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654B1 -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654B1
KR940001654B1 KR1019870008754A KR870008754A KR940001654B1 KR 940001654 B1 KR940001654 B1 KR 940001654B1 KR 1019870008754 A KR1019870008754 A KR 1019870008754A KR 870008754 A KR870008754 A KR 870008754A KR 940001654 B1 KR940001654 B1 KR 940001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io
weight
ceramic composi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772A (ko
Inventor
스이찌 오노
마사히로 야하기
스이찌 이따가끼
노부아기 기꾸찌
Original Assignee
티이디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사또오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18693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457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4043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115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404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5849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4043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11509A/ja
Application filed by 티이디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사또오 히로시 filed Critical 티이디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72Semiconductive ceramic capac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C04B35/46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 C04B35/46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metal titanates
    • C04B35/46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metal titanates based on barium titanates
    • C04B35/468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based on alkaline earth metal titanates based on barium titanates based on BaTiO3 perovskite ph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08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x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본 발명은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특히 환원 및 재산 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동 전자 회로 소자로서 적당한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는 일반적으로 두가지 형태, 즉 계면-층형 및 표면-층형으로 분류된다. 계면-층형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에는 계면 절연형이 있으며 표면-충형 반도 전성 세라믹 축전기에는 장벽-충형 및 환원 재산화형이 있다.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 특히 환원 재산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에는 단위 면적당 용량(UF/㎠)에서의 증가가 심각한 항복 전압의 감소를 야기하여 유전손실의 증가 및/또는 온도 특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종래 기술의 전술한 결점의 측면에서 연구되어져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전기의 단위 면적당 용량이 크고 절연 내력이 크며 온도 특성이 뛰어난 반도 세라믹 축전기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전기의 절연저항과 D.C. 항복 전압이 증대되는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단위 면적당 용량이 크고 절연 내력이 크며 온도 특성이 뛰어난 환원 재산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축전기의 절연 저항과 D.C. 항복 전압이 증대되는 환원 재산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주성분인 BaTiO3및 미량 성분인 Nb와 Ce를 구성하고 있다. Nb와 Ce는 각기 Nb2O5와 CeO2베이스에서 0.2∼3.0몰5%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성분인 BaTiO3, 미량 성분인 Nb와 Ce, 그리고 첨가 성분인 Co, Mn, SiO2및 SrTiO3를 구성하는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이 또한 제공된다. Nb와 Ce는 각기 Nb2O5와 CeO2베이스에서 0.2∼3.0몰%로 존재한다. Co와 Mn은 Co3O4와 MnCO3베이스에서 각기 0.8중량% 이하 그리고 0.25%이하로 존재한다. SiO2과 SrTiO3는 0.25% 이하 그리고 0.5∼20.0중량%로 존재한다. 첨가 성분은 Co, Mn, SiO2및 CaTiO3를 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Co, Mn 및 SiO2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CaTiO3는 0.2∼15.0중량%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첨가 성분은 Co, Mn, SiO2및 Y를 구성할 수 있다. Co, Mn 및 SiO2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Y는 Y2O3베이스에서 0.1∼3.0중량%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 특히 주성분인 BaTiO3와 미량 성분인 Nb 및 Ce를 구성하는 환원 재산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에 대하여 나타낸다. 여기서 쓰이는 "미량성분"이란 주성분 보다 양이 더 적은 필수성분을 나타낸다. 미량 성분의 구성요소가 되는 Nb와 Ce는 각기 NB2O5와 CeO2베이스에서 0.2∼3.0중량%로 존재한다.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 특히 환원 및 재산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성물을 사용할때 상기 축전기의 용량과 절연 내력이 증가되며 온도 특성이 양호하게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Co3O4베이스에서 0.8중량% 이하인 Co가 포함될 수 있다. Co를 상기와 같이 첨가함으로써 축전기의 절연 저항과 D.C. 항복 전압이 증대되고 온도 특성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MnCo3베이스에서 0.25중량% 이하인 Mn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0.25중량% 이하인 SiO2가 포함될 수 있다. Mn과 SiO2의 첨가는 Co를 첨가함으로써 수득된 전술한 이점을 더욱 증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 특히 주성분인 BaTiO3, 미량 성분인 Nb와 Ce 그리고 첨가 성분인 Co, Mn, SiO2및 SrTiO3를 구성하는 환원 재산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에 대하여 나타낸다. Nb와 Ce는 상기 각기 Nb2O5와 CeO2베이스에서 0.2∼3.0몰%로 존재한다. Co와 Mn은 각기 Co3O4에서 0.8중량% 이하 그리고 0.25중량% 이하로 존재한다. SiO2와 SrTiO3는 각기 0.25% 이하 그리고 0.5∼20.0중량%로 존재한다.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 특히 환원 및 재산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제조하는데 필요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축전기의 용량과 절연 내력이 크게 증가되고 온도 특성이 매우 양호하게 된다.
