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374B1 - 소화·탈취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화·탈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374B1
KR940001374B1 KR1019910002200A KR910002200A KR940001374B1 KR 940001374 B1 KR940001374 B1 KR 940001374B1 KR 1019910002200 A KR1019910002200 A KR 1019910002200A KR 910002200 A KR910002200 A KR 910002200A KR 940001374 B1 KR940001374 B1 KR 940001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composition
parts
dig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312A (ko
Inventor
가즈오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오.알. 케이
가즈오 고이즈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오.알. 케이, 가즈오 고이즈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오.알. 케이
Publication of KR910015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8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air treating ge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소화·탈취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소화·탈취 조성물(quenching and deodorizing composition)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겔상 액체의 담배 소화·탈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담배는 일반적으로 재털이에 비벼서 끄고 있다. 그러나, 종종 소화기간이 다소 길어지거나 소화가 불충분하게 될때도 있다. 특히 역, 기차등에 설치된 재털이내에 완전히 꺼지지 않은 채로 놓여 있는 담배로부터 나오는 연기는 불편함을 느끼게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없애기 위하여, 물을 재털이에 사용전후에 넣어두기도 한다. 그렇지만, 물은 다소 빠르게 증발하며, 또한 담배 자체가 물을 흡수하기 때문에, 재털이는 단시간에 건조되어 버린다. 따라서, 재털이중의 담배를 물로 끄려는 경우에는 물을 자주 공급해 주어야 한다. 더욱이, 일단 재털이가 건조되어 버리면, 용출물과 담배재가 재털이에 들러붙게 되기 때문에 청소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담배 성분들은 시간 경과에 따라 재털이내의 물중에 용출되며, 그 결과 물은 갈색으로 변하며 불쾌한 냄새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냄새 제거 수단은 일반적으로 강구되고 있지 않다.
전술한 상황을 살펴볼때, 담배 소화·탈취용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하여야 될 것이다.
(1) 우수한 소화력을 갖고 있어야 한다.
(2) 우수한 탈취력을 갖고 있어야 한다.
(3) 소화·탈취력이 장시간 지속되어야 한다.
(4) 담배 성분의 용출의 보다 적어야 한다.
(5) 환경 오염이 거의없어야 한다.
(6) 기차, 비행기 등의 흔들리는 상황에서도 재털이 밖으로 거의 흘러 나오지 않아야 한다.
(7) 다수의 담배를 끌 수 있어야 한다.
(8) 수분이 적게 증발하여야 한다.
(9) 사용 후 재털이 세척이 용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모든 조건을 충족하는 소화·탈취 조성물, 특히 겔상 액체의 담배 소화·탈취용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물, 탈취제, 수분-흡수 중합체 또는 증점제, 및 점성 부여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분-흡수 중합체 또는 증점제 0.1 내지 100중량부, 탈취제 0.01 내지 1중량부 및 점성부여제 1내지 40중량부를 함유하며, 수분-흡수 중합체가 사용될 때에 25℃에서의 점도가 300 내지 1,000cps이고, 증점제가 사용될 때에는 300 내지 25,000cps인 조성물에 의하여 상술한 모든 요구 조건들이 충족되는 것을 밝혀내고, 더욱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다음의 조성물들을 제공한다.
(1) 물, 탈취제, 수분-흡수 중합체 또는 증점제 및 점성 부여제를 함유하는 겔상 액체의 담배 소화·탈취용 조성물.
