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604B1 - 자동 원고급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원고급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604B1
KR940010604B1 KR1019920011885A KR920011885A KR940010604B1 KR 940010604 B1 KR940010604 B1 KR 940010604B1 KR 1019920011885 A KR1019920011885 A KR 1019920011885A KR 920011885 A KR920011885 A KR 920011885A KR 940010604 B1 KR940010604 B1 KR 940010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roller
belt
separation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891A (ko
Inventor
정재헌
장승만
권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101992001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0604B1/ko
Publication of KR93000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원고급지 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도.
제 2 도는 상기 제 1 도의 AA'선 단면 구조도.
제 3 도는 상기 제 2 도의 원고 크기 검지부의 세부구성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평면 투시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측면 투시도.
제 7a 도 내지 제 7d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원고급지부의 세부 구성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서의 원고후진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동작에 따른 타이밍 다이아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모터 21 : 급지원고대
22 : 픽업롤러 구동벨트 23 : 분리롤러
24 : 레지스터 롤러 25 : 픽업(PICK UP)롤러
26 : 반송롤러 27 : 반송벨트
28 : 반송 중간롤러 29 : 레지스트 종동롤러
30 : 반송 종동롤러 31 : 배지롤러
32 : 배지 종동롤러 33 : 원고크기 검지부
33a : 레지스트 센서 33b : 인코더
33c : 광센서 35 : 복사기
36 : 유리 원고대 37 : 커버
38 : 배지원고 적재대 39 : 전자클러치
40 : 몸체 G1,G2 : 베벨기어
G3 : 일방향 클러치 기어 G4,G5,G6 : 기어
P1 내지 P3 : 풀리S1 내지 S8 : 구동축
41 : 슬릿 42 : 원고유무 검지센서
43 : 배지롤러 구동벨트 44 : 분리벨트걸이 고정롤러
45 : 분리벨트걸이 회전롤러 46 : 분리벨트
47 : 스프링 48 : 마일라(Mylar) 판
49 : 고정부 브라켓 50 : 회동부 브라켓
51 : 회전축 지지부 52 : 픽업롤러 상태검출부
53 : 상측커버 54 : 배출원고 날림방지용 체인
본 발명은 복사기에 장착되는 원고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사하고자 하는 다수의 낱장 원고들dmf 1장씩 분리 급지하고, 복사된 원고를 배출하며, 다음 원고를 자동적으로 급지하여 연속복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을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종래의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외관도로서, 도면에서 1은 급지원고대, 2는 배지원고 적재대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급지원고대(1)는 복사할 원고를 세팅시키는 곳이고, 상기 배지원고 적재대(2)는 복사된 원고가 수납되는 곳이다.
제 2 도는 상기 제 1 도의 종래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개략적인 AA'선 단면 구조도이고, 제 3 도는 원고 크기 검지부의 세부구성도이다. 도면에서 3은 급지롤러, 4는 레지스트 롤러, 5는 반송롤러, 6은 반송벨트, 7은 원고, 8은 배지롤러, 9은 복사한 원고, 10은 원고 크기 검지부, 10a은 레지스트 센서, 10b는 인코더, 10c는 광센서, 13은 슬릿, 14는 반송롤러 축을 각각 나타낸다.
종래 기술의 개략적인 구성을 제 2 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급지롤러(3)와 레지스트 롤러(4)로서 급지부를 구성하고, 반송롤러(5)는 반송벨트(6)와함께 반송부를 구성하고, 배지롤러(8)는 그 자체로서 배지부를 구성한다.
또한,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송롤러(5)와 동일축 상에 끼워져 설치되는 인코더(10b)는 다수의 슬릿(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광센서(10c)는 한 쌍의 수광 및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인코더(10b)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발광측으로 부터의 빛이 슬릿(13)을 통과하여 수광측에 인가될때 마다 펄스(pulse)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급지부, 반송부 그리고 배지부에는 각각 1개씩의 독립된 모터가 동력제공원으로서 연결되어 있어서 최소한 3개의 모터가 필요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원고(7)는 급지원고대(1)위에 세트되며 급지롤러(3)에 의해 픽업되어 레지스트 롤러(4)를 경유하고, 반송롤러(5)와 반송벨트(6)로 구성된 반송부에 의해서 복사기의 복사위치인 유리 원고대(contact glass)상에 위치하게 되어 이 위치에서 원고의 복사가 이루어진 후, 다시 배지롤러(8)에 의해 배출되어 배지원고 적재대(2)에 쌓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복사기의 유리 원고대 상에 놓이는 원고위치는 복사본의 복사영역을 결정하므로 복사기에서 복사할 기준위치(제 2 도의 화살표 참조)와 원고의 선단을 정확히 맞추기 위한 원고의 이송이 요구된다. 따라서, 급지되는 원고의 크기를 검지할 필요가 생기며, 이를 위해 원고 크기 검지부(10)의 레지스트 센서(10a)에 원고의 선단이 검지된 이후로부터 원고의 후단이 검지되는 동안까지 상기 인코더(10b)와 광센서(10c)에 의해 발생되는 펄스신호 갯수로서 원고의 크기를 추정한다.
