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408B1 - 감열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감열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408B1
KR940000408B1 KR1019900702075A KR900702075A KR940000408B1 KR 940000408 B1 KR940000408 B1 KR 940000408B1 KR 1019900702075 A KR1019900702075 A KR 1019900702075A KR 900702075 A KR900702075 A KR 900702075A KR 940000408 B1 KR940000408 B1 KR 940000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trast
thin film
thermal
metal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154A (ko
Inventor
신게루 나까가미
하루히꼬 오오사와
유따까 타까기
타다히데 수기모또
미노루 후지따
요시히꼬 나까하라
Original Assignee
교오도인사쯔 가부시기가이샤
후꾸오까 고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오도인사쯔 가부시기가이샤, 후꾸오까 고로 filed Critical 교오도인사쯔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70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26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inorganic compounds, e.g. metals, metal salts, metal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41M5/38214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감열기록매체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감열기록매체를 도시한 개략부분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감열기록매체로의 기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부분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감열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감도 및 기록안정성이 양호한 감열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화카아드와 같은 프리페이드 자기카아드의 자기기록내용에 대응한 숫자등을 프린트해서 해당 자기기록내용이 시각으로 인지될 수 있는 기록을 행하는데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종래에, 더어멀(thermal) 헤드로 기록지를 주사하면서 상기 더어멀헤드의 발열소자를 기록신호에 대응해서 소정의 타이밍으로 발열시켜 기록지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으로서, 더어멀헤드와 보통 기록지의 사이에 감열잉크리본 개재해서 상기 잉크 리본의 잉크를 가열·용융시켜서 보통기록지에 대해서 소정패턴으로 전사하여 기록하는 열전사방식과, 소정패턴으로 감열기록지를 발색시켜 기록하는 감열방식의 2가지가 있다.
감열방식은, 기록지에 대해서 잉크를 사용하지 않고 기록지 자체의 감열층을 발생시키므로, 기록후의 외부로부터의 마찰력이 작용해도 기록에 대한 악영향이 거의 없다고하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잉크리본이 불필요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감열방식에서는, 기록은 감열발색층의 화학변화에 의거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화학벽화는 가역적이므로, 기록동작후에 있어서도 환경조건에 의해서 상기 기록이 변화할 수 있어 기록의 안정성이 충분치 않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감열발색층을 사용하는 기록지대신에, 금속박막층과, 상기 금속박막층에 접하여 설치된 감열연화층과, 콘트라스트층을 가지는 기록매체를 사용하고, 상기 기록매체를 더어멀헤드로 주사하면서 각 발열소자를 적시에 발열시켜 소정의 금속박막층을 가열용융시켜, 연화한 상기 감열연화층에 세립형상으로 상기 소정위치에 분산시키므로써, 상기 소정위치와 그 이외의 위치에서 금속박막층과 콘트라스트층과의 시각적 콘트라스트를 생기게하여 기록하는 새로운 감열기록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금속박막층을 용해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충분히 양호한 기록을 위해서는 큰 열량이 필요하며, 즉, 기록감도가 충분하지 않다는 난점이 있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기록감도 및 기록안정성이 양호한 감열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금속박막층과, 상기 금속박막층과 접하여 설치된 감열연화층과, 상기 감열연화층 또는 상기 금속박막층에 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금속박막층에 대해서 시각적 콘트라스트를 가지는 콘트라스트층과, 상기 금속 박막층에 관해서 상기 콘트라스트층과 반대쪽에 있어서 상기 감열연화층 또는 상기 금속박막층에 접하여 설치된 감열발색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매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콘트라스트층이, 기재위에 상기 기재에 접하여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자기기록층으로써도 기능할 수 있고, 금속박막층에 관해서 콘트라스트층과 반대쪽의 표면에 보호층이 설치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층이 감열연화층중의 하나로도 기능할 수 있고, 감열발색층이 류코염료, 산성 현색제 및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감열기록매체에 의하면, 소정의 기록패턴으로 감열발색층을 부분적으로 발색시켜, 물리적으로 금속박막층을 파괴하므로써 금속박막층 및 미발색의 감열발색층의 혼합색채와 콘트라스트층 및 발색된 감열발색층의 혼합색채사이의 콘트라스트로서 가시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기록감도 및 기록안정성을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감열기록매체의 제1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부분단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기재(2)의 표면(위쪽면)위에 콘트라스트층(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트라스트층위에 감열연화층(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열연화층 위에 금속박막층(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박막층위에 감열발색층(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열발색층위에 보호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재(2)로서는, 예를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폭시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카아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시이트나 합성지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2)는 예를들면 카아드형상과 같은 적절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콘트라스트층(4)는 상기 금속박막층(8)에 대해 시각적 콘트라스트를 가지는 것이면 되고, 일반적으로 금속박막층(8)은 백색을 띤 색채이므로, 콘트라스트층(4)은 흑색 또는 기타 짙은 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콘트라스트층(4)으로서는, 예를들면, 소정색채의 안료 또는 염료를 바인더수지, 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계수지, 알키드계수지, 비닐계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수지에 혼입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콘트라스트층(4)의 두께는 예를드렴, 20㎛히아이고, 바람직하게는 1∼15㎛정도이다.
