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663B1 -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663B1
KR940001663B1 KR1019910004305A KR910004305A KR940001663B1 KR 940001663 B1 KR940001663 B1 KR 940001663B1 KR 1019910004305 A KR1019910004305 A KR 1019910004305A KR 910004305 A KR910004305 A KR 910004305A KR 940001663 B1 KR940001663 B1 KR 940001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nector
support
small electronic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270A (ko
Inventor
가투마루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1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증설장치가 접속되는 랩톱형 퍼스널 컴퓨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바,
제1도는 상기 컴퓨터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컴퓨터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스탠드를 수납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컴퓨터를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측면도.
제4도는 스탠드를 반송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컴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제5도는 스탠드를 경사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컴퓨터를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측면도.
제6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증설장치를 나타내는 바,
제6도는 상기 장치 전체를 나타내느 사시도.
제7도는 퍼스널 컴퓨터를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장치측 코넥터 및 조작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9도는 코넥터를 제1의 위치를 이동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기구의 저면도.
제10도는 코넥터를 제2의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기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자체 2 : 키보드
3 : 디스플레이유닛서 4 : 확장코넥터
4a : 너트 6 : 프린터접속용 코넥터
7 : 전원소켓 8 : 안내공
9 : 전지팩 12 : 스탠드
14 : 다리 16 : 연결부
20 :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 22 : 장치본체
24 : 지지대 28 : 확장요드
본 발명은 랩톱형의 퍼스널 컴퓨터나 워드 프로세서 등의 휴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접속되어 그 기기의 기능을 확장하는 증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랩톱형 퍼스널 컴퓨터나 북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가능한 소형 전자기기는 반송의 용이성, 스페이스의 유효한 활동이라는 잇점 때문에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전자기기는, 그 크기가 제약되기 때문에 전자기기로서 작동하는 최소한의 기능만 갖추고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가 지니는 기능 이외의 기능을 필요로할 경우에는 추가의 기능을 지니는 증설장치, 예컨대 프린터, 외부 플로피 디스크 장치들을 접속 케이블 등을 통하여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것이 보편화 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증설장치로서, 예컨대 미합중국 특허 제4,788,658호 및 제4,769,76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소형 전자기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수납타입의 증설장치나, 일본국 실공소 53-2905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소형 전자기기의 배면에 접속되는 접속타입의 증설장치가 알려져 있다.
수납타입의 증설장치는 수납 요(凹) 소를 가지고 소형 전자기기는 이 수납요소에 그 진단이 증설 장치의 전면이 동일면이 된 상태에서 증설장치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장치에 있어서는 전자기기를 수납요소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전기기기와 증설장치와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이 쉽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증설장치에 대한 전자기기의 전후방향의 기계적 고정은 전자기기의 코넥터와 증설장치의 코넥터와의 접속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 때문에 전자기기에 어떤 외력이 작용할 경우, 전자기기가 증설장치에서 쉽게 이탈해 버리는 위험성이 높다. 증설장치 및 전자기기의 작동중에 부주의하게 이들 연결이 해제된 경우 이들 기기의 작동 에러가 발생하고, 처리중의 데이터의 파괴 혹은 이들의 기기 자신의 고장등의 원인이 된다. 전자기기와 증설장치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 결합이 작동중에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코넥터 끼리의 연결을 견고히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증설장치의 사용후, 전자기기를 장치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귀찮게 된다. 또 이 타입의 증설장치는 수납요소에 전자기기 전체를 수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장치 자신이 비교적 대형이고 큰 설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하여 접속 타입의 증설장치는 전자기기의 안내공에 삽입되는 안내핀과 장치를 전자기기에 연결하기 위한 나사고정기구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 장치를 전자기기에 접속할 경우에는, 먼저 안내핀이 전자기기의 안내공과 합치하는 상태로, 증설장치가 전자기기의 배면측에 위치 합치된다. 