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442Y1 - 단자 지지 장치가 힌지된 전기커넥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단자 지지 장치가 힌지된 전기커넥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442Y1
KR940001442Y1 KR2019880006347U KR880006347U KR940001442Y1 KR 940001442 Y1 KR940001442 Y1 KR 940001442Y1 KR 2019880006347 U KR2019880006347 U KR 2019880006347U KR 880006347 U KR880006347 U KR 880006347U KR 940001442 Y1 KR940001442 Y1 KR 940001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ap
terminal
passage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6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603U (ko
Inventor
가쯔히꼬 유아사
Original Assignee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filed Critical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206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6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자 지지 장치가 힌지된 전기커넥터 하우징
제1도는 후방에서 바라본 커넥터 하우징외 사시도.
제2도는 전방에서 바라본 제1도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각 통로로 삽입되기 위한 두 종류의 단자 부품에 대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대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4-4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플랩 몰출부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하우징의 플랩 돌출부 및 하우징랜스와 단자와의 결합방식을 도시하는 단면 평면도.
제7도는 래치 아암과 래치 부재의 돌출부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커넥터 10, 10' : 플랩
11, 12 : 돌출부 13 : 후크부
14 : 후크 20 : 하우징
27a,27b : 하우징 랜스 28 : 래치
50,60 : 전기단자
본 고안은 다수의 전기 단자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는 통로를 구비한 하우징과, 하우징에 일체로 힌지되어 단자를 통로상의 정위치에 유지시키는 플랩으로 구성된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커넥터는 다수의 단자를 수용하는 통로를 구비한 하우징과, 하우징 통로에서 단자를 양호하게 유지시켜 주는 플랩으로 구성된다. 하우징은, 각 통로의 내벽에서 연장하여 단자와 결합하고 이들을 정위치에 유지시키는 다수의 탄성 하우징 랜스틀 포함한다. 플랩은 플랩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돌출부는 단자를 하우징내에 유지시키기 위해 관련 단자와 결합하고 단자를 그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단자가 하우징 랜스와 결합하게 한다.
그런데, 상기 탄성 하우징 랜스는 비교적 길기 때문에 단자에 작용할지도 모를 강한 인장력에 버티기는 힘들다. 한편, 플랩은 플랩의 양단부에 한쌍의 래치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하우징상의 닫힘 위치에 플랩을 래치시키기 위해 하우징과 결합하며 그 사이 돌출부들은 단자와 결합된다.
따라서, 단자들이 강한 인장력을 받을때, 그 힘은 돌출부를 경유하여 플랩에 전달되어 플랩이 굽어지거나 편향되는 한편 이에 의해 래치 돌출부는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불리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단자들이 강한 인장력을 받는다해도 플랩이 굽어지거나 편향되지 않도록 후크부를 플랩상에 마련한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여러가지 상이한 전기 단자들이 동일 하우징에 위치될 수 있는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커넥터는, 다수의 전기 단자를 수용하여 이들을 하우징내에 확고히 유지시키는 통로를 구비한 절연 하우징과,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에 일체로 힌지된 플랩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랩은 각각의 단자와 결합하여 단자를 각각의 통로내에서 유지시키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플랩은, 플랩을 닫힘 위치에서 하우징에 래치시키고 그러므로써 단자들이 강한 인장력을 받을 때에도 플랩이 굽어지거나 편향되지 않게 하는 후크부를 갖는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단자에 작용할지도 모를 강한 인장력 때문에 플랩이 굽어지거나 평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플랩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고안은, 그 목적 및 장점과 함께,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 하기 설명을 참고로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전기커넥터(1)는 일체식 플랩(10)을 구비하는 하우징(20)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20)은 적절한 절연물질로 헝성된다. 제1도와 제2도에서와 같이, 하우징(20)은 두 종류의 전기 단자(50, 6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2열의 단자 수용 통로를 갖는다. 제1열은 격벽(21)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제3단자 수용 통로(22)를 가지며, 다른 열은 단자 수용 통로(22)의 양측부에 위치된 단자 수용 통로(24)를 갖는다. 통로(24)는 격벽(23)에 위해 서로 분리된다. 통로(22,24)는 각각 단자(50,60)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통로(22,24)는 서로 평행하며, 전방 단부(25)와, 후방단부(26)양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전방 단부(25)의 개구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자(50,60)의 리셉터를 접점부(51, 61)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한쌍의 수형접점을 받아들일 수 있는 슬롯(29) 형태를 갖는다.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일체형의 탄성 하우징 랜스(27a, 27b)는 각각 통로(24)의 상부벽과 통로(22)의 하부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한다. 상기 하우징 랜스(27b, 27a)는 각각 접점부(51,61)의 후단부에서 단자(50, 6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러므로써 단자(50, 60)들을 각각의 통로(22,24)의 전방 단부상의 어깨부(22a,24a)틀 향하여 단자(50,60)를 가압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랩(10', 10)은, 각각 후방단부(26)에 근접하여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벽에서 하우징(20)에 일체로 힌지 결합된다. 상부 플랩(10')과 하부플랩(10)은 각각의 폐쇄 위치로 되기 위해 각각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폐쇄된 상태에서는 하우징(20)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정렬된다.
