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279B1 - 무수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수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279B1
KR930005279B1 KR1019860006158A KR860006158A KR930005279B1 KR 930005279 B1 KR930005279 B1 KR 930005279B1 KR 1019860006158 A KR1019860006158 A KR 1019860006158A KR 860006158 A KR860006158 A KR 860006158A KR 930005279 B1 KR930005279 B1 KR 930005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toxic
compound
mixture
hydro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862A (ko
Inventor
도시로 오쓰보
시게루 마루야마
다까시 다무라
노부유끼 히라노
마사미 사까이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모리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모리 히데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0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4Nitr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수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무수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기식(Ⅰ)로 표시되는 탄화수소(이하 “본 화합물”로 약칭한다)를 함유하는 융점이 0℃ 내지 65℃(이 융점의 범위는 독성 화합물의 혼합물의 융점에도 적용된다)인 독성 화합물의 무수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X1, X2, Y1, Y2, Z1및 Z2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2 이하의 알킬기이고, ; R1및 R2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 n은 0 또는 1이다.〕
살충제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헥타아르당 살충제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수십그람 내지 수백그람의 함량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독성 화합물을 단독으로 적은 양씩 균일하게 광범위한 지역에 살포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통상 독성 화합물이 용이하게 살포되도록 적절한 희석제로 독성 화합물을 희석시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화학물질은 살충제 조성물이고, 최대의 목적은 독성 화합물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시키는데 있다. 또한, 살충제 조성물의 다른 중대한 목적은 독성 화합물의 효과를 최대로 나타내면서, 독성 화합물의 단점을 제거하여 독성 화합물에 따른 문제점이 전혀 없는 살충제를 제조하는데 있다.
이러한 살충제 조성물의 한 가지 형태는 무수 살충제 조성물이고, 이는 고체 형태로 얻는다. 무수 살충제 조성물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수화제, 입제, 분제 등이다.
무수 살충제 조성물중의 어느 것이나 독성 화합물을 고체로 희석하여 제조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더욱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수화제는 독성 화합물을 소량의 계면 활성제 및 세분된 분말상 담체와 함께 혼합 분쇄하여 제조한다. 이들을 사용할 때는 물로 현탁시켜 분무기로 살포한다.
결국, 수화제의 중요한 물성은 현탁도, 세분성 및 수화성이다. 이러한 물성은 살충제 조성물중의 유효성분의 안정도처럼 장기간 보관한 후에도 보존되어야 한다.
분제는 독성 화합물을 세분된 담체로 희석시켜 제조하는데, 이것은 사용할 때는 물로 희석시키지 않고 분제기(dusting machine)로 살포하는 점에 있어서 수화제와는 상이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세분성이 감소되지 않아야 하고, 장기간 보관하여도 분산성이 양호하여야 하므로 보관시에 분말이 케이크화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입제는 주로 반죽-압출-과립화, 코우팅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이들중 어떠한 방법으로도 입제화된다. 입제를 목표로 하는 곡물에 직접 사용하는 것보다는 물표면 또는 토양에 직접 살포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물표면 또는 토양에 살포한 후에, 입제의 유효성분을 물에 용해시키거나 증발시켜 유효성분의 작용 부위를 접촉시켜 효과를 나타내도록 한다. 따라서 장기간 보관하여도 직후와 동일하게 적당한 수-분산성과 증발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융점 0℃ 내지 65℃인 독성 화합물을 이들의 무수 조성물로 제조할 때, 독성 화합물은 2가지 경우로 취급되는데, 한가지는 고체상태이고 다른 한가지는 액체상태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분쇄 단계와 같은 열의 발생을 수반하는 단계에서 독성 화합물의 용해와 용해에 의한 응고물질의 형성에 대단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독성 화합물의 완전용해를 위한 가열 장치의 설치 등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의 물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무수 살충제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65℃ 이상 또는 0℃ 이하의 융점을 갖는 독성 화합물이 무수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방법을 충분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비록 양호한 초기 물성을 갖는 무수 살충제 조성물을 얻는다 하여도, 독성 화합물이 장기간 보관되는 조건에 따라 액체 및 고체형태를 취하게 됨에 의해 물성이 퇴화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물성의 퇴화는 때때로 수화제의 현탁도와 세분성의 감소, 분제, 수화제 및 입제의 보관시 분말의 케이크화 및 입제용으로 사용한 후의 방출되는 유효성분의 함량 변화의 경우로 나타난다.
