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139Y1 - 메모리카아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메모리카아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139Y1
KR940002139Y1 KR2019910005827U KR910005827U KR940002139Y1 KR 940002139 Y1 KR940002139 Y1 KR 940002139Y1 KR 2019910005827 U KR2019910005827 U KR 2019910005827U KR 910005827 U KR910005827 U KR 910005827U KR 940002139 Y1 KR940002139 Y1 KR 940002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nector
operation knob
contact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5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996U (ko
Inventor
야스히로 코마쯔
마사히꼬 우메카와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8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9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1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86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 H05K5/0295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having ejection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4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edg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메모리카아드 커넥터
제1도는 본 고안의 커넥터의 일부파단사시도.
제2도는 커넥터의 평면도.
제3a도∼제3c도는 상기 커넥터의 작용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슬라이더 7 : 샤프트
8 : 조작손잡이 23 : 삽발구
52 : 콘택트군 71 : 연결핀(샤프트의 요동지점)
72 : 샤프트의 한쪽단부 73 : 샤프트의 다른쪽단부
82 : 스프링 83 : 압압부
V : 조작손잡이가 삽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W : 조작손잡이가 삽발구에 가까와지는 방향
C : 카아드 C2: 카아드의 후단면
본 고안은 메모리카아드(이하, 카아드라고 한다.)의 콘택트군을 컴퓨우터등의 기기측 회로에 접속시키기 위한 메모리카아드 커넥터(이하, 커넥터라고 한다)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군을 가진 다극식 커넥터에서는, 콘택트군을 구성하는 각각의 콘택트의 변형이나 정밀도면에서의 위험등을 경감하기 위하여, 커넥터에 삽입된 카아드쪽의 콘택트군을 구성하는 콘택트와의 중첩폭을 극히 짧게 정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카아드의 세트위치에서의 고정이 카아드쪽의 콘택트군과 커넥터쪽의 콘택트군과의 접촉압력에 의해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들면 카아드를 세트위치에 삽입할 경우에, 카아드가 세트위치에 삽입되기 직전에서 카아드쪽의 콘택트가 그 상대쪽인 커넥터쪽의 콘택트와 접촉하고, 그 후에 카아드가 세트위치까지 압입되면 그 때의 카아드의 이동분량에 대응하는 폭으로 쌍방의 콘택트끼리가 맞포게지고, 또한 그때의 콘택트군 끼리의 접촉압력에 의해서 카아드의 세트위치에서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가 있으며, 그와 같은 커넥터에서는 콘택트끼리의 적정한 중첩폭이 수mm 내지 1mm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도 있다.
또, 종래 세트위치에 삽입된 카아드가 잘못하여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를 장비한 기기쪽에 카아드의 삽발구를 형성하고, 그 삽발구에 세트위치의 카아드를 손으로 잡을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덮개를 장비한 것이 있었다.
상기 중첩폭이 극히 짧은 커넥터에서는, 세트위치에 적정하게 삽입된 카아드가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그때의 이동량이 극히 작은 경우라도 카아드쪽의 콘택트가 커넥터쪽의 콘택트로부터 이반해버리는 등의 사태를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예를들면 자동차와 같은 진동이 가해지기 쉬운 것에 장비된 커넥터에 있어서는, 적정한 세트위치에 삽입되어 있는 카아드가 커넥터에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서 서서히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의해서 카아드쪽의 콘택트가 커넥터쪽의 콘택트로부터 이반해서 양자간에서의 신호수수상태가 뜻밖에 손상되는 등의 불편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의 불편은 카아드가 적정한 위치로부터 인위적으로 잘못하여 빠져나왔을 때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불편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카아드가 적정한 세트위치로부터 후퇴했을때 그것을 곧바로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을 커넥터에 구비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콘택트끼리의 중첩폭이 극히 짧은 커넥터에 그와 같은 기능을 구비시키려면, 카아드가 조금이라도 후퇴하면 그것을 놓치지 않고 검출하는 기구가 필요하게 되고, 그와 같은 기구는 고정밀도이기 때문에 고가인 경우가 많아 커넥터의 가격상승을 초래한다.