이 상태로 안내핀이 안내공내로 삽입되도록 증설장치가 전자기기 측으로 이동되고, 계속해서 나사에 의하여 장치와 전자기기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기계적 연결 종료후 증설장치의 코넥터가 전자기기의 코넥터에 접속되고 장치와 전자기기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런 종류의 증설장치는, 나사공정에 의하여 전자기기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동중에 이들의 기계적 연결이 부주의하게 해제되는 일은 거의 없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즐설장치는, 상술한 수납타입의 장치와 비교하여 연결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다. 또 기계적 연결시, 안내핀을 전자기기의 안내공에 위치 합치할 필요가 있고, 작업이 귀찮게 된다. 또 나사고정 구조이기 때문에 한층 연결 및 이탈 작업이 성가시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소형 전자기기에 대한 기계적 연결 및 이탈작업을 쉽게 행할수 있는 동시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연결이 해제되지 않는 간단한 구성의 증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증설장치는 소형 전자기기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수단을 내장한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고 소형 전자기기의 후부가 얹어놓아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지지부에 얹어놓인 소형 전자기기의 스탠드와 계합하여 장치본체에 대하여 소형 전자기기를 위치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확장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위치결정 수단에 의하여 위치결정된 소형 전자기기의 코넥터에 접속가능한 제1의 위치와 상기 코넥터에 이간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장치측 커넥터와, 상기 장치측 코넥터를 제1의 위치와 제2의 위치 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장치에 의하면, 소형 전자기기의 후부를 지지부에 얹어놓은 것만으로써 전자기기의 다리부가 위치결정 수단에 계합하고 전자기기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서 장치본체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수단에 의하여 장치측 코넥터가 제1의 위치로 이동되고 전자기의 코넥터에 접속되면 전자기기와 확장수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동시에 전자기기와 증설장치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전자기기를 증설장치에서 떼내는데는 이동수단에 의하여 접속측 코넥터를 전자기기의 코넥터에서 이간하는 제2의 위치로 이동한후 전자기기를 지지부로부터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증설장치가 접속되는 랩톱형 퍼스널 컴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퍼스널 컴퓨터는 상자체(1)를 구비하는데, 이 상자체는 평면현상이 장방형을 이루는 얇은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자체(1)의 앞부상면에는 키보드(2)가 장치되어 있다. 키보드(2)의 후방에는 플렛 페널형의 디스플레이 유닛(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유닛(3)은 상자체(1)에 대하여 키보드(2)를 상방으로부터 덮어씌우는 폐쇄위치와, 이 키보드(2)의 후방에 있어서 기립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3)을 폐쇄위치로 회동시킨때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 유닛(3)의 이면이 상자체(1)의 상면에 한면으로 연속하도록 되어 있다.
상자체(1)의 배면에는 확장 코넥터(4), RGB 코넥터(5), 프린터 접속용 코넥터(6), 기타의 코넥터 및 전 원소켓(7)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코넥터 및 전원소켓(7)은 상자체(1)안에 설치된 도시생략한 구동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코넥터(4)는 그 양측에 위치한 한쌍의 너트(4a)에 의하여 상자체(1)에 고정되어 있고, 각 너트의 나사공은 후술하는 안내공(8)을 구성하고 있다.
상자체(1)의 후부의 상부에는 한쌍의 전지팩(10)이 뗄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원소켓(7)을 통하여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들 전지팩(10)에 의하여 소정시간 컴퓨터를 작동시킬수 있다.
또, 상자체(1)의 후면에는 컴퓨터를 휴대할때의 핸들을 겸한 스탠드(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탠드(12)는 한쌍의 평행한 다리(14)와 이들 다리의 단부를 서로 연결한 연결부(16)를 가지고 있다. 다리(14)는 상자체(1)의 후부 양측부에 회동자재이고, 또 다리의 길이방향에 따라 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탠드(12)는 제3도에 도시한 수납위치와 제4도에 도시한 반송위치와, 제5도에 도시한 경사위치로 세트 가능하게 되어있다. 수납위치에 있어서 다리(14)는 그 전체가 상자체(1)내에 밀어들어가고 연결부(16)는 상자체(1)의 배면 동일면에 위치하여 코넥터(4), (5), (6)를 덮고 있다. 스탠드(12)를 핸들로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스탠드는 수납위치에서 반송위치까지 상자체(1)의 후방으로 인출된다. 또 스탠드(12)는 반송 위치에서 하방으로 약 90도 회동한후, 다리(14)의 기단부를 상자체(1)안으로 밀어넣음으로써 경사위치에 세트된다. 경사위치에 있어서 각 다리(14)는 상자체(1)의 바닥에서 하방으로 대략 직각으로 뻗고, 연결부(16)는 상자체의 바닥면과 대향하고 있다. 이 위치에 있어서 스탠드(12)는 회동 불능하게 된다. 그리고 스탠드(12)가 경사위치에 세트된 상태에서 컴퓨터를 책상위에 얹어놓음으로써 키보드(2)를 전방으로 경사시킬수 있다.
