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253Y1 -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 - Google Patents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253Y1
KR930006253Y1 KR2019900005199U KR900005199U KR930006253Y1 KR 930006253 Y1 KR930006253 Y1 KR 930006253Y1 KR 2019900005199 U KR2019900005199 U KR 2019900005199U KR 900005199 U KR900005199 U KR 900005199U KR 930006253 Y1 KR930006253 Y1 KR 930006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ening
adhesive
packaging
packag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5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702U (ko
Inventor
미노루 요시다
다카시 단노
Original Assignee
구레하 카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다마 슌이치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레하 카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다마 슌이치로오 filed Critical 구레하 카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8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7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2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66Inserted or applied 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식품 포장체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내지 제5실시예에 의한 식품 포장체의 평면도.
제6a도는 제1도에 나타낸 개봉용 필름조각부재의 종단면도.
제6b도는 제2도에 나타낸 개봉용 필름조각부재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2도에 나타낸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잘라내기 전의 띠 형상 필름을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제3도에 나타낸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잘라내기 전의 띠 형상 필름을 나타낸 사시도.
제9도 및 제10도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잘라내기 전의 필름 원판을 나타낸 사시도.
제11도 내지 제13도는 필름으로부터 필름조각부재를 제작하여 공급하는 다른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
제14도 및 제15도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와 제7실시예에 의한 식품 포장체를 나타낸 평면도.
제16도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의한 식품 포장체를 나타낸 평면도.
제17도는 본 고안의 개봉용 필름조각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종래의 식품 포장체 및 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장필름 2 : 알루미늄제 와이어클립
13, 23, 33, 43 : 개봉용 필름조각부재 14 : 점착제
15, 45 : 용착선 a∽j : 점착부
본 고안은 소세지, 프로세스 치즈 또는 기타의 가공식품등의 내용물을 밀폐하고 있는 형상체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체를 구성하는 필름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용 필름조각부재가 부착되어서, 이 필름조각부재를 벗기므로써 개봉되어 내용물이 노출되게 한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소세지, 프로세스 치즈 등의 가공식품의 형상체는 통상, 포장 필름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서 가공식품이 충전된 다음 통 형상체의 길이방향의 양 끝단부가 알루미늄 와이어 클립등으로 밀봉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형상체는 포장필름을 벗겨 내용물인 가공식품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커트테이프 또는 오프너라 불리우는 필름테이프 혹은 필름조각부재가 설치된 것이 있다.
제18도는 이러한 개봉수단으로서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구비한 식품 포장체의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종래 예는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화 50-5916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1)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필름 등으로 형성된 포장필름이다. 이 포장필름(1)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소세지나 프로세스 치즈등의 가공식품 또는 그 원료가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원통형상 포장필름(1)의 양 끝단은 조여져서 알루미늄제 와이어클립(2)에 의해 밀봉되거나 또는 그 밖의 다른 수단으로 밀봉되어 있다.
도면중 부호(3)은 밀봉용 필름조각부재로서, 합성수지 필름으로 된 짧은 테이프조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 예에서 필름조각부재(3)는 그 양 끝단부(3b)를 제외한 중앙부(3a)에 형성된 용착부(4)에 의해 포장필름(1)과 용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식품 포장체의 개봉 동작은 개봉용 필름조각부재(3)의 양끝단부(3b)를 손가락으로 잡아 당겨 벗기면, 중앙부(3a)의 용착부(4)에서 그 끝단(4a)(4b)중의 어느 하나가 포장필름(1)에 상처를 주고, 이 상처를 계기로 하여 포장필름(1)에서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출구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식품 포장체에 있어서, 개봉용 필름조각부재(3)의 재료로는, 통 형상체를 형성하는 포장필름(1)과의 용착성 등을 고려하여, 포장필름(1)과 같은 재료인 염화 비닐리덴계의 수지필름들이 사용된다.