본 발명자들은 융점이 0℃ 내지 65℃인 독성 화합물의 무수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하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장기간 보관하여도 만족스러운 물성이 유지되도록 광범위하게 연구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목적들을 충족시키는 무수 활성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는 사용시에 자극성 냄새가 거의 없고 발화점(flash point)이 높아서 취급이 용이하며, 사용시 특별한 탈취 또는 지엽적 환기장치 등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조성물에 첨가하여도 곡물에 대하여 식물독성(phytotoxicity)을 거의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본 조성물은 발화성 용매의 증발로 인한 물성의 감소, 발화, 폭발 등의 위험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와 융점이 0℃ 내지 65℃인 독성 화합물의 예는 각각 표 1 및 표 2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들 예로 탄화수소와 독성 화합물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탄화수소와 독성 화합물은 때때로 이성질체를 가지는 바, 이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표 1]
Figure kpo00002
[표 2]
Figure kpo00003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단독 또는 이들 탄화수소의 2이상을 혼합하여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탄화수소의 융점은 0℃ 이하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인단 유도체 등과 같이 자극성 냄새가 거의 없고 발화점이 높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에 일치하는 기타 용매를 동시에 첨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동시에 첨가하는 용매의 양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 중에서, 1-페닐-1-크실릴에탄이 상업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바람직하다. 물론, 독성 화합물과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간에 상호 양호한 적응성에 기초하여 독성 화합물과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와의 조합물을 선택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무수 살충제 조성물의 물성의 안정성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의 첨가량에 따라 개선된다. 또한, 첨가량은 독성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독성 화합물에 대하여 2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와 독성 화합물의 전체 중량은 무수 살충제 조성물에 대하여 60중량% 이하이다. 독성 화합물은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나, 2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각각의 독성 화합물의 융점을 고려할 필요는 없고, 혼합물의 융점이 0℃ 내지 65℃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수 살충제 조성물에서, 수화제는 본 발명의 탄화수소와 독성 화합물 이외에 담체 및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담체로서는 규조토, 탄산칼슘, 활석, 피로필라이트, 카올리나이트, 몬트모릴로나이트, 아타풀자이트, 벤토나이트 등과 같은 무기질의 세분말 ; 합성된 이산화규소 수화물과 같은 합성 화합물의 세분말 ; 및 대두 분말, 목재 분말, 호두껍질 분말 등과 같은 식물성 세분말로 구성되는 군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도데실벤젠술폰산, 알킬나프탈렌술폰산의 나트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또는 아민염,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에테르 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페닐포스포르산, 알킬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응축물, 리그노술폰산 등과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알킬레이트 등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수용성 중합체를 계면활성제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효과 상승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등과 같은 당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필요하다면 임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수 살충제 조성물중에서, 분제는 통상적인 분제용 담체외에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 및 독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담체로서는 규조토, 탄산칼슘, 활석, 피로필라이트, 카올리나이트, 몬트모릴로나이트, 아타플자이트, 버미클라이트 등과 같은 무기질의 세분말 ; 합성된 이산화 규소 수화물 등과 같은 합성 화합물의 세분말 ; 및 대두 분말, 목재 분말, 호두껍질 분말 등과 같은 세분말로 구성되는 군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효과 상승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등과 같이 당 분야의 전문가에게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필요에 따라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수 살충제 조성물중에서, 입제는 통상적인 입제용 담체외에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 및 독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담체로서는, 분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무기질, 합성 및 식물성 담체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 분말의 세분성은 반죽-압출-입제화, 코우팅, 침지 등과 같은 입체 제조방법에 따라 의존하므로 각각의 방법을 충족시키도록 선택한다.
