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126B1 -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126B1
KR940002126B1 KR1019910011420A KR910011420A KR940002126B1 KR 940002126 B1 KR940002126 B1 KR 940002126B1 KR 1019910011420 A KR1019910011420 A KR 1019910011420A KR 910011420 A KR910011420 A KR 910011420A KR 940002126 B1 KR940002126 B1 KR 940002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al
document
central control
roller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888A (ko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1019910011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126B1/ko
Priority to US07/908,211 priority patent/US5332205A/en
Priority to GB9214206A priority patent/GB2257128B/en
Priority to JP4177057A priority patent/JPH07114227A/ja
Priority to DE4222158A priority patent/DE4222158A1/de
Publication of KR930002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외관도.
제2도는 종래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조도로서, 제2a도는 요부 측면도, 제2b도는 원고 규격 검지센서부의 세부구성도.
제3도는 종래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외관도.
제5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평면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측면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인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
제8도는 본 발명인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동작에 따른 타이밍 다이아그램.
제10도는 원고의 후진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로서, 제10a도는 반송롤러에 의해 원고가 유리 원고대에 도달했을 때의 동작상태도이고, 제10b도는 반송롤러의 역전에 의해 원고의 재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동력제공 수단인 모터 21 : 원고대
22 : 급지벨트 23 : 급지롤러
23 : 레지스터 롤러 25 : 선출(PICK UP)롤러
26 : 반송롤러 27 : 반송벨트
28 : 반송 중간롤러 29 : 레지스트 종동롤러
30 : 반송 종동롤러 31 : 배지롤러
32 : 배지 종동롤러 33 : 원고규격 검지부
33a : 레지스트 센서 33b : 인코더
33c : 광센서 35 : 복사기
36 : 유리 원고대 37 : 커버
38 : 적재부 39 : 전자 클러치
40 : 몸체 G1, G2 : 베벨기어
G3 : 일방향 클러치 기어 G4, G5 : 기어
P1 내지 P4 : 풀리 S1 내지 S8 : 축
B : 벨트 41 : 슬릿
42 : 원고유무 검지센서 51 : 중앙제어부
52 : 인터페이스부 53 : 모터 구동부
54 : 표시부
본 발명은 복사기에 있어서, 복사하고자 하는 수매의 낱장 원고들을 자동적으로 1장씩 분리하여 복사가 가능하도록 하며, 복사후 자동적으로 복사된 원고를 배출하고 다음 원고가 자동적으로 급지되어 복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을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도는 종래의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외관도로서 도면에서 1은 원고대, 2는 적재부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원고대(1)는 복사할 원고를 세팅시키는 곳이고, 상기 적재부(2)는 복사된 원고가 수납되어 지는 곳이다.
제2도는 종래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조도로서, 제2a도는 종래기술의 요부 측면도, 제2b도는 원고 규격 검지센서부의 세부구성도이다. 도면에 3은 급지롤러, 4는 레지스트 롤러, 5a는 반송롤러, 6은 반송벨트, 7은 원고, 8은 배지롤러, 9는 복사한 원고, 10은 원고 규격 검지센서부, 10a는 레지스터 센서, 10b는 인코더, 10c는 광센서, 13은 슬릿, 14는 반송롤러 축을 각각 나타낸다.
종래 기술의 개략적인 구성을 제2a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급지롤러(3)와 레지스터 롤러(4)로서 급지부를 구성하고, 반송롤러(5)는 반송벨트(6)와 함께 반송부를 구성하고 배지롤러(8)는 그 자체로서 배지부를 구성한다.
