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099B1 - 통장류 취급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장류 취급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099B1
KR930011099B1 KR1019910000339A KR910000339A KR930011099B1 KR 930011099 B1 KR930011099 B1 KR 930011099B1 KR 1019910000339 A KR1019910000339 A KR 1019910000339A KR 910000339 A KR910000339 A KR 910000339A KR 930011099 B1 KR930011099 B1 KR 930011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tripe
passbook
magnetic
magnetic head
bank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858A (ko
Inventor
마사시 이노우에
노후이 후지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1001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장류 취급장치 및 방법
제1도는 통장류 취급장치 및 상위 장치와의 접속 형태도.
제2a도는 통장류 취급장치의 평면도이고, 횡방향 자기 스트라이프의 판독·기록 동작을 도시한 도면.
제2b도는 통장류 취급장치의 평면도이고, 종방향 자기 스트라이프의 판독·기록 동작을 도시한 도면.
제3a도 및 제3b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자기 헤드 회전 이동 기구의 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제4도는 상위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기인한 통장류 취급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5a도, 제5b도 및 제5c도는 각종 통장류의 거기에 배치된 자기 스트라이프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위 장치 2 : 제어부
3 : 통장류 4 : 자기헤드
5 : 인자헤드 6 : 반송 로울러
7 : 안내축 8 : 캐리어
9 : 전자기(클러치) 10, 11 : 치차
12 : 원판 15 : 횡방향 자기 스트라이프
16 : 종방향 자기 스트라이프 17 : 인자
20, 21, 22, 23 : 자기 스트라이프
종래의 통장류 취급장치로는, 통장 기장기(記帳機)와 ATM(금융 자동화 기기, Automatic Teller Machine)등이 있으나, 이들은 통장류를 반송구로부터 거둬들이고, 그 통장류에 배치되어 있는 자기 스트라이프의 내용을 자기 헤드로 독취하여, 구좌 번호 등을 센서등의 상위 장치에 송신하고, 상위 장치에 구좌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는 인자(印子) 데이타를 통장류 취급장치에 반송해서, 이 인자 데이타를 통장류에 인자한 다음, 반송구까지 통장을 반송해서, 이용자에게 통장을 반려한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소) 제61-206,680호 공보에 기재한 매체 이송기구를 참조].
이 통장류 취급장치에서는, 취급하는 통장류의 자기 스트라이프 형태에 따라서 통장류 취급장치의 구조가 각각으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가 배치된 통장류에 대해서는, 그 통장만을 전용으로 취급하는 통장류 취급장치가 설치되고, 또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가 배치된 통장류에 대해서는, 그 통장만을 전용으로 취급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었다. 다시 말하면, 금융기관마다 각각 다른 자기 스트라이프를 배치한 통장류를 작성하고, 각각의 통장에 적합한 취급장치를 사용하고 있었다는 것이 된다. 그결과, 횡방향 자기 스트라이프의 통장에 대해서는, 종방향용의 장치에서 취급할 수 없으며, 종방향 자기 스트라이프의 통장에 대해서는, 횡방향용의 장치에서 취급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통장류 취급장치에서는, 하나의 장치로 여러 종류의 통장을 취급할 수는 없었으므로, 각각 복수 종류의 통장류 취급장치가 개발되고, 제조되고 있었다. 따라서, 각 금융기관에서는, 여러종류의 장치가 별개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비용 증대를 초래하하는 큰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금융기관의 합병 등에 의해 다른 종류의 통장류를 동일 점포에서 취급할 필요가 생긴 경우나, 각종 금융기관 공유의 취급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생긴 경우 등에는, 각각의 통장류에 맞는 장치를 복수대 설치해야 하며, 역시 비용증대를 피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 일본국 특허 공개(소) 제62-256,272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자기 헤드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와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와의 직교하는 2개의 자기 스트라이프가 배치된 통장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 가능한 통장류 취급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는, 최초에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고, 다음에 자기 헤드를 회전시켜서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는 것 밖에 개시되어 있지 않고, 횡방향만의 자기 스트라이프가 배치된 통장의 취급, 또는 종방향만의 자기 스트라이프가 배치된 통장의 취급에 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고, 특히 이 경우, 어떻게 해서 횡 자기 스트라이프인지 또는 종자기 스트라이프인지를 장치에 대해서 지시하는지에 관해서는, 일절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통장류 취급장치로는, 횡방향 또는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의 어느 한쪽이 배치되어 있는 통장을 지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같은 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라도, 금융기관마다 그 위치가 다를 경우가 있다. 