또, 카아드의 삽발구에 덮개를 장비시키는 것은, 덮개에 의해서 카아드삽발시의 조작성이 손상되는 외에, 덮개의 장착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의 불리함이나 가격이 비싸게 먹히는 불리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상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콘택트끼리의 중첩폭이 극히 작은 커넥터에 있어서, 카아드삽발시의 조작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세트위치에 삽입된 카아드가 뜻밖에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카아드가 빠져나오는 것을 간단한 기구에 의해서 검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커넥터는, 메모리카아드의 삽발구와 콘택트군과의 사이에 삽발구로부터 삽입된 메모리카아드에 그 삽입방향에서만 걸어맞추는 계합클릭이 구비된 슬라이더가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정위치에 요동지점을 가진 샤프트의 상기 요동지점을 사이에 둔 한쪽 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그 다른쪽단부에 조작손잡이가 상기 삽발구의 옆쪽개소에서 그 삽발구에 대한 원근방향으로 요동자재하게 연결되고, 이 조작손잡이가 상기 삽발구에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항상 탄발 부세되고 있는 동시에 이 조작손잡이의 자유단부에 조작손잡이가 상기 삽발구에 가까와졌을때 상기 삽발구의 전방부에 돌출하여 상기 삽발구를 가로막는 압압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조작손잡이의 압압부가 삽발구의 전방부의 옆쪽으로 벗어나게한 상태에서, 삽발구에 카아드가 삽입되어오면, 카아드에 슬라이더의 계합클릭이 걸어맞추어지고, 슬라이더가 카아드에 밀려 전진한다. 이와 같이 해서 슬라이더가 전진하면, 그에 따라서 샤프트가 요동지점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여, 조작손잡이가 삽발구의 옆쪽에서 슬라이더와는 반대방향으로 밀려나온다. 그리고 카아드가 세트위치에 삽입되고, 카아드쪽의 콘택트군이 커넥터쪽의 콘택트군에 접촉하면, 조작손잡이가 탄발부세력에 의해서 삽발구에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동시에 조작손잡이의 압압부가 삽발구의 전방부로 돌출하여 삽발구를 가로막는다. 따라서, 카아드가 세트위치로부터 후퇴하려고 해도, 조작손잡이가 삽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해서 압압부가 삽발구의 전방부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한 카아드는 후퇴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자면, 카아드가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조작손잡이가 삽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해서 압압부가 삽발구의 전방부로부터 벗어날 필요가 있다.
카아드가 세트위치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압압부를 삽발구의 전방부의 옆쪽으로 벗어나게 하여 삽발구의 전방부를 개방한 후, 조작손잡이를 압입하면 그 압입동작이 샤프트를 개재해서 슬라이더에 전달되어 슬라이더가 후진하고, 계합클릭에 의해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밀려나온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일부파단사시도, 제2도는 동커넥터의 평면도, 제3a도∼제3c도는 작용설명도이다.