그러나 개봉용 필름조각부재(3)의 재료로서 염화 비닐리덴계의 수지 필름등을 사용하여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식품 포장체를 만들었을 때, 상기 수지필름이 갖는 열수축성에 의해 레토르트(가열 가압처리) 공정이나 기타의 가열공정에서 필름조각부재(3)가 수축 변형되어서 용착되어 있지 않은 양끝단부(3b)가, 통 형상체를 구성하는 포장필름(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는 커얼변형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즉,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조각부재(3)의 양 끝단부(3b)가 말려 구부러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상자에 넣어져 보관되거나 또는 운반되는 과정에서 상자에 넣어져 있는 식품 포장체들끼리 서로 부딪치거나 또는 서로 맞닿아 밀리거나 하게 되면, 말려 구부러진 필름조각부재(3)의 양끝단부(3b)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필름조각부재(3)의 용착부(4)는 그 끝단(4a)(4b)에서 파손되어 불량품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필름조각부재(3)의 형태 변형이 왜소하게 된 경우에도, 운반중에 받는 외력으로 필름조각부재(3)의 양 끝단부(3b)가 젖혀지거나 또는 절곡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용착부(4)의 파손으로 진행될 염려가 높은 것이다.
이와 같이 통 형상체를 구성하는 포장필름(1)에 핀홀 등이 생기면, 당연히 포장체의 밀폐상태가 파괴되어 식품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을 밀폐하는 필름 포장체를 용이하게 개봉시킬 수 있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추고 있고, 또한 이 개봉용 필름조각부재가 가열공정에서 포장필름으로부터 벗겨져 용착부의 파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밀폐된 포장 필름내에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고, 이 포장필름의 바깥면에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가 점착제를 개재하여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며, 상기 필름조각부재가 부분적으로 포장필름에 용착된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필름조각부재의 전체면이 포장필름의 바깥면에 점착되어 있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필름조각부재가 부분적으로 포장필름의 바깥면에 점착되어 있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필름조각부재와 포장필름과의 점착제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와 포장필름이 용착되어 있지 않은 위치로 되어 있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필름조각부재와 포장필름과의 점착제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의 가장자리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개봉용 필름조각부재의 가장자리에 손가락으로 벗기기 위한 용도로 점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포장체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가 포장필름과 용착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이 필름조각부재가 포장필름의 바깥표면에 점착제에 의해 점착되기 때문에 레토르트등의 가열공정에서 이 필름조각부재의 열변형이 용착부에까지 미칠 수 없게 되고, 그리하여 상자에 넣어져 식품 포장체들끼리 서로 부딪치더라도 필름조각부재의 용착부에 박리력이 작용하지 않아 용착부에 핀홀이나 파손등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형상체를 개봉할 때는 필름조각부재의 가장자리를 손가락으로 벗긴 후, 필름조각부재를 잡아 당겨 용착부를 파과함으로써 포장필름에 균열이 생기게 하여 포장 필름을 내용물로 부터 벗길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식품 포장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1)은 염화 비닐리덴계 수지필름 등으로 형성된 포장필름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용착씨 일선에 의해 가장자리부분이 용착되어 대략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포장필름(1)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상의 내부에는 소세지나 프로세스 치즈등과 같은 고형체 또는 연질체 혹은 액체상태의 각공식품 또는 그 원료등이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 포장필름(1)의 양 끝단부는 조여져서, 알루미늄제 와이어 클립(2)등에 의해 조여 붙여져 밀폐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13)은 테이프조작 또는 오프너등으로 불리우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이다.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가 짧은 테이프조각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재료로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덴계 수지필름이 사용된다.
또한,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는 필요에 따라 적색 또는 기타의 색으로 착색된다.
제6a도는 제1도의 식품 포장체에 사용되고 있는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의 뒷면 전체에는 점착제(14)가 도포되어 있다.
이 점착제(14)는 원통형상 포장필름(1)의 바깥표면으로 어느정도의 점착력을 갖고 점착되어 손가락 힘으로 필름조각부재(13)를 잡아당겨 벗길 때에 필름조각부재(13)를 포장필름(1)에서 쉽게 잡아 당겨 벗길 수 있는 정도의 점착력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는 점착제(14)를 개재하여 포장필름(1)의 바깥표면에 점착되어 있고, 이 필름조각부재(13)의 중앙부는 용착선(15)에 의해 포장필름(1)으로 용착되어 있다.