자기 스트라이프의 위치가 다르면, 자기 스트라이프를 자기 헤드 위치에 위치케 하기 위한 통장의 반송량이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로 취급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고, 자기 스트라이프의 배치가 다른 여러 종류의 통장류를 1대의 장치로 취급할 수 있는 통장류 취급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기 스트라이프가 배치된 통장류를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 이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는 자기 헤드, 이 통장류의 반송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이 자기 헤드를 이동하는 이동수단, 및 상위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해서, 이 반송수단 및 이 이동수단의 적어도 한쪽을 동작시켜서 이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이, 상기 회전 헤드를 직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상위 장치에서, 자기 스트라이프가 통장류의 반송방향에 대해서 직각방향인 것을 표시하는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수단을 동작시켜서, 이 자기 헤드를 이 통장류의 반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상위 장치에서, 자기 스트라이프가 통장류의 반송방향에 대해서 평행 방향인 것을 표시하는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수단을 동작시켜 이 자기 헤드를 직각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반송수단을 동작시켜서 이 통장류를 소정의 방향으로 반송함으로써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한다.
이와 같이, 상위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인가, 또는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인가의 정보를 받아, 그에 맞춰서 자기 헤드의 직각방향 및 횡방향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위 장치에서 통장류의 형태 지시를 받으면, 통장류의 반송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이면, 자기 헤드 이동수단을 동작시켜서 임의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면서, 그 내용(예를 들면, 구좌 번호 등)을 독취하고, 또는 서입할 수 있으며, 또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이면, 자기 헤드 회전 수단을 동작시킨 다음, 이동수단에 의하여 자기 스트라이프의 위치까지 이동해서, 통장류의 반송 동작에 동기하여 자기 스트라이프의 내용을 독취하고, 또는 서입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장치에서, 횡방향 또는 종방향 자기 스트라이프의 한쪽이 배치되어 있는 통장을 지원할 수 있다.
또, 같은 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가 하나의 통장류에 복수개 붙어 있는 경우에는, 횡형에 대해서는, 한개를 독취할 때마다 반송 동작을 행하여, 차례로, 복수개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할 수 있고, 또 종형에 대해서는, 한개를 독취할 때 마다 역방향으로 통장류를 반송시킴으로써, 차례로, 복수개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 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통장류 취급장치 및 상위 장치의 접속 형태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금융센터 등의 상위 장치, (2)는 통장류 취급장치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 (3)은 우측 삽입구에서 삽입된 통장류, (4)는 그 통장류에 붙어있는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는 자기 헤드, (5)는 통장류의 소정의 위치에 정보를 인쇄하는 인자 헤드, (6)은 반송 로울러, (17)은 통장류 (3)의 용지를 실어, 인자 헤드의 입력을 받기 위한 인자판(platen)이다.
다음으로, 상기 통장류 취급장치의 일반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이용자가 통장류(3)을 도면 우측의 삽입구로부터 삽입하면, 통장류(3)은 자기헤드(4)의 위치까지 반송된 다음, 자기 헤드(4)는 통장류에 붙어 있는 자기 스트라이프의 내용을 독취한다. 독취된 내용(예를 들면 구좌번호 등)은 제어부(2)에 전송되고, 제어부(2)에서 다시금 센서(center)등의 상위 장치(1)에 송신된다. 상위장치(1)에서는, 데이타 베이스에서 그 구좌번호 이용자의 정보를 검색하고, 통장류(3)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인자 데이타)를 통장류 취급장치의 제어부(2)에 대해서 반송한다.