연결부(16)의 저면 양단부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장방형 돌기(1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기(18)는 스탠드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또, 제1도, 제3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 참조부호(20)는 상자체(1)에 설치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컴퓨터에 접속되는 증설장치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방체 형상의 장치본체(22)를 갖추고 있다. 본체(22)의 앞벽(22a)의 하부에는, 컴퓨터의 후부가 얹히는 지지대(24)가 형성되고 본체에서 전방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본체(22)안에는 컴퓨터의 기능을 확장하는 부품인 확장용 메모리보드, 통신보드 등의 복수의 확장보드(28)가 수납되어 있다. 본체(22)에 수납되는 확장부품은, 상기 확장보드에 한하지 않고,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프린터 등이라도 좋다. 또 DC 구동되는 컴퓨터에 D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22)안에는, 전원 플러그(26)를 통하여 입력된 상용 AC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도시생략한 AC/DC 변환기가 수납되어 있다. 변환기에는 선단에 접속 플러그를 지니는 DC 케이블(28)이 접속되고, 이 케이블은 본체(22)의 앞벽(22a)을 통하여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증설장치에 연속된 컴퓨터의 전원소켓(7)에 접속 플러그를 접속함으로써, DC 전원을 컴퓨터에 공급할수 있다.
지지대(24)는 전방으로 경사한 상면(30)을 가지고, 이 상면에는 지지대는 얹힌 컴퓨터를 장치본체(22)에 대하여 위치결정하기 위한 감합홈(32)이 형성되어 있다. 감합홈(32)은 앞벽(22a)과 평행으로 뻗어있는 동시에 컴퓨터의 스태드(12)의 연결부(16)의 폭 및 길이와 거의 같은 폭 및 길이를 가지고 있다. 감합홈(32)에 스탠드(12)의 연결부(16)를 끼워맞출수 있다. 홈(32)의 바닥면의 양단부에는 스탠드(12)의 돌기(20)를 수용하기 위한 요소(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대(24)의 상면(30)에는, 감합홈(32)에 대하여 직각으로 뻗는 한쌍의 안내홈(36)이 형성되어 있다. 각 안내홈(36)의 일단은 지지대(24)의 전면에 개구하고 타단은 대응하는 요소(34)의 근방에서 감합홈(32)에 연통하고 있다.
증설장치를 컴퓨터에 접속할때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탠드(12)가 경사위치에 세트된 상태의 컴퓨터의 후부가 지지대(4) 상에 얹히고, 스탠드의 연결부(16)가 감합홈(32)에 끼워맞추어진다. 이때 스탠드(12)는 안내홈(36)에 의하여 돌기(20)를 안내함으로써 감합홈(32)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돌기(20)는 대응하는 요소(34)에 수납된다. 감합홈(32)에 감합된 상태에서 있어서 스탠드(12)는 감합홈에 의하여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그 결과 컴퓨터는 장치본체(22)에 대하여 소망하는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치본체(22)의 앞벽(22a)에는 장방형의 투공(38) 및 장방형의 개구(40)가 형성되어 있다. 투공(38)은 지지대(24)상에 얹힌 컴퓨터의 코넥터(6), (6)과 대향하는 위치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장치본체(22)를 관통하여 본체의 후면에 개구하고 있다. 투공(38)에는 예컨대, 디스플레이(CRT), 프린터 등의 증설장치이외의 외부기기를 컴퓨터의 코넥터(5) 혹은 (6)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이 삽통된다. 개구(40)는 지지대(24)상에 얹힌 컴퓨터의 코넥터(4)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2)안에는 개구(40)를 통하여 확장 코넥터(4)에 접속가능한 장치측의 코넥터(42)가 설치되어 있다. 코넥터(42)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기구에 의하여 개구(40)를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1의 위치와 장치본체(22)안에 수납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코넥터(42)는 본체(22)안에 수납된 확장카드(26)에 케이블(43)(제8도 참조)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드 기구(44)는 장치본체(22)안에 고정된 지지프레임 (57)을 갖추고 있다. 지지프레임(57)상에는 슬라이드판(51)이 화살표 방향으로 접동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접동방향 A는 증설장치에 연속된 컴퓨터의 경사상태에 맞추어서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하여 설정되어 있다. 