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729B1 - 자동 거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거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729B1
KR930011729B1 KR1019900013433A KR900013433A KR930011729B1 KR 930011729 B1 KR930011729 B1 KR 930011729B1 KR 1019900013433 A KR1019900013433 A KR 1019900013433A KR 900013433 A KR900013433 A KR 900013433A KR 930011729 B1 KR930011729 B1 KR 930011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
transaction
withdrawal
uni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200A (ko
Inventor
가즈나리 스가이
겐지 다구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10005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거래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에 관한 현금자동거래의 일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반송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3도는 계수부의 구조설명도.
제4도는 본원 발명의 장치전체의 블록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원 발명의 반송체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도.
제7도는 본원 발명의 장치 전체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
제8도 내지 제12도는 제1도의 동작설명도.
제13도는 지불동시거래의 동작플로도.
제14도는 지폐보충의 동작플로도.
제15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유니트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17도, 제22도 및 제23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유니트사시도.
제18도 내지 제21도는 본원 발명의 현금자동거래장치의 레이아웃의 실시예도.
본원 발명은 현금의 입금, 출금등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자동거래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자동거래장치는 은행등의 금융기관의 점포내외에 설치되어, 고객이 직접 조작하는 것과 창구에서 은행출납원이 조작하는 것이 있다. 상기 장치는 고객전용기 또는 출납원전용기이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크고 코스트가 높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서 복수의 입출금부를 서치하여 코스트저감을 도모한 자동거래장치가 있다. 이 종류의 장치는 일본국 특개소 59(1984)-27385호, 동 특개소 59(1984)-119497호, 동 특개소 63(1988)-188289호, 동 특개소 59(1984(-197990호에 개시되고, 또한 동 특개소 59(1984)-197990호에는 은행의 카운터에 설치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복수의 입출금부에서 동시에 거래가 운용되었을때의 쌍방의 거래시간의 단축에 충분한 배려가 되어 있지 않다. 즉, 복수의 입출금부에서 동시에 다른 종류의 거래가 잔행되는 경우, 또는 입금과 입금, 출금과 출금과 같은 동일한 종류의 거래가 진행되는 경우에는 한쪽의 입출금부의 거래처리를 행하고 있는 동안 다른쪽의 입출금부의 처리가 정지되어 있으므로, 정지되어 있는 측의 이용자는 기다릴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가 저하되고, 1대의 장치에 복수의 입출금부를 설치한 의미가 없어진다.
또, 은행출납원과 고객측으로서는 업무내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입출금부의 조작부는 공통이며, 지폐의 보충이나 익숙하지 못한 이용자에 대한 배려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즉, 일본국 특개소 59(1984)-27385호 공보나, 동 특개소 59(1984)-119497호 공보에 개시된 것에서는 운용중에 지폐부족이 발생했을 때는 보충카세트를 준비해두든가, 장치를 정지하여 카세트에 채우지 않으면 안되며, 역으로 지폐의 보충회수를 적게 하기 위해서는 커다란 지페수납카세트가 필요하게 되어 장치전체가 대형화된다. 또, 지폐를 보충할 때에는 전용의 루트나 기구가 필요하게 되고,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원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고,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일본국 특개소 59(1984)-197990호 공보에 개시된 것에 있어서는 각 이용자가 조작부(입출금부)를 전유할 수 없다, 거래조작을 1개소에서 할 수 없다.
또한, 종래장치는 고객의 요구에 따른 조작부의 위치변경이나 대수변경의 경우에도 대폭적인 설계변경이 필요했었다. 예를 들면 종래의 기술은 지폐를 벨트로 협지하여 운반하기 때문에, 실장(實奬)의 변경은 곤란하며, 기업내 로비의 카운터나, 출납원측 등의 설치장소, 전후면등의 설치형태에 대응 할 수 있는 범위가 좁기 때문에, 한쪽 조작부 또는 전후대면 조작에 의해 대응하지 않으면 안되며, 다양화되는 오늘날의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동시에 입금이나 출금을 요구해도 적은 대기시간을 입금과 입금, 출금과 출금등의 동시거래가 가능한 자동거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충카세트, 보충기구 없이 복수의 입출금부로부터의 지폐의 보충을 가능하게한 자동거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장소나 설치형태등에 적합하도록 유니트화되어 있는 각 모듈의 대수나 위치등을 자유로이 조합하여 다양한 요구에는 대응을 도모하고, 대체업무등의 창구업무나 예금지불등 다양한 업무에 대해 스위치 하나로 선택과 변경이 가능한 자동거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에 대하여, 동시거래를 실현하기 위해 복수개의 입출금부나 조작부에 거래매체처리부를 대응개수 설치하고, 또 반송체의 이동순서가 복수개의 입출금부에 대해 최단시간이 되도록 제어부에 설정한다. 또, 반송체를 최소한 2개 준비하고, 한쪽을 입금, 다른쪽을 출금전용으로 한다. 또 각각의 입출금부에 대응하여 전용화한다. 상기에 의해 동기거래발생시의 대기시간을 없애고, 또 처리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도록 구성한다.