상기 조성물에는 Y2O3베이스에서 0.1∼3.0중량%로 존재하는 Y가 더 포함될 수 있다. Y를 첨가함으로써 축전기의 절연 D.C. 항복 전압이 증대되고 온도 특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 특히 주성분인 BaTiO3, 미량성분인 Nb와 Ce, 그리고 첨가성분인 Co, Mn, SiO2및 CaTiO3를 구성하는 환원 재산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에 대하여 나타낸다. Nb와 Ce는 각기 Nb2O5와 CeO2베이스에서 0.2∼3.0몰%로 존재한다. Co와 Mn은 Co3O4와 MnCO3베이스에서 각기 0.8중량% 이하 그리고 0.25중량% 이하로 존재한다. SiO2와 CaTiO3는 각기 0.25중량% 이하 그리고 0.2∼15.0중량%로 존재한다.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 특히 환원 및 재산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축전기의 용량과 절연내력이 증가되고 온도 특성이 양호하게 된다.
상기 조성물에는 Y2O3베이스에서 0.1∼3.0중량%로 존재하는 Y가 더 포함될 수 있다. Y를 첨가함으로써 축전기의 절연저항과 D.C. 항복전압이 증대되고 온도 특성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상기 조성물에는 Y2O3베이스에서 0.1∼3.0중량%로 존재하는 Y가 더 포함될 수 있다. Y를 첨가함으로써 축전기의 절연저항과 D.C. 항복전압이 증대되고 온도 특성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 특히 주성분인 BaTiO3, 미량 성분인 Nb와 Ce, 그리고 첨가성분인 Co, Mn, SiO2및 Y를 구성하는 환원 재산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에 대하여 나타낸다. Nb와 Ce는 각기 Nb2O5와 CeO2베이스에서 0.2∼3.0몰%로 존재한다. Co와 Mn은 Co3O4와 MnCO3베이스에서 각기 0.8중량% 이하 그리고 0.25중량% 이하로 존재한다. SiO2는 0.25중량% 이하로 존재하고 Y는 Y2O3베이스에서 0.1∼3.0중량%로 존재한다.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 특히 환원 및 재산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축전기의 용량과 절연 내력이 증가되고 절연저항과 D.C. 항복 전압이 증대되며 온도 특성이 양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을 각각에 압력을 가하여 반도전성 세라믹 소자로 만들 수 있으며 소결시켜 상기 소자의 표면층을 절연층으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쉽게 이해되어질 것이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공업등급(industrial grade)을 갖는 BaCO3, TiO2, Nb2O5, CeO2, Co3O4, MnCO3및 SiO2를 시발물질로서 사용했다. 상기 물질을 칭량하여 표 1에 예시된 조성비를 지니는 각각의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었다. 상기 물질을 물과 패블(pebble)을 사용하여 합성수지로 된 보올 밀에서 20시간 동안 교반시켜 습식 혼합함으로써 합성 혼합물을 제조했다. 이때 상기 수득된 혼합물을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1200℃에서 2시간 동안 예비적으로 소성시켰다. 다음에 상기 혼합물을 분말화하고 보올밀로 20시간 동안 혼합시켰으며 다시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했고, 유기 결합제로서 2중량%인 폴리비닐 알코올(PVA)을 첨가하여 입상화 시켰으며 그리이드 처리(grading)하여 상기 조성물의 입상화된 분말을 제조했다. 그리고 상기 분말을 약 3톤/㎠의 충전 압력으로 지름이 10㎜이고 두께가 0.5㎜인 디스크-형 충전물 또는 반도전성 세라믹 소자로 만들었다. 상기 소자를 8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결합제를 제거하고 약 1300℃에서 약 2시간 동안 소성시켰다. 이때 환원성 분위기(H2분위기)의 흐름속에서, 800℃에서 2시간 동안 상기를 환원 처리하여 환원 재산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소자를 제조했으며 이때 산화성 분위기(공기)에서, 800℃에서 2시간동안 열처리했다. 상기는 단지 상기 소자의 표면에만 재산화를 발생시켜 표면에 절연 특성을 제공했다. 다음에 Ag 페이스트를 반도전성 세라믹 소자의 표면에 프린팅으로써 적용 시켰고 800℃에서 소성하여 전극을 형성시켰며, 그 결과 환원 재산화형 반도전성 세라믹 축전기가 제조되었다.