(1)은 굽힘강성이 큰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으로서, 금속판에 소정의 가공을 실시하므로써 제작되고 있다. 프레임(1)의 전단부에 앞프레임(2), 후단부에 커넥터본체(3)가 각각 조립되어 있다. 앞프레임(2)은 좌우방향에서 대향하는자형부(21)(21)를 가지고, 이들자형부(21)(21)와 그들 사이의 바닥판부(22)에 의해서 카아드 C의 삽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자형부(21)에 프레임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프레임부(24)에 마이크로스위치(4)가 짜넣어져 있다. 또 프레임부(24)에는 가이드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본체(3)는 다수의 접편(51)의 집합체인 접편군(5)을 구비하고 있으며, 커넥터의 안쪽으로 돌출한 각각의 접편(51)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에 의해서 커넥터쪽의 콘택트군(52)(제3a도∼제3c도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콘택트군(52)과 상기 삽발구(23)는 상기 프레임(1)의 걸이에 알맞는 간격을 두고 대향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삽발구(23)와 콘택트군(52)과의 사이에는, 프레임(1)에 맞포개지는 상태로 슬라이더(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6)는 단차부(61)를 가지고, 그 단차부(61)보다도 앞쪽의 폭넓은 슬라이더본체(62)의 선단부양쪽에 각각 계합클릭(63)(63)이 세워져 있는 한편, 단차부(61)보다도 뒤쪽에 폭좁은 설편부(6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설편부(64)가, 프레임(1)에 형성된 전후로 긴 가이드구멍(11)에 수용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6)는 슬라이더본체(62)의 가이드편(65)에 대한 커넥터본체(3)에 의한 가이드작용이나 설편부(64)에 대한 상기 가이드구멍(11)의 가이드작용에 의해서 전후로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계합클릭(63)(63)은 삽발구(23)를 통해서 카아드 C가 삽입되었을때, 그 삽입도중의 단계에서 카아드 C의 전단부 C1에 삽입방향에서만 걸어맞춘다. 따라서, 슬라이더(6)가 제3b도와 같이 후퇴위치에 있을때, 카아드 C의 전단부 C1이 계합클릭(63)(63)에 걸어 맞추면, 그 후의 카아드 C의 삽입동작에 의해 슬라이더(6)가 카아드 C에 추종해서 제3b도의 후퇴위치로부터 제3c도의 전진위치로 이동한다. 또 제3c도의 전진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이동할때는, 계합클릭(63)(63)이 카아드 C를 빠져나오는 방향 Y로 강제적으로 밀어낸다.
(7)은 샤프트이며, 그 중간부가 연결핀(71)에 의해 프레임(1)에 장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샤프트(7)가 정위치 즉 연결핀(71)의 설치위치를 요동지점으로 해서 요동자재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요동지점을 사이에 둔 샤프트(7)의 한쪽단부(72)가 슬라이더(6)의 설편부(64)에 개방형성되어 있는 연결구멍(66)에 끼워져서 그 슬라이더(6)에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7)의 다른쪽 단부(73)는 프레임(1)의 바깥옆쪽으로 뻗어나와 있고, 그 다른쪽단부(73)에 절곡편(74)이 형성되어 있다.
(8)은 조작손잡이이다. 이 조작손잡이(8)는 기단부에 형성된 구멍부(81)가 상기 절곡편(74)에 헐겁게 끼워지므로써 샤프트(7)의 다른쪽단부(73)에 요동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조작손잡이(8)가 상기 삽발구(23)의 옆쪽개소에서 삽발구(23)에 대한 원근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방향을 규제하기 위하여, 조작손잡이(8)를 중공으로 형성해서 상기 프레임부(24)에 끼워 넣고 있다.
또 프레임부(24)와 조작손잡이(8)와의 사이에 스프링(82)이 개재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82)의 힘에 의해서 조작손잡이(8)가 상기 삽발구(23)에 가까와지는 방향 W로 항상 탄발부세되고 있다. 또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조작손잡이(8)에 설치된 돌기(85)가 상기 가이드홈(25)에 대응하고 있다.
조작손잡이(8)의 자유단부에 압압부(83)가 갈고리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 압압부(83)는 조작손잡이(8)와 함께 L형을 만들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조작손잡이(8)가 상기 삽발구(23)에 가까와졌을때 제1도 및 제3c도와 같이 상기 삽발구(23)의 전방부에 돌출하고, 조작손잡이(8)가 상기 삽발구(23)로부터 이반했을때 제3a도 및 제3b도와 같이 상기 삽발구(23)의 전방부의 옆쪽으로 후퇴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3c도와 같이 카아드 C가 세트위치에 삽입되어 있을때는 삽발구(23)의 전방부에 돌출한 압압부(83)가 카아드 C의 후단면 C2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카아드 C는 그 전단부 C1에 일렬 또는 이열 이상의 다열 다수의 소공을 가지고, 또한 그들 소공의 각각의 내부에 접편을 배치하므로써 콘택트를 형성한 것이며, 각각의 콘택트에 집합체에 의해서 형성되는 콘택트군(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커넥터쪽의 콘택트군(52)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카아드 C가 삽발구(23)를 통해서 세트위치(후술한다)에 삽입됨에 따라서 카아드 C의 상기 각 소공이 커넥터쪽의 각각의 콘택트가 삽입되어 카아드 C쪽의 콘택트가 그 상대쪽인 커넥터쪽의 콘택트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카아드 C가 상기 세트위치로 부터 빠져나오는 방향(화살표 Y)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카아드 C쪽의 콘택트가 커넥터쪽의 콘택트로부터 이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c도에는 세트위치에 삽입된 카아드 C쪽의 콘택트와 커넥터쪽의 콘택트와의 중첩폭을 부호 A로 표시하고 있다. 이 중첩폭 A는 쌍방의 콘택트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폭은 아니다.