상기 감열연화층(6)이 금속박막층(8)이 기입·기록특성을 향상(증감작용)시켜, 상기 기입시에 연화해서, 용융금속박막층 구성재료를 세립화하여 분산수용하도록 설치된다. 이와같은 감열층(6)의 감열재료로서는, 예를들면, 셀락, 로진, 또는 테르펜수지등의 저융점천연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계수지, 아크릴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폴리염화비닐계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수지, 아세트산 비닐계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 폴리부티랄계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수지등의 합성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주성분으로 해서, 필요하다면, 파라핀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합성산화왁스, 몬탄왁스, 휘셔-트롭쉬왁스,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왁스, 파라핀왁스유도체, 몬탄왁스유도체 또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유도체등의 왁스나,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염등을 저점도화 첨가제로서 첨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저점도화 첨가제가 미립자 형태라면, 지점도화 첨가제를 주성분내에 분산시켜 사용하나, 고형의 것은 용제에 용해하거나 가열하므로써 용융한 것을 주성분과 혼합 또는 상용시켜 사용한다. 상기 감열연화층(6)의 두께는 예를들면 10㎛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5㎛정도이다. 상기 감열연화층(6)에는, 그 위에 금속박막층(8)을 형성할때(예를들면 진공증착으로서)의 가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금속박막층(8)은 상기 콘트라스트층(4)을 은폐해두고, 기입·기록막으로 사용되며, 이와같은 금속박막층(8)의 금소재료로서는, 예를들면 기입·기록막으로 사용되며, 이와같은 금속박막층(8)의 금속재료로서는, 예를들면 Sn, Bi, Se, Te, Zn, Pb, In, Cd, Ti등의 저융점금속 또는 Pb-Sn, Bi-Sn과 같이 이들 금속을 포함하는 저융점합금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박막층(8)의 두께는 예를들면, 100∼2,000Å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300∼1,500Å정도이다.
상기 감열발색층(10)으로서는, 류코염료, 산성현색제 및 바인더수지를 포함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감열발색층(10)에 있어서의 류코염료로서는, 크리스탈바이올렛락톤 및 말라카이트그리인 락톤과 같은 트리페닐 메탄계의 류코염료, 1, 2-디벤조-6-디메틸아미노풀루오란과 같은 플루오란계의 류코염료, N-벤조일 오오러민과 같은 오오러민계의 류코염료, 페노티아진계의 류코염료 및 스피로피란계의 류코염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감열발색층(10)에 있어서, 산성현색제로서는, 페놀성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 즉, 페놀, O-크레졸, P-크렐졸, P-에틸페놀, t-부틸페놀, 2, 6-디-t-부틸-4-메틸페놀, 노닐페놀, 도데실페놀, 스티렌화페놀, 2, 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α-나프톨, β-나프톨, 히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과이어콜, 유게놀, P-클로로페놀, P-브로모페놀, O-클로로페놀, P-페닐페놀, O-브로모페놀, 2, 4, 6-트리크롤로페놀, O-페닐페놀, P-(P-클로로페닐)페놀, O-(O-클로로페닐)페놀, 실리실산, P-옥시벤조산에틸, P-옥시벤조산 프로필, P-옥시벤조산 옥틸, P-옥시벤조산도데실, 카테콜,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3-메틸카테콜, 3-이소프로필카테콜, p-t-부틸카테콜, 2, 5-디-t-부틸히드로퀴논, 4, 4'-메틸렌디페놀, 비스페놀 A, 1, 2-디옥시나프탈렌, 2, 3-디옥시나프탈렌, 클로로카테콜, 브로모카테콜, 2, 4-디히드록시벤조페놀, 페놀프탈레인, O-크레졸프탈레인, 프로토카테큐산메틸, 프로토카테큐산에틸, 프로토카테큐산프로필, 프로토카테큐산옥틸, 프로토카테큐산도데실, 피로갈롤, 옥시히드로퀴논, 플로로글루시놀, 2, 4, 6-트리옥시메틸벤젠, 2, 3, 4-트리옥시에틸벤젠, 갈산메틸, 갈산에틸, 갈산프로필, 갈산부틸, 갈산헥실, 갈산옥틸, 갈산도데실, 갈산세틸, 갈산스테아릴, 2, 3, 5-트리옥시나프탈렌, 타닌산 및 페놀수지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감열발색층(10)에 있어서의 바인더수지로서는, 알키드수지, 염화비닐수지, 우레탄수지, 크실렌수지, 페놀수지, 큐마론수지, 비닐톨루엔수지, 테르펜수지, 비닐톨루엔/부타디엔 공중합체수지, 비닐톨루엔/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수지, 폴리비닐 알코올수지, 메틸셀룰로오스수지,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수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수지,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수지, 폴리아크릴산수지, 젤라틴, 또는 아라비아 고무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감열발색층중에서, 류코염료와 산성현색제와의 비는, 예를들면, 1:0.5∼1:3(당량)이고, 바인더수지와 (류코염료+산성현색제)와의 비는 예를들면 1:0.1∼1:3(중량)이다.