시험을 수행하여 상기 제조된 축전기의 전기적 특성을 고려했다. 그 결과가 표 1에 예시되었다. 여기서 용량과 유전손실(tan δ)은 1KHz의 주파수에서 측정되었고 절연 저항은 축전기에 대한 인가 D.C. 전압이 25V이며 온도가 상온인 20℃에서 측정되었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1a]
Figure kpo00002
*1 : X는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시편을 나타낸다.
*2 : C는 단위면적당 용량을 나타낸다.
*3 : tanδ는 유전손실을 나타낸다.
*4 : IR은 절연 저항을 나타낸다.
*5 : Vb는 D.C.항복전압을 나타낸다.
*6 : T.C.는 온도특성을 나타낸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시편번호 1, 2, 3, 10, 17, 23, 24, 25, 32, 40 그리고 44는 본발명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특히 표 1에서 Nb2O5가 0.2몰% 미만이거나 3.0몰%를 초과할때 축전기의 단위 면적당 용량 C는 감소되고 유전손실 tanδ는 증가되며 절연저항 IR과 D.C. 항복전압 Vb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시편번호 1, 2, 3, 23, 24 그리고 25), 또한 CaO2가 0.2몰% 미만일때 축전기의 용량이 감소되고 유전손실은 증가되며, 반면에 CeO2가 3.0몰%를 초과할때 축전기의 유전손실이 증가되고 부적당한 온도 특성이 발생하는 것을 알수 있다(시편번호 1, 3, 10, 17, 23 그리고 25). Co3O4가 0.8중량%를 초과하고 MnCO3가 0.25중량%를 초과할때 각각 용량이 감소되고(시편번호 32) D.C. 항복 전압이 감소되었다(시편번호 40). 또한 SiO2가 0.25중량%를 초과할때 축전기의 용량, 절연저항 그리고 D.C. 항복전압이 감소되었다(시편번호 44).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이 전술한 장점을 효과적으로 만족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질 것이다.
[실시예 2]
시발물질로서 표 2에 예시된 BaCO3, TiO2, Nb2O5, CeO2, Co3O4, MnCO3, SiO2, SrCO3그리고 Y2O3를 사용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실시예 1에서의 경우를 반복한다. 그 결과가 표 2에 예시되었다.
[표 2a]
Figure kpo00003
[표 2b]
Figure kpo00004
[표 2c]
Figure kpo00005
*1 : X는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시편을 나타낸다.
*2 : C는 단위 면적당 용량을 나타낸다.
*3 : tanδ는 유전손실을 나타낸다.
*4 : IR은 절연 저항을 나타낸다.
*5 : Vb는 D.C.항복전압을 나타낸다.
*6 : T.C.는 온도 특성을 나타낸다.
표 2에서 Nb2O5가 0.2몰% 미만이거나 3.0몰%를 초과할때 축전기의 단위 면적당 용량 C는 감소되고 유전손실 tanδ는 증가되며 절연저항 IR과 D.C. 항복 전압 Vb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시편번호 1, 2, 3, 17, 18 그리고 19). 또한 CeO2가 0.2몰% 미만일 때 축전기의 용량이 감소되고 유전손실이 증가되며, 반면에 CeO2가 3.0몰%를 초과할 때 축전기의 유전손실이 증가되고 부적당한 온도 특성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시편번호 1, 3, 8, 13, 17 그리고 19). Co3O4가 0.8중량%를 초과하고 MnCO3가 0.25중량%를 초과할 때 용량이 감소되고(시편번호 24) D.C. 항복전압이 감소되었다.(시편번호 27). 또한 SiO2가 0.25중량%를 초과할 때 축전기의 용량, 절연저항 그리고 D.C. 항복 전압이 감소되었다(시편번호 30).
또한 SrTiO3가 0.5중량% 미만일 때 축전기의 유전손실이 감소되지 않았으며, 반면에 SrTiO3가 20.0중량%를 초과할 때 축전기의 온도 특성이 양호하지 못하며 절연 저항과 D.C. 항복 전압이 감소됐다(시편번호 31, 36, 38, 39, 40, 43, 44, 47 그리고 49).