즉, 통상의 경우, 콘택트끼리는 점접촉하는 것이며, 그 접촉위치는 카아드 C의 전단면으로부터 조금 들어간 부분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첩폭 A란 쌍방의 콘택트군이 접촉상태 또는 이반상태에서 중첩하고 있는 폭이며, 그 중첩폭은 1∼2mm 전후, 혹은 그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마이크로스위치(4)의 작동기(41)는 조작손잡이(8)의 내벽면(84)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손잡이(8)가 삽발구(23)에 가까와지는 방향 W로 요동해서 압압부(83)가 삽발구(23)의 전방부로 돌출했을때, 제3c도와 같이 조작손잡이(8)의 내벽면(84)에 의해서 작동기(41)가 압입되는데 대하여, 조작손잡이(8)가 삽발구(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V로 요동해서 압압부(83)가 삽발구(23)의 전방부의 옆쪽으로 후퇴했을때, 제3a도 및 제3b도와 같이 조작손잡이(8)의 내벽면(84)이 작동기(41)로부터 떨어져서 그 작동기(41)가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마이크로스위치(4)에는 예를들면 작동기(41)가 압입된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카아드 C와 기기쪽의 회로와의 상호간의 신호수수가 용인되고, 작동기(41)가 돌출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며 카아드 C와 기기쪽의 회로가 차단되어도 지장이 생기지 않는 상태로 되어 카아드 C쪽 혹은 기기쪽의 프로그램을 보호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 것이 사용된다.
이상의 커넥터에 있어서, 카아드 C가 미삽입일때는 슬라이더(6)가 후퇴위치에 있고, 조작손잡이(8)의 돌기(85)는 가이드홈(25)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압압부(83)는 삽발구(23)의 옆쪽으로 벗어나 있다.
제3a도와 같이 삽발구(23)로부터 카아드 C를 삽입하면, 삽입도중에서 제3b도와 같이 슬라이더(6)의 계합클릭(63)(63)에 카아드 C의 전단부 C1이 걸어맞춘다. 그후, 카아드 C가 세트위치까지 삽입되면, 슬라이더(6)가 카아드 C에 추종해서 제3c도와 같이 전진위치까지 이동하고, 동시에 샤프트(7)의 요동작용에 의해 조작손잡이(8)와 압압부(83)가 슬라이더(6)와는 반대방향으로 밀려나온다. 또 카아드 C쪽의 콘택트가 커넥터쪽의 콘택트에 접촉한다. 또 카아드C가 세트위치까지 삽입된 시점에서는, 제2도에 표시한 조작손잡이(8)의 돌기(85)가 가이드홈(25)을 빠져나오고, 그에 따라서 스프링(82)의 힘에 의해서 조작손잡이(8)가 삽발구(23)에 다시 가까와지는 방향 W로 움직여서 압압부(83)가 삽발부(23)의 전방부로 돌출하여 삽발구(23)를 가로막는다. 이때, 압압부(83)가 카아드 C의 후단면 C2에 당접하고, 동시에 조작손잡이(8)의 내벽면(84)에 의해서 마이크로스위치(4)의 작동기(41)가 압입되어 카아드 C와 기기쪽의 회로와의 상호간에 신호수수를 용인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압압부(83)가 카아드 C의 후단면 C2에 당접하고 있으면, 압압부(83)에 의해서 카아드 C가 빠져나오는 방향 Y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따라서 카아드 C의 후단부를 손으로 잡아서 카아드 C가 잘못하여 빠져나오게 된다고 하는 사태가 방지된다. 또 조작손잡이(8)를 인위적으로 압압할 수도 없고, 따라서 조작손잡이(8)가 잘못하여 압입되어 카아드 C가 빠져나오는 사태가 방지된다.