또, 지폐보충기구 내지 지폐보충용 카세트를 없애기 위해 고객과는 별도의 곳에도 입출금부와 조작부를 설치하고, 지폐부족을 센서등으로 검지하면서 출납원측의 조작부에 설치한 잔여지폐소량경보 등으로 알려 출납원이 거래하는 사이에 보충모드로 전환하여 입출금부로부터 보충하는 구성으로 한다. 단, 너무 고객이 많을 때는 보충하기 전에 없어질 가능성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잔여지폐소량 검지위치를 어디에 하는가는 그 점포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두면 문제가 없다. 또, 다양화되는 오늘날의 요구에 대응한 자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자동거래장치의 독립기구인 계수부, 반송체, 거래매체(카드·전표)처리부, 입출금부, 경화처리부, 수납부, 조작부, 제어부등을 유니트화하고, 그 설치장소에 따라 입출금부나 카드전표처리부, 반송체등의 수나 실장위치를 자유로이 변경하여 조합하고, 더욱이 창구 업무나 고객거래업무를 미리 제어부에서 설정해 두고, 조작부에서의 선택을 마음대로 하고, 고객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의 목적은 복수의 입출금부와, 이 입출금부에 대응하는 카드·통장등의 거리매체리부와,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부와, 지폐를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입출금부와 대응하여 이 입출금부와 상기 계수부간 및 이 계수부와 상기 수납부간에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체와, 상기 각 부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자동거래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 상기 반송체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복수의 입출금부에 대하여 최소한 1조를 구비하고, 소정의 궤도에 따라 반송하는 구성을 가지며, 입금 또는 출금거래종별에 대하여 전용, 입출금부에 대하여는 겸용으로 동작하는 것, 반대로 입출금부에 대하여 전용, 입출금거래종별에 대하여는 검용의 것, 또한 어느것에나 전용의 것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반송체는 복수종류의 지폐를 일괄 파지하는 매티풀레이터(manipulator)(로보트핸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입출금부에 입력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각각 설치하고, 입출금부의 각각으로 부터 지폐보충이 가능한 구성을 가진 것이다.
장치내의 지폐가 부족한 경우에는 수납부내의 센서가 검지하고, 출납원이 경보장치에 지폐보충의 필요를 전달한다. 여기서, 출납원이 보충모드로 전환하고, 복수의 입출금부중 출납원 전용의 입출금부로부터 지폐를 보충한다. 보충의 회수는 1회 또는 수납부내에 설치한 센서가 온될 때까지 수차례 계속해도 된다. 입출금부로부터 삽입된 보충지폐는 반송체의 로보트핸드가 파지하여 계수기에 반송되어 계수되어 계수된 다음, 다시 카세트에 장전되어 보충이 종료된다.
다음에, 자동거래장치의 주요부는 독립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들을 계수부, 로보트핸드가 지폐를 파지하여, X, Y, Z축으로 이동이 가능한 반송체, 카드전표처리부, 입출금부, 통장인자부, 경화처리부, 수납부(카세트), 조작부, 제어부등으로 나누고, 유니트화된 고객요구에 따라서 이것들을 목적에 따라 조합하여 실장하면, 그 성능, 가격, 치수등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또, 창구업무나 고객거래업무등 ATM(Automatic Teller Machine)을 이용한 업무는 여러가지로 고려할 수 있으나, 미리 고객요구등에 따라 제어부에 세트해 두고, 대체스위치등으로 복수의 조작부를 자유로이 바꿀 수 있고, 보유하고 있는 유니트의 기능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 동시거래할 때는 복수의 조작부에 대해 카드전표처리부도 그것과 대응하는 수만큼 준비하고, 대시시간을 없애고, 다시 지폐처리도 반송체의 핸드의 이동위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으므로, 미리 최단시간에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부에 세트해둔다. 또, 반송체를 최소한 2개이상 배설하고, 반송체의 핸드를 입금전용과 출금전용으로 구별하여 행하는 방법도 있다. 다음에, 입출금부 1개에 대해 1개의 반송체로서 행하여 동시거래를 가능하게 하여, 더욱 거래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것에는 계수기, 카세트등도 있으나, 계수기는 고가이므로 공용해도 상기 목적은 달성되며, 또 카세트도 공용해도 된다.