코넥터(42)는 슬라이드판(51)상에 이 슬라이드판과 일체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슬라이드판에 대하여 A 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약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코넥터(42)의 양단부는 지지프레임(57)에 고정된 한쌍의 안내공(55)에 의하여 안내되고 있다. 또 슬라이드판(51)상에는 화살표 B 방향으로의 코넥터(42)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롤러(46)가 설치되고 코넥터의 구멍면에 접속하고 있다. 또 코넥터(42)의 양측에는 안내핀(19)이 설치되고 화살표 A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들 안내핀(19)은 컴퓨터의 확장코넥터(4)를 고정하고 있는 너트(4a)의 안내공(8)에 각각 삽입가능하게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프레임(57)의 바닥벽에는 제1 및 제2의 안내슬릿(61), (62)이 형성되고 화살표 A 방향으로 정렬하여 뻗고 있다. 제1의 슬릿(61)에는 슬라이드판(51)에 고정된 이동핀(63)이 접동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또 제2의 슬릿(82)에는 슬라이드판(51)에 고정되어 이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의 가이드핀(55)이 접동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슬라이드판(51)에는 화살표 A 방향으로 뻗는 서로 평행한 한쌍의 제3의 안내슬릿(7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73)에는 지지프레임(57)의 바닥면 상면에 돌설된 한쌍의 제1의 안내핀(75)이 각각 접동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판(51)의 접동은 제1 및 제2의 안내핀(75), (65)에 의하여 안내된다.
지지프레임(57)의 바닥면에는 추축이 돌설되고 이 추축에 의하여 회동아암(53)의 중간부가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아암(53)의 일단부에는 이동핀(63)이 삽입된 장방형의 구멍(69)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동핀을 화살표 C 방향으로 압압하는 판 스프링(71)이 부착되어 있다. 이동판을 화살표 C 방향으로 압압하는 판스프링(71)이 부착되어 있다. 아암(53)의 타단은 장치본체(22)의 측벽 근방까지 뻗고, 이 측벽에 슬라이드 자재로 설치된 제1의 조작손잡이(47)(제6도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22)의 외방에서 조작손잡이(47)를 통하여 아암(53)을 회동시킬수 있다.
제8도는 코넥터(42)가 제2의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회동아암(53)이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되면 이동핀(63)을 통하여 슬라이드판(51)이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되고 코넥터(42)는 제9도에 도시한 제1위치로 이동된다. 반대로 아암(53)이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되면 코넥터(42)는 제1의 위치에서 제2의 위치로 이동된다.
장치본체내에는 회동아암(53)을 로크하는 로크기구(80) 가 설치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크기구(80)는 대략 U자 형상의 로크판(82)을 지니고, 이 로크판은 회동아암(53)과 대략 지교하는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이 로크판(82)은 아암(53)의 선단부를 넘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 로크판(82)은 아암(53)에 향해서 돌출한 게지돌기(84)와 게지돌기의 양측에 위치한 제1 및 제2의 게지요소(85a), (85b)를 지니고 있다. 로크판(82)은 로크판과 본체(22)와의 사이에 가설된 한쌍의 압축 스프링(86)에 의하여 로크위치를 향해서 즉 아암(53)을 향해서 힘을 더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확장코넥터(42)가 제2의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아암(53)은 그 선단부는 로크판(82)의 제2의 감합요소(85b)에 감합되고, 로크판에 의하여 회동이 규제된다. 그것에 의하여 코넥터(42)는 제2의 위치에 로크된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확장 코넥터(42)가 제1의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아암(53)은 그 선단부는 로크판(82)의 제1의 감합요소(85a)에 감합되고, 로크판에 의하여 회동이 규제된다. 그것에 의하여, 코넥터(42)는 제1의 위치에 로크된다.
