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608Y1 - 웨이퍼 이송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웨이퍼 이송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608Y1
KR940005608Y1 KR2019910012887U KR910012887U KR940005608Y1 KR 940005608 Y1 KR940005608 Y1 KR 940005608Y1 KR 2019910012887 U KR2019910012887 U KR 2019910012887U KR 910012887 U KR910012887 U KR 910012887U KR 940005608 Y1 KR940005608 Y1 KR 940005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main body
carrier
seating groove
waf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2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664U (ko
Inventor
송광복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2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608Y1/ko
Publication of KR9300056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6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13Horizontal boat type carrier whereby the substrates are vertically supported, e.g. comprising rod-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웨이퍼 이송용 캐리어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부 사시도.
제4도는 종래 캐리어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걸림편
3 : 웨이퍼 4 : 안착홈
본 고안은 반도체 제조공정, 특히 웨이퍼의 검사 또는 테스트 공정에서 사용하는 웨이퍼 이송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 본체에 진동에 가해져도 본체내에 적재된 웨이퍼가 유동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웨이퍼의 검사 또는 테스트 공정에서 사용되어온 종래의 캐리어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개방된 본체(1)의 내부 양측면에 다수의 걸림편(2)을 좌, 우로 대향되게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각 걸림편(2)위에 웨이퍼(3)가 얹혀진 본체(1)를 시스템 인덱서(System Indexer)로 이동시키고 이송기구를 작동시키면 로보트등의 기구에 의재 적재된 웨이퍼가 한장씩 다음공정으로 이송된다.
즉, 본체(1)내에 다수의 웨이퍼(3)가 적재된 상태에서 본체(1)의 저면이 시스템 인덱서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키고 이송기구를 작동시키면 별도의 이송장치(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본체가 한스텝(웨이퍼의 적층간격과 같음)씩 하강을 하게 되며, 이때 로보트등의 기구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아암(도시는 생략함)은 걸림편(2)위에 얹혀진 웨이퍼(3)를 약간 상방으로 들어올려 전방으로 인출한후 다음 공정으로 차례로 보내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캐리어는 단지 본체(1)의 양측면에 걸림편(2)만을 형성한 구조이기 때문에 본체가 이송장치에 의해 한스텝씩 하강함에 따라 본체에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제4도의 일점쇄선도시와 같이 걸림편위에 얹혀진 웨이퍼가 입구부분(전방)으로 미그러져 나오기 쉽고, 이러한 경우 웨이퍼를 꺼내는 작동아암과 간섭을 일으켜 잼(Jam)과 같은 작동에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캐리어 본체에 진동이 가해져도 웨이퍼가 미끄러지지 않고 적재된 본래의 위치를 유지할수 있는 웨이퍼 이송용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캐리어 본체의 양측벽에 형성된 걸리편에는 웨이퍼가 얹혀 삽입될수 있는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웨이퍼가 상기 안착홈내에 삽입됨에 따라 본체에 진동이 가해져도 웨이퍼는 유동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2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일측이 개방된 본체(1)의 내부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걸림편(2)(통상 25개 정도)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걸림편(2)의 안쪽에는 본체(1)의 이송시에 걸림편(2)상에 얹혀진 웨이퍼(3)가 개방부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착홈(4)이 제3도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안착홈(4)의 깊이는 웨이퍼 두께×3/5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며 안착홈(4)에 웨이퍼(3)를 안착시켰을 때의 간격(S)은 웨이퍼(3)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이는 안착홈(4)의 깊이가 너무 적을 경우에는 본체(1)의 이송시에 충격으로 인해 웨이퍼(3)가 안착홈(4) 내에서 이탈될 염려가 있고, 또한 깊이가 너무 깊을 경우에는 본체(1)의 안착홈(4)내에 얹혀진 웨이퍼(3)를 분리시킬 때 작동이 원활해 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웨이퍼와 안착홈(4) 사이에 간격을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을 안착홈(4)에 안착된 웨이퍼를 꺼내는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에 상호대향되게 형성된 각 걸림편(2)의 안착홈(4)내에 웨이퍼(3)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본체(1)를 시스템 인덱서에 올려 놓으면 안착홈(4)내에 안착된 웨이퍼(3)가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는 한 스텝씩 하강을 하고 이동아암(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안착홈(4)내에 안착된 웨이퍼(3)는 하나식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본체(1)가 별도의 이송장치에 의해 한 스텝씩 하방으로 이송될때 본체(1)에 충격이 발생되지만 웨이퍼(3)는 걸림편(2)상에 형성된 안착홈(4) 사이에 얹혀져 있어 개방부측으로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걸림편(2)상에 웨이퍼(4)에 얹혀질 수 있도록 안착홈(4)을 형성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본체(1)내에 삽입된 웨이퍼를 이송시 웨이퍼가 개방부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게 되므로 동작중 잼(Jam)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일측이 개방된 본체(1)의 내부 양측면에 상호 대향된 다수의 걸림편(2)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걸림편(2)상에 웨이퍼가 얹혀져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4)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이송용 캐리어.
KR2019910012887U 1991-08-14 1991-08-14 웨이퍼 이송용 캐리어 KR940005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887U KR940005608Y1 (ko) 1991-08-14 1991-08-14 웨이퍼 이송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887U KR940005608Y1 (ko) 1991-08-14 1991-08-14 웨이퍼 이송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664U KR930005664U (ko) 1993-03-22
KR940005608Y1 true KR940005608Y1 (ko) 1994-08-19

Family

ID=1931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2887U KR940005608Y1 (ko) 1991-08-14 1991-08-14 웨이퍼 이송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6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664U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4481B2 (ja) 真空処理システム、ウェーハハンドラーおよびエンドエフェクタ
JP4668179B2 (ja) 基板収納容器
KR19990082011A (ko) 진공 일체형 표준 메카니컬 인터페이스 시스템
KR940005608Y1 (ko) 웨이퍼 이송용 캐리어
US6276731B1 (en) Wafer carrying fork
US7994067B2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with an open-topped cassette apparatus
KR100731997B1 (ko) 자기부상 반송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
KR100828285B1 (ko) 웨이퍼의 미끄럼 방지구조를 갖는 이니셜박스
KR101762572B1 (ko) 반송 유닛, 기판 처리 설비 및 기판 처리 방법
JP2001102394A (ja) 搬送用キャリア
KR100467818B1 (ko) 반도체 웨이퍼 운반용 파드
KR200198273Y1 (ko) 웨이퍼 이송장치의 저장 승강기
KR0174985B1 (ko) 반도체 웨이퍼 가이드
JPH0719827B2 (ja) ウエ−ハ移替装置
US6926489B2 (en) Latch sensor for pod transport gripper
KR20080001119A (ko) 정렬 챔버의 내로우 후크
KR20230120401A (ko) Oht 대차용 그립유닛
KR100251272B1 (ko) 캐리어박스이송장치
KR0128756Y1 (ko) 웨이퍼 운반구
KR200177323Y1 (ko) 반도체 웨이퍼용 캐리어
KR100648279B1 (ko) 웨이퍼 이송 모듈 및 상기 모듈에서 웨이퍼를 이송하는 방법
JPS63208435A (ja) 長尺部品の持ち上げ移送コンベア
KR200153148Y1 (ko) 반도체 웨이퍼 운반용 캐리어 위치 감지장치
KR20220150967A (ko) 그리퍼 장치, 반송차, 및 반송 방법
JPH0643026Y2 (ja) 薄板状被処理物の搬送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