이 용착수단은 예를 들어 고주파용착, 초음파용착 또는 열용착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가느다란 선형상의 용착선(15)으로 되어 있으나, 이 용착선(15)은 도면에서 보다 넓은 면적으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이 용착선(15)은 필름조각부재(13)의 면적내에 형성되어 있어서야 한다.
또한,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용착선(15)이 포장필름(1)의 원통형상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식품 포장체의 제조공정에서는, 원통형상 포장필름(1)의 내부에, 가공식품 또는 그 원료가 충전되어서 알루미늄제 와이어 클립(2) 등으로 매듭지워져 양 끝단부가 밀폐되고, 다음에 필요 하다면 레토르트등의 가열공정으로 이행한다.
이때, 염화비닐리덴계 수지필름 등과 같은 열수축성 수지로 형성된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는 가열공정에서 수축하여 구부러진 커얼상태 등으로 변형되지만, 필름조각부재(13)는 점착제(14)에 의해 포장필름(1)으로 점착되어 잇기 때문에, 제18도에 나타낸 종래 예에서와 같은 필름조각부재의 커얼변형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자에 넣어진 식품 포장체들끼리 서로 부딪치거나 또는 서로 맞닿아 밀리거나 하더라도 필름조각부재(13)에 박리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필름조각부재(13)가 벗겨 떨어져 용착선(15)의 일부에 핀홀이나 파손이 생기는 일이 없게 된다.
이러한 식품 포장체를 개봉할 때는, 필름조각부재(13)의 양 가장자리(A)(B) 중의 어느 한쪽을 손가락으로 잡은 채로 잡아 당겨 벗긴다. 이때, 처음에는 용착선(15)의 부분에 박리력이 작용하므로 이 부분에서 포장필름(1)에 상처가 생기고, 계속 잡아 당겨 벗김에 따라 필름조각부재(13)에 의해 생긴 상처가 확대되어 포장필름(1)에는 취출구가 형성된다.
이 취출구를 계기로 해서 포장필름(1)이 소세지 등의 가공식품에서 벗겨져 내용물인 가공식품이 노출된다.
다음에, 제2도 내지 제5도는 상기한 제1도의 실시예를 기초로 한 변형예(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 빗금으로 나타낸 모든 부분은 점착제(14)로 도포되어 있는 점착부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에서는,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의 뒷면 거의 전체에 점착제(14)가 도포되어 있으나, 제2도의 제2실시예에서는 필름조각부재(13)의 양 끝단부(a)(b)에 국한된 뒷면에만 점착제(14)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점착제(14)에 의해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의 양 끝단부(a)(b)만이 포장필름(1)의 바깥표면에 점착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조각부재(13)의 중앙부에는 점착제(14)가 도포되어 있지 않고, 단지 포장필름(1)과의 용착선(1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착선(15)이 점착제(14)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어 잇기 때문에 점착제(14)가 필름과 함께 용착됨으로 이한 용착강도의 저하, 또는 기타의 문제점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도의 제3실시예에 나타낸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에서는 용착선(15)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일정한 띠형상으로 된 점착부(c)(d)에 국한하여 그 뒷면에 점착제(14)가 도포됨으로써 상기 점착부(c)(d)만이 포장필름(1)의 바깥표면에 점착되고,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의 양 가장자리(A)(B)는 포장필름(1)에 점착되지 않게 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점착부(c)(d)로 나타낸 띠형상 부분만이 포장필름(1)에 점착되어 있는 것이므로 레토르토 등의 가열 공정에서 필름조각부재(13)가 수축할 때, 그 양 가장자리(A)(B)는 커얼 변형되지만 그 변형부분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가해지는 외력이 용착선(15)까지 미칠 수 없기 때문에 용착선(15)부분에 핀홀이나 파손이 생기는 일이 없다.
한편, 개봉시에는 이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의 양 끝단부(a)(b)에서 포장필름(1)에 점착되어 있지 않은 양 가장자리(A)(B)의 어느 한쪽을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을수 있게 된다.