로크판(82)은 장치본체(22)의 측벽을 향해서 돌출한 돌기(867)를 지니고, 이 돌기는 측벽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 설치된 제2의 조작손잡이(88)(제6도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22)의 외방에서 조작 손잡이(88)를 통하여 로크판(82)을 상방으로, 즉, 로크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로크 해제 위치에 있어서 로크판(82)은 회동아암(53)에서 이간하고 그 결과 아암의 회동, 혹은 코넥터(42)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증설장치에 컴퓨터를 부착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핸들 겸용의 스탠드(16)가 경사위치에 세트된 상태에서 먼저 오퍼레이터는 DC 케이블(28)을 컴퓨터의 전원 소켓에 접속한다. 컴퓨터에는 전지팩(10)이 설치되어 있으나, 확장 장치에 수납되는 기능 확장용의 부품중에는 소비전력이 커서 전지팩(10)의 용량을 단시간에 소비해 버리는 것이었다. 이로 인하여 확장장치를 사용할때는 AD/DC 변환기에는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컴퓨터내에는 확장 코넥터(4)가 장치측의 코넥터(42)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 D/C 케이블(28)이 전원 소켓에 접속되지 않으면 컴퓨터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회로가 설치된다.
케이블(28)이 소켓(7)에 접속된후 오퍼레이터는 스탠드(16)를 지지대(24)의 전단부에 얹어 놓는다. 이때, 스탠드(16)는 돌기(18)가 지지대(24)의 안내홈(36)과 감합 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컴퓨터를 장치본체(22)측으로 누르면 스탠드(16)는 안내홈(36)에 의하여 감합홈(32)까지 안내되어 감합홈안에 감합한다. 이때 스탠드(16)의 돌기(18)는 요소(34)안에 수납된다. 스탠드(16)가 감합홈(32)안에 감합됨으로써, 컴퓨터는 전후 및 좌우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증설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로 위치결정된다.
이상태에서 오퍼레이터는 제2의 조작손잡이(88)를 조작하여 로크기구(80)에 의한 회동아암(53)의 로크를 해제한 후, 제1의 조작손잡이(47)를 조작하여 장치측의 코넥터(42)를 제1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코넥터(42)는 컴퓨터의 확장 코넥터(4)에 접속된다. 이때 코넥터(42)의 안내핀(19)은 컴퓨터측의 안내공(8)에 삽입되고, 코넥터(42)를 코넥터(4)에 대하여 위치맞추도록 작용한다. 또 코넥터(42)가 제1의 위치로 이동된 후, 제2의 조작손잡이(88)가 떨어지면, 로크기구(80)에 의하여 회동아암(53)의 회동이 규제되고, 코넥터(42)는 제1의 위치에 로크된다. 그리고 코넥터(42), (4)의 결합에 의하여 컴퓨터와 증설장치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이들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 코넥터(42), (4)끼리의 결합은, 컴퓨터와 증설장치와의 기계적 결합에도 이바지한다.
또한 증설장치에서 컴퓨터를 떼어낼때에는 상술한 수순과 반대의 수순으로 각 조작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증설장치에 의하면 컴퓨터의 스탠드(16)를 지지대(4)의 감합홈(32)에 끼워 맞추는것만으로 컴퓨터를 전후 좌우로 이동 불능한 상태로 증설장치에 위치결정할수 있다. 그 때문에 컴퓨터를 증설장치에 쉽고도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꼭같이 쉽게 증설장치에서 떼어낼 수 있다. 또 장치본체의 지지부에 스탠드에 적합한 홈을 설치하는 것뿐인 간단한 구성이고 증설장치의 간소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증설장치는 장치측의 코넥터를 소정의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기구(80)를 갖추고 있으므로 코넥터의 부주의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수 있고, 증설 장치와 컴퓨터와의 접속상태를 한층 확실하게 유지할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스탠드가 연결부를 갖지 않는 한쌍의 다리로 구성되어 있는 소형 전자기기에 대해서도 본원의 증설장치를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수 있다. 본원 증설장치는 랩톱형의 퍼스널 컴퓨터에 한하지 않고, 스탠드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워드 프로세서와 같은 다른 소형 전자기기에도 적응할수 있다.