또, 장애자 및 노인등이 이 기계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에 대해서는, 전환스위치의 조작으로 고객측으로부터도 출납원측으로부터도 모두 입력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부를 구성하고, 고객측은 사용 불가로 하여 출납원측에 고객측의 기능을 갖게 함으로서 출납원이 고객 대신에 조작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거래장치(현금자동취급장치)(100)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된 입출금부(3A) (3B)를 전후면에 구비하고, 다시 계수부(2)와, 수납부(1)와, 반송체(4)와, 자기카드의 독해, 기록과 전표통장에의 인자를 행하는 거래매체처리부(카드·전표처리부)(9)와, 수납부(1)와는 별개로 설치된 금고(5)와,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입출금부는 현금지불전용기의 경우에는 지불구이고, 현금예입불기의 경우에는 입출금구를 나타낸다. 입출금부가 있는 조작부(3)에는 표시용 CRT(3c), 조작키(3d)가 배치되고, 또한 카드·전표처리부(9)의 카드삽입구(9a), 통장삽입구(9b)가 개구(開口)되어 있다.
고객측의 입출금부(3A)는 고객이 예입거래시 예입할 지폐(10)를 투입하는 개구와, 지불금수취시 지폐(10)를 수취하기 쉽도록 상향의 호퍼(3a)를 가지며, 입출금부(3A)는 자동거래장치(100)의 앞부분 위쪽 위치에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또, 출납원측의 입출금부(3B)는 고객측 입출금부(3A)와 상대하는 방향에 있으며, 완전히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입출금부(3B)를 이용하여 출납원측으로부터의 예입이나 지불이 가능하다.
계수부(2)는 거래시 지폐의 검사와 계수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입출금부(3A), (3B)와 병렬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계수부(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래할 지폐(10)가 반송되었을 때, 지폐(10)를 내부에 인입하는 인입호포( 2a), (2b)와 인입된 지폐(10)을 반송하는 주반송로(2f)와, 주반송로(2f)를 통과하는 지폐(10)를 감별하는 감별기(2g)와 감별된 지폐(10)를 각각 종류별로 분류하여 유지하는 검사필 호퍼(2c), (2d), (2e)를 가지고 있다.
인입호퍼(2a), (2b)는 지불거래시 만원권, 오천원권 및 천원권을 각각 인입하고, 예입거래시 예입된 모든 종류의 지폐를 한쪽의 호퍼로부터 인입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감별기(2g)는 지폐(10)가 주반송로(2f)를 통과했을 때, 지폐(10)의 종류의 검출과, 위조여부를 감별하는 동시에, 지폐(10)의 오손등을 검사하여 거래에 사용할 수 있는 지폐와, 사용할 수 없는 지폐의 선별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검사필 호퍼(2e), (2d)는 예입 거래시 만원권, 오천원권 및 천원권을 각각 종류별로 퇴적하여 유지하고, 검사필 호퍼(2c)는 위조권이나 사용불능의 지폐등을 퇴적하여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검사필 호퍼(2e)는 지불거래시 지폐(10)의 종류에 관계없이 지불해야 할 지폐(10)를 일괄적으로 퇴적하여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수납부(1)는 운용고(1b), 회수고(1a)를 가지며, 운용고(1b)는 지폐를 각각의 종류별로 수납하는 수납호퍼(a), (b)를 가지며, 계수부(2)와 병렬하여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납호퍼(a)는 지불거래에 사용한 천원권을 수납하고, 수납호퍼(b)는 지불거래에 사용할 만원권 및 예입된 만원권을 수납하며, 그것들은 수납부(1)내에 있어서, (a), (b)의 순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회수고(la)는 예입시의 천원권, 오천원권과, 사용불능의 손상된 지폐등을 회수하는 수납고이다.
반송체(4)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10)를 일괄적으로 파지하는 로보트핸드(4A)와 이 핸드(4A)를 입출금부(3A), (3B)와 계수부(2)와 수납부(1)와의 사이를 이동시키는 구동원(驅動源)을 가지며, 지폐(10)를 거래종류에 따라 각 부에 반송한다. 핸드(4B)는 핸드(4A)와 완전히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핸드(4A)는 개폐가능한 한쌍의 손가락을 가지며, 이 손가락은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동체(4b)에 장착되고, 이 구동체(4b)는 고정되어 있는 궤도(안내축)(4h)와, 스크류축(4j)에 따라 모터(4g)에 의해 화살표 Z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안내축(4h)과 스크류축(4d)은 베이스(4i)에 고정되고, 베이스(4i)는 스크류축(4d)과 궤도(안내축)(4e)에 고정되고, 모터(4f)에 의해 회전되어 전체를 Y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구동체(4b)내에는 구동용 모터가 내장되어 있다. 또, 핸드(4B)도 상기와 같은 구조이며, X, Y, Z방향의 이동 및 손가락의 개폐가 가능하다.