상기 양 가장자리(A)(B)를 필름조각부재(13)에서 잡아 당겨 벗김으로써 필름조각부재(13)는 점착제(14)에 의해 점착되어 있는 부분에서 벗겨 떨어지고, 계속하고 용착선(15)이 잡아 당겨지면, 이부분에서 포장필름(1)에 균열이 생기며, 이 균열을 계기로 하여 포장필름(1)을 내용물로부터 벗겨 낼수 있게 된다.
한편, 제4도에 나타낸 제4실시예에서는 필름조각부재(B)의 폭방향 양끝단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상의 점착부(e)(f)에 국한하여 그 뒷면에 점착제(14)를 도포하고, 이 부분이 포장필름(1)의 바깥표면에 점착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점착제(14)가 도포되지 않은 중앙의 띠 형상부분은 용착선(15)에 의해 포장필름(1)과 용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용착선(15)의 주변에 점착제(14)가 도포되지 않은 것이므로 점착제에 의한 용착강도의 저하등과 같은 악영향이 생기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필름조각부재(13)의 양 가장자리(A)(B)에서 그 중앙부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미도포부(ℓ)로 손톱을 집어 넣는 방법으로 필름조각부재(13)를 비교적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고, 이 때의 벗겨내는 동작에 의해 점착부가 벗겨져서 용착선(15)에 박리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제5도에 나타낸 제5실시예에서는,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의 중앙부(g)의 뒷면에만 점착제(14)가 도포되어서 이 부분만이 포장필름(1)의 바깥표면에 점착되어 잇고, 이 점착부내에 용착선(15)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필름조각부재(13)의 양 가장자리(A)(B)는 일정 폭으로 점착제(14)가 도포되지 않은 비점착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을 손가락으로 잡아 당겨 벗김으로써 필름조각부재(13)를 포장필름(1)에서 용이하게 잡아당겨 벗길 수 있게 된다.
제6a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에 대한 부분 종단면도이고, 제6b도는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에 대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조각부재(13)는 포장필름(1)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기 전, 즉 평탄한 필름 상태에서 포장필름(1)의 표면에 점착제(14)를 개재하여 점착되고, 이어서 고주파나 초음파 용착수단 등에 의해 용착선(15)이 형성된다.
이때,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는 점착제(14)에 의해 포장필름(1)으로 점착되고, 이 상태에서 용착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용착시에 필름조각부재(13)를 위치결정하기가 쉽게 된다.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는, 예를 들어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판(R1)에서 공급되는 띠 형상의 필름(13a)을 C-C선에 따라 절단하므로써 짧은 테이프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더구나 필름조각부재(13)의 뒷면에는 점착제(14)가 도포되어 있으므로 원판(R1)에서 이 점착제(14)에 의해 필름(13a)끼리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점착제(14)가 도포된 면에 이형지(18)를 개재시켜서 필름(13a)과 함께 감아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9도에 나타낸 원판(R1)은 제1도, 제2도, 제3도 및 제5도에 나타낸 필름조각부재(13)를 잘라내는경우에 가장 적합하다.
예를 들어 제7도에 나타낸 것은 제2도의 필름조각부재(13)를 C-C선에 따라 잘란 낸 경우로서, 점착제(14)는 띠형상의 필름(13a) 양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폭을 갖는 띠형상으로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8도에 나타낸 것은 제3도의 필름조각부재(13)를 C-C선에 따라 잘라 내는 경우로서, 점착제(14)는 필름(13a)의 뒷면 양측변부에서 약간 안쪽에 띠형상으로 도포되어 저착부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제10도에 나타낸 원판(R2)은 가느다란 띠형상의 필름(13b)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원판은 D-D선을 따라 절단하므로써 짧은 테이프형상의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로 잘려 나오게 된다.