제어부(2)는, 반송 로울러(6)을 동작시켜서, 통장류(3)를 다시금 좌측으로 반송함과 동시에 인자 헤드(5)에 대해서 인자 지시 및 인쇄할 정보를 전송한다. 인자 헤드(5)는, 소정의 위치에 통장류(3)이 도달한 것을 확인한 다음, 지시된 정보를 인자하고, 제어부(2)에 종료를 보고한다. 제어부(2)는, 반송 로울러(6)을 동작시켜서, 통장류(3)를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고, 삽입구로부터 이용자에게 통장류(3)을 건넨다.
제2도는, 제1도의 통장류 취급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통장류(3)은, 크게나누어 횡방향 자기 스트라이프(15) 또는 종방향 자기 스트라이프(16)의 어느 한쪽을 작고 있다. 제2a도는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의 통장류를 판독·기록할 경우, 제2b도는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의 통장류를 판독·기록할 경우의 도면이다.
제2도에 있어서, (7)은 자기 헤드(4)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 축(guide shaft), (8)은 자기헤드(4)를 보존하는 캐리어, (15)는 통장류(3) 위에 붙어 있는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 (16)은 통장류(3) 위에 붙어있는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 (a)는 자기헤드(4) [결국, 캐리어(8)을 포함함]의 안내측(7) 위의 이동방향, (b)는 통장류(3)의 반송방향, (c)는 자기 헤드(4) [결국, 캐리어(8)을 포함함]가 회전할때의 회전방향이다.
이 자기 헤드(4)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자기 헤드(4)가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 또는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 어느 경우라도 판독·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2도에 도시한 평면도에서는, 상측이 제1도의 우측에 대응하고, 하측이 제1도의 좌측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2a도 및 제2b도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인자 헤드(5) 및 인자 판(17) 등의 위치가 도면에서 아래쪽이 되기 때문에,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자기 헤드(4)는, 화살표(a) 방향 및 화살표(c)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는 것과 같은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자기 헤드(4)는 캐리어(8)에 보존되고, 화살표(a) 방향은 안내축(7)에 의해 안내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자기 헤드 회전 이동기구의 한예를 도시한 정면 및 측면의 구조도이다.
통장류(3)은, 반송 로울러(6)에 의해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는 위치까지 반송된다. 그래서, 횡방향 자기 스트라이프(15)의 통장류이면, 자기 헤드(4)는 안내축(7)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판독·기록한다. 이에 대해서, 종방향 자기 스트라이프(16)의 통장류(3)이면, 제3도에 도시한 전자기(前磁器 ; 9) 및 치차(齒車 ; 10, 11)에 의해, 화살표(c) 방향으로 자기 헤드(4)를 90℃ 회전한 후, 안내축(7)을 따라 자기 스트라이프(16)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동시에 반송 로울러(6)에 의해 통장류(3)을 이동시켜 판독·기록한다.
제3a도의 정면도에 도시하였듯이, 안내축(7)을 따라서 캐리어(8) 및 자기 헤드(4)의 이동이 가능한 것같이, 캐리어(8) 및 자기헤드(4)가 부착되어 있다. 또, 제3b도의 측면도에 도시하였듯이, 캐리어(8)에는 직경이 작은 치차(11)이 부착되고, 그 치차(11)에 직경이 큰 치차(10)이 감합하고 있다. 그리고, 큰 치차(10)과 동축에 전자기(클러치 ; 9)가 부착된다. 이 전자기(9)는 전자 브레이크에 의한 회전 운동을 행하여, 전류를 흘려 보냄으로써 원판(12)를 정지 장치(stopper)에 의해 정지하기까지 회전시키고, 전류 공급을 중단하여 해방함으로써, 원판(12)를 원래대로 되돌린다. 치차(10)은 원판(1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속도로 회전하고, 그 치차(10)과 감합한 치차(11)을 다시금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이 치차(11)의 회전에 의해 캐리어(8)과 자기 헤드(4)가 90°회전된다.