(2)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분-흡수 중합체 또는 증점제 0.1 내지 100중량부, 탈취제 0.01 내지 1중량부 및 점성 부여제 1내지 40중량부를 함유하며, 수분-흡수 중합체가 사용될때에 25℃에서의 점도가 300내지 1,000cps이고, 증점제가 사용될때에는 300 내지 25,000cps인, 겔상 액체의 담배 소화-탈취용 조성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분-흡수 중합체는 자기 중량의 수십배 내지 천배 이상의 양으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고분자량 물질이다. 이와 같은 수분-흡수 중합체로서는, 수분에 의해 팽윤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지만, 가압되어도 수분을 방출하지 않는 수지들이 언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의 예로는 비닐 알코올-아크릴산 공중합체[예 : Sumikagel S-5o(Sumitomo Chemical Co., Ltd. 제조)], 풀리아크릴산 중합체[예 : SANWET IM-5000(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제조), Sumikagel N-100(Sumitomo Chemical Co., Ltd. 제조), Aquirekeep(Seitetsu Kagaku Co., 제조)등], 전분-아크릴산 블록 공중합체[예 : SNAWET IM-1000(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제조)],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케톤 화합물, 폴리비닐 알코올-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가교 결합 생성물, 이소 부틸렌-말레산 공중합체 가교 결합 생성물,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 중합체 비누화 생성물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비닐 알코올-아크릴산 공중합체가 자외선 조사에서도 수분이 거의 제거되지 않으며, 자기 중량의 약 450배 내지 600배의 양으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증점제는 수-용성이며 일정한 점도를 부여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소듐 알기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알기네이트, 소듐 카제이네이트, 소듐 콘트로이틴 술페이트, 칼슘 셀롤로오스 글리콜레이트, 소듐 셀룰로오스 글리콜레이트, 소듐전분 글리콜레이트, 소듐 전분 포스페이트,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검류 예를들어 크산탄 검 및 카라야 검등이 있다.
본 발명의 소화·탈취 조성물중에 함유되는 탈취제는 물의 존재하에 사용되기 때문에, 물의 존재하에서도 탈취효과를 나타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탈취제로서는, 예를들어 그 자신의 향기에 의해 악취를 마스킹 하는 탈취제, 그 자신의 산화 특성에 의해 악취를 발생하는 성분들을 분해하는 탈취제, 그 자신의 중화 특성에 의해 악취성분들을 중화시키는 탈취제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한 탈취제로서는, 예를들어 플라보노이드(예 : 차성분, 플라본, 플라보놀, 플라바논, 플라바논올과 같은 플라보노이드류), 폴리페놀(예 : 미리 세틴, 탄닌, 카테친 등), 하소한 식물 섬유물의 수추출물(예 : 하소한 쌀겨의 수추출물, 하소한 대두의 수추출물등), 사이클로덱스트린(α,β,γ), 효소, 효소분비 및 효소 생성 미생물(예 :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및 셀룰라아제와 같은 소화 효소, 박테리아 및 효모), 식물성 살균제, 여러 철염(예 : 황산 제일철과 같은 황산철, 염화수소 제일철등), 구리염(예 : 황산 제이구리, 염화 수소 제일구리 등) 등을 언급할 수 있다.
하소한 식물섬유물의 수추출물로서는, 예를들어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99560/1989호에 기재된 것들이 바람직하다. 하소한 식물섬유물의 수추출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이하에 예시한 바와 같이, 활성성분으로서 하소한 식물섬유물의 추출출물을 유기 용매로 추출한 것을 함유하는 것들이 사용된다.
즉, 탈지 대두 및 탈지 쌀겨와 같은 식물 섬유물을 약 170 내지 230℃에서 약 5 분 내지 1시간 동안 하소한 다음, 10배 내지 20배량의 물을 가하여 약 5 내지 80분동안 끓이고, 이어서 농축된 추출물을 여과분리하고 감압하에서 1/10 내지 3/10체적으로 추가로 농축하거나, 추가로 분무 건조하여 함수량이 약 4% 감소된 수추출물을 얻는다. 이와 같이 수득한 농축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잔류물을 여과함으로써, 본 발명의 소화·탈취 조성물에 첨가 배합되는 탈취제를 수득한다. 추출공정에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예를들면,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등의 저급 알코올, 벤젠, 클로로포름, n-헥산, 사염화탄소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소화·탈취조성물 중에 첨가 배합되는 점정 부여제에 대해서는, 점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비점을 상승시킴으로써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서,본 발명 조성물의 건조율을 저하시키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점성 부여제로서는, 예를들어 유지제(holding agent)라고 불리우는 것들이 있는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및 그리세롤과 같은 알킬렌 글리콜류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겔상 액체의 담배 소화·탈취용 조성물은 상술한 탈취제, 수분-흡수 중합체 또는 증점제 및 점성 부여제를 물에 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소화·탈취 조성물중에 첨가 배합되는 각 성분들의 비율은 제한하지 않으며, 사용장소 및 사용방법에 따라 적절히 선택한다.