이 경우에도 필름(13b)의 뒷면에 도포되어 있는 점착제(14)에 의해 필름들끼리 서로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이형지(18a)를 덧붙여 놓는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0도에 나타낸 원판(R2)에 의한 필름의 공급은, 제1도에 묘사한 바와 같이 뒷면 전체에 점착제(14)가 도포되어 있는 필름조각부재(13)를 잘라 내거나, 또는 제4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길이방향에 따라 길다란 띠형상으로 점착제(14)가 도포되어 있는 필름조각부재(13)를 잘라내는 경우에 적용된다.
즉, 제1도에 나타낸 필름조각부재(13)로는 제10도의 원판(R2)에서 인출되는 필름(13b)과 같이 뒷면 전체에 점착제(14)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제4도에 나타낸 필름조각부재(13)로는 원판(R2)에서 인출되는 필름(13b)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 뒷면으로 가느다란 띠형상의 점착부가 형성되고, 여기에 이형지(18c)를 개재시킨 것이 사용된다.
한편, 제10도에서는 띠형상의 필름(13b)이 규칙 바르게 로울형상으로감겨져 있지만, 이 필름(13b) 및 이형지(18a)가 보빈상에 불규칙하게 감겨져 있더라도, 상기 보빈으로부터 필름(13b) 및 이형지(18a)를 인출하여 D-D선에 따라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를 잘라내게 해도 된다.
더구나 띠형상의 필름(13a)(13b) 각각에는, 미리 점착제(14)를 도포하여 놓지 않고 원판에서 인출되는 과정중에 각 필름(13a)(13b)으로 점착제를 도포하여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로 잘라내게 해도 좋다.
제11도 내지 제13도는,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를 제작하여 공급하는 또다른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우선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띠형상의 필름(13c)이 이형지(18c)상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공급된다. 이 필름(13c)은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밍되어 직사각형의 필름조각부재(13)로 잘려져 남아 있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이형지(18c)에서 제거된다.
이렇게 필름조각부재(13)로 트리밍처리된 이형지(18c)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등을 타고 이송방향이 전환되는 경로를 지나게 되고, 이러한 방향 전환시에 이형지(18c)상에 붙어 있는 필름조각부재(13)의 가장자리부터 이형지(18c)에서 박리되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필름조각부재(13)를 이형지(18c)로부터 순차적으로 떼어 내어 포장필름(1)에 점착시킨다.
제14도 및 제15도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 및 제7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4도에 나타낸 제6실시예에서는 타원형상의 개봉용 필름조각부재(23)가 사용되고 있다.
이 필름조각부재(23)는 그 중앙부분이 용착선(15)에 의해 통 형상체를 구성하는 포장필름(1)에 용착되어 있다.
또한, 이 용착선(15)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과 필름조각부재(23)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점착부(h)에 점착제(14)가 도포되고, 이 부분에 의해 필름조각부재(23)는 포장필름(1)의 바깥표면에 점착된다.
그런, 점착제(14)가 도포되는 부분은 점착부(h)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봉용 필름조각부재(23)의 뒷면 전체, 또는 필름조각부재(23)의 가장자리 뒷면에만, 혹은 필름조각부재(23)의 용착선(15)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 국한되어도 무방하다.
제15도에 나타낸 제7실시예에서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33)가 별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부가 용착선(15)에 의해 포장필름(1)과 용착되어 있다. 게다가, 제15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별형상의 필름조각부재(33) 뒷면 전체가 점착부(i)로 되어서 점착제(14)에 의해 포장필름(1)의 바깥표면에 점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제(14)가 도포되어 있는 점착부는 별형상 필름조각부재(33)의 뒷면 일부로 해도좋고, 그 도포위치도 용착선(15)을 사이에 둔 위치 또는 용착선을 에워싼 영역이라도 무방하다.