다음으로, 통장류 취급 장치에서,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할 때의 동작을, 제2도 및 제4도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제4도의 흐름도에 의해, 상위 장치(1)에서의 지시에 기인한 통장류 취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취급하는 통장류(3)의 자기 스트라이프 종별 정보는, 상위 장치(1)에서 지정된다. 즉, 상위 장치(1)에 있어서, 통장류 취급장치에서 사용하는 자기 스트라이프는 종별 정보가 설정된다(단계 101). 그리고, 통장류 취급 장치의 전원이 온인 것을 확인한 다음에, 상기 입력된 자기 스트라이프 종별 정보를 통장류 취급 장치의 제어부(2)에 송신한다(단계 102). 여기까지는, 상위 장치(1)측의 동작이다. 다음으로, 통장류 취급 장치측에서는, 수신한 데이타에 기인해서, 자기 스트라이프가 횡방향인가, 또는 종방향인가를 판별해서(단계 103), 제어부(2)에 의해 통장류 취급 장치의 자기 헤드(4)의 위치 및 자기 스트라이프의 판독·기록 회로 정수가 설정된다(단계 104, 105).
즉, 횡방향의 경우에는, 회전 동작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지정한 자기 스트라이프에 대응하여 자기 스트라이프의 선두 위치와 길이 치수 등의 정보에 의한 회로 정수를 자기 헤드(4)의 제어회로에 설정한다. 또한, 종방향의 경우에는, 회전 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기 헤드(4)를 통장류 반송 방향에 대해서 90°만큼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상위 장치에 의해 지정된 통장 자기 스트라이프의 판독·기록의 취급이 가능해진다.
결국, 하나의 통장류 취급 장치를 준비하는 것 만으로, 상위 장치(1)에서 이 통장류 취급 장치에 대해서, 자기 스트라이프 종별을 지정함으로써, 상기 통장류 취급 장치는,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는 동작 또는,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는 동작의 어느 한쪽을 행하게 된다. 이 결과, 종래와 같이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기 위한 장치와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기 위한 장치를 각각 준비할 필요는 없다.
여기에서, 제4도의 흐름도에서는,전원 온시에, 통장류 취급 장치에 자기 스트라이프 종별이 설정되어 있으나, 최초에는,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의 판독·기록용으로 설정하고, 다음에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의 판독·기록용으로 전환하도록, 상위장치(1)이 지정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제2a도를 사용해서,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15)를 판독·기록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위 장치(1)에서 통장류(3)이 횡방향 자기 스트라이프(15)를 갖는 다는 통지가 있으면, 제어부(2)에서의 지시에 의해, 그 자기 스트라이프(15)의 위치가 자기 헤드(4)의 위치로 된 시점에서 반송을 정지시킨다. 자기 헤드(4)는, 캐리어(8)과 함께 안내축(7) 위를 이동해서, 자기 스트라이프(15)의 내용을 독취한다. 또한, 상위 장치(1)의 지시에 의해, 정보를 서입한다. 서입 동작이 종료하면, 자기 헤드(4)는 안내축(7) 위를 이동해서 재차 좌측으로 되돌아 온다.
다음에, 제2b도를 사용해서,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16)를 판독·기록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위장치(1)에서 통장류(3)이 종방향 자기 스트라이프(16)를 갖는다는 통지가 있으면, 제어부(2)에서의 지시에 의해, 그 자기 스트라이프(16)의 선두 위치가 자기 헤드(4)의 위치로된 시점에서 로울러(6)의 반송동작을 정지시킨다. 자기 헤드(4)는 캐리어(8)와 함께 (c)방향으로 회전해서, 종방향의 자기 헤드로 되어, 안내축(7)위를 이동해서, 자기 스트라이프(16)의 선두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로울러(6)의 동작에 의해 통장류(3)의 (b)방향으로의 이동에 동기하여, 독취를 개시한다. 또, 상위 장치(1)의 지시에 의해, 정보를 서입한다. 서입 동작을 종료하면, 자기 헤드(4)는 안내축(7) 위를 이동해서 재차 좌측으로 되돌아 온다. 그리고, 연속해서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16)을 구비한 통장류(3)이 삽입된다고 판명하고 있을 때 이외는, 자기 헤드(4)를 (c)방향으로 회전해서 원래 위치로 되돌아 온다.