그리고, 검지된 원고의 길이에 따라서 반송벨트(6)는 복사기의 유리 원고대까지 복사할 원고를 이송해 주어서 원하는 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일단 복사가 완료된 원고는 배지롤러(8)를 통해 배지하여 배지원고 적재대(2)에 쌓이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원고크기 감지부(10)에 의한 원고의 길이 감지시, 반송벨트(6)를 통해 원고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원고마다 각기 크기나 무게가 다르므로 반송벨트(6)와의 미끄러짐이 발생되어 복사 기준위치나 원고 선단의 불일치가 발생하여 원하는 복사본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급지부, 반송부 및 배지부 각각에 독립적으로 동력제공을 위한 모터를 각각 설치하여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였고, 동력절환을 위한 솔레노이드와 스프링 클러치를 사용하여 동작시 소음이 많이 발생하였고, 구성의 복잡성으로 인한 유지 보수가 힘들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최근에는 급지부와 이송부를 하나의 모터로, 또는 이송부와 배지부를 하나의 모터로 구현하는 방식도 제시되고 있으나, 급지부, 이송부 및 배지부를 하나의 모터로서 원활하게 구동되도록 구현하지는 못하였다. 특히, 급지부에 원고 픽어부를 구비시킨 경우에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별도의 보조 동작 기능수단을 필요로 하거나, 별도의 구동모터를 사용해야만 되었다.
또한, 벨트에 의한 원고 이송시 미끄러짐등의 발생으로 복사위치에 원고가 정확하게 셋트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벨트가 상기 원고를 복사 위치에 정확하게 세트시키도록 하기 위해 이송벨트의 역진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상기 벨트의 역진동작은 반드시 복사되어진 원고의 배지가 완료된 이후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복사속도를 고려할때 하나의 모터로서 이를 구현하기가 극히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동력제공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원고픽업 및 분리기능을 수행하는 원고급지부와, 원고를 복사기준위치에 정확하게 세트시키기 위해 정,역진기능을 갖는 벨트식 원고이송부와, 복사된 원고를 원활하게 배지하는 원고배지부가 구동되도록 구성한 자동 원고급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사되 원고의 배지시 배지롤러의 빠른 배출속도에 기인한 배출원고의 날림을 방지하고 안정되게 적재되도록 하는 적재부 구성을 갖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사기에 장착되어 복사할 원고를 자동으로 급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사할 원고를 쌓아두는 급지원고 적재수단; 원고의 급지, 반송 및 배지동작에 필요한 모든 동력을 제공하되 정,역회전 기능을 갖는 단일의 동력제공수단; 상기 동력제공수단의 정회전 동력만을 일방향클러치 기어를 통해 전달받고, 전자클러치를 채용하여 상기 정회전 동력을 부분적으로 이용하여 복사할 원고의 분리 및 급지를 수행하는 원고급지수단; 상기 동력제공수단의 정,역회전 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되 상기 정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급지된 원고를 이송하고, 상기 역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이송된 원고를 복사위치에 정확히 세트시키는 원고반송수단; 상기 원고반송수단을 통해 상기 동력제공수단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복사완료된 원고를 배지하는 원고배지수단; 상기 급지원고 적재수단의 아랫쪽에 형성되되 상기 원고배지수단으로부터 배지된 원고가 차례로 쌓이도록 배지위치보다 깊게 형성한 배지원고 적재수단; 및 상기 급지원고 적재수단의 아랫쪽면에 부착되어 원고배지시 상기 원고배지수단의 빠른 배출속도에 기인한 배출원고의 날림을 방지하고 안정되게 적재되도록 하는 배지원고 정착수단(45)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4 도 내지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 4 도는 외관도, 제 5 도는 평면투시도, 제 6 도는 측면 투시도이다.