상기 감열발색층(10)의 두께는 예를들면 15㎛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10㎛정도이다.
상기 보호층(12)으로서는, 예를들면, 셀룰로오스계수지, 우레탄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비닐계수지, 알키드계수지, 에폭시계수지 또는 아크릴계수지등의 내열성 및 마모저항성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에는, 가소제로써 프탈산에스테르, 지방산에스테르, 인산에스테르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또 윤활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써 저분자폴리에틸렌, 올레일아미드, 스테아릴아미드, 실리콘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계등의 자외선 경화형수지 또는 전자선 경화형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보호층(12)의 두께는 예를들면 10㎛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정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감열기록매체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부분단면도이며, 동도에 있어서, 상기 제1도와 동일한 부재에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가되어 있다.
제2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6a)는 콘트라스트층으로도 기능할 수 있는 감열연화층이다. 상기 감열연화층(6a)으로서는, 상기 제1실시예의 감열연화층(6)중에 소정색채에 안료 또는 염료를 혼입한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 감열연화층(6a)의 두께는 예를들면 20㎛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15㎛정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감열기록매체의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부분단면도이며, 동도에 있어서, 상기 제1도와 마찬가지의 부재에는 동일부호가 부가되어 있다.
제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14)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6)과 마찬가지인 감열연화층이다. 상기 감열연화층(6)의 두께는, 예를들면 10㎛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5㎛정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감열기록매체의 제4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부분단면도이며, 동도에 있어서, 상기 제1도와 마찬가지의 부재에는 동일부호가 부가되어 있다.
제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16)은 콘트라스트층으로도 기능할 수 있는 자기기록층이다, 자기기록층(16)으로서는, 종래 자기기록매체에 있어서의 자기기록층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자성재료로서 입경이 10㎛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01∼5㎛인 Ba-페라이트, Sr-페라이트, Co-피복 τ-Fe2O3, τ-Fe2O3, 침형상 철분 또는 CrO2를 사용하고, 바인더수지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수지, 알키드계수지, 비닐계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수지와 자성재료와의 혼합비는 기재와의 접착성, 도포막강도 또는 자기헤드에 의한 검출전압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한다. 바인더수지와 자성재료와의 중량비가 1/1∼1/10의 범위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2∼1/8가 적당하다. 상기 자기기록층의 두께는 예를들면 10∼15㎛ 정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감열기록매체의 기록실시예의 개략부분단면도이며, 동도에서는 상기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감열기록매체를 사용하고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호층(12)에 대해서 윗쪽으로부터 더어멀헤드(H)를 접촉시켜 화살표방향으로 주사해서 적시에 해당 헤드(H)의 발열소자를 발열시키면, 해당발열에 의해 감열발색층(10)이 발색하고, 감열연화층(6)이 연화되고, 금속박막층(8)이 용융되어, 상기 금속박막층(8)은 얇기 때문에, 용융시에 감열연화층(6)내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세립형상으로되어 분산된다. 이와같이, 금속박막층의 구성재료가 분산되 부분에서는, 상기 금속박막층(8)이 파괴상태가 되고, 헤드(H)가 통과한 후에 감열연화층(6)이 응고되어 기록이 고정화된다.