플랩(10)은 통로(22)와 연결된 돌출부(11)를 다수 갖는다. 특히 상기 돌출부(11)는 플랩에 수직하고 상호평행하게 플랩(10)으로 돌출하며, 한쌍의 돌출부(11)는 통로의 내측벽에 인접하여 각 통로(22)속으로 돌출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20)에는 돌출부(11)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40)가 제공된다. 제4도에 도시한 것처럼 플랩(10)을 하우징(20)에 일체로 연결하는 힌지(10a)는 플랩(10)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도 하우징(20)의 표면에서 외부로 튀어 나온다.
따라서, 힌지(10a)는 그 돌출부가 하우징(20)의 캡 하우징(70)에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는 곳에 위치한다. 그리고, 플랩(10)은 통로(22)에 위치할때 단자(50)의 후방 단부에 가깝게 위치하며, 플랩(10)으로부터 기립하는 한쌍의 돌출부(11)의 자유단(11a)은 단자(50)의 접점부(51)의 후단부와 결합하도록 하우징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다. 본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그 내용이 본원에 참조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3, 369, 134호는 플랩이 구비된 전기커넥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플랩의 돌출부는 본 고안의 것과 형상이 다르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우징(20)과 플랩(10)은 일체로 성형되고, 제4도 및 제5도의 도면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주조 다이는 하우징의 길이 방항으로 제거된다. 이것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부(11)의 자유단(11a)은 하우징(20)의 표면(20a)에 있는 개구(40)의 후단 이상으로 연장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플랩(10)이 하우징(20)의 표면(20a)에 대하여 약105도의 각도로 전방으로 연장하는 동안 자유단(11a)은 하우징(20)의 표면(20a)에 가까워진다. 만일 플랩(10)이 하우징(20)의 표면 수직으로 연장하는 돌출부(11)를 갖도록 성형된다면, 돌출부(11)는 제5도에 도시된 위치 B까지만 이동할 것이다. 그러나, 플랩(10)은 사실상 전술한 것처럼 경사진 위치를 갖도록 성헝되고 돌출부(11)는 제5도에 도시된 위치 A까지 이동할 수 있어서 돌출부(11)의 자유단(11a)은 반드시 단자(50)의 접점부(51)에 결합할 수 있고 단자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플랩(10)은 단자(60)와 결합하기 위한 또 다른 돌출부(12)를 갖는다. 돌출부(12)는 단자(60)가 후진하지 않도록 해주며, 단자(60)의 폐를 윤곽과 같은 형상을 갖는 후미를 갖는다.
또한, 플랩(10)은 후크부(13)를 갖는다. 각 후크부(13)는 병렬한 돌출부(11)와 동일 평면에서, 동일 방향으로 플랩(10)으로 부터 연장한다. 각 후크부(13)의 자유단에는 그에 대해 우향 각도로 외부로 연장하는 후크(14)가 마련된다.
상호 대치된 후크(14)들은 각각의 개구(40)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고 개구의 폭보다 넓게 벌어져 있어서 플랩(10)의 닫힘 위치에서 후크(14)는 개구(40)의 옆 모서리에서 통로(22)의 내부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플랩(10)은 후크부(13)의 내측단부 근처에서 후크(14)가 통과하게 되는 구멍(13a)을 갖는다.
후크, (14)와 통로(22)의 내측면과의 결합은 구멍(13a)에 핀을 삽입하여 후크(14)를 통로의 내부 표면으로 부터 풀어주면 후크(14)는 통로(2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해제된다.