도면에서, 20은 동력제공 수단인 모터, 21은 급지원고대, 22는 픽업롤러 구동벨트, 23은 분리롤러, 24는 레지스트 롤러, 25는 픽업(PICK UP)롤러, 26은 반송롤러, 27은 반송벨트, 28은 반송 중간롤러, 29는 레지스트 종동롤러, 30은 반송 종동롤러, 31은 배지롤러, 32는 배지 종동롤러, 33은 원고크기 감지부, 33a는 레지스트 센서, 33b는 인코더, 33c는 광센서, 35는 복사기, 36은 유리원고대, 37은 커버, 38은 배지원고 적재대, 39는 전자 클러치, 40은 몸체, G1,G2는 베벨기어, G3는 일방향 클러치 기어, G4,G5,G6는 기어, P1 내지 P4는 풀리, S1 내지 S8는 구동축, 41은 슬릿, 42는 원고유무 검지센서, 43은 배지롤러 구동벨트, 54는 배출원고 날림방지용 체인을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사할 원고들을 쌓아두는 급지원고대(21)와,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원고급지, 반송, 및 배지동작에 필요한 모든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정,역회전 기능을 갖는 하나의 모터(20)와, 상기 모터로부터 정회전(원고를 급지측으로부터 배지측으로 이송시키는 방향의 회전임) 동력만을 전달받아 원고를 분리 및 급지하는 원고급지부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직접 받아 원고를 복사할 위치까지 전송할 뿐만 아니라 복사할 원고를 복사기의 유리원고대 상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역진기능을 수행하는 원고반송부, 상기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복사완료된 원고를 배지원고 적재대로 배출하는 원고배지부와, 배지된 원고를 적재하는 배지원고 적재대(38)를 구비하고 있다.
이제, 본 발명에서 하나의 모터로 각 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역회전 기능을 갖는 동력제공수단으로 구비된 모터(20)로부터 직접 동력을 전달받는 반송롤러 구동축(S3)이 정,역회전되고, 상기 반송롤러 구동축(S3)에 설치된 일방향 클러치기어(G3)에 의해 정회전 동력만이 아이들기어(G6)를 통해 전자클러치 기어(G5)로 전달되어 전자 클러치(39)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롤러 구동축(S2)이 상기 반송롤러 구동축(S3)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반송롤러 구동축(S2)의 전자클러치 기어(G5)에 맞물린 레지스트 롤러 구동기어(G4)에 마찬가지로 모터의 정회전 동력만이 전달되어 레지스트 롤러 구동축(S1)이 상기 반송롤러 구동축(S3)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반송벨트(27)에 의해 원고 반송부의 구동축들(S4 내지 S7)이 상기 반송롤러 구동축(S3)과 연동되고, 배지롤러 구동축(S8)은 반송종동롤러 구동축(S7)과 구동벨트(43)로 연결되어 사이 반송롤러 구동축(S3)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 기어(G3)를 구비시켜 모터의 역회전시 그 회전력은 원고반송부의 반송롤러(26)에만 전달되고 상기 원고급지부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전자클러치(39)를 채용하여 필요시에만 부분적으로 분리롤러 및 픽업롤러를 구동시켜 하나의 모터로 자동 원고급지 장치 전체를 구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역회전 기능을 갖는 동력제공수단으로 구비된 모터(20)의 회전축과 상기 모터로부터 직접 동력을 전달받는 반송롤러 구동축(S3)에 한 쌍의 베벨기어(G1,G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을 위한 베벨기어 대신에 워엄 및 워엄기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반송롤러(26)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고 급지부는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반송롤러 구동축(S3)으로부터 전달받아 구동되는데 일방향 클러치(G3)를 통해 정회전 동력만 전달받는다. 전자클러치기어(G5)가 상기 아이들기어(G6)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계속 회전되더라도 분리롤러 구동축(S2)은 전자클러치(39)의 단속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회전되어 분리롤러(23)를 회전시킨다.
여기에서 레지스트 종동롤러(29)는 상기 분리롤러와 동일 축(S2)상에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분리롤러 구동축(S2)의 회전에 영향받거나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축(S2)에 끼워지는 레지스트 종동롤러 내경의 크기를 축(S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롤러내경면과 축외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공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분리롤러(23)와 픽업롤러(25)는 그 일측에 각각 풀리(P1,P2)가 형성되어 있어 픽업롤러 구동벨트(22)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롤러로부터의 동력이 픽업롤러로 전달되도록 한다(이에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제 7a 도 내지 제 7d 도 설명 참조)).