예를들면,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분-흡수 중합체 또는 증점제 0.1 내지 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부, 탈취제, 0.01 내지 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1중량부 및 점성부여제 1 내지 4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부를 첨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흡수 중합체 또는 증점제를 0.1중량부 미만의 비율로 첨가 배합하는 경우 수분흡수가 불량해지는 반면, 100중량부를 넘는 비율로 첨가 배합하면 페이스트 상으로 되어서 취급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탈취제를 1중량부를 넘는 비율로 첨가 배합하면 탈취제 자체의 향기가 두드러지게 되는 반면, 0.01중량부 미만의 비율로 첨가 배합하면 충분한 탈취효과를 나타낼 수 없게 된다. 또한, 점성 부여제를 40중량부를 넘는 비율로 첨가 배합하면 수분-흡수 중합체의 수분-흡수 용량이 저하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중에 함유되는 성분에 따라 가연성으로 되기 쉬운 반면, 1중량부 미만의 비율로 첨가 배합하면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소화·탈취 조성물은 수분-흡수 중합체가 사용될때 25℃에서의 점도가 B형 점도계 (Tokyo Keiki Co., Ltd제작)로 측정하여 300 내지 1,000cps, 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800cps로 되며, 증점제가 사용될때에는 300 내지 25,000cps,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5,000cps,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5,000cps로 된다. 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일 때에 소화·탈취용 조성물은 급속도로 건조되어 내구성이 부족해지며, 점도가 상기 범위를 넘어설때는 충분한 소화 효과가 발휘되지 않으며, 취급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 향료, 착색제 등을 본 발명의 소화·탈취용 조성물에 임의로 첨가할 수도 있다. 방부제는 물에 쉽게 용해되고 무취한 것이 바람직한데,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에틸 p-히드록시 벤조에이트, 소듐 데히드로아세테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소화·탈취용 조성물의 제조예 및 그의 보수성(water holding property)과 탈취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실험예를 제시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예 1]
탈지 대두를 회전기중에서 회전시키면서 약 170℃에서 40분 동안 하소(약간 하소)한 후, 하소된 대두 및 10배량의 물을 끓였다. 40분 비등(총 가열 시간 60 내지 90분)후, 혼합물을 여과 분리하여 고온 수추출물을 얻고, 감압하에서 2/10 체적으로 농축하였다. 이와 같이 얻은 농축 추출물을 함수향 약 4% 정도로 본무 건조하고, 10배량의 95%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잔류물을 여과한 후, 감압하에 에탄올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농축하여 탈취제의 탈취성분을 얻었다.