예입거래시 카드·전표처리부(9)에 이용자가 카드, 통장을 삽입한 후, 핸드(4A)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에 의해 소정의 조작을 행하고, 입출금부(3A)의 호퍼(3a)에 지폐(10)가 투입되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 입출금부(3A)로부터 그 지폐(10)를 일괄적으로 파지하여 수취하고, 지폐(10)를 그대로 계수부(2)의 인입호퍼(2a)에 반송하여 인도한다. 계수부(2)에 의해 각각의 검사필 호퍼(2e), (2d)에 지폐(10)가 분배된다. 검사필 호퍼(2e), (2d)상의 지폐(10)는 핸드(4A)로 수취되고, 수납부(1)의 운용고( 1b)의 대응하는 수납호퍼(a), (b)에 까지 반송되어서 인도된다.
또, 지불거래시 이용자가 카드전표처리부(9)에 카드를 삽입한 후,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에 의해 소정의 조작을 행하고, 또한 지불금액이 이 조작부에서 지정되면, 수납부(1)의 운용고(1b)의 수납호퍼(a), (b)로부터 핸드(4A)에 의해 지폐(10)가 일괄적으로 파지되어 꺼내지고, 계수부(2)와 대응하는 인입호퍼(2a), (2b)에 반송되어 인도된다. 계수부(2)가 지정금액에 상당하는 종류와 매수의 지폐를 검사필 호퍼(2e)에 일괄적으로 송출하면, 송출된 지폐(10)는 핸드(4A)에 의해 입출금부(3A)의 호퍼(3a)에 반송되어 인도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핸드(4A)는 지불거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미리 계수부(2)의 각 인입호퍼(2a), (2b)에 수납부(1)의 운용고(1b)의 호퍼(b), (a)중의 지폐(10)를 반송하고, 예입인입시에는 인입호퍼(2b)의 지폐(10)를 계수부(2)의 호퍼(2h)에 반송하여 일시적으로 복귀시키도록 하고 있다.
핸드(4B)도 상기와 같이 입출금부(3A), (3B), 계수부(2), 수납부(1)와 주고받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핸드(4A), (4B)를 2개소로, 카드·전표처리부(9)를 2개소로 한 것은 동시 거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다.
제어부(6)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각 부의 동작을 콘트롤하기 위한 데이터나 운용패턴을 메모리(6a)에 기억하고 있으며, 반송체(4)의 이동범위도 설정되어 있다.
이용자가 고객과 고객, 출납원과 고객, 출납원과 출납원 같이, 본원 발명의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사용방법은 여러가지 있으나, 예를 들면, 고객과 고객의 경우에는 한쪽은 통상의 예입과 지불로 하고, 다른쪽을 크레디트용으로 하여 현금교환, 환불등의 이용도 가능하며, 그 전환은 장치내의 도시하지 않은 전환스위치에 의해 원터치전환이 가능하다. 또, 고객과 출납원의 경우에는 출납원측은 업무로서 예입지불동작이 수반되지 않는 대체업무나 납세처리등의 창구업무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내부의 기구를 최대한으로 활용하는 기능확장이 가능하다, 또 출납원측의 조작부의 기능을 고객측과 동일하게 함으로서, 익숙하지 못한 고객에 대해서는 출납원이 고객측으로 가지 않아도 전환스위치를 조작하여 고객 대신에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는 일예에 불과하며, 미리 제어부(6)의 메모리(6a)에 업무의 프로그램을 기억시킴으로서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현급자동거래장치로 동시거래를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소의 카드·전표처리부(9), 2개의 입출금부(3A), (3B) 및 2조의 핸드(4A), (4B)에 의해 동시거래에 적합한 운용을 행할 수 있다. 제4도에 그 블록도를 도시한다. M, N은 이용자를 표시하며, 이용자 M, N에 의해 카드전표처리부(9) 및 입출금부(3A), (3B)를 직접 조작한다. 또, 핸드(4A), (4B)를 중심으로 한 실선 화살표는 핸드(4A), (4B)가 각 부와 지폐를 통해 액세스하는 경로를 표시하며, 파선화살표는 제어부(6)가 각 부와 액세스하는 경로를 표시한다. 핸드(4A), (4B)는 계수부(2)와 수납부(1)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또, 이들 복수의 핸드는 입금 또는 출금등 거래의 내용에 대해 전용으로서 동작하고, 입출금부(3A), (3B)에 대해서는 겸용으로 동작하는 것, 반대로 입출금부(3A), (3B)에 대하여 전용이지만, 입출금의 거래내용에 대해서는 겸용의 것, 다시 상기 어느것에 대해서도 전용인 것 등을 생각 할 수 있으나, 이것들은 모두 제어부(6)의 지령에 의해 동작제어된다.