레지스트 롤러(24)는 구동축(S1)상에 적절한 수로 설치되어, 상기 분리롤러 구동축(S2)에 끼워진 레지스트 종동롤러(29)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고급지부에는 복사할 원고의 크기를 판단하는 원고크기 감지부(33)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베벨기어(G2)와 동축(S3) 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반송롤러(26)와 연동하여 회전되며 수많은 슬릿(41)(제 3 도 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제공 수단(2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인코더(33b)와, 상기 인코더의 회전되는 슬릿 수를 감지하는 광센서(33c)와, 분리롤러(23)의 후단에 위치하여 급지되는 원고의 시작단과 끝단을 감지하는 레지스트 센서(33a)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지스트 센서가 원고의 시작을 감지한 때로부터 원고의 끝을 감지한 때까지 상기 광센서에 의해 발생된 펄스를 카운트하여 복사할 원고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고유무 검지센서(42)는 분리롤러(23)의 전단에 위치하여 급지될 원고의 유무여부를 검지한다.
원고반송부는 상기 반송롤러 구동축(S3)에 설치된 반송롤러(26) 및 반송종동롤러 구동축(S7)에 설치된 반송종동롤러(30)와, 상기 두 구동축(S3,S7) 사이에 원고의 이송효율을 고려하여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중간축(S4,S5,S6)상에 다수의 반송중간롤러(2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고방송부 롤러들에 의해 회전되어 원고를 이송하는 반송벨트(27)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원고반송부는 모터의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받도록 되어있어 급지된 원고의 반송은 물론이고 원고의 정확한 세트를 위한 역진기능을 수행한다.
원고배지부는 배지롤러 구동벨트(43)를 통해 반송종동롤러 구동축(S7)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S8)에 설치된 배지롤러(31)와, 별도의 동력을 제공받지 않고 단지 상기 배지롤러에 맞닿아 회전되는 배지 종동롤러(32)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지롤러(31)는 배지롤러 구동축(S8)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풀리(P4)와 상기 반송종동롤러 구동축(S7)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풀리(P3)를 배지롤러 구동벨트(43)로 연결하여 원고배지부 또한 본 발명에서 유일한 동력원으로 채용된 상기 모터(20)로부터의 동력을 원고반송부를 통해 전달받아 복사완료된 원고를 배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지롤러(31)는 원고의 급지 및 이송속도 보다 배지속도를 훨씬 빠르게 하여 원고배지 잼(JAM)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직경을 충분히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동 원고급지 장치에서는 상기 복사할 원고들을 쌓아두는 급지원고대(21)의 아랫쪽면 양쪽에 배지원고 날림방지용 체인(54)을 달아, 원고배지시 상기 원고배지수단의 빠른 배출속도에 기인한 배출원고의 날림을 방지하고 안정되게 적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인(54) 대신에 연질의 마일라 편(조각)을 길게 늘어뜨려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배출되는 용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체인(54') 또는 마일라 편을 더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제, 제 7a 도 내지 제 7d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고급지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제 7a 도는 상기 원고급지부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 7b 도는 상기 원고급지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 7c 도는 상기 원고급지부의 요부 사시도, 제 7d 도는 상기 원고급지부의 원고분리기능을 위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21은 급지원고대, 22는 픽업롤러 구동벨트, 23은 분리롤러, 25는 반원형 픽업롤러, 44는 분리벨트걸이 고정롤러, 44a는 사각축, 45는 분리벨트걸이 회전롤러, 45a는 스프링걸이 회전축, 46는 분리벨트, 47은 스프링, 48은 마일라(Mylor) 판, 49는 고정부 브라켓, 50은 회동부 브라켓, 51은 회전축 지지부, 52는 픽업롤러 상태검출부, 53은 상측커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원고급지부의 일반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분리롤러(23)가 복사기로 부터의 급지신호에 의해 회전하기 시작하면 픽업롤러 구동벨트(22)에 의해 픽업롤러(25)가 연동되어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픽업롤러(25)에 의해 급지원고대에 놓인 복사될 원고가 픽업되어 급지부내로 유입되며, 유입된 원고는 분리벨트(46)와 분리롤러(23)에 의해 분리급지된다. 여기서 원고의 선단은 원고를 가압하기 위해 설치된 마일라 판(48)의 탄력에 의해 픽업롤러(25)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종래의 정원형의 픽업롤러를 채용한 경우에는 원고의 매수가 많을 때 픽업롤러까지 원고가 도달되게 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원고급지를 위한 세팅시에 원고선단이 구겨지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고급지부는 픽업롤러로서 반원형 롤러(25)를 채용하여 원고의 급지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항상 상기 반원형 픽업롤러(25)가 준비상태(반원형 롤러의 평면부분이 급지원고대와 수평을 이룬 상태를 말함)가 되도록 하여, 원고세팅시 원고선단이 상기 반원형 롤러(25)의 평면부분을 지나 그 안쪽까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원고의 선단이 구겨지지 않고, 급지시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원고급지부의 동작을 위해서는 원고 초기 세팅시 반원형 급지롤러(25)의 상태제어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인코더(52a)와 상기 슬릿위치를 검출하는 광센서(52b)로 구성된 픽업롤러 상태검출부(52)는 상기와 같은 필요성 때문에 상기 픽업롤러(25)의 회전축 상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인코더(52a)는 상기와 같이 하나의 슬릿이 형성된 원판으로 구성되어 반원형 픽업롤러(25)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상기 슬릿을 통해 광센서(52b)가 온(ON)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반원형 픽업롤러(25)가 준비상태에 있도록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원고의 급지동작 전에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반원형 픽업롤러(25)가 항상 준비상태가 되도록 한다.
