키고, β-형 결정(16g)을 얻었다.
[실시예 7]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150g)의 수용액(500ml)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서 시럽형 잔류물(175g)을 얻었다 잔류물에 에탄올 1ℓ를 첨가시키고 용액을 5℃에서 2일동안 휘저어 섞어 주었다. 형성된 결정을 원심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감압하에서 건조시켜서 129g의 β-형 결정을 얻었다.
[실시예 8]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950g)의 수용액(4ℓ)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서 시럽형 잔류물(1120g)을 얻었다. 잔류물에 에탄올 1.5ℓ를 첨가시키고 결정화시키기 위해 현탁액을 용기(10ℓ 부피)에 옮겼다. 혼합물에 에탄올 6.5ℓ 및 β-형 결정을 휘저어 섞어주면서 첨가시키고, 15℃에서 4일동안 계속 휘저어 섞어 주었다. 결정을 원심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감압하에서 건조시켜서 880g을 β-형 결정을 산출하였다.
본 발명의 결정형 데옥시스퍼구알린 염산염은 신규하고 개선된 흡습성 및 열 안정성을 가져서, 형성 및 저장과정동안 데옥시스퍼구알린은 더 쉽게 취급된다.

Claims (5)

  1. 결정성 데옥시스퍼구알린 삼염산염.
  2. 제 1 항에 있어서, α-형 결정 또는 β-형 결정의 형태인 결정성 데옥시스퍼구알린 삼염산염.
  3. 실질적으로 하기하는 바와같은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가지는 데옥시스퍼구알린 삼염산염의 α-형 결정 :
    Figure kpo00012
  4. 실질적으로는 하기하는 바와같은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가지는 데옥시스퍼구알린 삼염산염의 β-형 결정 :
    Figure kpo00013
  5. 물 및 물에 녹는 유기 용매의 존재하에서 데옥시스퍼구알린 삼염산염의 물-현탁 시럽 또는 분말을 결정화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결성성 데옥시스퍼구알린 삼염산염의 제조방법.
KR1019900007699A 1989-05-29 1990-05-28 결정성 데옥시스퍼구알린 삼염산염 및 그의 제조방법 KR940005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2879/89 1989-05-29
JP13287889 1989-05-29
JP1-132879 1989-05-29
JP132878/89 1989-05-29
JP13287989 1989-05-29
JP1-132878 1990-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015A KR900018015A (ko) 1990-12-20
KR940005918B1 true KR940005918B1 (ko) 1994-06-24