이상이 본원 발명의 현금자동거래장치의 구성이다. 제4동의 경우, 한쪽의 핸드(4A)는 고객조작부 M측 전용으로 하고, 또 다른 핸드(4B)는 고객조작부 N측 전용으로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의 반송체(4)의 구성은 제2도와 같이 되며, 입출금부(3A), (3B)의 거래건수가 대략 균등하게 절반씩인 경우에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성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그 외에 한쪽의 핸드(4B)는 예입전용, 다른 쪽의 핸드(4A)는 지불전용으로서 구별해도 된다. 이 경우의 블록도는 제4도와 동일하나, 반송체(4)의 구성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이 특징은 2대의 핸드(4A), (4B)가 상이한 궤도상을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핸드 (4A)의 화살표 X방향의 이동 거리는 핸드(4B)보다 길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이 방식에 의하면 예입, 지불건수가 균등한 경우에 유리하다. 이 방식은 예입지불 전용으로 하였으나,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입출금부(3A), (3B)나 계수부(2)에 가장 가깝고, 거래시간의 단축화에 유효한 위치에 있는 것을 제어부(6)가 순서에 판단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도의 경우도 동일하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로서, 소규모이고 한쪽의 대기시간이 조금 길어도 된다는 조건하에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체(4)는 1조라도 되며, 그 경우의 블록도는 제7도와 같이 되며, 제4도와 마찬가지로 M, N은 이용자, 실선화살표는 핸드(4A), (4B)가 각 부와 지폐를 통해 액세스하는 경로, 파선화살표는 제어부(6)가 각 부와 액세스하는 경로를 표시한다.
이상 설명한 반송체(4)의 구성은 단지 한 예에 불과하며, 예를들면 반송궤도를 원호형으로 구성하고, 다른 유니트도 이것에 따라 배치하고, 원테이블상에 ATM을 배설하는 것도 가능하며, 매우 다양한 각 유니트의 조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동시거래에서 동시에 지불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불동작의 상세는 핸드(4A)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핸드(4B)의 경우도 같다. 이용자 M, N이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의 키조작이나 자기카드에 관한 처리를 행하고, 이어서 핸드(4B)는 운용고(1b)로 부터 지불용 지폐를 가지러 가고, 계수부(2)의 인입호퍼(2a), (2b)에 천원권, 만원권을 일괄하여 삽입하나, 이것은 미리 삽이해두어도 된다. 이와 동시에 핸드(4A)는 계수부(2)의 검사필 호퍼(2e) 앞에서 대기한다. 동시에 입출금부(3A), (3B)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여 해드(4A), (4B)로 부터의 수취위치에서 대기한다. 다음에,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수부(2)에 의해 M측의 지폐를 송출하고, 검사필 호퍼(2e)에 퇴적한다. 이 동안, 핸드(4B)는 일시 대기한다. 다음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디, 핸드(4A)는 지폐(10)를 꺼내어 입출금부(3A)에 지폐(10)를 인도한다, 이와 동시에 핸드 (4B)는 계수부(2)의 검사필 호퍼(2e) 앞에서 N측의 지불지폐(10)를 수취한다. 이와 같이 지폐를 수취한 후, 핸드(4B)는 입출금부(3B)에 지폐(10)를 인도한다. 다음에,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출금부(3A), (3B)는 회전하여 지불지폐(10)를 이용자에게 인도한다.
예입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계수부(2)로부터 송출하고, 검사시에만 한쪽의 핸드측에 대기시간이 발생한다. 동작수순에 대하여는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동시거래에 대한 지불동작플로를 제13도에 도시한다. 종측을 시간으로 하여 거래선택으로부터 중앙교신까지는 이용자 M, N이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다음에, 계수부는 고가이므로 공용화하고 있으며, 여기서 지폐를 카운트하고 있을때만 대기시간이 발생하지만, 그후 바로 다른쪽의 지폐의 카운트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 M과 N에 대한 시간차는 불과 지폐의 카운트에 소요되는 시간차뿐이며, 다른 키조작, 카드처리, 지폐반송등은 병렬처리되어 전체적으로 시간차의 발생은 근소한 것이다.
또, 본원 발명의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사용에 의해 지폐의 보충은 제14도의 동작플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용고(1b)내의 쌓인 지폐높이를 검출하고 있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지폐부족을 검출한 경우, 한쪽의 조작부에 잔여지폐소량경보를 발한다. 이 경우, 경보는 출납원측으로 부터 발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출납원 N은 키조작으로 보충모드로 선택하고, 통상은 보충지폐를 지불예입에 사용하는 입출금부(3A), (3B)로부터 투입된다. 투입지폐는 통상 예입동작과 같이 반송체(4)에 의해 계수부(2)의 인입호퍼(2a)에 삽입하고, 검사하고, 장치의 제어부(6)에 보충매수를 등록한다. 다음에, 반송체(4)는 운용고(1b)의 수납호퍼(a) 또는 (b)에 지폐(10)를 삽입하여 보충한다. 이 경우, 다른 N측의 조작부에서는 거래가 가능하여 기계를 정지할 필요가 없다. 또, 천원권, 만원권을 혼재상태에서 보충해도 계수부(2)내에서 분류하기 때문에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한번에 대량의 보충을 행하는 경우는 수차에 걸쳐서 나누어 실시하면 된다.