특히, 제 7d 도는 본 발명에서 원고급지시 분리동작을 위한 일실시예에 구성을 보인 것이다.
종래의 경우는 분리벨트와 분리롤러를 통해서 원고를 1매씩 분리할 때, 분리벨트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롤러의 회전시 분리벨트의 한 부분만이 계속 접촉되어 분리벨트가 쉽게 마모되어 벨트의 수명이 짧고, 분리성능이 저하되며, 원고가 분리롤러와 분리벨트로 진입하기 전에 분리롤러와 분리벨트가 마찰력을 일으킴으로서 동력제공수단인 모터에 불필요하게 큰 부하가 걸리게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벨트걸이 고정롤러(44)와 벨트걸이 회전롤러(45)를 환형의 분리용 평벨트(46)로 연결하여 상기 분리 벨트(46)가 분리롤러(23)에 접촉되도록 한후 상기 벨트걸이 회전롤러(45)에 스프링걸이 회전축(45a)을 연결하고, 상기 스프링 걸이 회전축(45a)의 양단에 회전축 지지부(51)를 끼워설치하고 상기 회전축 지지부(51)를 회전부 브라켓(50)의 장공홀에 삽입하여 상기 벨트걸이 회전롤러(3)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벨트걸이 고정롤러(44)를 사각축(44a)을 이용하여 고정부 브라켓(49)의 사각 홀에 삽입함으로써 벨트걸이 고정롤러(2)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스프링걸이 회전축(45a)에 스프링(47)의 일측을 연결하고 다른 한쪽을 각각 상측커버(53)에 고정시켜 상기 분리벨트(46)가 분리롤러(23)에 적절한 장력으로 밀착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마찰계수가 큰 분리롤러(23)와 상기 분리롤러에 의해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분리벨트(46)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이 상기 벨트걸이 고정롤러(44)와 분리벨트(46)의 마찰력, 상기 벨트걸이 회전롤러(45)와 분리벨트(46)의 마찰력, 및 상기 양쪽단의 회전축 지지부(51)와 회전부 브라켓(50)의 마찰력의 합보다 크도록 형성시켜, 원고가 물려있지 않는 상태에서 분리롤러(23)를 회전시키면 분리벨트(46)가 벨트걸이 회전롤러(45)와 함께 회전하고, 원고가 이송되어 분리롤러(23)와 분리벨트(46)에 물려있는 경우에는 분리롤러(23)가 분리벨트(46)를 회전시키려는 마찰력이 저하되어 분리벨트(46)는 회전하지 않게되고 원고만이 이송하게 된다. 즉, 분리롤러(23)와 원고의 마찰력이 분리벨트(46)와 원고의 마차력보다 크기 때문에 분리롤러(23)가 회전하게 되면 원고만이 이송될뿐 분리벨트(46)는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원고가 2매 이상 물려있을 경우에는 분리벨트(46)는 회전하지 않게 되고 원고와 분리벨트(46)와의 마찰력이 원고와 원고의 마찰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분리롤러와 맞닿은 원고만이 분리되어 급지된다. 결국 분리벨트(46)는 원고가 이송되지 않을때는 회전하게 되고, 원고가 이송될때는 회전하지 않게 되어 마찰에 의한 마모가 분리벨트(46) 전 표면에 고루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롤러(23)와 분리벨트(46)를 오래 사용할 경우 상기 분리롤러(23)와 분리벨트(46)가 마모되어 마찰력이 감쇄되기 때문에 상기 분리롤러(23)의 원고 분리능력 및 이송능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스프링걸이 회전축(45a)과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상측커버(53) 간을 스프링(47)으로 연결구성함으로서 상기 분리벨트(46)가 항상 적절한 장력을 갖고 분리롤러(23)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의 원고분리를 위한 구성의 사용수명을 극대화시킨다.