Claims (9)

  1. 후면에 확작용 코넥터를 갖는 상자체와, 상기 상자체의 후부에 설치되어 상자체를 경사지게 하기 위한 스탠드를 구비한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형 전자기기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수단을 내장한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되고 소형 전자기기의 후부가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지지부에 얹혀진 소형 전자기기의 스탠드와 걸어 맞추어서 장치본체에 대하여 소형 전자기기를 위치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확장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위치 결정수단에 의하여 위치결정된 소형 전자기기의 코넥터에 접속가능한 제1위치와, 상기 코넥터에서 분리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장치측 코넥터와; 상기 장치측 코넥터를 제1의 위치와 제2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얹혀진 상기 소형 전자기기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지지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가 감합하는 감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면에 상기 스탠드를 상기 감합홈으로 안내하는 안내홈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지지부에 얹혀진 전자기기의 후면과 대향하는 앞벽과, 상기 앞벽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얹혀진 전자기기의 상기 확장코넥터와 대향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측 코넥터를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의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장치본체내에 설치된 상기 장치측 코넥터를 상기 제1의 위치와 제2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접동 자재로 지지한 지지체와, 상기 장치측 코넥터와 접속된 접속부와 상기 장치본체의 외방에서 조작가능한 조작 단부를 갖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는데, 상기 조잡부재는 상기 장치측 코넥터를 상기 제1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의 작동위치와 장치측 코넥터를 상기 제2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의 작동위치와의 사이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를 제1 및 제2의 작동위치에 로크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은 로크위치와 로크해제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한 로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로크부재는 상기 로크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작동위치에 위치한 조작부재와 같이 맞추는 제1의 계합부와, 상기 로크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작동위치에 위치한 조작부재와 계합하는 제2의 계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8. 후면에 확장용 코넥터를 지니는 상자체와, 상기 상자체의 후부에 설치된 스탠드를 구비하는데, 상기 스탠드는 상기 상자체의 바닥면에서 돌출한 한쌍의 평행한 다리와, 이들 다리의 돌출단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상자체의 바닥면과 대향한 연결부를 갖는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형 전자기기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수단을 내장한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소형 전자기기의 후부가 얹혀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지지부에 얹혀진 소형전자기기의 스탠드의 연결부와 계합하여 장치본체에 대하여 소형 전자기기를 위치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확장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위치결정수단에 의하여 위치결정된 소형 전자기기의 코넥터에 접속가능한 제1의 위치와 상기 코넥터에서 분리되는 제2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장치측 코넥터와; 상기 장치측 코넥터를 제1의 위치와 제2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눈 얹혀진 상기 소형 전자기기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지지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의 연결부가 감합하는 감합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KR1019910004305A 1990-03-20 1991-03-19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KR940001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68239A JPH03269608A (ja) 1990-03-20 1990-03-20 携帯型コンピュータの拡張ユニット
JP02-068239 1990-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270A KR910017270A (ko) 1991-11-05
KR940001663B1 true KR940001663B1 (ko) 1994-02-28

Family

ID=1336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305A KR940001663B1 (ko) 1990-03-20 1991-03-19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75671A (ko)
EP (1) EP0448053A3 (ko)
JP (1) JPH03269608A (ko)
KR (1) KR9400016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4686A (en) * 1990-10-15 1995-01-2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Expansion base and system for portable computers with monitor support
DE4210526A1 (de) * 1991-04-25 1992-10-29 Abb Patent Gmbh Vorrichtung zur uebertragung von daten
KR950005150B1 (ko) * 1992-03-23 1995-05-18 조명언 휴대용 tv 겸용 영상모니터장치
WO1994000808A1 (en) * 1992-06-19 1994-01-06 Toshiba (Australia) Pty. Limited Computer interface
US5323291A (en) * 1992-10-15 1994-06-21 Apple Computer, Inc. Portable computer and docking station having an electromechanical docking/undocking mechanism and a plurality of cooperatively interacting failsafe mechanisms
US5313596A (en) * 1993-01-05 1994-05-17 Dell Usa Lp Motorized portable computer/expansion chassis docking system