또한, 제2a도 및 제2b도에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15, 16) 모두 한개씩이 붙어 있으나, 하나의 통장에 복수개의 같은 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가 붙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경우의 판독·기록의 방법을 기술한다.
우선, 횡방향 자기 스트라이프(15)가 복수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a도에 도시하였듯이, 최초의 자기 스트라이프(15)를 독취 위치에 정지함과 동시에, 자기 헤드(4)를 안내축(7) 위의 (a)방향(우측)으로 이동해서 독취하고, 다음의 자기 스트라이프(15)를 독취 위치까지 반송해서 정지한 다음, 자기 헤드(4)를 안내축(7)위의 (a)방향(좌측)으로 이동해서 선두 부분에서 독취하고, 차례로, 이 동작을 자기 스트라이프의 수만큼 반복해서, 전체의 자기 스트라이프(15)를 독취할 수 있다.
또, 종방향 자기 스트라이프(16)이 복수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b도에 도시하였듯이, 최초의 자기 스트라이프(16)의 선두 부분이 독취 위치에 도달하기까지 반송함과 동시에, 자기 헤드(4)를 90°회전시키고, 안내축(7) 위의 (a)방향(좌측)으로 이동해서 자기 스트라이프(16)의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로울러(6)을 동작시켜서 통장류(3)을 도면 아래쪽으로 반송하면서, 자기 헤드(4)에서 독취한다. 다음의 자기 스트라이프(16)을 독취하기 위해, 자기 헤드(4)를 안내축(7) 위의 (a)방향(좌측)으로 이동해서 선두부분에서 정지시키고, 로울러(6)을 동작시켜서 통장류(3)을 아래쪽으로 반송하면서 독취한다. 이와 같이 해서, 차례로, 자기 헤드(4)를 안내축(7) 위에서 이동시키고 통장류(3)을 반송하면서 독취한다.
제5도는, 각종 통장류의 포맷 도면이다.
금융 기관 중에서도, 우편국의 통장은 제5a도에 도시하였듯이, 통장의 철한 곳(파선으로 도시함)에 대해서 평행하게 자기 스트라이프(20)이 붙어 있다. 그러나, 통장에 인쇄되는 수자는 철한 곳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고, 세로가 긴 통장으로서 취급된다. 또한 은행 A의 통장은, 제5b도에 도시하였듯이, 역시 철한곳에 평행으로 자기 스트라이프(21)이 붙어 있으나, 인쇄되는 수자도 철한 곳에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로가 긴 통장으로 취급된다. 이에 대해서, 다른 은행 B의 통장은, 제5c도에 도시하였듯이, 철한 곳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자기 스트라이프(22, 23)이 붙어 있다. 이 경우, 통장에 인쇄되는 수자는, 철한 곳에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밖에도, 통장에는 여러 가지 포맷이 있고, 그 자기 스트라이프도 여러 방향 및 인쇄되는 수자에 대한 조합이 있다. 상위 장치에서 지시할 때에는, 제5a도 및 제5c도에 대해서는 종방향 자기 스트라이프를 지시하고, 제5b도에 대해서는 횡방향 자기 스트라이프를 지시한다.
각 통장의 반송 방향은, 제5a도, 제5b도 및 제5c도 함께 화살표 방향이지만, 그와 직각 방향에 통장류를 반송하도록, 취급 장치를 설계하는 일도 가능하다. 직각으로 반송하는 경우에는, 상위 장치로부터의 지시는 제5a도 및 제5c도가 횡방향을, 또한 제5b도가 종방향을, 각각 지시하게 된다.