[실시예 1]
참고예 1에서 얻은 농축추출물 0.2중량부에, 100중량부의 물을 가하여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여기에 방부제로서 0.19중량부의 에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28중량부의 에탄올을 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추가로 5중량부의 에틸렌 글리콜, 0.01중량부의 향료 및 0.001중량부의 착색제를 가한 후 여과를 행하였다. 여액에 1.3중량부의 스미까겔(Sumikagel) S-50을 가하여 25℃에서의 점도가 310cps의 소화·탈취용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참고예 1에서 얻은 농축 추출물 0.2중량부에, 100중량부의 물을 가하여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여기에 방부제로서 0.19중량부의 에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28중량부의 에탄올을 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추가로 7중량부의 에틸렌 글리콜, 0.01중량부의 향료 및 0.001중량부의 착색제를 가한 후 여과를 행하였다. 여액에 1.5중량부의 스미까겔 S-50을 가하여 25℃에서의 점도가 600cps의 소화·탈취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참고예 1에서 얻은 농축 추출물 0.2중량부에, 100중량부의 물을 가하여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여기에 방부제로서 0.19중량부의 에틸 p-히드록시 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28중량부의 에탄올을 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추가로 9중량부의 에틸렌 글리콜, 0.01중량부의 향료 및 0.001중량부의 착색제를 가한 후 여과를 행하였다. 여액에 1.7중량부의 스미까겔 S-50을 가하여 25℃에서의 점도가 980cps의 소화·탈취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참고예 1에서 얻은 농축 추출물 0.2중량부에, 100중량부의 물을 가하여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여기에 방부제로서 0.19중량부의 에틸 p-히드록시 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28중량부의 에탄올을 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추가로 10중량부의 에틸렌 글리콜, 0.01중량부의 향료 및 0.001중량부의 착색제를 가한 후 여과를 행하였다. 여액에 1.2중량부의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가하여 25℃에서의 점도가 1500cps의 소화·탈취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5]
참고예 1에서 얻은 농축 추출물 0.2중량부에, 100중량부의 물을 가하여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여기에 방부제로서 0.19중량부의 에틸 p-히드록시 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28중량부의 에탄올을 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추가로 10중량부의 에틸렌 글리콜, 0.01중량부의 향료 및 0.001중량부의 착색제를 가한 후 여과를 행하였다. 여액에 1.5중량부의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가하여 25℃에서의 점도가 4500cps의 소화·탈취용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6]
참고예 1에서 얻은 농축 추출물 0.2중량부에, 100중량부의 물을 가하여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여기에 방부제로서 0.19중량부의 에틸 p-히드록시 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28중량부의 에탄올을 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추가로 10중량부의 에틸렌 글리콜, 0.01중량부의 향료 및 0.001중량부의 착색제를 가한 후 여과를 행하였다. 여액에 2.3중량부의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가하여 25℃에서의 점도가 21,000cps인 소화·탈취용 조성물을 얻었다.
[실험예 1]
(보수성 및 세척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6에서 얻은 소화·탈취 조성물(20ml)을 깊이 0.3cm 및 표면적 64.0㎠의 유리 또는 알루미늄체 원통용기에 조건하에서 보관하였다. 각각의 보수성(건조성) 및 세척용이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에서,“open”은 용기가 통상의 실내용 재털이등처럼 열려져 있었던 것을 의미하며,“closed”는 용기가 기차 객실용 재털이 처럼 덮개가 씌어져 있었던 것을 의미한다.
[표 1a]
Figure kpo00001
주 : -건조되지 않음 : +절반정도 건조되었음;
++ 완전히 건조되어 시이트상으로 되어 버렸음 : E 용이함 : D 곤란함
[표 1b]
Figure kpo00002
주 : -건조되지 않음 : +절반정도 건조되었음 ;
++ 완전히 건조되어 시이트 상으로 되어 버렸음 ; E 용이함 ; D 곤란함
[실험예 2]
(탈취효과 시험)
20ml-바이알에 실시예 1 또는 5의 소화·탈취 조성물 1g을 넣고 바이알을 밀봉하였다. 그안에 마이크로 실린더를 사용하여 담배꽁초의 악취 성분인 트리에틸아민(30%) 2μl을 주사 투입하였다. 바이알을 40℃로 유지하고, 바이알의 상부공간을 15,30,45 및 60분 경과시에 가스 크로마토그래피(Shimazu Corporation Ltd.)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2a]
Figure kpo00003
[표 2b]
Figure kpo00004
[실험예 3]
실시예 1 또는 5의 소화·탈취용 조성물 10g이 놓여 있는 플레이트(표면적 64㎠)를 밀폐된 7l-유리제용기중에 넣고 팬을 작동시켰다(용기내부의 조건 : 30℃, 50% 습윤). 그안에 마이크로 실린더를 사용하여 담배꽁초로부터의 악취성 물질을 주사 투입하였다. 주사투입 후 10,20,30 및 60분 경과시에 지시계 튜브 (GASTEC 제작)로 잔류하는 악취성 물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3a]
Figure kpo00005
[표 3b]
Figure kpo00006
[표 4a]
Figure kpo00007
[표 4b]
Figure kpo00008
[실험예 4]
직경 9cm의 플레이트에 실시에 1 내지 6의 소화·탈취용 조성물 20ml을 넣고, 불붙은 담배(절반길이) 및 담배재를 그안에 넣어 소화되는 담배의 개수를 카운트하였다.