US5818182A (en) * 1993-08-13 1998-10-06 Apple Computer, Inc. Removable media ejection system
JPH087651B2 (ja) * 1993-09-07 1996-01-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携帯型コンピュータ及び携帯型コンピュータ用ドッキング装置
JP3360893B2 (ja) * 1993-09-30 2003-01-0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用拡張装置
US5592362A (en) * 1993-10-29 1997-01-07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system having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external expansion unit for expanding fun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US5477415A (en) * 1993-11-12 1995-12-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tomatic computer docking station having a motorized tray, cammed side connectors, motorized side connectors, and locking and unlocking guide pins
EP0674275B1 (en) * 1994-03-25 2000-08-09 Advanced Micro Devices, Inc.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chieving hot docking capabilities for a dockable computer system
US5598537A (en) * 1994-03-25 1997-01-28 Advanced Micro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bus to a docking safe state in a dockable computer system including a docking station and a portable computer
US5632020A (en) * 1994-03-25 1997-05-20 Advanced Micro Devices, Inc. System for docking a portable computer to a host computer without suspending processor operation by a docking agent driving the bus inactive during docking
EP0674255B1 (en) * 1994-03-25 2000-02-23 Advanced Micro Devices, Inc. Dockable computer systems
US5625829A (en) * 1994-03-25 1997-04-29 Advanced Micro Devices, Inc. Dockable computer system capable of symmetric multi-processing operations
US5488572A (en) * 1994-05-04 1996-01-30 Compaq Computer Corp. Portable computer system for docking to an expansion base unit
US5796579A (en) * 1994-05-31 1998-08-18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expansion connector covered by pivotally mounted upper and lower covers having laterally extending guide portions
US5689400A (en) * 1994-05-31 1997-11-18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pace-saving component mounting features
JP2576837B2 (ja) * 1994-06-20 1997-01-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携帯型コンピュータ用ドッキング装置
JPH0895669A (ja) * 1994-09-29 1996-04-12 Toshiba Corp 電子機器システム
CN2247830Y (zh) * 1995-11-13 1997-02-19 马希光 具嵌入式扩充装置的笔记本型电脑
SG74010A1 (en) * 1996-06-14 2000-07-18 Compaq Computer Corp Serial bus hub
JP3511810B2 (ja) * 1996-07-25 2004-03-29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の収容箱におけるレバー仮係止構造
JP3402951B2 (ja) * 1996-09-10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充電制御方法
JPH1091282A (ja) * 1996-09-10 1998-04-10 Canon Inc 電子機器装置
JPH10116133A (ja) 1996-10-11 1998-05-06 Fujitsu Ltd 携帯情報機器
JPH10124182A (ja) 1996-10-24 1998-05-15 Fujitsu Ltd 増設バッテリを装着可能な携帯型コンピュータ装置
US5822185A (en) * 1996-12-06 1998-10-13 Dell U.S.A., L.P. Ergonomic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computer
US6151218A (en) * 1998-08-21 2000-11-2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hysical security system for portable computer/port replicator
US6392880B1 (en) * 1999-04-19 2002-05-2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with removable bottom component housing
TW453620U (en) 1999-07-09 2001-09-01 Asustek Comp Inc External-connected auxiliary device of portable computer
JP4403217B2 (ja) * 2000-04-17 2010-01-27 レノボ シンガポール プライヴェート リミテッド 携帯型コンピュータ用ドッキング装置
US6594146B2 (en) * 2000-12-26 2003-07-15 Ge Medical Systems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Docking station for patient monitor or other electronic device
JP4796837B2 (ja) * 2005-12-27 2011-10-19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と支持具の連結構造およびディスプレイ
US7298611B1 (en) * 2006-06-30 2007-11-20 Carnevali Jeffrey D Portable device docking station
US8179672B2 (en) 2006-06-30 2012-05-15 National Products, Inc. Portable device docking station
US20080259556A1 (en) * 2007-04-20 2008-10-23 Tracy Mark S Modular graphics expansion system
TWI333604B (en) * 2007-05-16 2010-11-21 Inventec Corp Pressing-type pad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BRPI0704566A2 (pt) * 2007-09-18 2009-05-12 Whirlpool Sa estação de docagem para um computador
CA2656431C (en) * 2008-02-27 2015-04-14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Computer docking station for a vehicle