통장류에 붙어 있는 자기 스트라이프에는, 통상적으로는 구좌번호 등이 기록되지만, 그 이외의 정보도 기록하는 일이 있다. 또한, 자기 스트라이프가 붙어 있는 위치는, 통장 끝에서 정해진 치수의 위치에 붙어 있다. 또한, 종래의 자기 스트라이프는, 각 통장마다 1개씩 붙어 있으나, 앞으로는, 기록할 정보도 많아지기 때문에, 2개 이상의 자기 스트라이프가 붙을 가능성도 있다. 그 경우에는, 종방향만 복수개, 횡방향만 복수개, 하나의 통장에 붙은 경우도 고려된다. 이와 같이 통장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대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회전 가능한 구조의 자기 헤드(4)를, 안내축(7)과 조합해서 복수조 설치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하나의 자기 헤드(4)에서 횡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고, 다른 자기 헤드(4)에서 종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한다. 또한, 통장에 같은 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가 복수개 붙은 경우에도, 복수조의 자기 헤드의 간격을, 그 자기 스트라이프 간격에 일치시켜 둠으로써, 각각 동시에 판독·기록 가능하므로, 고속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같은 방향의 자기 스트라이프라도 금융 기관마다, 배치가 틀릴 경우가 있으므로, 상위 장치에서 지시된 배치 정보에 따라서, 통장의 이동량 또는 자기 헤드의 이동량을 변화시키도록 해도 좋다.
앞으로는, 금융 기관끼리의 합병이나, 자기 스트라이프에 기록하는 정보의 증가, 또는 각종 서비스센터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종류의 증가 등을 위해, 복수개의 자기 스트라이프는 물론이고, 하나의 통장류에 횡방향과 종방향의 복수개 자기 스트라이프를 배치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매우 효과적이다.
이상 설명했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통장류 취급장치에서 다른 통장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할 수 있으므로, 통장류 취급 장치의 생산성은 향상하고, 또한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된다.

Claims (8)

  1. 자기 스트라이프가 배치된 통장류를 소정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는 자기 헤드, 상기 통장류의 반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상기 자기 헤드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 및 상위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해서 상기 반송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의 적어도 한쪽을 동작시켜서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류 취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회전 헤드를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류 취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상위 장치에서, 자기 스트라이프가 통장류의 반송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인 것을 표시하는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수단을 동작시켜서,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통장류의 반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류 취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상위 장치에서, 자기 스트라이프가 통장류의 반송 방향에 대해서 평행 방향인 것을 표시하는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자기 헤드를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반송 수단을 동작시켜서 상기 통장류를 소정의 방향으로 반송함으로써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류 취급 장치.
  5. 상위 장치와 접속하고, 자기 스트라이프가 배치된 통장류를 소정 위치까지 반송하는 반송 수단,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는 자기 헤드, 상기 통장류의 반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상기 자기 헤드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을 갖는 통장류 취급 장치의 통장류 취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위 장치에 설정된 자기 스트라이프의 배치 정보를 상기 통장류 취급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송신된 자기 스트라이프의 배치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반송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이 적어도 한쪽을 동작시켜서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류 취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정보가, 자기 스트라이프가 통장류 반송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인지, 또는 반송방향에 대해서 평행 방향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인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류 취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정보가, 자기 스트라이프가 통장류 반송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로 판정된 경우, 상기 이동 수단을 동작시켜서,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통장류 반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류 취급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헤드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배치 정보가, 자기 스트라이프가 통장류 반송 방향에 대해서 평행방향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로 판정된 경우, 상기 자기 헤드를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반송 수단을 동작시켜서, 상기 통장류를 반송함으로써 상기 자기 스트라이프를 판독·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류 취급 방법.
KR1019910000339A 1990-01-12 1991-01-11 통장류 취급장치 및 방법 KR930011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82A JPH03208684A (ja) 1990-01-12 1990-01-12 通帳類取扱装置
JP2-5382 1990-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858A KR910014858A (ko) 1991-08-31
KR930011099B1 true KR930011099B1 (ko) 1993-11-24

Family

ID=1160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339A KR930011099B1 (ko) 1990-01-12 1991-01-11 통장류 취급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3208684A (ko)
KR (1) KR930011099B1 (ko)
DE (1) DE4042297A1 (ko)
GB (1) GB224064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7321A (ko) * 2012-02-24 2013-09-03 주식회사 신기그룹 횡형 통장과 종형 통장을 모두 처리하는 복합형 통장 프린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5990A (ja) * 1991-12-11 1993-07-02 Koufu Nippon Denki Kk フレキシブル磁気ストライプリードライト機構
ES2041582B1 (es) * 1991-12-17 1996-07-01 Mtd S A Maquina dispensadora de cartillas o libretas bancarias y similares.