이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본다. 복사기로 부터 복사 시작신호와 급지하라는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분리롤러 구동축(S2)에 설치된 전자클러치(39)가 일정시간동안 ON되어 그 시간동안만 복사할 원고의 분리급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레지스트 롤러(24), 반송롤러(26), 반송중간롤러(28), 반송종동롤러(30) 및 배지롤러(30)가 계속적으로 회전하여 일단 원고의 급지가 일어나면, 계속적인 정방향으로의 원고의 이송이 수행된다.
이때 원고크기 검지부(33)의 인코더(33b)와 광센서(33c)는 원고의 시작단이 검지된 때부터 끝단이 검지되는 시간동안에 발생되는 펄스신호의 수를 카운트 함으로써 원고의 규격을 검지하게 된다. 이는 원고의 연속복사시 소요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고의 급지가 수행되는 일부시간대에서 급지 및 배지동작을 동시에 수행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반송롤러(26)의 회전으로 복사기 유리원고대(36)상에 이송된 원고의 위치가 정확한 복사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바로 잡기 위해 상기 모터(20)를 역회전시켜 반송벨트(27)가 원고를 역방향 이동시켜 복사기준위치에 원고의 후단이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한다. 즉, 이송된 원고가 역회전에 의해 후진되어 복사기 상면의 원고스캐일에 닿아 복사화상의 스큐(SKEW)등이 조정된다.
상기의 원고의 후진동작 중에는 일방향 클러치 기어(G3)의 공회전으로 급지롤러(23)에는 상기의 역회전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원고가 세트되고 나면, 곧이어 복사동작이 수행된다. 그리고, 배지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복사된 원고의 배지를 수행하는데, 단위 시간당 복사 매수를 최대로 하기 위해 연속복사를 위해 급지되는 원고길이를 고려하여 일정시간 동안은 배지동작만을 수행하고 나머지 시간 동안은 급지 및 배지동작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러나, 급지원고대(21)에 더이상 복사할 원고가 없으면 원고를 완전히 배지하여 본 발명의 자동급지동작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행에서는, 특히 하나의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받는 동력으로 급지 및 배지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시간대가 존재하는 것을 염두하여 유리원고대(36) 상에 복사할 원고가 도착했을 때는 바로 전에 복사를 마친 원고는 완전히 배지되어 원고의 정확한 세팅을 위한 후진동작이 이루어지더라도 배지되는 원고가 다시 역진되어 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최적의 시간대를 할당하여, 효율적으로 연속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 8 도는 본 발명에서 원고의 정확한 세트를 위해 후진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로서, 도면에서 71은 원고를, 72는 원고 스캐일을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고반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원고가 복사기준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송되는 원고를 세트할 위치보다 조금더 이송시킨 후, 소정시간동안 상기 모터(20)를 역회전시켜 상기의 이송된 원고(71)가 원고스캐일(72)에 맞닿을 때까지 역진(L)되어 복사기준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자동 원고급지 장치가 다수의 원고를 연속하여 급지하는 경우의 일실시예 타이밍 다이아그램으로서, 도면에서 t1은 전자클러치(39)가 ON되어 분리롤러(23)가 구동되는 구간을, t2는 급지되는 원고의 시작단이 원고크기검지부(33)의 레지스트 센서(33a)를 통과한 후부터 그 끝단이 검지될 때 까지의 구간을, t3는 복사기의 복사기준 위치와 원고의 후단을 일치시키기 위해 원고를 후진시키는 구간을, t4는 복사기가 복사를 수행하는 구간을, t5는 복사된 원고의 배지동작만 수행하는 구간을, t6은 배지 및 급지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간인데 동일 규격의 원고가 계속 급지될 경우 이 구간은 상기 t2 구간과 동일하다.