입제의 제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상술한 수화제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계면활성제 대신 폴리비닐 알코올,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수용성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효과 상승제, 안정제, 산화 방지제 등과 같이 당 분야의 전문가에게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필요에 따라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수 살충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균일한 용액에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와 융점이 0℃ 내지 65℃인 독성 화합물을 혼합한 후, 생성용액에 담체와 필요하다면 계면활성제 또는 수용성 중합체 및/또는 보조제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들로 더욱 상세히 기술되지만, 이들 예들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실시예 1]
5부의 독성 화합물(b), 2.5부의 탄화수소(3) 및 2.5부의 탄화수소(4)를 비이커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3부의 칼슘 리그노술포네이트, 4부의 소르폴 5060(계면활성제, 도오화학사제품), 15부의 합성 이산화규소 수화물 및 68부의 규조토의 혼합물을 첨가한다. 미리 혼합한 후에, 생성된 혼합물을 쥬스 혼합기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독성 화합물(b)의 양호한 5중량% 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2]
20부의 독성 화합물(f)와 10부의 탄화수소(3)을 비이커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6부의 소르폴 5060(상기와 동일), 2부의 칼슘 리그노술포네이트, 30부의 합성 이산화규소 수화물 및 32부의 규조토의 혼합물을 첨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독성화합물(f)의 양호한 20중량% 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3]
20부의 독성 화합물(a), 6부의 탄화 수소(3) 및 6부의 탄화수소(4)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25부의 합성 이산화규소 수화물, 37부의 규조토, 2부의 칼슘 리그노술포네이트, 3부의 소르폴 2495G(계면활성제, 도오화학사 제품) 및 1부의 소르폴 5080(계면활성제, 도오화학사 제품)을 리본 혼합기(ribbon mixer)로 미리 혼합한 혼합물을 적가한다. 전체 혼합물을 미리 혼합한 후에, 혼합물을 원심 분쇄기로 분쇄하여 독성 화합물(a)의 양호한 20중량% 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4]
5부의 독성 화합물(e), 2.5부의 탄화수소(2) 및 2.5부의 탄화수소(4)를 비이커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3부의 칼슘 리그노술포네이트, 4부의 소르폴 5060(상기와 동일), 15부의 합성 이산화규소 수화물 및 68부의 규조토의 혼합물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독성 화합물(e)의 양호한 5중량% 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5]
10부의 독성 화합물(d), 7.5부의 탄화수소(3) 및 2.5부의 탄화수소(4)를 비이커에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다른 비이커에서 15부의 합성 이산화규소 수화물, 3부의 칼슘 리그노술포네이트, 6부의 소르폴 2495G(상기와 동일) 및 56부의 규조토를 혼합한 혼합물을 첨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독성 혼합물(d)의 양호한 10중량% 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6]
5부의 독성 혼합물(b) 및 5부의 탄화수소(1)를 비이커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3부의 칼슘 리그노술포네이트, 4부의 소르폴 5060(상기와 동일), 15부의 합성 이산화규소 수화물 및 68부의 규조토의 혼합물을 첨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독성 화합물(b)의 양호한 5중량% 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7]
5부의 독성 화합물(b)와 5부의 탄화수소(2)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독성 화합물(b)의 양호한 5중량% 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8]
10부의 독성 화합물(a)와 5부의 탄화수소(3)를 비이커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15부의 합성 이산화규소 수화물 및 70부의 점토를 첨가한다. 미리 혼합한 후에, 생성 혼합물을 쥬스 혼합기로 분쇄하여 독성 화합물(a)의 양호한 10중량% 분제를 얻는다.
[실시예 9]
10부의 독성 화합물(e), 2부의 탄화수소(1), 5부의 탄화수소(2), 10부의 합성 이산화규소 수화물, 35부의 벤토나이트, 15부의 규조토, 2부의 소르폴 5060(상기와 동일) 및 21부의 점토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물로 균일하게 반죽한 후 과립기로 입제화하여 독성 화합물(e)의 양호한 10중량% 입제를 얻는다.
[실시예 10]
10부의 독성 화합물(b)와 2부의 탄화수소(1)을 비이커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10부의 합성 이산화규소 수화물, 35부의 벤토나이트, 15부의 규조토, 2부의 소르폴 5060(상기와 동일) 및 21부의 점토를 첨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독성 화합물(b)의 양호한 10중량% 입제를 얻는다.