플랩(10)은 그 대향측에 돌출부(15)가 제공되는데 (제1도에서만 도시됨), 이것은 하우징의 후방 단부(26)의 대향측에 하우징과 일체로 만들어진 탄성 래치(28)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래치(28)는 캔틸레버형이며 굴절성이 있어서, 돌출부(15)는 래치(28)에 해제가능하게 잠긴다.
제2도, 제3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20)은 그 상부 표면에 래칭 레버(30)가 일체로 제공되며, 래칭 돌출부(31)가 레버의 후단을 향하여 레버(30)상에 위치된다.
레버(30)는 그 전단에서 하우징에 일체로 힌지 결합되고, 왕복 운동을 위해 하우징(20)의 후퇴부(20b)에 배치된다.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부(31)는 하우징(20)을 캡 하우징(70)에 래칭 결합시키기 위해 캡 하우징(70)의 일체형 래치 아암(32)의 래칭 후크(32')와 결합될 수 있다. 래칭 아암(32)은 탄성적으로 굴절할 수 있어서 래칭 후크(32')는 돌출부(31)상에 스냅 맞춤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부(31)는 보통 것보다 높으며 찰칵 소리와 함께 래칭 아암(32)의 래칭 후크(32')와 강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소리에 의해 돌출부(31)와 래칭아암(32)의 래칭 후크(32')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짐을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하우징(20)을 캡 하우징(7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래칭 레버(30)는 하우징(20)을 캡 하우징(70)으로 부터 당기는 동안 래칭 아암(12)의 레칭 후크(32')로 부터 돌출부(31)를 해제하도록 눌려진다. 이런경우 돌출부(31)는 보통의 돌출부(31)는 보통의 돌출부(31')보다 높기 때문에, 래칭 레버(30)는 쇄선(제7도 참조) 위치보다 낮은 파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눌려져야 한다. 이를 위해 플랩(10')의 상부 표면(16)의 일부는 하우징(20)의 상부 표면보다 거리 ℓ만큼 낮은 경사진 단자를 갖도록 하우징(20)의 후방단부를 향하여 경사지므로써 래칭레버(30)가 보다 낮은 위치로 눌려지게 한다.
플랩(10')은 개구(17)를 가지고 있어서 레버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고 래칭 레버(30)가 통과되게 한다. 또한, 플랩(10') 은 통로(24)와 관련된 돌출부(12')를 갖는다. 돌출부(12')는 일반적으로 플랩(10)상의 돌출부(12)와 비슷한 형상을 갖는다.
단자(50, 60)를 하우징(20)에 조립함에 있어서, 하우징 랜스(27b, 27a)가 각각의 단자(50, 60)의 접점부(51, 61)와 결합할때까지, 단자를 각각의 통로(22, 24)로 삽입한 다음 플랩(10, 10')을 관련한 힌지(10a, l0b)를 통하여 움직여서 돌출부(15)를 래치(28)와 결합시킨다. 한편, 돌출부(11)는 단자(50)의 접점부(51)와 결합되기 위해 개구(40)를 통과하며, 필요하다면 단자를 축방향으로 밀어서 돌출부(12)를 단자(60)의 페룰과 결합시킨다. 따라서, 하우징 랜스(27a, 27b)와 돌출부(11, 12) 모두는 단자가 뒤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그와 동시에, 후크부(13)의 후크(14)는 플래(10)의 구부러짐을 막기 위해 개구(40)를 통과한 후에 개구(40)의 옆 모서리에서 통로(22)의 내부 보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단자(50, 60)가 하우징 랜스(27b, 27a)에 의해 완전하게 곁합되지 않으면, 돌출부(11, 12)는 플랩(10, 10')이 랜스(27b,27a)로 하여금 단자(50,60)의 접촉부(51,61)와 결합하도록 가까워질때, 통로(22,24)속에서 단자(50, 60)들을 전방으로 가압한다.
본 고안의 커넥터 구조에 의하면, 단자들이 인장력을 받는다 하더라도 플랩(10)은 후크부(13)에 의해 하우징(20)에서 확고히 위치 및 고정되어서 굽어지거나 평향되지 않는다. 한편, 돌출부(15)와 래치(28)와의 결합은 확실히 유지된다. 후크(14)를 편향시키기 위해 구멍(13a)에 핀을 삽입시킴으로써 단자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어, 후크(14)는 하우징(20)으로부터 해제되어 플랩(10)이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비록 단자가 강한 힘을 받는다 해도 플랩은 개방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가지의 다른 형상을 갖는 단자들이 하우징에 수용되어 확고히 보유될 수 있다. 게다가, 단자가 하우징내로 삽입될때 돌출부가 단자와 결합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단자의 삽입이 완전하고 정확히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하우징 랜스가 단자와 정확히 결합되지 않는다면 단자는 플랩 돌출부에 의해 통로에서 정확한 위치로 가압되므로써 플랩이 닫힐때 하우징 랜스는 단자와 올바르게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하우징에서 단자를 이중으로 래치시키는 조건을 만든다.