제14도 및 제15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개봉용 필름조각부재(23)(33)가 포장필름(1)의 바깥표면으로 점착제(14)를 개재하여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레토르트 등과 같은 가열공정중에 해당 필름조각부재(23)(33)가 열수축에 의해 커얼형상 등으로 구부러져 변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해당 필름조각부재(23)(33)는 타원형상 또는 별형상을 유지할수 있게 되므로 가열공정 후에도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제1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열공정에서, 해당 필름조각부재(23)(33)는 커얼형상으로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상자에 넣어져서 식품 포장체끼리 부딪치거나 또는 서로 맞닿아 밀리거나 하더라도, 용착선(15) 부분에 핀 홀이나 파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장필름(1)을 소세지 등의 내용물로부터 벗겨낼 때에는 해당 필름조각부재(23)(33)를 가장자리에서 잡아 당겨 벗겨냄으로써, 포장필름(1)에 내용물을 꺼내기 위한 균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개봉용 필름조각부재의 형상은 상기 타원형상이나 별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정사각형 또는 만화 캐릭터 등과 같은 여러가지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종 형상의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는 띠형상의 필름(예를 들어 제9도에 나타낸 필름)에서 찍어내는 방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뒷면의 접착제는 미리 상기한 띠형상의 필름 뒷면에 도포되거나, 또는 각종 형상으로 필름조각부재를 찍어 낸 다음에 도포시킬 수도 있다.
제16도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봉용 짧은 테이프형상의 필름조각부재(43)가 토형상체의 가장자리로, 통 형상체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필름조각부재(43)의 중앙부에는 필름조각부재(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착선(4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용착선(45)에 의해 필름조각부재(43)와, 통 형상체를 구성하는 포장필름(1)이 용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필름조각부재(43)의 선단이 알루미늄제 와이어 클립(2)에 의해 포장필름(1)과 함께 조여져 막혀져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용착선(45)의 좌측에 위치하는 점착부(j)에 점착제(14)가 도포되어 있고, 이 부분에서 필름조각부재(43)와 포장필름(1)이 서로 점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필름조각부재(43)의 선단부(E)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아서 이 부분의 필름조각부재(43)는 점착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점착부(j)에만 필름조각부재(43)가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공정중에 필름조각부재(43)가 변형된 다음, 상자에 넣어져 식품 포장체들끼리 서로 부딪치거나 또는 서로 맞닿아 밀리거나 하여 용착선(45)에 박리력이 작용하더라도 용착부에 핀홀 등이 생길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한편, 개봉시에는 필름조각부재(43)의 선단부(E)를 손가락으로 잡아 당겨 벗김으로써, 용착선(45)에서 포장필름(1)에 균열이 생기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세지 등과 같은 내용물로부터 포장필름(1)을 벗겨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43)의 전체면이 점착제에 의해 포장필름(1)으로 점착되게 해도 좋고, 또는 선단부(E)를 조금만 나머지 모든 면이 점착제에 의해 포장필름(1)으로 점착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조각부재(43)의 도면상 좌측단부는 알루미늄제 와이어 클립(2)에 의해 포장필름(1)과 함께 조여 붙여져 있으나, 이렇게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1도 내지 제16도에 나타낸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알루미늄제 와이어 클립(2) 대신에 테이프상으로 된 필름을 끼우고, 이 필름과 포장필름(1)을 함께 용착하거나 또는 알루미늄제 와이어 클립(2)등이 없이 포장필름(1)만이 조여지고, 이 조여진 부위에서 포장필름(1) 그 자체가 서로 용착되게 하거나 혹은 포장필름(1)의 통 형상 끝단부를 편평한 상태로 눌러붙여 용착하는 등으로 매듭지워도 무방하다.