[실시예 11]
5부의 독성 화합물(b)와 3부의 탄화수소(5)를 비이커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5부의 소르폴 5060(상기와 동일), 3부의 칼슘 리그노술포네이트, 15부의 합성 이산화규소 수화물 및 69부의 규조토의 혼합물을 첨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독성 화합물(b)의 양호한 5중량% 수화제를 얻는다.
[실시예 12]
10부의 독성 화합물(f), 1부의 독성 화합물(g), 7.5부의 탄화수소(3), 1.8부의 탄화수소(4) 및 0.6부의 2-메틸-4-페닐인단을 비이커에서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6부의 소르폴 2495G(상기와 동일), 2부의 칼슘 리그노술포네이트, 20부의 합성 이산화규소 수화물 및 51.1부의 규조토의 혼합물을 첨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독성 혼합물(f) 및 (g)의 양호한 혼합 수화제를 얻는다.
[비교예 1]
20부의 독성 화합물(f)를 비이커에 넣고, 이 비이커에 6부의 소르폴 5060(상기와 동일), 2부의 칼슘 리그노술포네이트, 30부의 합성 이산화규소 수화물, 42부의 규조토의 혼합물을 첨가한다. 미리 혼합한 후에, 생성된 혼합물을 쥬스 혼합기로 혼합하여 독성 화합물(f)의 20중량% 수화제를 얻는다.
[비교예 2]
5부의 독성 화합물(e)를 비이커에 넣고, 이 비이커에 3부의 칼슘리그노술포네이트, 4부의 소르폴 5060(상기와 동일), 15부의 합성 이산화규소 수화물 및 73부의 규조토의 혼합물을 첨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독성 화합물(e)의 5중량% 수화제를 얻는다.
[비교예 3]
5부의 독성 화합물(b)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독성 화합물(b)의 5중량% 수화제를 얻는다.
[비교예 4]
10부의 독성 화합물(a)를 비이커에 넣고, 이 비이커에 15부의 합성이산화규소 수화물 및 75부의 점토를 첨가한다. 미리 혼합한 후에, 생성된 혼합물을 쥬스 혼합기로 분쇄하여 독성 화합물(a)의 10중량% 분제를 얻는다.
[비교예 5]
10부의 독성 화합물(e), 10부의 백색탄, 35부의 벤토나이트, 15부의 규조토, 2부의 소르폴 5060(상기와 동일) 및 28부의 점토를 혼합하고, 물로 균일하게 반죽하고 과립기로 입제화하여 독성 화합물(e)의 10중량% 입제를 얻는다.
[시험예 1]
실시예 2 및 4와 비교예 1 및 2에서 생산된 각각의 수화제 100g을 알루미늄 백에 넣고 0℃에서 60일간 보관한다. 다음으로, 각각의 수화제 50g의 무게를 측정하고, 46μ시이브로 습식 사별 시험(wet sieving test)를 행한다. 시이브상의 잔류물을 페트리 접시(petri dish)에 옮겨놓고, 물 중탕에서 건조시키고 무게를 잰다. 시험 시료의 시이브상의 잔류물의 함량을 중량%로 계산한다. 결과는 생산된 동일한 수화제에 대한 시험 결과와 함께 표 3에 표시하였다.
[표 3]
Figure kpo00004
상기 표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수화제를 장기간 보관후의 세분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함유하지 않는 동일한 수화제보다 현저하게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수화제는 탁월한 저장 안정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시험예 1에서 0℃에서 60일간 보관한 후의 모든 수화제의 현탁도를 하기 조건에 따라 측정하였다.