또한 압압부(83)가 카아드 C의 후단면 C2에 당접하고 있는 상태를, 압압부(83)가 스프링(82)의 힘에 의해서 탄성접촉하고 있는 상태여도 되고, 압압부가 단지 당접하고 있을 뿐인 상태여도 되나, 카아드 C의 뜻밖의 빠져나오는 방향 Y로의 이동을 확실히 저지하려면 전자의 상태가 보다 바람직하다.
세트위치에 삽입되어 있는 카아드 C를 잡아뺄 경우는 다음과 같이 한다.
즉, 제3c도의 상태로부터 조작손잡이(8)를 예를들면 손끝으로 옆쪽으로 부세하고, 조작손잡이(8)를 절곡편(74)을 지지점으로 해서 스프링(82)의 힘에 대항하여 삽발부(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V로 이방시키면 압압부(83)가 삽발구(23)의 전방부의 옆쪽으로 벗어나서 삽발구(23)의 전방부가 개방되는 동시에, 돌기(85)가 가이드홈(25)에 향하고, 마이크로스위치(4)의 작동기(41)로부터 조작손잡이(8)의 내벽면(84)이 떨어져서 작동기(41)가 돌출하고, 카아드 C와 기기쪽의 회로가 차단되어도 지장이 생기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후, 손끝으로 조작손잡이(8)를 압입하면, 돌기(85)가 가이드홈(25)에 수용되는 동시에, 그 압입동작이 샤프트(7)를 개재해서 슬라이더(6)에 전달되어 슬라이더(6)가 제3c도의 전진위치로 부터 제3b도의 후퇴위치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서 카아드 C가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되어 카아드 C쪽의 콘택트가 커넥터쪽의 콘택트로부터 빠져나온다. 그후, 카아드 C의 후단부 C2를 손으로 잡아서 빼낸다.
세트위치에 삽입되어 있는 카아드 C가 적정하게 빠져나오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이크로스위치(4)의 카아드 C와 기기쪽의 회로가 차단되어도 지장이 생기지 않는 상태로 절환되기 전에 카아드 C쪽의 콘택트군이 커넥터쪽의 콘택트군으로부터 이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것을 방지하려면 세트위치에 삽입된 카아드 C가 그 세트위치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 Y로 이동되어 상기한 중첩폭 A가 해소되기 전에, 마이크로스위치(4)의 작동기(41)가 돌출하여 카아드 C와 기기쪽의 회로가 차단되어도 지장이 생기지 않는 상태로 절환되도록 해두어도 된다.
그런데, 상기 커넥터와 같이 조작손잡이(8)나 압압부(83)의 요동개소가 삽발구(23)의 옆쪽에 설정되어 있으면, 그들이 커넥터의 두께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는 구성이 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박형화가 용이하게 달성된다. 또 프레임(1)을 강성이 큰 금속제로 하고, 그 프레임(1)에 슬라이더(6)을 포개는 형상으로 배치하므로써도 박형화가 촉진된다. 또한 슬라이더나 삽발구나 접편군을 프레임의 표면쪽과 이면쪽에 포개는 형상으로 배치하는 등 고안을 강구하면 2장의 카아드 C를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세트위치에 삽입된 카아드에 조작손잡이의 압압부가 당접해서 카아드의 후퇴를 저지하기 때문에, 진동 등에 의해서 카아드쪽의 콘택트가 커넥터쪽의 콘택트로부터 뜻밖에 이반해서 신호수수상태가 손상되는 등의 사태가 미연에 방지된다.