제15도는 본원 발명의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실시예도이다. 조작부에 입출금부(3A), (3B), CRT(8) 및 카드전표처리부(9)를 가지며, 반송체(4)에는 핸드(4A), (4B)를 2조 구비한 것이다. 또, 반송체(4)와 대향해서 제어부(6), 운용고(1b), 계수부(2), 금고(5)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각 부는 모두 독립하여 유니트화되어 있으므로 교체 및 대수변경은 자유로이 할 수 있고, 고객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본실시예에서 조작부를 대향으로 한 것은 대면하는 이용자에 금액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또는 이용자와 출납원을 대향시키는 레이아웃이 목적이며, 제17도와 같이 유니트를 병렬로 배치하는 수도 있다. 이 병렬배치의 동작은 상기 설명한 것과 같으며, 이 도면에서는 2조의 조작부를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 복수의 배설이 가능하다. 또, 직선적인 병렬에 한하지 않으며, 반송체(4)의 운행궤도를 곡선형으로 하여 이에 따라 각 부를 배치해도 된다. 제16도는 제15도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입출금부, 카드·전표처리부, 계수부, 수납부,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체, 각 부에 대한 제어부등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각 입출금부, 카드·전표처리부, 계수부, 수납부, 반송체, 제어부에 상당한다.
제18도 내지 제20도에 본원 발명의 현금자동거래장치의 레이아웃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8도는 출납원과 고객간의 카운터에 장치를 배설한 것이며, 출납원과 고객이 접촉을 유지하면서 거래를 실시 할 수 있다.
제19도는 출납원측에 2인의 출납원이 대면하여 사용하는 배치의 실시예도이다.
제20도는 예를 들면 점포내와 점포밖을 구획하는 벽을 통해서 설치한 실시예이고, 점포내의 고객과 점포밖의 고객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제21도는 제17도의 병렬배치에 의한 실시예도이며, 1대의 장치로 복수개조에 조작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제22도는 조작부를 원통의 내부에 수용한 것이며, 각 유니트는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반송체(4)는 각 분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액세스하는 실시예도이다.
또, 제23도는 직방체의 내부에 반송체(4)를 2조, 카드·전표처리부(9)를 3조, 조작부를 3조 배설한 실시예도이며, 계수부(2), 수납부(1)는 공용화되어 있다.
이상의 실시예는 각 부의 조합배열의 일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조합배열을 생각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요구에 의해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조합이 자유롭기 때문에, ATM의 조작위치 및 수량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는 것과, 원터치로 조작부의 운용형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요구에 적응한 운용을 시기적절하게 설정 할 수 있으므로, 업무효율이 향상되고, 또한 고객에 대해 높은 편리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유니트의 조합배열에 따라서는 대수의 삭감도 가능하여 투자금액을 삭감할 수 있다. 또, 동시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자에 대하 대기시간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1대의 장치로 복구개소에 조작부를 설치해도 되고, 따라서 1대로 종래의 수대분의 능력을 보유할 수 있으므로 설비투자금액의 저감이 가능하다. 또, 출납원측의 입출금부로부터 보충지폐의 보충이 가능하며, 지폐부족이 발생한 경우의 보충카세트나 기구가 필요없게 되어 지폐용량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등 현저한 효과를 얻는다.