또한,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롤러(5)에 부착된 인코더(10b)는 다수의 슬릿(13)이 형성되며 광센서(10c)는 한 쌍의 수,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인코더(10b)가 회전함에 따라서 슬릿(13)을 통과한 빛을 펄스(pulse) 신호로서 검지하는 구조로써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급지부, 반송부 그리고 배지부에는 각각 1개씩의 독립된 모터가 동력제공원으로서 연결되어 있어서 최소한 3개의 모터가 필요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원고(2)는 원고대(1)위에 세트되며 급지롤러(3)에 의해 선출되어 레지스터 롤러(4)를 경유하고, 반송롤러(5)와 반송벨트(6)로 구성된 반송부에 의해서 복사기의 복사위치인 유리 원고대(contact glass)상에 위치하게 되어 이 위치에서 원고의 복사가 이루어진 후, 다시 배지롤러(8)에 의해서 적재부(2)에 쌓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복사기의 유리 원고대 상에 놓이는 원고위치의 정확도는 복사의 화질상태를 결정하므로 복사기에서 복사할 기준위치(제2a도의 화살표)와 원고의 선단을 정확히 맞추기 위한 원고의 이송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급지되는 원고의 규격을 검지할 필요가 생기며, 이를 위해 원고 규격 검지센서부(10)의 레지스터 센서(10a)에 의해 원고의 선단이 검지된 이후로부터 원고의 후단이 검지되는 동안에 인코더(10b)와 광센서(10c)에 의해 감지되는 인코더(10b)의 슬릿(13)을 통과한 광 펄스신호 개수로서 추정하여 검지하게 된다. 여기서, 인코더(10b)는 반송롤러(5)와 연동되게 되어있다.
이때, 검지된 원고의 길이에 따라서 반송벨트(6)는 복사기 유리 원고대 까지 이송해 주어서 최적의 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일단 복사가 행하여진 원고는 배지롤러(8)에 의해서 복사한 원고(9) 위치에 놓이게 된다.
한편, 원고대(1)위에 아직 원고가 남아있으면 상술한 과정을 되풀이 하며, 이러한 동작은 원고대(1)위에 원고가 없을 때 까지 계속적으로 반복되어 행해지게 된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동작에 관한 제어방법은 제3도에 도시 하였다.
그런데, 복사시 복사 기분위치(제2a도의 화살표)와 원고의 선단을 정확히 맞추기 위해서는 원고의 길이를 감지해야 하며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원고규격 감지부(10)에 의해 원고의 길이를 감지하였으나, 이는 반송벨트(6)에 의해 원고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원고마다 각기 크기나 무게가 다르므로 반송벨트(6)와의 미끄러짐이 필히 동반되어서 복사 기준위치와 원고 선단의 불일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양호한 화질을 얻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급지부, 반송부 및 배지부 각각에 독립적으로 동력제공 원인 모터를 설치하여 원가상승의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동력절환을 위해 솔레노이드와 스프링 클러치를 사용하여 동작시 소음이 발생하였고 구성의 복잡성으로 인한 유지 보수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치내의 기능부를 구동시키는 동력제공원을 하나로 구성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고의 후진기능을 부가하여 최상의 복사화질을 얻을 수 있고, 원고의 지간을 고려하여 배지와 급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적의 복사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 방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제4도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구성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4도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외관도, 제5도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평면도, 제6도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20은 동력제공 수단인 모터, 21은 원고대, 22는 급지벨트, 23은 급지롤러, 24는 레지스터 롤러, 25는 선출(PICK UP) 롤러, 26은 반송롤러, 27은 반송벨트, 28은 반송 중간롤러, 29는 레지스터 종동롤러, 30은 반송 종동롤러, 31은 배지롤러, 32는 배지 종동롤러, 33은 원고규격 감지부, 33a는 레지스터 센서, 33b는 인코더, 33c는 광센서, 35는 복사기, 36은 유리 원고대, 37은 커버, 38은 적재부, 39는 전자 클러치, 40은 몸체, G1, G2는 베벨기어, G3는 일방향 클러치 기어, G4, G5는 기어, P1 내지 P4는 풀리, S1 내지 S8는 축, B는 벨트, 41은 슬릿, 42는 원고유무 검지센서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는, 동력제공 수단(20)에 연결되어 용지를 복사할 위치까지 전송하는 반송롤러(26)와, 상기 반송롤러(26)에 연결되어 복사용지의 규격을 판단하는 원고규격 센서부(33)와, 상기 반송롤러(26)에 전자 클러치(39)를 통해 연결되어 원고대(21) 상의 원고를 상기 반송롤러(26)로 전송하는 급지롤러(23)와, 상기 급지롤러(23)에 연결된 레지스터 롤러(24)와, 상기 급지 롤러(23)에 급지벨트(22)로 연결된 선출롤러(22)와, 상기 반송롤러(26)에 반송벨트(27)로 연결된 반송 종동롤러(30)와, 상기 반송 종동롤러(30)에 연결되어 반송벨트(27)를 거쳐 전송되어온 원고를 배출하는 배지롤러(31)로 구성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동력제공 수단(1)과 반송롤러(26) 사이에 한쌍의 베벨기어(G1, G2)가 설치되고, 원고규격 센서부(33)는 축(S3)으로 상기 반송롤러(26)와 연결되면 수 많은 슬릿(4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동력제공 수단(1)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인코더(33b)와 상기 인코더(33b)의 슬릿(41)을 감지하는 광센서(33c)와 원고의 선단과 후단을 감지하는 레지스터 센서(33a)로 구성된다. 그리고 원고유무 검지 센서(32)는 급지롤러(23)의 전단에 위치하여 용지의 급지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급지롤러(23)는 레지스터 종동롤러(29)와 동일 축(S2)으로 연결되어 상기 레지스터 롤러(24)가 동작할 때 공회전하도록 일방향 클러치가 압입되어 있고, 축(S3)→일방향 클러치 기어(G3)→전자클러치(39)→축(S2)를 통해 반송롤러(26)에 연결되며, 상기 급지롤러(23)와 선출롤러(25)는 상기 일측에 풀리(P1, P2)를 형성하고 급지벨트(22)를 이용하여 상기 풀리(P1, P2)를 연결시켜 동력전달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레지스터 롤러(24)는 기어(G4)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급지롤러(23)와 동일 축(S2)에 끼워진 레지스터 종동롤러(29)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반송롤러(26)와 반송 종동롤러(30)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송 중간롤러(28)가 설치된다.