그리고, 카아드가 후퇴하는 것은, 압압부가 삽발구로부터 벗어나게 하였을때에 한정되고, 또한 압압부가 삽발구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조작손잡이가 삽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작손잡이의 회동에 의해서 카아드의 빠져나오는 것이 검출된다. 또 조작손잡이를 압입할 수 있는 것은 압압부를 삽발구의 옆쪽으로 벗어나게 했을때에 한정되고, 또한 압압부를 벗어나게 하는 조작이 잘못하여 행하여진다고 하는 사태는, 일어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잘못하여 조작손잡이를 압입했다고 해서 카아드가 뜻밖에 빠져나오는 등의 사태도 일어나기 어렵다.

Claims (1)

  1. 메모리카아드 C의 삽발구(23)와 콘택트군(52)과의 사이에 삽발구(23)로부터 삽입된 메모리카아드 C에 그 삽입방향에서만 걸어맞추어지는 계합클릭(63)이 구비된 슬라이더(6)가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정위치에 요동지점을 가진 샤프트(7)의 상기 요동지점을 사이에 둔 한쪽단부가 상기 슬라이더(6)에 연결되고 그 다른쪽단부에 조작손잡이(8)가 상기 삽발구(23)의 옆쪽개소에서 그 삽발구(23)에 대한 원근방향으로 요동자재하게 연결되고, 이 조작손잡이(8)가 상기 삽발구(23)에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항상 탄발부세되고 있는 동시에, 이 조작손잡이(8)의 자유단부에 조작손잡이(8)가 상기 삽발구(23)에 가까와졌을때 상기 삽발구(23)의 전방부에 돌출하여 상기 삽발구(83)를 가로막는 압압부(8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아드커넥터.
KR2019910005827U 1990-04-26 1991-04-26 메모리카아드 커넥터 KR94000213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45659U JPH0737159Y2 (ja) 1990-04-26 1990-04-26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2-45659(U) 1990-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996U KR910018996U (ko) 1991-11-29
KR940002139Y1 true KR940002139Y1 (ko) 1994-04-06

Family

ID=1272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5827U KR940002139Y1 (ko) 1990-04-26 1991-04-26 메모리카아드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33972A (ko)
JP (1) JPH0737159Y2 (ko)
KR (1) KR9400021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3009A (en) * 1990-12-17 1994-08-30 Hitachi, Ltd. Data processing device and plug-in package
CA2071381C (en) * 1991-07-19 1998-12-15 Youji Satou Electronic apparatus, card-type electronic component used with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with expanding apparatus for expanding fun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US5544007A (en) * 1991-07-19 1996-08-06 Kabushiiki Kaisha Toshiba Card-shaped electronic device used with an electronic apparatus and having shield plate with conductive portion on a lateral side
US5404271A (en) 1991-07-30 1995-04-04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card storing section formed within a body between a support frame and an upper case of the body and having functional elements mount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a lower case of the body
US5504648A (en) * 1991-09-06 1996-04-02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with expanding apparatus having interlock, ejector, grounding, and lock mechanisms, for expanding fun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JP2659030B2 (ja) * 1991-09-12 1997-09-30 デュポン・シンガポール・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コネクタ装置
JPH065145U (ja) * 1991-10-18 1994-01-21 デュポン・シンガポール・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コネクタ装置
US5299089A (en) * 1991-10-28 1994-03-29 E. I. Dupont De Nemours & Co. Connector device having two storage decks and three contact arrays for one hard disk drive package or two memory cards
US5149276A (en) * 1991-12-18 1992-09-22 Amp Incorporated Modular holder having an ejector mechanism for a dual IC package
JPH088536Y2 (ja) * 1992-01-28 1996-03-06 デュポン アジアパシフィック リミテッド 情報処理媒体用コネクタ装置
US5225968A (en) * 1992-03-10 1993-07-06 Ma Hsi K Connec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computer functional cards to a mother board
JP2592656Y2 (ja) * 1992-08-10 1999-03-2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5290174A (en) * 1992-08-10 1994-03-0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ard reader
US5389001A (en) * 1992-08-10 1995-02-14 The Whitaker Corporation Card ejecting mechanism
US5275573A (en) * 1992-11-16 1994-01-04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eject mechanism
US5234351A (en) * 1992-12-07 1993-08-10 The Whitaker Corporation Memory card holder and ejection mechanism
EP0601703B1 (en) * 1992-12-08 1997-01-15 The Whitaker Corporation Mounting bracke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5836775A (en) * 1993-05-13 1998-11-17 Berg Tehnology, Inc. Connector apparatus
SG44631A1 (en) * 1993-05-13 1997-12-19 Molex Inc IC pack connector apparatus with switch means
JP3657016B2 (ja) * 1993-05-13 2005-06-08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ネクタ装置
US5456610A (en) * 1993-09-16 1995-10-10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apparatus equipped with an ejector mechanism for IC packs
US5451168A (en) * 1993-10-01 1995-09-19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apparatus for memory cards having a one-piece integrated frame
JP3860230B2 (ja) * 1993-11-19 2006-12-20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データ処理媒体用コネクタ及びデータ処理媒体係止機構
US5899763A (en) * 1993-11-19 1999-05-04 Berg Technology, Inc. Data processing medium connector with locking means
FR2714989A1 (fr) * 1994-01-13 1995-07-13 Amp France Dispositif de connexion de carte à mémoire.