JP3156455B2 (ja) * 1993-08-10 2001-04-16 富士通株式会社 冊子状媒体の磁気データ処理機構及び冊子状媒体処理装置
US5506663A (en) * 1994-11-07 1996-04-09 Xerox Corporation Scanner mounting apparatus for an electrostatographic printing machine
KR200193651Y1 (ko) * 2000-03-14 2000-08-16 주식회사한영테크놀로지 통장용 마그네틱테이프 판독기
US7349873B2 (en) 2001-04-26 2008-03-25 Cfph,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ing financial prospectus data
DE102005021759A1 (de) * 2005-03-11 2006-09-14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Drucker für Sparbücher mit Magnetstreifen
CN108961609B (zh) * 2018-08-27 2024-04-19 北京兆维电子(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存折自动读写发放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4249A (fr) * 1972-02-09 1973-05-16 Burroughs Corp Mecanisme pour la lecture et l'ecriture automatiques de carnets de banques et analogues
GB1464468A (en) * 1974-05-08 1977-02-16 Andreaggi J Visual and magnetic recording system
US3978964A (en) * 1974-07-31 1976-09-07 Bunker Ramo Corporation Magnetic head control assembly for a magnetic passbook printing system
EP0093410A3 (en) * 1982-04-30 1984-10-17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Apparatus for sensing a magnetic stripe on a recording media
JPS6077262A (ja) * 1983-09-30 1985-05-01 エヌシーアー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テッド 通帳発行装置
JPS61206680A (ja) * 1985-03-11 1986-09-12 Fujitsu Ltd 媒体送り機構
JPS62256272A (ja) * 1986-04-28 1987-11-07 Nec Corp 磁気ストライプリ−ダライ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7321A (ko) * 2012-02-24 2013-09-03 주식회사 신기그룹 횡형 통장과 종형 통장을 모두 처리하는 복합형 통장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100066D0 (en) 1991-02-20
DE4042297A1 (de) 1991-07-18
JPH03208684A (ja) 1991-09-11
DE4042297C2 (ko) 1992-12-03
GB2240646A (en) 1991-08-07
GB2240646B (en) 1993-12-22
KR910014858A (ko) 199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1099B1 (ko) 통장류 취급장치 및 방법
JPS5839353B2 (ja) 通帳取扱装置
EP0566273A2 (en) Automated single roller ticket processor with passive ticket reversal
GB2222819A (en) Page turner
JPH0378889A (ja) 通帳磁気データ読取装置
KR880000235B1 (ko) 통장류 취급장치
JP3769474B2 (ja) 通帳印字装置
JPH0820455A (ja) 通帳印字装置
US5201593A (en) Printing apparatus with multiple ribbon cassettes
JPS61161572A (ja) エンボスカ−ド処理装置
JP2591017B2 (ja) プリペイドカードの搬送制御方式
JPS5892031A (ja) 読取方式
JPS6341342A (ja) 媒体移送装置
JP2666554B2 (ja) 通帳およびカード処理装置
JP3482631B2 (ja) 媒体処理装置
JPH0589618A (ja) 通帳取り扱い装置
JPH0315783B2 (ko)
JPS58214977A (ja) 通帳類取扱装置
JP2001043427A (ja) 通帳取引装置
JPH047177A (ja) プリンタ
JPH066388B2 (ja) 自動取引装置
JP2708520B2 (ja) 通帳・単票印字装置
JP3105134B2 (ja) 自動改頁機構
JPS62161592A (ja) 取引装置
JPS61127368A (ja) 通帳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