Claims (5)

  1. 후방 단부로부터 단자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수용통로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 삽입용 개구부가 형성된 적어도 일측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단자의 축방향이동 저지용의 돌출부 및 적어도 양측단이 상기 하우징과의 래칭 수단을 갖는 플랩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플랩의 힌지부는 상기 돌출부 삽입용 개구의 근방에 상기 후방측이 개폐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힌지부 근방에 고정되고 또한 그로부터 상기 힌지부의 주위로 연장되는 구부린 손가락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랩의 내면에는 상기 양측단의 사이에 상기 돌출부에 근접하여 상기 힌지부와 거의 직교하는 상기 돌출부 삽입용 개구의 양 가장자리와 서로 연장되는 부가적 래칭 수단을 적어도 하나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히는 전기커넥터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 래칭수단은 상기 벽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는 후크를 갖는 상기 플랩 장치상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단자 수단이 상기 통로 수단에 배치될때, 단자 수단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통로 수단의 내부 표면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탄성 하우징 랜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하우징.
  4. 다른 종류의 전기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제1전기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제1열의 제1통로 수단과 제2전기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제1열과 평행한 제2열의 제2통로 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힌지연결되고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및 제2플랩 장치와, 상기 플랩 장치를 닫힘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동체와 가기 플랩 장치에 제공된 래치 수단과, 제1 및 제2단자수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통로 수단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플랩이 상기 닫힘 위치로 래치될때, 상기 제1 및 제2단자 수단을 상기 전방의 정지 수단과 상기 돌출수단 사이에서 상기 제1 밋 제2통로 수단의 정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플랩수단상의 돌출수단과, 상기 벽과 결합하도록 상기 개구수단을 통하여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플랩 장치상에 위치되고 상기 돌출수단에 인접 배치되어 제1단자 수단에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제1플랩 장치가 바깥쪽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방으로 돌출한 부가적 래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수단은 상기 하우징부재의 전방단부로부터 후방단부로 연장되며 상기 전방단부에 인접한 정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기 제1통토수단과 연결된 개구를 갖는 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플랩 수단상의 돌출수단은 상기 개구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통토수단내로 삽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전기단자를 수납하기 위한 전기커넥터 하우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단자 수단이 상기 통로 수단에 배치될때, 단자 수단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통로 수단의 내부 표면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탄성 하우징 랜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전기단자를 수납하기 위한 전기커넥터 하우징.
KR2019880006347U 1987-04-30 1988-04-30 단자 지지 장치가 힌지된 전기커넥터 하우징 KR94000144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6241 1987-04-30
JP1987066241U JPH0719095Y2 (ja) 1987-04-30 1987-04-30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603U KR880020603U (ko) 1988-11-30
KR940001442Y1 true KR940001442Y1 (ko) 1994-03-16

Family

ID=1331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6347U KR940001442Y1 (ko) 1987-04-30 1988-04-30 단자 지지 장치가 힌지된 전기커넥터 하우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67705A (ko)
JP (1) JPH0719095Y2 (ko)
KR (1) KR9400014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1579A (en) * 1988-10-14 1990-11-20 Interlock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movable terminal guide and lock
JPH0758629B2 (ja) * 1989-08-24 1995-06-2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DE69033684T2 (de) * 1989-10-24 2001-06-07 Whitaker Corp Abgedichteter elektrischer Verbinder
US4979913A (en) * 1989-10-26 1990-12-2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hinged secondary lock
US5141452A (en) * 1990-03-22 1992-08-25 Nissan Motor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H079343Y2 (ja) * 1990-04-10 1995-03-0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GB9012060D0 (en) * 1990-05-30 1990-07-18 Amp Great Britai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s
JPH0495369A (ja) * 1990-08-01 1992-03-27 Yazaki Corp 端子係止具付電気コネクタ
JP2500243Y2 (ja) * 1991-03-14 1996-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5211583A (en) * 1991-03-29 1993-05-18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US5122081A (en) * 1991-04-09 1992-06-1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power connector