250㎖의 3°경수를 함유하는 유리마개를 갖는 250㎖들이 측정용 실린더 각각을 30℃로 유지된 항 온조에 넣고, 500mg의 수화제 각각을 실린더에서 현탁시킨다. 15분 후, 실린더의 중간부분에서 25㎖의 물을 시료로 취하여 현탁도를 얻는다. 결과는 생산된 동일한 수화제에 대한 시험결과와 함께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kpo00005
상기 표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수화제를 장기간 보관한 후의 현탁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함유하지 않는 동일한 수화제의 현탁도보다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수화제는 저장 안정성이 탁월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실시예 1과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수화제를 사용하여 식물 독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곡물은 호배추(무조(MUSO) 변종)이고, 모든 수화제와 시험시료의 희석비는 250이다. 시험결과는 플롯당 3가지 복제물의 평균 식물 독성정도로서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kpo00006
상기 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수화제의 호배추에 대한 식물 독성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함유하지 않는 수화제의 식물독성처럼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실시예 8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살충제(a)의 10%분제 각각 100g을 알루미늄 백에 넣고 0℃에서 60일간 저장하였다. 다음으로, 60일 동안 저장한 후의 분제 및 생산된 동일한 분제 각각 50g을 46μ시이브로 습식 사별시험을 수행한다. 시이브상의 잔류물을 페트리 접시에 옮기고, 물 중탕에서 건조시키고, 무게를 측정한다.
시험 시료의 시이브상에 남아있는 잔류물의 함량을 중량%로 계산한다.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kpo00007
상기 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분제를 장기간 보관한 후의 세분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함유하지 않는 동일한 분제의 세분도보다 현저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분제는 탁월한 저장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실시예 9 및 비교예 5에서 제조된 살충제(e)의 10%입제 각각 100g을 알루미늄 백에 넣고, 5℃×30일 및 0℃×60일의 2가지 방법으로 보관한다. 다음으로, 두가지 방법으로 저장한 후의 입제 및 생산된 동일한 입제로 물중에서의 확산도를 시험하고, 저장전, 후의 시험결과를 비교한다.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Figure kpo00008
- : 차이가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음.
+ : 차이가 육안으로 관찰됨.
상기 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입제의 확산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화수소를 함유하지 않는 동일한 입제와는 달리 오랜동안 보관한 후에도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융점이 0℃ 내지 65℃(이 융점은 독성화합물의 혼합물의 융점에도 적용된다)인 독성 화합물과 하기식(Ⅰ)로 표시되는 탄화수소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생성된 혼합물을 담체 및 필요하다면 계면 활성제 또는 수용성 중합체, 보조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9
    〔상기식에서,
    X1, X2, Y1, Y2, Z1및 Z2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2 이하의 알킬기이고, ; R1및 R2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 n은 0 또는 1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수화제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분제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입제인 방법.
  5. 제1 내지 4항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탄화수소가 1-페닐-1-크실릴에탄 또는 1-페닐-1-(에틸페닐) 에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6. 제1 내지 4항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독성 화합물이 피레트로이드 화합물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피페트로이드 화합물을 펜발레레이트, 펀프로파트린, 퍼머트린, 시퍼메트린 및 이들의 이성질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방법.
KR1019860006158A 1985-07-29 1986-07-28 무수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930005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67973 1985-07-29
JP60167973A JPH0639362B2 (ja) 1985-07-29 1985-07-29 農薬固型製剤
JP167973 1985-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62A KR870000862A (ko) 1987-03-10
KR930005279B1 true KR930005279B1 (ko) 1993-06-17

Family

ID=1585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158A KR930005279B1 (ko) 1985-07-29 1986-07-28 무수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760084A (ko)
EP (1) EP0213328B1 (ko)
JP (1) JPH0639362B2 (ko)
KR (1) KR930005279B1 (ko)
AR (1) AR244039A1 (ko)
AU (1) AU582880B2 (ko)
BR (1) BR8603567A (ko)
CA (1) CA1261738A (ko)
DE (1) DE3669260D1 (ko)
ES (1) ES2001339A6 (ko)
FR (1) FR2585216B1 (ko)
GB (1) GB2178316B (ko)
HU (1) HU199235B (ko)
MY (1) MY1018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4214A1 (en) * 1985-01-24 1986-07-3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Agricultural chemical preparation having alleviated toxicity against fish
JPH0676281B2 (ja) * 1986-01-17 1994-09-28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安定化された水中油型懸濁状農薬組成物
JP2532245B2 (ja) * 1986-05-19 1996-09-11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農薬固形製剤
JPH07106961B2 (ja) * 1986-08-06 1995-11-15 日本農薬株式会社 改良された農業用粒剤及び細粒剤
WO1990008467A1 (en) * 1989-01-30 1990-08-09 Ici Americas Inc. Pyrethroid formulations of reduced paresthesia
AU619693B2 (en) * 1989-08-02 1992-01-3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Water dispersible granules
FR2713954B1 (fr) * 1993-12-22 1996-01-12 Roussel Uclaf Nouveau procédé de préparation d'émulsion ou de suspoémulsion sèche ou extrudée sous forme de granulés et granulés obtenus.