더구나 포장필름(1)에 의해 형성되는 통 형상체는 반드시 원통형상일 필요는 없고, 그 단면이 타원 또는 길쭉한 원 혹은 직사각형 등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1도 내지 제16도에 나타낸 각각의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는 어느 것이나 모두 염화비닐리덴계등의 포장필름이 한겹 또는 두겹으로 중첩구성되어 있는 것 등에 사용 가능하지만,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겹의 필름조각부재(13, 23, 33, 43)의 표면[점착제(14)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면]에 접착제(51)을 개재하여 다른 필름(52)이 겹쳐 부착된 라미네이트 필름이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염화비닐리덴계 등의 필름조각부재(13)에 대한 표면측 필름(52)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나이론(Ny)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로 할 경우, 염화비닐리덴계 수지필름으로 된 필름조각부재(13)보다도 강도가 높게 되어(특히 냉장고에서 꺼내었을 때와 같은 저온 조건하에서의 강도가 높게 되어), 개봉시에 필름조각부재(13, 23, 33, 43)를 잡아 당겨 벗길 때 필름조각부재가 도중에서(예를들어 용착선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까지 도달하기 전에)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들은 포장체로서 가공식품의 포장체를 나타내었지만, 이것 이외의 내용물을 밀폐하는 포장체라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필름에 용착된 개봉용 필름조각부재가 가열공정 등에서 일으키는 커얼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자에 넣어서 포장체들끼리 부딪치거나 또는 서로 맞닿아 밀리거나 하더라도 용착부에 핀홀이나 파손 등이 생기지 않게 되어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밀폐된 포장필름(1)내에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고, 이 포장필름(1)의 바깥면에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13, 23, 33, 43)가 점착제(14)를 개재하여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며, 상기 필름조각부재(13, 23, 33, 43)는 부분적으로 포장필름(1)에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필름조각부재(13, 33)의 전체면이 포장필름(1)의 바깥면에 점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필름조각부재(13, 23, 43)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점착부(a, b, c, d, e, f, g, h, j)가 포장필름(1)의 바깥면에 점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필름조각부재(13, 23, 43)의 점착부(a, b, c, d, e, f, g, h, j)가 개봉용 필름조각부재(13, 23, 33, 43)와 포장필름(1) 사이에서 용착되지 않은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필름조작부재(13)의 점착부(c,d,g)는 필름조각부재(13)의 가장자리(A)(B)를 벗어난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름조각부재(1)의 가장자리(A)(B)는 손가락으로 벗겨질 수 있도록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
KR2019900005199U 1989-04-26 1990-04-25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 KR93000625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50124U JPH02141367U (ko) 1989-04-26 1989-04-26
JP50124 1989-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702U KR900018702U (ko) 1990-11-08
KR930006253Y1 true KR930006253Y1 (ko) 1993-09-17

Family

ID=1285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5199U KR930006253Y1 (ko) 1989-04-26 1990-04-25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141367U (ko)
KR (1) KR9300062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8544B2 (ja) * 2016-08-08 2020-11-04 株式会社クレハ 開封片用フィルム、開封片、包装体用母材フィルム、開封片を備えた包装体及び開封片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916U (ko) * 1973-05-10 1975-01-22
JPH01199871A (ja) * 1988-02-01 1989-08-11 Dainippon Jochugiku Co Ltd 包装体および包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702U (ko) 1990-11-08
JPH02141367U (ko) 1990-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2342A (en) Tear-off package with pull-tab
US8408450B2 (en) Packaging methods and packs made thereby
US3873018A (en) Easily rupturable band of tape
US8485728B2 (en) Resealable packaging
JPH08171348A (ja) 再封止可能なパッケージ用ラベル
US3261538A (en) Contour patty wrapper
JP3295573B2 (ja) 再封止可能な包装物
JP2824826B2 (ja) 飲食品用用具の帯状包装体
KR930006253Y1 (ko) 개봉용 필름조각부재를 갖춘 포장체
US2855647A (en) Poultry bag clip
JPH0711564U (ja) 包装体
US3851068A (en) Cheese package
JPH06191522A (ja) 包装物と包装用オーバーラップフィルム原反へのカッ トテープ接着方法
JP3526950B2 (ja) 包装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お握り
JPH066284U (ja) 棒状米飯加工食品の包装体
JPH08280Y2 (ja) 開封片ならびにこの開封片を使用した包装体
JP2003341715A (ja) 包装材料、及び包装材料原反シート、並びに包装材料原反シートの製造方法
JP2502860B2 (ja) 密封袋
JP3009552U (ja) 棒状米飯加工食品の包装体
JPH06247426A (ja) カップ状容器の包装方法及びそのための包装装置
US20230049893A1 (en) Packing Material and Packed Product
JPH0930558A (ja) 筒状密封タイト包装体
JP2824802B2 (ja) 破封テープ付包装体
JP2526709Y2 (ja) おにぎり用包装体
JP2631921B2 (ja) 棒状食品用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