이 감열기록시에, 상기 헤드(H)의 발열에 의한 가열을 받지 않았던 감열발색층(10)의 부분은 발색하지 않고, 금속박막층(8)이 이 부분에서 변화하지 않고 남아있으며, 그 부분에서는, 금속박막층(8)의 흰색을 딴 색채와 그 위의 미발색감열발색층(10)의 흰색을 띤 색채를 혼합한 백색계의 색채를 나타낸다. 이에 대하여, 상기 헤드(H)발열에 의하여 발열된 부분은, 감열발색층(10)이 짙은 색채로 발색하고, 금속박막층(8)이 파괴되어서, 결국, 그 부분은 발색한 감열발색층(10)의 짙은 색채와 콘트라스트층(4)의 흑색을 띤 색채를 혼합한 측색계의 색채를 나타낸다. 따라서, 충분한 콘트라스트로 가시패턴(정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발열에 의해 가열된 부분의 감열연화층(6)에는 분산된 금속세립이 존재하나, 그 금속세립의 양은 너무 적어서 육안관찰에는 지장이 없다.
이와같이 해서 얻어진 기록은, 시간의 경과에 의해 감열발색층(10)의 발색이 희미해져도 이 희미해진 색을 보정해서 콘트라스트층(4)의 색채가 혼합된 색채를 나타내고, 전체적으로는 기록의 콘트라스트는 거의 저하되지 않으므로, 기록은 시간경과에 의해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감열기록매체에의 기록에 있어서는 더어멀헤드(H)의 발열 온도는, 상기 금속박막층(8)의 소정영역(기록신호에 대응하는 영역)을 완전히 파괴할 정도로 높지 않아야 된다. 왜냐하면, 소정영역에 소량의 금속박막층(8)이 잔류하여도, 기록을 행한 때에는 감열발색층(10)의 색체가 짙으므로 기록콘트라스트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고, 또 시간의 경과에 의해 감열발색층(10)의 색채가 어느정도 희미해져도, 상기 감열발색층의 색채는 어느정도 잔류하므로, 부분적인 기록콘트라스트의 저하는 그다지 크게 되지 않으며, 이때문에 종래의 금속박막층 파괴형의 감열기록매체에 마찬가지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기록을 행한 경우에 비해서 기록품위는 충분히 양호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열수단으로써 더어멀헤드(H)를 사용하였으나, 그 대신에 가열수단으로는, 동량의 열량을 공급하여 마찬가지 방법으로 금속박막층의 파괴가 가능한 기타 다른 적절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감열기록매체를 제조한 구체예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4도의 실시예의 감열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먼저, 두께 188㎛의 흰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필름(토레 가부시기가이샤 제품 E-24)(2)의 편면에 Ba-페라이트를 자성재료로 하는 두께 12㎛, 잔류자화 1.5Mx/㎝, 항자력 2,800 Oe 및 각형비 0.85의 자기기록층(16)이 형성되어 있는 자기시이트를 제조하였다.
다음에, 상기 자기기록층(16)위에 두께 4㎛의 감열연화층(6)을 형성하였다. 상기 감열연화층(6)의 형성시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말레인산 공중합체(유니온 카아바이드사제 VMCH)
………………………………………………………………………………20 중량부
벤조구아나민 파우어(평균입경(0.6㎛)) …………………………… 6중량부
메틸에틸케톤 …………………………………………………………… 40중량부
톨루엔 …………………………………………………………………… 40중량부
를 보올밀로 4시간동온 반죽하여 얻은 도료 100중량부에 대해서,
경화제(닛뽕 폴리우레탄 (주)제 코로네이트-L …………………… 0.2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 25중량부
톨루엔 …………………………………………………………………… 25중량부
를 가해서, 충분히 교반해서 얻은 도료를 바아코우더 #4로 도포해서, 100℃에서 1분간 건조시켰다.