IT223255Z2 (it) * 1991-04-24 1995-06-21 Burndy Electra Spa Connettore elettrico
JP2535607Y2 (ja) * 1991-10-18 1997-05-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789973B2 (ja) * 1992-11-06 1998-08-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680270U (ja) * 1993-04-26 1994-11-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813718B2 (ja) * 1993-06-30 1998-10-22 矢崎総業株式会社 リヤホルダ付きコネクタ
US5545054A (en) * 1994-08-26 1996-08-1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hinged cover
JP3216779B2 (ja) * 1995-02-23 2001-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における端子金具の不完全挿入矯正方法及び矯正用治具
JP2852497B2 (ja) * 1995-03-16 1999-02-0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FR2737349B1 (fr) * 1995-07-27 1997-08-22 Cinch Connecteurs Sa Element de boitier de connecteur electrique
US6024605A (en) * 1997-12-19 2000-02-15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locking living hinge
JP4168478B2 (ja) * 1998-04-30 2008-10-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2000251963A (ja) * 1999-02-26 2000-09-14 Mitsumi Electric Co Ltd 小型コネクタ
JP3395893B2 (ja) * 1999-05-11 2003-04-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881102B2 (en) * 2003-06-13 2005-04-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erminal locking mechanism for hybrid electrical connector
US6872100B2 (en) * 2003-06-13 2005-03-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erminal locking mechanism for hybrid electrical connector
JP4704889B2 (ja) * 2005-10-31 2011-06-22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0842718B1 (ko) * 2006-10-30 2008-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 하우징
DE102018116566A1 (de) * 2018-07-09 2020-01-0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inrichtung und Kontaktsystem
DE102019215540A1 (de) * 2018-10-19 2020-04-23 Yazaki Corporation 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41251A (en) * 1969-04-10 1971-08-04 Amp Inc Housings for electrical connectors
DE2113365B2 (de) * 1970-04-14 1979-11-08 Amp Inc., Harrisburg, Pa. (V.St.A.)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einem Gehäuse
GB1315693A (en) * 1970-05-07 1973-05-02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housings
US3842388A (en) * 1972-11-28 1974-10-15 Amp Inc Latching syste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plug and assembly
GB1525046A (en) * 1976-02-13 1978-09-20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4200350A (en) * 1978-03-20 1980-04-29 Amp Incorporated Toolless retention system
JPS5752715A (en) * 1980-09-11 1982-03-29 Mitsunori Nakagama Combustion furnace
JPS593878A (ja) * 1982-06-30 1984-01-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S59117073U (ja) * 1983-01-27 1984-08-07 東洋ハ−ネス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用端子
JPS59117079U (ja) * 1983-01-27 1984-08-07 東洋ハ−ネス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S61103878U (ko) * 1984-12-14 1986-07-02
JPS61232578A (ja) * 1985-04-08 1986-10-1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JPS6332876A (ja) * 1986-07-21 1988-02-12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71981U (ko) 1988-11-09
JPH0719095Y2 (ja) 1995-05-01
US4867705A (en) 1989-09-19
KR880020603U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442Y1 (ko) 단자 지지 장치가 힌지된 전기커넥터 하우징
EP0389955B1 (en) A double locking connector for an electrical terminal
CA1291237C (en) Connector
EP0232981B1 (en) Electrical connector socket
JPH03116672A (ja) 電気コネクタ
US5980333A (en) Connector members
EP1471609A2 (en) Connector
KR20000077115A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JPH02227974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二重ロック構造
US20050090148A1 (en) Electrical connector
US5919056A (en) Connector disengaging mechanism
US6655993B1 (en) Terminal-retainment cancellation structure of connector
KR100406599B1 (ko) 이중고정부재를가지는전기커넥터
JPH11176522A (ja) コネクタ
KR100326219B1 (ko) 단자위치보장장치를갖는전기커넥터
KR200156959Y1 (ko) 단자 수용기를 갖춘 전기 커넥터
US5066253A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terminal locking mechanism
JP3745608B2 (ja) フロントホルダの係止構造
KR20010002333U (ko) 평면 가요성 회로용 전기 커넥터
US5498177A (en) Structure for thin-walled hinge
US6352449B1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with resilient latching means
JPH10289747A (ja) 雌型コネクタ
EP0954059A1 (en) Electrical connector
JP3705407B2 (ja) 慣性ロックコネクタ
JP3813838B2 (ja) コネクタ用電線カバー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