Family

ID=2646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699A KR940005918B1 (ko) 1989-05-29 1990-05-28 결정성 데옥시스퍼구알린 삼염산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400889B1 (ko)
KR (1) KR940005918B1 (ko)
CN (1) CN1017621B (ko)
AR (1) AR247877A1 (ko)
AU (1) AU626676B2 (ko)
CA (1) CA2017361C (ko)
CZ (1) CZ283320B6 (ko)
DE (1) DE69006105T2 (ko)
ES (1) ES2062363T3 (ko)
HU (1) HU207844B (ko)
PL (1) PL163358B1 (ko)
TW (2) TW275620B (ko)
YU (1) YU48230B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2152A (ja) * 1981-10-08 1983-04-13 Microbial Chem Res Found N−〔4−(3−アミノプロピル)アミノブチル〕−2−(ω−グアニジノ脂肪酸アミド)−2−ヒドロキシエタンアミドおよびその誘導体ならびにその製造法
JPS58198455A (ja) * 1982-05-17 1983-11-18 Microbial Chem Res Found (−)−15−デオキシスパガリンおよびその製造法並びにその中間体
ES2039213T3 (es) * 1986-04-04 1993-09-16 Microbial Chemistry Research Foundation Procedimiento para producir nuevos compuestos relacionados con espergualina.
DE69104291T2 (de) * 1990-07-20 1995-05-18 Takara Shuzo Co Spergulinähnliche Verbindungen und ihre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670A (zh) 1990-12-12
AU626676B2 (en) 1992-08-06
PL163358B1 (pl) 1994-03-31
DE69006105D1 (de) 1994-03-03
AR247877A1 (es) 1995-04-28
TW275619B (ko) 1996-05-11
CA2017361C (en) 1996-09-03
DE69006105T2 (de) 1994-07-07
YU93690A (sh) 1992-09-07
EP0400889A1 (en) 1990-12-05
HU903227D0 (en) 1990-10-28
AU5580090A (en) 1990-11-29
CZ261390A3 (cs) 1998-02-18
HUT54633A (en) 1991-03-28
ES2062363T3 (es) 1994-12-16
PL285375A1 (en) 1991-08-12
CN1017621B (zh) 1992-07-29
CA2017361A1 (en) 1990-11-29
CZ283320B6 (cs) 1998-02-18
HU207844B (en) 1993-06-28
TW275620B (ko) 1996-05-11
KR900018015A (ko) 1990-12-20
YU48230B (sh) 1997-08-22
EP0400889B1 (en) 199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G62258B1 (bg) Нова кристална модификация на cdch, метод за получаването муи фармацевтични препарати, които го съдържат
US5914425A (en) Modifications of 2-amino-4-(4-5fluorobenzylamino)-1-ethoxycarbonylaminobenzene,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KR101756632B1 (ko) 강력한 hcv 억제제의 결정질 염
KR940005918B1 (ko) 결정성 데옥시스퍼구알린 삼염산염 및 그의 제조방법
EP4081517A1 (en) Crystalline forms of (s) -1- (1-acryloylpyrrolidin-3-yl) -3- ( (3, 5-dimethoxyphenyl) ethynyl) -5- (methylamino) -1h-pyrazole-4-carboxamide
US5608048A (en) d4 T polymorphic Form 1 process
CN114539161B (zh) 一种奥拉帕尼-尿素共晶及其制备方法
CA2101571A1 (en) Crystalline dihydrate of a cephalosporin dihydrate salt and injectable compositions thereof
EP3272734A1 (en) Ahu377 crystal form,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MXPA96001957A (en) Process for the obtaining of the 2 ', 3'-dideshidro-3'-desoxitimidina polimorfica, form
EP0239015B1 (en) Process for producing 1-beta-d-arabinofuranosylcytosine-5'-stearylphosphate monosodium salt and monohydrate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latter
JP2663105B2 (ja) 14α−ヒドロキシ−4−アンドロステン−3,6,17−トリオン水和物結晶及びその製造法
US5614651A (en) 14α-hydroxy-4-androstene-3,6,17-trione hydrate crystal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RU2345994C2 (ru) МЕЗИЛАТ 4-(4-ТРАНС-ГИДРОКСИЦИКЛОГЕКСИЛ) АМИНО-2-ФЕНИЛ-7Н-ПИРРОЛО[2,3d] ПИРИМИДИНА И ЕГО ПОЛИМОРФНЫЕ ФОРМЫ (ВАРИАНТЫ)
JP2775047B2 (ja) 塩酸デオキシスパガリンのα型結晶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057643B (zh) 一种罗沙司他共晶及其制备方法
CN111566112B (zh) 埃格列净的晶型及其制备方法
US5401842A (en) Injectable compositions of a cephalosporin dihydrate salt
CN116063299A (zh) 一种wnt抑制剂的硫酸盐
EP4190320A1 (en) Crystalline form of phentermine hydrochloride and process for obtaining same
JPH0372454A (ja) 塩酸デオキシスパガリンのβ型結晶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478399A (zh) 嘧菌酯低共熔混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105866A (zh) 一种低氧诱导因子脯氨酰羟化酶抑制剂的晶型及其制备方法
KR940008595B1 (ko) I-β-D-아라비노푸라노실시토신-5'-스테아릴포스페이트 모노나트륨염 모노하이드레이트 및 이 모노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
CN115724796A (zh) 一种罗沙司他新晶型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