또한 표 2에서 Y2O3가 0.1중량% 미만일 때 축전기의 D.C. 항복 전압이 감소되고 Y2O3가 3.0중량%를 초과할 때 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시편번호 37 그리고 38).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이 전술한 장점을 효과적으로 만족한다는 것이 주목되어 질 것이다.
[실시예 3]
시발물질로서 표 3에서 예시된 BaCO3, TiO2, Nb2O5, CeO2, Co3O4, MnCO3, SiO2, CaCO3그리고 Y2O3를 사용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실시예 1에서의 경우를 반복한다. 그 결과가 표 3에 예시되었다.
[표 3a]
Figure kpo00006
[표 3b]
Figure kpo00007
[표 3c]
Figure kpo00008
*1 : X는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시편을 나타낸다.
*2 : C는 단위 면적당 용량을 나타낸다.
*3 : tanδ는 유전손실을 나타낸다.
*4 : IR은 절연 저항을 나타낸다.
*5 : Vb는 D.C. 항복전압을 나타낸다.
*6 : T.C.는 온도 특성을 나타낸다.
표 3에서 Nb2O5이 0.2몰% 미만이거나 3.0몰%를 초과할 때 축전기의 단위 면적당 용량 C는 감소되고 유전손실 tanδ는 증가되어 절연저항 IR과 D.C. 항복 전압 Vb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시편번호 1, 2, 3, 17, 18 그리고 19) 또한 CeO2가 0.2몰% 미만일 때 축전기의 용량이 감소되고 유전손실이 증가되며, 반면에 CeO2가 3.0몰%를 초과할 때 축전기의 유전손실이 증가되고 부적당한 온도 특성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시편번호 1, 3, 8, 13, 17) 그리고 19). CO3O4가 0.8중량%를 초과하고 MnCO3가 0.25%를 초과할 때 각각 용량이 감소되었고(시편번호 24), D.C. 항복전압이 감소되었다(시편번호 27). 또한 SiO2가 0.25중량%를 초과할 때 축전기의 용량, 절연저항 그리고 D.C. 항복전압이 감소되었다(시편번호 30).
또한 CaTiO3가 0.2중량% 미만일 때 축전기의 용량과 D.C. 항복 전압이 증가되지 못하였고 반면에 CaTiO3가 15.0중량%를 초과할 때 축전기의 용량이 감소했고 유전손실이 증가 했으며 온도 특성이 부적당하였다(시편번호 31, 36, 42 그리고 46).
또한 표 3에서 Y2O3가 0.1중량% 미만일 때 축전기의 D.C. 항복 전압이 감소되고 Y2O3가 3.0중량%를 초과할 때 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시편번호 31, 37, 38, 39, 43, 47 그리고 48).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이 전술한 장점을 효과적으로 만족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진다.
[실시예 4]
시발물질로서 표 4에 예시된 BaTiO3, TiO2, Nb2O5, CeO2, CO3O4, MnCO3, SiO2그리고 Y2O3를 사용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실시예 1를 반복했다. 그 결과가 표 4에 예시되었다.
[표 4a]
Figure kpo00009
[표 4b]
Figure kpo00010
*1 : X는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시편을 나타낸다.
*2 : C는 단위 면적당 용량을 나타낸다.
*3 : tanδ는 유전손실을 나타낸다.
*4 : IR은 절연 저항을 나타낸다.
*5 : Vb는 D.C. 항복전압을 나타낸다.
*6 : T.C.는 온도 특성을 나타낸다.
표 4에서 Nb2O5이 0.2몰% 미만이거나 3.0몰%를 초과할 때 축전기의 단위 면적당 용량 C는 감소되고 유전손실 tanδ는 증가되며 절연저항 IR과 D.C. 항복전압 Vb가 감소되는 것을 알수 있다(시편번호 1, 2, 3, 17, 18 그리고 19). 또한 CeO2가 0.2몰% 미만일 때 축전기의 용량이 감소되고 유전손실이 증가되며, 반면에 CeO2가 3.0몰%를 초과할 때 축전기의 유전손실이 증가되고 부적당한 온도 특성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시편번호 1, 3, 8, 13, 17 그리고 19). Co3O4가 0.8중량%를 초과하고 MnCO3가 0.25중량%를 초과할 때 용량이 감소되었고(시편번호 24) D.C. 항복전압이 감소되었다(시편번호 27). 또한 SiO가 0.25중량%를 초과할 때 축전기의 용량, 절연저항 그리고 D.C. 항복전압이 감소되었다(시편번호 30).