특히, 바로 다음에 복사될 원고가 급지 및 이송된 후 원고의 후진이 일어나기 전까지 복사완료된 현재의 원고가 완전히 배지되어야 하므로 상기 원고크기검지부(33)를 통해 판단한 원고의 규격별로 상기의 배지동작만 수행되는 구간(t5)의 시간대를 조절하여 상기의 전체동작에 요구되는 소요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동력제공원인 하나의 모터만으로 원고급지, 반송, 및 배지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서 제작경비를 크게 절감시키고, 복사기의 유리원고대상에 이송된 원고가 정확하게 세트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를 도모하고, 분리벨트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채용하여 분리성능을 증대시키고 원고급지부의 사용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복사기에 장착되어 복사할 원고를 자동으로 급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사할 원고을 쌓아두는 급지원고 적재수단(21); 원고의 급지, 반송 및 배지동작에 필요한 모든 동력을 제공하되 정,역회전 기능을 갖는 단일의 동력제공수단(20); 상기 동력제공수단의 정회전 동력만을 일방향클러치 기어(G3)를 통해 전달받고, 전자클러치(39)를 채용하여 상기 정회전 동력을 부분적으로 이용하여 복사할 원고의 분리 및 급지를 수행하는 원고급지수단; 상기 동력제공수단의 정,역회전 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되 상기 정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급지된 원고를 이송하고, 상기 역회전 동력을 이용하여 이송된 원고를 복사위치에 정확히 세트시키는 원고반송수단; 상기 원고반송수단을 통해 상기 동력제공수단으로 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복사완료된 원고를 배지하는 원고배지수단; 및 상기 급지원고 적재수단의 아랫쪽에 형성되되 상기 원고배지수단으로부터 배치된 원고가 차례로 쌓이도록 배출위치보다 깊게 형성한 배지원고 적재수단(38);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원고 적재수단의 아랫쪽면에 부착되어 원고배지시 상기 원고배지수단의 빠른 배출속도에 기인한 배출원고의 날림을 방지하고 안정되게 적재되도록 하는 배지원고 정착용 체인(54)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원고 적재수단의 아랫쪽면에 부착되어 원고배지시 상기 원고배지수단의 빠른 배출속도에 기인한 배출원고의 날림을 방지하고 안정되게 적재되도록 하는 배지원고 정착용 마일라 편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급지수단은 동력제공수단(20)의 정회전 동력만을 제공받도록 된 일방향클러치기어(G3); 상기 일방향크러치 기어에 맞물린 아이들기어(G6); 상기 아이들기어로부터 자신의 기어(G5)를 통해 동력제공수단의 정회전동력을 전달받고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전달받은 동력을 분리롤러 구동축(S2)에 제공하는 전자클러치(39); 상기 아이들기어로부터 동력제공수단의 정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계속적으로 회전하는 전자클러치기어(G5)에 맞물려 있어 전달되는 상기 정회전 동력전부를 레지스트 롤러구동축(S1)에 제공하는 레지스트 롤러 구동기어(G4); 상기의 전자클러치(39)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S2)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전자클러치가 작동될때에만 회전되는 분리롤러(23); 상기 레지스트 롤러 구동축(S1)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공수단이 정회전하는 동안 계속 회전되어 급지되는 원고를 원고반송수단측으로 보내주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레지스트 롤러(24); 상기 분리롤러 구동축(S2)에 설치되되 상기 축에 끼워지는 롤러내경을 축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이상의 레지스트 롤러(24)와 맞물려 헛돌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레지스트종돌롤러(29); 상기 분리롤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며 반달모양으로 형성되어 평면의 원고접촉면을 갖는 픽업롤러(25); 급지할 원고가 상기 급지원고 적재수단(21) 위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원고유무 검지센서(42); 및 급지되는 원고의 크기를 검지하는 원고 크기 검지수단(33);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급지수단은 상기 분리롤러(23)에 접촉되면 큰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고, 급지되는 원고와의 접촉시에는 마찰력이 급격히 감소되어 회전하지 않는 분리벨트(46); 상기 분리벨트(46)가 소정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그 일측에서 회전되지 않는 고정상태로 지지하는 벨트걸이 고정롤러(44); 상기 분리벨트(46)가 소정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그 타측에서 회전되면서 지지하는 벨트걸이 회전롤러(45); 상기 벨트걸이 고정롤러(44)를 지지하는 제1브라켓(49); 상기 벨트걸이 회전롤러(45)를 지지하며 상기 분리벨트의 장력조절을 위한 장공을 구비하고 있는 제2브라켓(50); 상기 벨트걸이 회전롤러 양쪽의 회전축(45a)에 각각 끼워설치된 후 상기 제2브라켓(50)의 장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벨트걸이 회전롤러(3)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 지지수단(51); 및 상기 벨트걸이 회전롤러 양쪽의 회전축(45a)에 각각 그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각각 상측커버(53)에 고정시켜 상기 분리벨트(46)가 분리롤러(23)에 적절한 장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스프링(47); 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급지수단의 마찰계수가 큰 분리롤러(23)와 상기 분리롤러에 비해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분리벨트(46)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은 상기 벨트걸이 고정롤러(44)와 분리벨트(46)의 마찰력, 