Figure kpo00009
본 발명의 소화·탈취용 조성물은 물보다 더 장시간 동안 재털이내에서의 뛰어난 소화 특성을 보유할 뿐만아니라, 담배 꽁초에 특유한 니코틴향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담배 소화·탈취용 조성물은 사용시 겔상이기 때문에, 재털이 밖으로 거의 흘러나오지 않아서 가정용과 사무용 이외에 초특급 열차, 비행기등의 용도에도 적합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겔상 액체가 담배 꽁초를 덮어싸고, 담배재가 재털이에 들어 붙지 않으므로, 사용후 세척이 용이하며 악취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재털이는 단순히 그를 기울여 내용물을 쏟아내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소화·탈취 조성물은 담배성분의 용출을 보다 적게 하며, 다수의 담배를 끌 수 있다.

Claims (7)

  1. 물, 탈취제, 수분-흡수 중합체 또는 증점제 및 점성 부여제를 함유하는 겔상 액체의 담배 소화·탈취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분-흡수 중합체 또는 증점제 0.1 내지 100중량부, 탈취제 0.01 내지 1중량부 및 점성부여제 1 내지 40중량부를 함유하는 겔상 액체의 담배 소화·탈취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점도가 수분-흡수 중합체가 사용될 경우 300 내지 1.000cps이고 증점제가 사용될 경우에는 300 내지 25,000cps인 겔상 액체의 담배 소화·탈취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수분-흡수 중합체가 비닐 알코올-아크릴산 공중합체인 겔상 액체의 담배 소화·탈취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증점제가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인 겔상 액체의 담배 소화·탈취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서 하소한 식물 섬유물의 수추출물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겔상 액체의 담배 소화·탈취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점성 부여제가 알킬렌 글러콜인 겔상 액체의 담배 소화·탈취용 조성물.
KR1019910002200A 1990-02-14 1991-02-09 소화·탈취 조성물 KR940001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95690 1990-02-14
JP2-34956 1990-02-14
JP2-319940 1990-11-22
JP2319940A JP2957266B2 (ja) 1990-02-14 1990-11-22 消火消臭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312A KR910015312A (ko) 1991-09-30
KR940001374B1 true KR940001374B1 (ko) 1994-02-21

Family

ID=2637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200A KR940001374B1 (ko) 1990-02-14 1991-02-09 소화·탈취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45673A (ko)
JP (1) JP2957266B2 (ko)
KR (1) KR940001374B1 (ko)
DE (1) DE4103677C2 (ko)
GB (1) GB22409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03954U1 (ko) * 1992-03-24 1992-05-21 Krausser, Alfred, 8000 Muenchen, De
AU655518B2 (en) * 1992-12-02 1994-12-22 Du, Huanwen Fire retarding and extinguishing composite
US5576286A (en) * 1994-01-18 1996-11-19 Scentex, Inc. Liquid potpourri and method of manufacture
FR2738462B1 (fr) * 1995-09-13 1997-11-14 Jean Marcel Granules desodorisants pour cendriers
US20030038272A1 (en) 2001-08-24 2003-02-27 Figiel Edmund W. Fire retardant foam and gel compositions
ES1050591Y (es) * 2001-11-12 2002-08-16 Olmos Rafael Tomas Cenicero desechable perfeccionado de multiples usos.