또한 표 4에서 Y2O3가 0.1중량% 미만일 때 축전기의 D.C. 항복전압이 증가되지 않고 Y2O3가 3.0중량%를 초과할 때 용량이 감소되며 유전손실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시편번호 31 그리고 35).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이 전술한 장점을 효과적으로 만족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진다.
본 발명의 특수성에 대한 어느 정도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설명들로부터 제한과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므로 첨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이 특별히 설명된 것과 다르게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BaTiO3를 구성하는 주성분, 그리고 Nb 및 Ce를 구성하는 미량성분을 구성하며, 상기 Nb 및 Ce가 각기 Nb2O5및 CeO2베이스에서 3.0몰%인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Co를 더 구성하며, 상기 Co가 Co3O4베이스에서 0.8중량% 이하인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Mn을 더 구성하며, 상기 Mn이 MnCO3베이스에서 0.25중량% 이하인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SiO2를 더 구성하며, 상기 SiO2가 0.25중량% 이하인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Co, Mn, SiO2및 SrTiO3를 구성하는 첨가성분을 더 구성하며, 상기 Co 및 Mn이 각기 Co3O4및 MnCO3베이스에서 0.8중량% 이하 및 0.2중량% 이하이고 상기 SiO2및 SrTiO3이 각기 0.25중량% 이하 및 0.5∼20.0중량%인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Y를 더 구성하며, 상기 Y가 Y2O3베이스에서 0.1∼3.0중량%인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Co, Mn, SiO2및 CaTiO3를 구성하는 첨가성분을 더 구성하며, 상기 Co 및 Mn이 각기 CO3,O4및 MnCO3베이스에서 0.8중량% 이하 및 0.25중량% 이하이고 상기 SiO2, 및 CaTiO3가 각기 0.25중량% 이하 및 0.2∼15.0중량%인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Y를 더 구성하며, 상기 Y가 Y2O3베이스에서 0.1∼3.0중량%인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Co, Mn, SiO2및 Y를 구성하는 첨가 성분을 더 구성하며, 상기 Co, Mn 및 Y가 각기 Co3O4, MnCo3그리고 베이스에서 0.8중량% 이하, 0.25중량% 이하, 그리고 0.1∼3.0중량%이고, 상기 SiO2가 0.25중량% 이하인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충전되고 소결되어 절연성의 표면층을 야기하는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11. BaTiO3를 구성하는 주성분, Nb2O3및 CeO2베이스에서 각기 0.2∼3.0몰%인 Nb 및 Ce를 구성하는 미량성분, 그리고 Co3O4및 MnCo3베이스에서 각기 0.85중량% 이하 및 0.25중량% Co 및 Mn, 그리고 각기 0.25중량% 이하 및 0.5∼20.0중량%인 SiO2및 SrTiO3를 구성하는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12. BaTiO3를 구성하는 주성분, Nb2O3및 CeO2베이스에서 각기 0.2∼3.0몰%인 Nb 및 Ce를 구성하는 미량성분, 그리고 Co3O4, MnCO3및 베이스에서 각기 0.8중량% 이하 및 0.25중량% 이하인 Co및 Mn, 그리고 각기 0.25중량% 이하 및 0.2∼15.0중량%인 Sio2및 CaTiO3를 구성하는 첨가성분을 구성하는 반도전성 세락믹 조성물.
  13. BaTiO3를 구성하는 주성분, Nb2O3및 CeO2베이스에서 각기 0.2∼3.0몰%인 Nb및 Ce를 구성하는 미량성분, 그리고 Co3O4, MnCO3및 Y2O3, 베이스에서 각기 0.8중량% 이하, 0.25중량% 이하 및 0.1∼3.0중량%인 Co, Mn및 Y 그리고 0.25중량%이하인 Sio2를 구성하는 첨가 성분을 구성하는 반전도세라믹 조성물.