상기 벨트걸이 회전롤러(45)와 분리벨트(46)의 마찰력, 및 상기 양쪽단의 회전축 지지수단(51)과 제2브라켓(50) 장공홀의 접촉면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반송수단은 롤러들에 의해 회전되어 원고를 이송하는 반송벨트(27); 상기 동력제공수단의 정,역회전 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는 반송롤러 구동축(S3)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벨트를 정,역회전시키는 반송롤러(26); 반송종동롤러 구동축(S7)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반송롤러와 함께 반송벨트를 지지 및 회전시키는 반송종동롤러(30); 및 상기 두 구동축(S3,S7)사이에 원고의 이송효률을 고려하여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중간축(S4,S5,S6)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송중간롤러(28);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크기 검지수단(33)은 상기 반송롤러 구동축(S3) 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반송롤러(26)와 연동하여 회전되며 수많은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인코더(33b); 상기 인코더의 회전되는 슬릿 수를 감지하는 광센서(33c); 및 상기 분리롤러(23)의 후단에 위치하여 급지되는 원고의 시작단과 끝단을 감지하는 레지스트센서(33a);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급지수단은 상기 반원형 픽업롤러(25)와 같이 회전되도록 동일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픽업롤러(25) 평면원고접촉면과 동일위치의 원판상에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인코더(52a) 및 상기 인코더의 슬릿위치를 검출하는 광센서(52b)로 구성되는 픽업롤러 상태검출 수단(52)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배지수단은 배지롤러 구동축(S8)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풀리(P4)와 상기 반송종동롤러 구동축(S7)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풀리(P3) 간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제공수단(20)으로 부터의 회전력을 반송종동롤러 구동축(S7)으로 전달받는 배지롤러 구동벨트(43); 상기 배지롤러 구동축(S8)에 설치되되 상기 원고급지수단 및 원고반송수단의 각 구동부 롤러보다 그 직경이 충분히 큰 배지롤러(31); 및 상기 배지롤러에 맞닿아 회전되는 배지종동롤러(3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급지 장치.
KR1019920011885A 1991-07-05 1992-07-03 자동 원고급지 장치 KR940010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885A KR940010604B1 (ko) 1991-07-05 1992-07-03 자동 원고급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1-11418 1991-07-05
KR910011418 1991-07-05
KR1019920011885A KR940010604B1 (ko) 1991-07-05 1992-07-03 자동 원고급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891A KR930002891A (ko) 1993-02-23
KR940010604B1 true KR940010604B1 (ko) 1994-10-24

Family

ID=6729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885A KR940010604B1 (ko) 1991-07-05 1992-07-03 자동 원고급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06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891A (ko) 199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865A (en) Document feeder for image-forming apparatus and image-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441767B2 (en) Sheet feeder with stacking member lifted by planetary gear system
KR100412508B1 (ko) 양면인쇄장치
JPH11193141A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US5401012A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side by side document feeding capability
JP3149605B2 (ja) 画像形成装置
KR940010604B1 (ko) 자동 원고급지 장치
US5332205A (en) Automatic document feeders for copying machine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uch
JPH05316303A (ja) 画像読取装置
JPS62101946A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の駆動装置
JP3816283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H0132133B2 (ko)
JPH0712353Y2 (ja) シート搬送装置
KR940002126B1 (ko) 자동 원고급지 장치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S6222515Y2 (ko)
JP3262556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2784675B2 (ja) 原稿自動送り装置
JP2572780Y2 (ja) 原稿搬送装置
KR100449092B1 (ko) 용지 중간계류/반전부를 갖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JPH10120231A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の駆動装置
JP4392965B2 (ja) シート材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24693A (ja) シート送り装置
JPH053235U (ja) 原稿搬送装置
JPS63189330A (ja) 原稿搬送装置
JPH052750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