여기에서, 벤조구아나민 파우더는, 감열연화층(6)의 표면을 조면화해서 상기 감열연화층위에 형성되는 금속박막층의 금속광택을 감소시켜 흰색을 띤 색채로 하기 위한 것이며, 이 조면화를 위해서는 그의 다른 적절한 미소립자(예를들면, 체질염료등)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감열연화층(6)위에, 진공도 10-4Torr 이하에서 증착속도 약 10Å/sec로 두께, 1,000Å의 Sn 박막층(8)을 증착에 의해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Sn 박막층(8)위에, 두께 3㎛의 감열발색층(10)을 형성하였다. 이 감열발색층(10)의 형성시에,
류코염료(닛뽕 카야꾸(주)제 TG-11)……………………………… 13.5중량부
알키드수지 ……………………………………………………………… 13.5중량부
크실렌 …………………………………………………………………… 63중량부
로 이루어진 발색제용 도료배합과,
산성현색제(닛뽕 카야꾸(주)제 TG-SA) ………………………… 13.5중량부
알키드수지 …………………………………………………………… 13.5중량부
크실렌 ………………………………………………………………… 63중량부
로 이루어진 현색제용 도료배합을, 별도로 다른 보올밀에 의해 분쇄하여 분산시켜, 발색제와 현색제를 입경 1㎛정도까지 작게 해놓고, 이들 각각의 100중량부와 경화제(닛뽕 폴리우레탄9주)제 코로네이트-EH) 1.8중량부를 고속교반기에서 혼합한 후, 바아코우터 #7에 의해 도포해서, 5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다음에, 상기 감열발색층(10)위에 보호층(12)을 형성하였다. 이 보호층의 형성시에,
알키드수지 …………………………………………………………… 18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 ……………………………………………………… 2중량부
크실렌 ………………………………………………………………… 80중량부
을 보올밀로 2시간동안 교반해서 폴리우레탄왁스를 분산시켜 얻은 도료 100중량부에 경화제(닛뽕 폴루우레탄(주)제 코로네이트-EH)1중량부를 첨가해서, 교속교반기에서 충분히 교반한 후, 바아코우터 #4에 의해 도포하고, 50℃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여기에서, 폴리우레탄왁스는 자기헤드와의 슬라이딩접촉에 견디기 위한 윤활성을 실현하고 또한 더어멀헤드에 의한 가열시의 스틱킹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 자기기록매체로서도 가능하는 감열기록매체는, 카아드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리페이드카아드로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감열기록은 카아드의 사용기록(날짜, 요금등) 및 잔고명세의 프린팅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시마다, 자기기록층에 기록되어 있는 잔고금액을 주정하고, 그의 상세를 해당 카아드의 표면에 감열기록에 의해 프린트하므로써, 이용자가 항상 카아드의 내용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은 가지기록매체로서의 기능을 양호하게 발휘시킬 목적으로 자기헤드와 자기기록층 사이의 거리를 크게하지 않기 위해서, 감열연화층(6)으로부터 보호층(12)까지의 두께의 합계를 1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기재(2)의 밑면에 소정의 디자인을 인쇄하여도 된다. 또, 보호층(12)위 혹은 감열발색층(10)위에 소정의 디자인을(인쇄해도 되며, 이 경우에, 디자인은 상기 감열기록의 가시패턴과 협동해서 소정의 표시를 행하는 것이도 된다.

Claims (4)

  1. 기재위에 설치된 콘트라스트층, 상기 콘트라스트층위에 설치된 감열연화층, 상기 감열연화층위에 설치된 금속박막층, 상기 금속박막층위에 설치된 류코염료, 산성현색제 및 바인더수지를 함유하는 감열발색층 및 상기 감열발색층위에 설치된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트라스트층은 상기 금속박막층에 대해 시각적 콘트라스트를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매체.
  2. 기재위에 설치된 자기기록층으로 기능하는 콘트라스트층, 상기 콘트라스트층위에 설치된 감열연화층, 상기 감열연화층위에 설치된 금속박막층, 상기 금속박막층위에 설치된 류코염료, 산성현색제 및 바인더수지를 함유하는 감열발색층 및 상기 감열발색층위에 설치된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트라스트층은 상기 금속박막층에 대해 시각적 콘트라스트를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매체.
  3. 기재위에 설치된 감열연화층으로 기능하는 콘트라스트층, 상기 콘트라스트층위에 설치된 금속박막층, 상기 금속박막층위에 설치된 류코염료, 산성현색제 및 바인더수지를 함유하는 감열발색층 및 상기 감열발색층위에 설치된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트라스트층은 상기 금속박막층에 대해 시각적 콘트라스트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매체.
  4. 기재위에 설치된 콘트라스트층, 상기 콘트라스트층위에 제1감열연화층, 상기 제1감열연화층에 설치된 금속박막층, 상기 금속박막층위에 설치된 제2감열연화층, 상기 제2감열연화층에 설치된 류코염료, 산성현색제 및 바인더수지를 함유하는 감열발색층 및 상기 감열발색층위에 설치된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트라스트층은 상기 금속박막층에 대해 시각적 콘트라스트를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매체.