KR1019870008754A 1986-08-11 1987-08-10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KR940001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86930A JPS6345704A (ja) 1986-08-11 1986-08-11 半導体磁器組成物
JP186930 1986-08-11
JP61-186930 1986-08-11
JP62-40429 1987-02-25
JP40429 1987-02-25
JP40431 1987-02-25
JP40430 1987-02-25
JP62-40430 1987-02-25
JP62-40431 1987-02-25
JP62040431A JPS63211511A (ja) 1987-02-25 1987-02-25 半導体磁器組成物
JP62040429A JP2584985B2 (ja) 1987-02-25 1987-02-25 半導体磁器組成物
JP62040430A JPS63211509A (ja) 1987-02-25 1987-02-25 半導体磁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772A KR880002772A (ko) 1988-05-11
KR940001654B1 true KR940001654B1 (ko) 1994-02-28

Family

ID=2746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754A KR940001654B1 (ko) 1986-08-11 1987-08-10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61736A (ko)
EP (1) EP0256405B1 (ko)
KR (1) KR940001654B1 (ko)
CN (1) CN1009873B (ko)
DE (1) DE377585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021A (en) * 1990-06-28 1992-02-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ielectric composition
JPH05213670A (ja) * 1991-04-29 1993-08-24 Tam Ceramics Inc 極微粒子の粒度のチタン酸バリウムを使用する高温焼成のx7r誘電セラミック組成物
JP2613722B2 (ja) * 1991-09-27 1997-05-28 日本碍子株式会社 低温焼成用誘電体磁器組成物の製造法
KR940008696B1 (ko) * 1991-12-28 1994-09-24 삼성전기 주식회사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
JP3276756B2 (ja) * 1993-02-03 2002-04-22 三洋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波用誘電体磁器組成物
JPH0922801A (ja) * 1995-07-04 1997-01-21 Murata Mfg Co Ltd 半導体磁器
JP2001167904A (ja) 1999-12-09 2001-06-22 Murata Mfg Co Ltd 半導体磁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US6828266B1 (en) * 2003-05-16 2004-12-07 Ferro Corporation X7R dielectric composition
CN100359612C (zh) * 2004-09-03 2008-01-02 江苏大学 一种中低温烧结高压陶瓷电容器介质
JP6795302B2 (ja) * 2015-12-28 2020-12-02 Tdk株式会社 セラミック電子部品
CN107686347A (zh) * 2017-08-28 2018-02-13 天津大学 一种巨介电常数多层陶瓷电容器介质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410530B (zh) * 2020-05-12 2021-07-20 武汉理工大学 一种抗还原BaTiO3基介质陶瓷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92107A (ko) * 1968-05-08 1970-05-11
JPS5110814A (ko) * 1974-07-11 1976-01-28 Tdk Electronics Co Ltd
JPS5270398A (en) * 1975-12-08 1977-06-11 Murata Manufacturing Co Dielectriccceramic composition
JPS57128903A (en) * 1981-02-03 1982-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producing barium titanate series semiconductor porcelain
JPS6057163B2 (ja) * 1981-06-16 1985-12-13 共立窯業原料株式会社 高誘電率磁器誘電体組成物
JPS5815078A (ja) * 1981-07-14 1983-01-28 共立窯業原料株式会社 高誘電率系磁器誘電体組成物
JPS6199207A (ja) * 1984-10-19 1986-05-17 旭化成株式会社 高誘電率系磁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9873B (zh) 1990-10-03
CN87105843A (zh) 1988-03-23
US4861736A (en) 1989-08-29
KR880002772A (ko) 1988-05-11
DE3775855D1 (de) 1992-02-20
EP0256405B1 (en) 1992-01-08
EP0256405A1 (en) 1988-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027B1 (ko)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KR920003225B1 (ko) 반도체 세라믹 조성물
JPS6328324B2 (ko)
KR940001654B1 (ko) 반도전성 세라믹 조성물
US4535064A (en) Ceramic compositions for a reduction-reoxidation type semiconducting capacitor
KR100321913B1 (ko) 반도체 세라믹 및 이것을 이용한 반도체 세라믹 소자
Zhou et al. Electrical properties of Sr0. 7Ba0. 3TiO3 ceramics doped with Nb2O5, 3Li2O· 2SiO2, and Bi2O3
JP3325051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TW426864B (en)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JP3095941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EP0047815B1 (en) Grain boundary layer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s
KR920009172B1 (ko) 반도체 세라믹 축전기 및 그 제조방법
JPH0785459B2 (ja) 粒界絶縁型半導体磁器コンデンサ
JP2972052B2 (ja) 半導体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4415B2 (ja) 粒界絶縁型半導体磁器組成物
JPS6020344B2 (ja) 粒界絶縁型半導体磁器組成物
JPS6217368B2 (ko)
JP2936876B2 (ja) 半導体磁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20345B2 (ja) 粒界絶縁型半導体磁器組成物
JPS6126207B2 (ko)
JPH0815005B2 (ja) 誘電体磁器組成物
JPS584448B2 (ja) 還元再酸化型半導体磁器コンデンサ素体の製造方法
JPH0761896B2 (ja) 粒界絶縁型半導体磁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77818A (ja) 粒界絶縁型半導体磁器組成物
JPS622340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