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8617A - 음극선관의 형광면 형성방법 및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형광면 형성방법 및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8617A
KR930018617A KR1019930001361A KR930001361A KR930018617A KR 930018617 A KR930018617 A KR 930018617A KR 1019930001361 A KR1019930001361 A KR 1019930001361A KR 930001361 A KR930001361 A KR 930001361A KR 930018617 A KR930018617 A KR 930018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lyvinyl acetate
soluble
partially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7192B1 (ko
Inventor
노리히로 다데야마
가쓰도시 오노
쓰네오 구스노기
히로시 이또
슈이찌 니까자도
나오끼 이소베
Original Assignee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스즈끼 데쓰로
오지 가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스즈끼 데쓰로, 오지 가꼬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3001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30Luminescent screen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in lines
    • H01J29/32Luminescent screen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in lines with adjacent dots or lines of different luminescent material, e.g. for colour television
    • H01J29/327Black matrix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28Luminescent screens with protective, conductive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H01J9/2271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by phot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H01J9/2278Application of light absorbing material, e.g. between the luminescent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면의 색순도를 양호하게 하며, 휘도의 영상을 도모한다.
패널내면에 각 형광체충(3R), (3G), (3B)와 광흡수층(2)을 형성하고, 각 형광체층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예를 들면 수분산성 비닐중합체에멀젼과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감광제를 함유하는 수용성 감광액을 사용하여 중간막(11)을 형성한 후, 메틸백층(12)을 형성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형광면 형성방법 및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형광면 형성방법 일예의 공정도(NO.1).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형광면 형성방법의 일예의 공정도 (NO.2).

Claims (22)

  1. 패널내면에 각 형광체층과 이 각 형광체층사이의 광흡수층을 형성하고, 상기 각 형광체층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중간막을 형성한 후, 메틸백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극선관의 형광면 형성방법.
  2. 패널내면에 각 형광체층과 이 각 형광체층 사이의 광흡수층을 형성하고, 상기 형광체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광흡수층상의 일부에 걸쳐서 선택적으로 중간막을 형성한 후, 메틸백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형광면 형성방법.
  3. 수분산성 비닐중합체에멀젼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4. 수분산성 비닐중합체에멀젼과,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감광제를 함유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5. 수분산성 비닐중합체에멀젼과, 광중합개시제를 용해시킨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에서 선정되는 1종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화합물과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감광제의 유화(乳化)분산액을 함유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6. 광중합개시제를 용해시킨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에스테르에서 선정되는 1종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화합물과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감광제의 유화분산액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7.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비닐중합체에멀젼이 완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용성 셀룰로스유도체, 완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유도체,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유도체, 젤라틴, 젤라틴유도체, 전분 및 전분유도체 등에서 선정되는 1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를 보호클로로이드제로하여 중합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비닐중합체에멀젼이 계면활성제를 유화제로 하여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9.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비닐중합체 에멀젼이 계면활성제와, 완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용성 셀룰로스유도체, 완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유도체,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유도체, 젤라틴, 젤라틴유도체, 전분 및 전분 유도체 등에서 선정되는 1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를 보호클로이드제로서 병용하여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10.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비닐중합체에멀젼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등에서 선정되는 1종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중합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11. 제3항에 있어서, 수용성 감광액중의 감광재가 디아조화합물 및 중크롬산염 등에서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12. 제4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감광재가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 비닐과 디아조화합물의 혼합물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13. 제4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감광제가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과 중크롬산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14. 제4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감광제가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과, 스티릴피리디늄염화물 및 스티릴퀴놀리늄염화합물에서 선정되는 1종 이상의 감광성 화합물의 축합체(縮合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15.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비닐중합체에멀젼이 완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용성 셀룰로스유도체, 완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유도체,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유도체, 젤라틴, 젤라틴유도체, 전분 및 전분유도체 등에서 선정된 1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를 보호콜로이드제로하여 중합되고, 또한 상기 보호클로이드제로서 작용하고 있는 수용성 고분자에 스티킬피리디늄화합물, 스티릴퀴놀리늄염 화합물에서 선정되는 1종 이상의 감과성 화합물의 부가축합(付加縮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16. 제3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비닐중합에멀젼의 구성부분인 에틸렌성 불포화화합물의 중량(A)과 에멀젼중합시에 보호콜로이드제로서 사용된 수용성 고분자의 중량(B)의 중량비가 (A) : (B) = 99 : 1~10 : 9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17. 제4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비닐중합체에멀젼의 구성성분인 에틸렌성 불포화화합물의 중량(A)과 에멜젼중합시에 보호콜로이드제로서 사용된 수용성 고분자의중량(B)과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감광제에 함유되는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의 중량(C)의 비가 〔(A)+(B)〕: (C)=99 : 1 : ~10 : 9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18. 제5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비닐중합체에멀젼의 구성부분인 에틸렌성 불포화합물의 중량(A)과 에멜젼중합시에 보호콜로이드제로서 사용된 수용성 고분자의 중량(B)과 광중합개시제를 용해하고 있는 에틸렌성 불포화화합물의 중량(C)과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감광제에 함유되는 부분강화 폴리아세트산비닐의 중량(D)의 중량비가 〔(A)+(C) 〕:〔(B)+(D)〕=99 : 1 ~10 : 9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19. 제6항에 있어서, 광중합개시제를 용해하고 있는 에틸렌성 불포화화합물의 중량(A)과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감광재에 함유되는 부분감하 폴리아세트산비닐의 중량(B)의 중량비가 (A) : (B)=99 :1~10: 9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2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유화분산액에 있어서 광중합개시제를 용해시킨 에틸렌성 불포화화합물이 계면활성재 또는 에틸렌성 불포화화합물중에 함유되는 극성기(極盛期)의 작용에 의해 유화된 후,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감광제를 혼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21.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유화분산액에 있어서 광중합개시제를 용해시킨 에틸렌성 불포화화합물이 완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용성 셀룰로스유도체, 완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유도체,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유도체, 젤라틴, 젤라틴유도체, 전분 및 전분유도체 등에서 선정되는 1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의 작용에 의해 유화된 후,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감광제를 혼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22.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유화분산액에 있어서, 광중합시개시제를 용해시킨 에틸렌성 불포화화합물이 완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용성 셀로로오스유도체, 완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유도체, 부분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유도체, 젤라틴, 젤라틴유도체, 전분 및 전분유도체 등에서 선정되는 1종이상의 수용성 고분자와 계면활성제의 병용에 의해 유화된 후, 부분 감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감광제를 혼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되는 것임.
KR1019930001361A 1992-02-04 1993-02-02 음극선관의형광면형성방법및중간막용의수용성감광액 KR100317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9,104 1992-02-04
JP01910492A JP3406976B2 (ja) 1992-02-04 1992-02-04 陰極線管及びその蛍光面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617A true KR930018617A (ko) 1993-09-22
KR100317192B1 KR100317192B1 (ko) 2002-02-19