US8174501B2 (en) * 2008-05-06 2012-05-08 Google Inc. Computer having interlocking L-shape components
US8246372B1 (en) * 2010-05-27 2012-08-21 Williams-Pyro,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anchor mount
JP6531492B2 (ja) * 2015-05-27 2019-06-19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拡張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5332A (ko) * 1972-06-30 1974-03-06
FR2244210A1 (ko) * 1973-09-15 1975-04-11 Aviat Prazisionsmechanik
AT326201B (de) * 1973-10-05 1975-11-25 Knoblich Ges M B H Einrichtung zur elektrischen verbindung mindestens zweier leiter
JPS5177033A (ko) * 1974-12-27 1976-07-03 Fujitsu Ltd
JPS5198924A (ko) * 1975-02-26 1976-08-31
JPS5329057A (en) * 1976-08-30 1978-03-17 Nec Corp Master slave type flip flop circuit
JPS5945428B2 (ja) * 1978-01-14 1984-11-06 松下電工株式会社 塗布用ロ−ル
JPS6053959B2 (ja) * 1978-07-06 1985-11-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磁型ピツクアツプカ−トリツジ
JPS5717041A (en) * 1980-07-03 1982-01-28 Seiko Epson Corp Desk-top computer
JPS5833735A (ja) * 1981-08-24 1983-02-28 Sony Corp 電子機器装置
JPS5844647A (ja) * 1981-09-09 1983-03-15 Hitachi Ltd けい光ランプの製造方法
US4571456B1 (en) * 1982-10-18 1995-08-15 Grid Systems Corp Portable computer
US4654818A (en) * 1983-12-16 1987-03-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ata processing device having memory selectively interfacing with computer
JPS60170831A (ja) * 1984-02-15 1985-09-04 Sharp Corp 基板貼り合わせ精度の検査方法
US4659159A (en) * 1984-03-02 1987-04-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upling device for electric devices
US4680674A (en) * 1984-07-16 1987-07-14 Moore Fergus E Modular computer system with integral electronic bus
FR2584236B1 (fr) * 1985-06-26 1988-04-29 Bull Sa Procede de montage d'un circuit integre sur un support, dispositif en resultant et son application a une carte a microcircuits electroniques
US4734049A (en) * 1986-04-09 1988-03-29 Uniden Corporation Of America Mechanical latch mechanism for combination portable transceiver and charging unit
US4788658A (en) * 1986-07-03 1988-11-29 Hanebuth Charles E Apparatus for connecting computer components
US4769764A (en) * 1986-08-11 1988-09-06 Isaac Levanon Modular computer system with portable travel unit
US4893263A (en) * 1987-02-12 1990-01-09 Compaq Computer Corporation Support apparatus for portable computer expansion unit
US4858162A (en) * 1987-08-28 1989-08-15 Connect Computer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used in mounting expansion cards
US4903221A (en) * 1988-10-31 1990-02-2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Keyboard latching arrangement for portable computers
US5058045A (en) * 1990-03-09 1991-10-15 Ma Hsi K Battery and expansion slot changeable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69608A (ja) 1991-12-02
US5175671A (en) 1992-12-29
EP0448053A3 (en) 1992-09-23
KR910017270A (ko) 1991-11-05
EP0448053A2 (en)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663B1 (ko)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KR940001693B1 (ko) 소형 전자장치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장치
US4986763A (en) Contact strip-to-flex bushing connector
EP0446414B1 (en) Computer device with rotatable display and removable keyboard
US6674637B2 (en) Portable computer equipped with add-on battery
CA2015078C (en) Electronic information equipment
US4978949A (en) Locking mechanism and support legs for removable display assembly
US20060256516A1 (en)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display
JP3360893B2 (ja) 電子機器用拡張装置
WO1990011628A2 (en) Docking module
US20020050980A1 (en) Keyboard input device to be reliably connected to portable device
US5210681A (en) Expansion device for expanding functions of compact electronic apparatus
US5166893A (en) Portable apparatus having a voltage converter unit removable from a base unit having a removable display unit
JP2000029571A (ja) コンピュ―タドッキング装置
US6510057B2 (en) Computing device with a card receptacle
JP2909200B2 (ja) 小型電子機器の増設装置
JPH1153052A (ja) 接続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0430251A1 (en) Connector device having large number of connecting terminals
JPH11194852A (ja) 電子機器システム
JPH09114544A (ja) 携帯型電子機器
JPH03294917A (ja) 携帯型コンピュータの機能拡張用ステーション
JPH087478Y2 (ja) 折畳型電子機器
JPH05189086A (ja) 電子機器の機能拡張装置
JP2839572B2 (ja) 電子機器
JP2901582B2 (ja) プラグイン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