Claims (19)

  1. 거래조작을 행하는 복수의 입출금부와, 상기 입출금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거래시에 거래매체를 수취하는 복수의 거래매체처리부와, 거래를 위한 지페를 계수하는 계수부와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입출금부와 대응하여 상기 계수부간 및 상기 계수부와 상기 수납부간에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체와, 상기 입출금부의 조작과 거래매체와 수취에 따라서 상기 각 부의 거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매체처리부는 거래매체의 수취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별개로 동작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금부로부터 삽입된 지폐가 상기 수납부에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4. 거래조작을 행하는 복수의 입출금부와, 상기 입출금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거래시에 거래매체를 수취하는 복수의 거래매체처리부와, 거래를 위한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부와,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입출금부와 대응하여 상기 계수부간 및 상기 계수부와 상기 수납부간에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체와, 상기 입출금부의 조작과 거래매체의 수취에 따라서 상기 각 부의 거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송체는 각각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별개로 동작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송체는 지폐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복수개의 로보트핸드와, 상기 각 로보트핸드의 동작을 안내하는 궤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로보트핸드를 반송체는 각각 별개로 안내하는 궤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는 각 로보트핸드를 2차원 또는 3차원의 동작으로 안내하는 궤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송체는 각각 상기 거래종별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전용(專用)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송체는 각각 상기 각 입출금부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전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11. 거래조작을 행하는 복수의 입출금부와, 상기 입출금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거래시에 거래매체를 수취하는 복수의 거래매체처리부와, 거래를 위한 지페를 계수하는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부와,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입출금부와 대응하여 상기 계수부간 및 상기 계수부와 상기 수납부간에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체와, 상기 입출금부의 조작과 거래매체와 수취에 따라서 상기 각 부의 거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매체처리부는 거래매체의 수취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별개로 동작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매체처리부는 거래매체의 수취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별개로 동작제어되고, 상기 반송체는 각각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별개로 동작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송체는 각각 상기 각 입출금부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전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송체는 각각 각 거래종별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전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송체는 지폐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복수개의 로보트핸드와, 상기 각 로보트핸드의 동작을 안내하는 궤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송체는 각 로보트핸드를 각각 별개로 안내하는 궤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는 로보트핸드를 2차원 또는 3차원의 동작으로 안내하는 궤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금부로부터 삽입된 지폐가 상기 수납부에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거래장치.
KR1019900013433A 1989-08-31 1990-08-30 자동 거래장치 KR930011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23154 1989-08-31
JP1223154A JPH0387990A (ja) 1989-08-31 1989-08-31 現金自動取扱装置
JP89-223154 1989-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200A KR910005200A (ko) 1991-03-30
KR930011729B1 true KR930011729B1 (ko) 1993-12-18

Family

ID=1679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433A KR930011729B1 (ko) 1989-08-31 1990-08-30 자동 거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50788A (ko)
JP (1) JPH0387990A (ko)
KR (1) KR9300117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15B1 (ko) * 2011-09-08 2013-03-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및 지폐처리방법
KR101310444B1 (ko) * 2011-12-22 2013-09-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및 지폐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14341U1 (de) * 1993-09-23 1993-11-04 Ascom Autelca Ag Guemligen Kassentresor mit einer wahlweisen von zwei Kassierern zu bedienenden Tresorbedieneinheit
ATE158665T1 (de) * 1993-12-03 1997-10-15 Schulze Anny Gmbh Einrichtung zum einzahlen und auszahlen von banknoten
GB2290770B (en) * 1994-07-01 1998-05-27 Lamson D D Plc Pneumatic conveyor system and carrier for use in such system and cash handling system
US6945457B1 (en) 1996-05-10 2005-09-20 Transaction Holdings Ltd. L.L.C.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JP3318206B2 (ja) * 1996-07-19 2002-08-26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自動取引装置
DE19806028A1 (de) * 1998-02-13 1999-08-19 Siemens Nixdorf Inf Syst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Blattmaterial in einem Selbstbedienungsgerät
US6607124B1 (en) * 1998-11-23 2003-08-19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for use by a merchant and a customer
US6443359B1 (en) * 1999-12-03 2002-09-03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JP2001256534A (ja) * 2000-03-10 2001-09-21 Fujitsu Ltd 店舗用売上金入金装置
GB2365610A (en) * 2000-08-02 2002-02-20 Ncr Int Inc Self-service terminal
SE0003455D0 (sv) * 2000-09-27 2000-09-27 Nybohov Dev Ab Sedelhanteringsmaskin samt anläggning för användning av sådan sedelhanteringsmaskin
JP4619204B2 (ja) * 2005-06-17 2011-01-26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JP2009509242A (ja) * 2005-09-15 2009-03-05 タラリス インク. セルフサービス式の現金償還及び現金還流装置とその方法本出願は、(優先権主張番号)2005年9月15日に提出された米国仮出願第60/717,452号の利益を主張すると共に、2004年4月6日に提出された米国特許出願第10/821,004号の一部継続出願、及び2004年12月6日に提出された米国特許出願第11/005,251号の一部継続出願である。
US8196812B2 (en) * 2006-12-08 2012-06-12 Ncr Corporation Conducting multiple financial transactions on a self-service terminal