KR1019900702075A 1989-01-20 1990-01-18 감열기록매체 KR940000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9944A JP2728214B2 (ja) 1989-01-20 1989-01-20 感熱記録媒体
JP9944 1989-01-20
JP1-9944 1989-01-20
PCT/JP1990/000047 WO1990008042A1 (fr) 1989-01-20 1990-01-18 Support d'enregistrement thermosensi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154A KR910700154A (ko) 1991-03-14
KR940000408B1 true KR940000408B1 (ko) 1994-01-20

Family

ID=1173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075A KR940000408B1 (ko) 1989-01-20 1990-01-18 감열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294587A (ko)
JP (1) JP2728214B2 (ko)
KR (1) KR940000408B1 (ko)
AU (1) AU620208B2 (ko)
CA (1) CA2026579C (ko)
GB (1) GB2234362B (ko)
WO (1) WO19900080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5217B2 (ja) * 1991-05-21 1999-03-08 共同印刷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3264288B2 (ja) * 1992-01-13 2002-03-11 共同印刷株式会社 情報の記録・読取り方法
JPH082106A (ja) * 1994-06-24 1996-01-09 Nippon Kayaku Co Ltd マーキング用組成物及びレーザーマーキング方法
US7262150B2 (en) * 2004-06-21 2007-08-28 Appleton Papers Inc. Secure thermally imaged documents susceptible to rapid information destruction by induction
JP2007109758A (ja) * 2005-10-12 2007-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化合物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9303B1 (ko) * 1969-04-05 1973-06-12
IL39731A (en) * 1971-07-15 1975-07-28 Energy Conversion Devices Inc Method for producing images
GB1492834A (en) * 1974-04-08 1977-11-23 Canon Kk Image recording member
BE833359A (fr) * 1974-09-18 1975-12-31 Pellicule formatrice d'images a traitement sec et procede pour sa mise en oeuvre
JPS5251943A (en) * 1975-10-21 1977-04-26 Energy Conversion Devices Inc Image forming method
JPS6058714B2 (ja) * 1978-03-07 1985-12-21 神崎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JPS5957787A (ja) * 1982-09-29 1984-04-03 Dainippon Printing Co Ltd 記録媒体
JPS6129586A (ja) * 1984-07-20 1986-02-10 Ricoh Co Ltd 感熱記録型磁気券紙
JP2530803B2 (ja) * 1984-09-20 1996-09-04 新王子製紙 株式会社 感熱記録シ−トの製造方法
JPH074965B2 (ja) * 1984-11-20 1995-01-25 株式会社リコー 感熱記録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944190A (en) 1990-08-13
GB2234362B (en) 1992-09-30
CA2026579A1 (en) 1990-07-21
GB9019702D0 (en) 1990-10-31
US5294587A (en) 1994-03-15
JP2728214B2 (ja) 1998-03-18
AU620208B2 (en) 1992-02-13
GB2234362A (en) 1991-01-30
WO1990008042A1 (fr) 1990-07-26
JPH02190384A (ja) 1990-07-26
CA2026579C (en) 1996-06-04
KR910700154A (ko) 1991-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3602A (en) Heat-sensitive recording material
US4401721A (en) Thermosensitive recording materials
KR920010111B1 (ko) 감열기록방법, 이것에 사용하는 감열기록매체 및 그 제조방법
KR940000408B1 (ko) 감열기록매체
US4307149A (en) Transfer element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GB2192288A (en) Thermosensitive recording materials
JPH04305492A (ja) 被熱転写媒体
JPH0578432B2 (ko)
GB2110399A (en) Thermosensitive recording material
JPH0117476B2 (ko)
JP3052247B2 (ja) 感熱磁気記録媒体
JP3317567B2 (ja) 感熱記録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感熱磁気記録媒体
JP2757905B2 (ja) 感熱磁気記録媒体
JP2537707B2 (ja) 被熱転写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51012B2 (ja) 感熱及び磁気記録併用可能な二重隠蔽情報媒体
JPH04351588A (ja) 熱記録媒体並びにその使用方法及び製造方法
JP2901881B2 (ja) 感熱磁気記録媒体
JP2567769Y2 (ja) 感熱記録型透明ラベル
JP2717755B2 (ja) 感熱記録媒体
JP2593362Y2 (ja) 被熱転写記録媒体
JPH0755091Y2 (ja) 秘密保持可能な感熱記録体
JPH06106844A (ja) 感熱記録媒体
CA1171324A (en) Transfer element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H03110191A (ja) 感熱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真偽判定システム
JPH0219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