한편, 배지롤러(31)는 배지롤러(31)가 끼워진 축(S7)의 단부에 설치된 풀리(P4)와 반송 종동롤러(30)의 단부에 설치된 풀리(P3) 간에 벨트(B)를 연결하여 동력전달을 받도록 구성 되었으며, 배지 종동롤러(32)와 맞물려 회전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인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에 관한 전체구성도로서, 도면에서, 51은 중앙제어부, 52는 인터페이스부, 53은 모터 구동부, 54는 표시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는, 동력제공 수단 하나만으로 자동 원고급지 장치가 운용될 수 있도록 상기 자동 원고급지 장치를 제어하고, 정확한 원고의 복사화질을 얻을 수 있도록 유리 원고대(36)상에서의 원고위치를 제어하도록 기능하는 운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CPU로 구성된 중앙제어부(51)와, 상기 중앙제어부(51)에 연결되고 복사기와의 정보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52)와, 상기 중앙제어부(51)에 연결되어 동력제공 수단인 모터(20)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53)와, 상기 중앙제어부(51)에 연결되어 급지롤러(23)의 동력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39)와, 상기 중앙제어부(51)에 연결되어 동작상태를 표시하며 LED 표시회로로 구성된 표시부(54)와, 상기 중앙제어부(51)에 연결되어 원고의 유무를 검지하는 원고유무 검지센서(42)와, 상기 중앙제어부(51)에 연결되어 원고의 규격을 검지하며 레지스터 센서(33a), 광센서(33c), 인코더(33b)로 구성된 원고규격 검지부(33)로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중앙제어부(51)는 인터페이스부(52)를 중계로 하여 복사기와 수시로 정보를 주고 받으며 아울러 매 순간 원고유무 검지센서(42) 및 레지스터 센서(33a)로 부터 순간순간의 상태를 입력받게 된다. 즉, 원고유무 검지센서(42)는 원고대(21)상에 원고가 있는가의 여부를 검사하고, 레지스터 센서(33a)는 원고의 선단과 후단이 검지되는 동안에 광센서(33c)가 인코더(33c)로부터 감지해내는 펄스신호를 중앙제어부(51)가 감지하여 용지의 규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의 펄스 데이타는 배지하는데 있어 배지롤러(31)의 동작을 제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모터 구동부(53)는 모터(20)의 구동제어에 사용되며, 전자클러치(39)는 급지롤러(23)의 구동시 원고의 급지를 제어하기 위해 급지롤러(23)의 동력을 단속하는데 있다. 또한, 표시부(54)는 원고의 세트상태, 이상상태등을 표시하여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전반적인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제8도는 본 발명인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우선, 원고대(21)에 원고가 세트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100) 장치전체의 상태를 점검한다(101, 102). 복사기로부터 복사 시작 신호와 급지하라는 신호가 입력됨에따라(103, 104) 급지롤러(23)의 축(S2)에 연결된 전자클러치(39)를 일정시간동안 ON시켜 그 시간동안만 급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105). 이때, 원고의 급지가 일어나면 레지스터 롤러(24)와 반송롤러(26), 반송 중간롤러(28), 반송 종동롤러(30) 및 배지롤러(30)가 회전하여 계속적인 정방향으로의 원고의 이송이 일어나고 동시에 레지스터 센서(33a)가 용지의 선단과 후단을 검지하는 동안에만 발생하는 광센서(33c)의 펄스신호의 수를 중앙제어부(51)가 카운트 함으로써 원고의 규격 검지동작을 완료하게 된다(106). 이는 차후 원고의 급지가 일어날 때 효율적으로 일어나도록 하는 급지시간 제어에 사용된다.