US9159180B2 (en) * 2011-12-20 2015-10-13 Ncr Corporation Media conveying
JP2013246625A (ja) * 2012-05-25 2013-12-09 Oki Electric Ind Co Ltd 顧客操作型入力端末、顧客操作型入力システム、及び顧客操作型入力方法
US9367837B2 (en) * 2013-03-27 2016-06-14 Glory Global Solutions (International) Limited Cash and/or financial document handling system
CA2966194A1 (en) * 2014-10-31 2016-05-06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machine
RU2610108C2 (ru) * 2015-02-26 2017-02-07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вантум Системс" Устройство киоска банковского самообслуживания
WO2016137354A1 (ru) * 2015-02-26 2016-09-0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вантум Системс"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банков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и способы обслуживания
RU2629172C1 (ru) * 2016-03-14 2017-08-24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вантум Системс"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клиентов
RU2630755C1 (ru) * 2016-03-16 2017-09-1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вантум Системс"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клиентов
RU2630761C1 (ru) * 2016-03-16 2017-09-1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вантум Системс"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клиентов
RU184884U1 (ru) * 2018-06-15 2018-11-13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бербанк России" (Пао Сбербанк) Захват для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ого манипулятора
WO2019240611A1 (ru) * 2018-06-15 2019-12-19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бербанк России" Захват для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ого манипулятора
WO2020067916A1 (ru) * 2018-09-28 2020-04-02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бербанк России" Коллаборативный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участок пересчета денежной наличности
EA034673B1 (ru) * 2018-09-28 2020-03-05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бербанк России" (Пао Сбербанк) Коллаборативный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участок пересчета денежной наличности
RU2737603C1 (ru) * 2020-05-27 2020-12-0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емаргл"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частности банкнот, и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обработки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частности, банкнот
KR102385912B1 (ko) * 2021-08-06 2022-04-12 주식회사 복합재자동화기술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 및 절곡 가능한 섬유복합재 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9859A (en) * 1979-03-28 1980-10-08 Toshiba Corp Cash automatic payment machine
JPS5927385A (ja) * 1982-08-09 1984-02-13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循環式紙幣処理機
JPS59119497A (ja) * 1982-12-25 1984-07-10 富士通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S59197990A (ja) * 1983-04-25 1984-11-09 オムロン株式会社 現金自動預金支払機
JPS59208685A (ja) * 1983-05-13 1984-11-27 インタ−ナショナル ビジネス マシ−ンズ コ−ポレ−ション 自動取引装置
AU554381B2 (en) * 1983-11-30 1986-08-21 Fujitsu Limited Initialize control system in a cash processing system
JPS60224144A (ja) * 1984-04-20 1985-11-08 Sharp Corp 大容量情報保持検索装置
KR940011424B1 (ko) * 1985-06-17 1994-12-15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지폐류의 취급장치 및 그 취급방법
US4775783A (en) * 1985-08-02 1988-10-04 Hitachi, Ltd. Transaction system
US4866254A (en) * 1985-08-09 1989-09-12 Hitachi, Ltd. Automatic bill transaction system
KR910008806B1 (ko) * 1986-06-04 1991-10-2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거래처리장치
JPS63188289A (ja) * 1987-01-30 1988-08-03 システム・リサ−チ製造株式会社 紙幣入金機
JP2624674B2 (ja) * 1987-04-10 1997-06-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取引処理システム
US5019249A (en) * 1987-09-18 1991-05-28 Hitachi, Ltd. Apparatus for handling sheets of paper
US5128912A (en) * 1988-07-14 1992-07-07 Cygnet Systems Incorporated Apparatus including dual carriages for stor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containing discs, and method
US5105069A (en) * 1989-04-07 1992-04-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service transaction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15B1 (ko) * 2011-09-08 2013-03-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및 지폐처리방법
KR101310444B1 (ko) * 2011-12-22 2013-09-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및 지폐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200A (ko) 1991-03-30
US5250788A (en) 1993-10-05
JPH0387990A (ja) 199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1729B1 (ko) 자동 거래장치
US5105364A (en) Bank note handling system for strictly controlling the resupplying of bank note cassettes
JP2009509242A (ja) セルフサービス式の現金償還及び現金還流装置とその方法本出願は、(優先権主張番号)2005年9月15日に提出された米国仮出願第60/717,452号の利益を主張すると共に、2004年4月6日に提出された米国特許出願第10/821,004号の一部継続出願、及び2004年12月6日に提出された米国特許出願第11/005,251号の一部継続出願である。
JPS63245590A (ja) 通貨両替機
JPH10214366A (ja) 自動金銭受け払い機
JP3986855B2 (ja) 紙幣入出金機
JP3214529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4341578B2 (ja) 硬貨処理装置
JPH10208109A (ja) 自動金銭受け払い機
JP4892774B2 (ja) 紙幣出金ユニット
JP4689857B2 (ja) 硬貨処理装置
JP2002032831A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取引装置
JP4375279B2 (ja) 釣銭払出機
JPS6323099B2 (ko)
JP3923706B2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システム
KR100338228B1 (ko) 자동거래장치
JP2718808B2 (ja) 自動取引装置
JP2834946B2 (ja) 自動取引装置
JPH0239831B2 (ko)
KR100372586B1 (ko) 지폐 입출금기
JP2615197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023152348A (ja) 硬貨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2981508B2 (ja) 現金取引き装置
JPH0444979B2 (ko)
JPS6293797A (ja) 現金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