US5511986A (en) * 1994-02-23 1996-04-30 Molex Incorporated IC pack connector with detect switch
JPH07272793A (ja) * 1994-03-10 1995-10-20 Whitaker Corp:The カードコネクタ及びそのカード排出機構
US5600539A (en) * 1994-10-11 1997-02-04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Secure interface card extractor/ejector mechanism
US5653610A (en) * 1994-12-01 1997-08-05 The Whitaker Corporation Smart card connector with card biasing means
US5667397A (en) * 1994-12-01 1997-09-16 The Whitaker Corporation Smart card connector
US5967810A (en) * 1994-12-07 1999-10-19 Berg Technology, Inc. Eject activation mechanism for a memory card connector and method of use
JP3830965B2 (ja) * 1994-12-07 2006-10-11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ネクタ装置
US5564936A (en) * 1994-12-07 1996-10-15 Berg Technology, Inc. Card security mechanism for a memory card connector and method of use
US5573413A (en) * 1994-12-07 1996-11-12 Berg Technology, Inc. Eject activation mechanism for a memory card connector and method of use
US5597316A (en) * 1994-12-07 1997-01-28 Berg Technology, Inc. Memory card connector having improved eject mechanism and method of use
KR960043135A (ko) * 1995-05-01 1996-12-23 엘리 웨이스 성형된 캡슐화 전자 구성요소 및 그의 제조 방법
JP3019280U (ja) * 1995-05-18 1995-12-1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cカード用ホルダ
US5627416A (en) * 1995-07-21 1997-05-06 Itt Corporation Multi-voltage IC card host
US5892213A (en) * 1995-09-21 1999-04-06 Yamaichi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5890920A (en) * 1995-12-07 1999-04-06 Berg Technology, Inc. Card security mechanism for a memory card connector and method of use
US5969330A (en) * 1996-11-20 1999-10-19 The Whitaker Corporation Smart card reader with hinged cover and cover actuating surface
US5936222A (en) * 1997-10-03 1999-08-10 The Whitaker Corporation Smart card reader having pivoting contacts
US6015311A (en) * 1996-12-17 2000-01-18 The Whitaker Corporation Contact configuration for smart card reader
US6062889A (en) * 1997-01-13 2000-05-16 The Whitaker Corporation Module connector having a switching mechanism
US6024593A (en) * 1997-10-14 2000-02-15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onic module connector having a locking cover
US6129572A (en) * 1998-08-03 2000-10-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to retain IC card
JP3504897B2 (ja) * 1999-11-11 2004-03-0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構造
JP3338415B2 (ja) 1999-12-28 2002-10-2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EP1117061A1 (en) * 2000-01-14 2001-07-18 Molex Incorporated IC card connector
EP1134688A1 (en) * 2000-03-17 2001-09-19 Molex Incorporated IC card connector
JP3429267B2 (ja) 2000-04-12 2003-07-2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530460B2 (ja) 2000-04-27 2004-05-24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2002050434A (ja) * 2000-07-24 2002-02-15 Molex Inc カード用コネクタ
JP3429266B2 (ja) 2000-10-19 2003-07-2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71736B2 (ja) 2000-10-19 2003-12-0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36530B2 (ja) 2001-02-08 2003-08-11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31608B2 (ja) 2001-03-06 2003-07-2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43103B2 (ja) 2001-03-23 2003-09-0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443102B2 (ja) 2001-03-23 2003-09-0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363793B2 (ja) * 2001-03-26 2009-11-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854135B2 (ja) * 2001-12-05 2006-12-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接続装置
US6587350B1 (en) * 2002-05-16 2003-07-01 Inventec Corporation Ejection mechanism for modular electronic element
DE10321203A1 (de) * 2003-05-12 2004-12-23 Siemens Ag Kartenaufnahmevorrichtung