한편, 반송롤러(26)의 회전으로 인한 유리 원고대(36)상에서의 원고의 위치가 정확한 복사위치가 아니므로 보다 양호한 복사화질을 얻기 위하여 모터(20)를 역회전시켜 반송롤러(26)가 원고를 역방향 이동시키게 한다(107). 상기의 동작이 완료 되면 원고는 복사 기준위치와 원고의 후단이 일치되어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게 된다. 즉, 원고 스캐일에 접촉하게 되어 복사화상의 스큐(SKEW)가 조정된다.
상기의 원고의 후진동작 중에는 일방향 클러치 기어(G3)의 공회전으로 인하여 급지롤러(23)에는 더 이상의 동력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곧이어 복사동작이 일어나고(108), 배지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109) 급지와 배지가 동시에 일어나는데, 원고대(21)상의 원고유무를 판단하여(110) 원고가 있을 경우에는 단위 시간당 복사 매수를 최대로 하기 위하여 급지되는 원고 길이를 고려한 배지가 일어나며(111), 원고대(21)에 잔여 원고가 없으면 원고를 완전히 배지만 하고 본 발명의 한 동작이 종료하게 된다(112).
한편, 급지와 배지가 동시에 일어나므로 유리 원고대(36)상에 원고가 도착했을 때는 바로 전에 복사를 마친 원고는 완전히 배지가 되어 원고의 후진동작이 이루어지더라고 배지되는 원고가 다시 역전하는 문제는 일어나지 않아 최적의 복사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동작에 따른 타이밍 다이아그램을 제9도에 도시하였으며, 도면에서 t1은 전자클러치(39)가 ON되어 급지롤러(23)가 동작하는 구간을, t2는 원고의 선단이 원고 규격 검지부를 통과한 후부터 후단이 검출될 때 까지의 구간을, t3는 원고를 후진시켜 복사기의 복사기준 위치와 원고의 후단을 일치시키는 구간을 t4는 복사 구간을, t5는 다음의 원고가 급지된 후 원고의 후진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현재의 원고가 완전히 배지가 되어야 하므로 원고의 규격별로 지간을 맞추어 배지하는 구간을, t6은 급지하는 구간인데 동일 규격의 원고가 계속 급지될 경우 이 구간은 상기 t2 구간과 동일하게 된다.
제10도는 원고의 후진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로서, 제10a도는 반송롤러(23)에 의해 원고과 유리 원고대(36)에 도달했을 때의 동작상태도이고, 제10b도는 반송롤러(23)의 역전에 의해 원고의 위치가 재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61은 원고를 62는 원고 스캐일을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동력제공원을 하나만 사용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리 원고대(36) 상에서의 복사위치를 정확히 맞출 수 있는 자동 원고장치의 제어를 위해 제어장치로서 CPU 및 그 주변회로를, 그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CPU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기능 추가시 하드웨어적인 변형없이 변환이 가능하고, 하나의 동력제공 수단을 가지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복사 원고의 자동 급지장치의 제어장치에 이어서, 동력제공수단 하나만으로 자동 원고급지 장치가 운용될 수 있도록 상기 자동 원고급지 장치를 제어하고, 정확한 원고의 복사화질을 얻을 수 있도록 유리 원고대(36)상에서의 원고위치를 제어하도록 가능하는 운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CPU로 구성된 중앙제어수단(51)과, 상기 중앙제어 수단(51)에 연결되고 복사기와의 정보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수단(52)과, 상기 중앙제어 수단(51)에 연결되어 동력제공 수단인 모터(20)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수단(53)과, 상기 중앙제어 수단(51)에 연결되어 급지롤러(23)의 동력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39)와, 상기 중앙제어 수단(51)에 연결되어 동작상태를 표시하며 LED 표시회로로 구성된 표시수단(54)과, 상기 중앙제어 수단(51)에 연결되어 원고의 유무를 검지하는 원고유무 검지센서(42)와, 상기 중앙제어부(51)에 연결되어 원고의 규격을 검지하며 레지스트 센서(33a), 광센서(33c), 인코더(33b)로 구성된 원고규격 검지부(33)로 구성된 원고규격 검지수단(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
  2. 중앙제어수단(51)과, 상기 중앙제어 수단(51)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수단(52)과, 상기 중앙제어 수단(51)에 연결되는 모터 구동수단(53)과, 상기 중앙제어 수단(51)에 연결되는 전자클러치(39)와, 상기 중앙제어 수단(51)에 연결되는 표시수단(54)과, 상기 중앙제어 수단(51)에 연결되는 원고유무 검지센서(42)와, 상기 중앙제어수단(51)에 연결되어 원고의 규격을 검지하며 레지스터 센서(33a), 광센서(33c), 인코더(33b)로 구성된 원고규격 검지수단(33)으로 구성된 복사 원고의 자동 급지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원고대(21)에 원고가 세트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100) 장치전체의 상태를 점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후에 복사기로부터 복사 시작신호와 급지하라는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급지롤러(23)의 축(S2)에 연결된 전자클러치(39)를 일정시간동안 ON시켜 상기 일정시간 동안 급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의 결과로 원고의 급지가 일어나면 레지스터 롤러(24)와, 반송롤러(26), 반송 중간롤러(28), 