Family

ID=1199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361A KR100317192B1 (ko) 1992-02-04 1993-02-02 음극선관의형광면형성방법및중간막용의수용성감광액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72903A (ko)
JP (1) JP3406976B2 (ko)
KR (1) KR1003171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213B1 (ko) * 1997-07-29 2004-1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조성물
KR100793942B1 (ko) * 2006-07-25 2008-01-16 이영대 수용성 아크릴계 친환경적 저온분해용 아크릴 에멀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395B1 (ko) * 1992-12-16 1995-04-28 삼성전관주식회사 개선된 스크린을 갖는 칼라 음극선관과 그 제조 방법
KR20050051817A (ko) * 2003-11-28 2005-06-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방출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20070046662A (ko) 2005-10-31 2007-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표시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3027A (ja) * 1987-10-01 1989-04-12 Sony Corp カラー陰極線管の製造方法
JP2715476B2 (ja) * 1988-09-29 1998-02-18 ソニー株式会社 受像管の蛍光面の形成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213B1 (ko) * 1997-07-29 2004-1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조성물
KR100793942B1 (ko) * 2006-07-25 2008-01-16 이영대 수용성 아크릴계 친환경적 저온분해용 아크릴 에멀젼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72903A (en) 1994-12-13
JPH05217496A (ja) 1993-08-27
JP3406976B2 (ja) 2003-05-19
KR100317192B1 (ko) 200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2528A (en) Oxygen barrier layers for photopolymerizable elements
JPH09508427A (ja) 拡散転写式製品のための二相酸性水性組成物
JPH0850356A (ja) ポジ型フォトレジスト
DE2347784A1 (de) Photopolymerisierbare materialien
JPS5880301A (ja) 水系光重合性組成物
DE2846044A1 (de) Fotografisches element
DE2127767A1 (de) Fotopolymerisierbares Aufzeichnungs material
DE2817607C2 (ko)
KR930018617A (ko) 음극선관의 형광면 형성방법 및 중간막용의 수용성 감광액
US6333137B1 (en) Screen printing stencil
JPH02113254A (ja) フレキソ印刷版用の可塑化された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剥離層
DE2729819C3 (de) Photographisches Aufzeichnungsmaterial für das Diffusionsübertragungsverfahren
DE2652464A1 (de) Fotografische filmeinheit zur herstellung farbiger uebertragsbilder
JPS6224779B2 (ko)
DE2733005A1 (de) Lichtempfindliche masse
US513404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cathode ray tube
DE3426276A1 (de) Photographisches element
DE2915871C2 (ko)
JP2526316B2 (ja) 水性または半水性で処理可能なフレキソグラフ印刷板用のレリ―ズ層
US4328301A (en) Stripping layers in diffusion transfer film
DE2911694A1 (de) Fotografische filmeinheit zur herstellung farbiger uebertragsbilder
US4948701A (en) Silver halide wash-out elements
US4608424A (en) Latex compositions comprising loadable polymeric particles
DE3019392A1 (de) Photographisches aufzeichnungsmaterial
DE69830002T2 (de) Photographische verarbeitungszusammensetzung und photographische diffusionsübertragungs-filmeinhe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