US7350705B1 (en) 2005-03-28 2008-04-01 International Technologies & Systems Corp. Compact robust smart card reader
KR100772004B1 (ko) * 2005-12-06 2007-10-3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잠금구조
JP4676525B2 (ja) * 2008-12-05 2011-04-2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組立体
TWM370233U (en) * 2009-05-12 2009-1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741018B2 (ja) * 2009-07-02 2011-08-03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2011165604A (ja) * 2010-02-15 2011-08-25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US8177564B1 (en) 2010-12-03 2012-05-15 Yamaichi Electronics Co., Ltd. Receptacle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CN102738618B (zh) * 2011-04-15 2015-02-04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存储卡卡座、移动终端及存储卡的保护方法
CN202712549U (zh) * 2012-07-02 2013-01-3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插座连接器
US10793342B2 (en) * 2012-07-16 2020-10-06 John Minson Credit card dispenser
TW201424151A (zh) * 2012-12-04 2014-06-16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擴充盒
US8814582B2 (en) * 2013-01-18 2014-08-26 Proconn Technology Co., Ltd. Card connector
US9236687B2 (en) * 2013-08-23 2016-01-12 Globalfoundries Inc. Cable connector
DE102014220893A1 (de) * 2014-10-15 2016-04-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erelement, Gegensteckerelement und elektrischer Steckverbinder
WO2016197293A1 (zh) * 2015-06-08 2016-12-15 吴伟东 一种电脑连接器插头
US10218097B2 (en) * 2017-07-11 2019-02-2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US10320100B2 (en) * 2017-10-06 2019-06-1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EP3537612B1 (en) * 2018-03-07 2020-09-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ard socket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6680A (en) * 1981-01-28 1983-01-04 Lovelace Alan M Administrator Cycling Joule Thomson refrigerator
US4778401A (en) * 1987-05-28 1988-10-18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Extraction-insertion card guide mechanism
US4887188A (en) * 1987-12-22 1989-12-12 Casio Computer Co., Ltd. Connector for a memory card
JPH0541509Y2 (ko) * 1988-03-03 1993-10-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7159Y2 (ja) 1995-08-23
KR910018996U (ko) 1991-11-29
US5033972A (en) 1991-07-23
JPH044358U (ko) 199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139Y1 (ko) 메모리카아드 커넥터
KR920001750Y1 (ko) 카아드 코넥터
EP1355260B1 (en) Card connector apparatus with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a card to mounting position
US6976879B2 (en) Card connector
KR100619579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JP3209892B2 (ja) Pcカード用コネクタ
JP3403098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3643283B2 (ja) コネクタの連結装置
US5571025A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US7326070B2 (en) Memory card connector
US792711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5791920A (en) PC card electrical connector
US6379167B1 (en) Multimedia c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improved ejector mechanism
US20030151901A1 (en) Card connector
EP1349240B1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US7040908B2 (en) Card connector which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kinds of cards different in width
US673665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etention mechanism
JPH07272793A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そのカード排出機構
US5599197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IC card
US8303321B1 (en) Card connector anti-misinserting a micro SD card
EP1548897B1 (en) Card connector that can prevent both leaping-out and ejection failure of a card
KR100309043B1 (ko) Ic카드용 커넥터장치
JP4464853B2 (ja) 脱着コネクタ
JPH11307191A (ja) カードコネクタ
JPH088539Y2 (ja) 多極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