반송 종동롤러(30) 및 배지롤러(30)를 회전시켜 계속적인 정방향으로의 원고의 이송이 일어나도록 하고 동시에 원고규격 검지 수단(33)으로 하여금 원고의 규격 검지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에 복사화질을 높이기 위하여 유리원고대(36)위의 원고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복사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에 원고대(21)상의 원고 유뮤를 판단하여(100)원고가 있을 경우에는 단위 시간당 복사 매수를 최대로 하기 위하여 급지되는 원고 길이를 고려한 배지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에 원고대(21)에 잔여 원고가 없으면 바로전에 복사한 원고를 완전히 배지만 하는 제6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모터(20)를 역회전시켜 반송롤러(26)가 원고를 역방향 이동시키도록 하여 원고 스케일과 원고의 후단을 일치시켜 복사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10011420A 1991-07-05 1991-07-05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940002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420A KR940002126B1 (ko) 1991-07-05 1991-07-05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 및 방법
US07/908,211 US5332205A (en) 1991-07-05 1992-07-02 Automatic document feeders for copying machine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uch
GB9214206A GB2257128B (en) 1991-07-05 1992-07-03 Automatic document feeders for copying machines
JP4177057A JPH07114227A (ja) 1991-07-05 1992-07-03 自動原稿給紙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DE4222158A DE4222158A1 (de) 1991-07-05 1992-07-06 Automatische original-einzugsvorrichtung fuer kopiermaschinen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steuern einer solch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420A KR940002126B1 (ko) 1991-07-05 1991-07-05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888A KR930002888A (ko) 1993-02-23
KR940002126B1 true KR940002126B1 (ko) 1994-03-17

Family

ID=1931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420A KR940002126B1 (ko) 1991-07-05 1991-07-05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480B1 (ko) * 2002-11-06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프린터의 용지스큐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용지스큐검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888A (ko) 199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9650A (en) Paper feeding device
US7677558B2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85052B1 (ko) 화상정보처리기의 원고 이송장치
KR100373752B1 (ko) 화상정보처리기의 원고 이송장치
US6896257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5401012A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side by side document feeding capability
KR940002126B1 (ko)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H04327447A (ja) 両面印字用の用紙搬送装置
JP2928298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2925614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2852943B2 (ja) 複写装置
JP2559185Y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3029469B2 (ja) 画像形成装置の原稿搬送装置
JP2710960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H0750364Y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2992090B2 (ja) 原稿搬送装置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
KR940010604B1 (ko) 자동 원고급지 장치
JP2728683B2 (ja) 自動原稿給送装置
KR100282512B1 (ko) 원고사행방지장치
JP2514530Y2 (ja) 用紙搬送装置
JP2784675B2 (ja) 原稿自動送り装置
JPH0756281Y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H08157109A (ja) 用紙搬送装置及び複写機
KR20000067408A (ko) 인쇄기의 용지 공급장치
JPH0627763A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該装置を有する複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