EP2037867A2 (en) * 2006-07-06 2009-03-2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eodorant composition comprising metallic deodorizing agent
AU2008267765A1 (en) * 2007-06-25 2008-12-31 Kristen Mihas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extinguishing and storage of used cigarette butts
CN106039625A (zh) * 2016-06-21 2016-10-26 山东创能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水系灭火剂及其与消防无人机结合的灭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9769A (en) * 1963-01-28 1966-01-18 Dow Chemical Co Method for controlling the spread of fire
JPS4912046A (ko) * 1972-05-15 1974-02-02
CA1160582A (en) * 1978-12-04 1984-01-17 Kenneth S. Kang Polysaccharide s-60 and bacterial fermentation process for its preparation
US4384988A (en) * 1980-04-10 1983-05-24 L.M.C. Inc. Fire protection water barrier which is a gel composition of high water content and high viscosity
JPS5752457A (en) * 1980-09-16 1982-03-27 Tomoji Tanaka Safety aromatic bag
JPS5925753A (ja) * 1982-08-02 1984-02-09 小川香料株式会社 透明なゲル芳香剤の製法
US4494482A (en) * 1982-11-12 1985-0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imal litter composition
US4517919A (en) * 1983-11-01 1985-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imal litter composition
GB2178441A (en) * 1985-07-31 1987-02-11 Joseph Samuel Kanfer Clea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crushable abrasive
JPH0611292B2 (ja) * 1986-08-29 1994-02-16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消臭材料
US4816220A (en) * 1987-07-10 1989-03-28 Sukomal Roychowdhury Deodorant composition for abating the odor of organic refuse
US4822524A (en) * 1988-04-01 1989-04-18 Chemonics Industries, Inc. Xanthan gum enhanced fire-retardant compositions
US4939030A (en) * 1988-08-19 1990-07-03 Mitsui Toatsu Chemicals, Inc. Film for retaining freshness of vegetables and fr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40923B (en) 1993-12-08
DE4103677A1 (de) 1991-08-22
DE4103677C2 (de) 1995-12-07
JPH03272767A (ja) 1991-12-04
GB2240923A (en) 1991-08-21
US5145673A (en) 1992-09-08
GB9102816D0 (en) 1991-03-27
KR910015312A (ko) 1991-09-30
JP2957266B2 (ja) 1999-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5097B1 (en) Fragrance and flavor compositions containing odor neutralizing agents
KR940001374B1 (ko) 소화·탈취 조성물
EP0363545B1 (en) A deodorant composition in the form of gel
US7163737B2 (en) Absorbent composition of matter for odoriferouse substances and releaser of diverse active ingredients and articles incorporating same
JPS61206449A (ja) 消臭剤
JP2007097738A (ja) 空間除菌用組成物
JPH0651843B2 (ja) 吸水性組成物
JP3096657B2 (ja) 微生物による消臭剤
JP2804823B2 (ja) 消臭剤
JP3458808B2 (ja) 消臭剤
JP2000051339A (ja) 持続性抗菌消臭剤
JP3027056B2 (ja) 殺菌消臭剤組成物
JP2000325453A (ja) 消臭剤
JPH0611300B2 (ja) 消臭剤組成物
KR20190078332A (ko) 선택적 암모니아 소취용 향료 조성물
JP3741914B2 (ja) 消臭用組成物
JP3356772B1 (ja) 消臭剤
KR100471661B1 (ko) 음식물쓰레기용 탈취제
JPH0824320A (ja) 消臭剤
JP3177634B2 (ja) 消臭剤及び消臭方法
JP2023044291A (ja) イソ吉草酸臭抑制剤
KR101005990B1 (ko) 고흡수성 수지 방향제 조성물
JP2022063846A (ja) ジメチルトリスルフィド臭及び/又はジメチルジスルフィド臭低減剤組成物、並びにジメチルトリスルフィド臭及び/又はジメチルジスルフィド臭の消臭方法
JPH0430855A (ja) ムース状消臭剤
JPS61232854A (ja) 消臭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