CZ289396A3 (en) * 1994-04-05 1997-01-15 Monsanto Co Process for preparing water-dispersible formulations of low-melting pesticides by nucleation and crystallization of active component
EP0753255B1 (en) * 1995-07-11 2000-12-20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Pest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diarylalkanes
US8790324B2 (en) * 2010-05-28 2014-07-29 Sca Hygiene Products Ab Side panels for an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73875A (ko) * 1967-12-13 1969-07-11
US3755582A (en) * 1971-03-04 1973-08-28 Du Pont Quinazolinone fungicides
JPS5857301A (ja) * 1981-09-30 1983-04-05 Shinto Paint Co Ltd 殺虫組成物
DE3343092A1 (de) * 1983-11-29 1985-06-05 Bayer Ag, 5090 Leverkusen Wasserloesliche pestizide formulierung
JPS60243001A (ja) * 1984-05-18 1985-12-03 Kumiai Chem Ind Co Ltd 畑作用粒状除草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9501A (ja) 1987-02-07
AU6011486A (en) 1987-02-05
AU582880B2 (en) 1989-04-13
GB2178316B (en) 1989-07-19
DE3669260D1 (de) 1990-04-12
HUT45366A (en) 1988-07-28
BR8603567A (pt) 1987-03-04
GB2178316A (en) 1987-02-11
FR2585216A1 (fr) 1987-01-30
JPH0639362B2 (ja) 1994-05-25
US4760084A (en) 1988-07-26
HU199235B (en) 1990-02-28
ES2001339A6 (es) 1988-05-16
FR2585216B1 (fr) 1987-11-27
GB8617965D0 (en) 1986-08-28
EP0213328B1 (en) 1990-03-07
MY101862A (en) 1992-01-31
CA1261738A (en) 1989-09-26
KR870000862A (ko) 1987-03-10
AR244039A1 (es) 1993-10-29
EP0213328A1 (en) 1987-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279B1 (ko) 무수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9508895A (ja) 除草剤の水和剤配合物
HU229398B1 (en) Pymetrozine solvates
JPH0433762B2 (ko)
KR900004697B1 (ko) 2-(3-피리딜)-1,3,4-옥사디아졸류의 제조방법
JPH10279403A (ja) 顆粒状農薬水和もしくは水溶剤
US5294594A (en) Water dispersible granular her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dinitroaniline herbicides, montmorillonite carrier and water-swellable polymer
RU2145601C1 (ru) Кристалломодификация в (4-циклопропил-6-метилпиримидин-2-ил)-фениламина,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фунгицидное средство
HU214939B (hu) Vízben emulgeálható, inszekticid hatóanyagot tartalmazó granulátumok és eljárás előállításukra
US3456055A (en) Mildew eradicant compositions
US5296450A (en) Water dispersible granular her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dinitroaniline herbicides, montmorillonite carrier, and a base
JP2515124B2 (ja) 水分散性粒状組成物
JPH068242B2 (ja) 改良された水田用除草粒剤組成物
US3781441A (en) Use of 4-chloro-3,5-dinitrobenzene-sulfonamide as a fungicide
JP2970666B2 (ja) 農薬固型製剤
JP4166868B2 (ja) 農薬粒剤
US3027297A (en) 3, 4-dibromoaniline nematocide
JPS6340761B2 (ko)
JPH07196411A (ja) 菌・カビ類の防除法
JP4094227B2 (ja) りんご樹用摘花剤
KR830001149B1 (ko) 살충 조성물
JP3787886B2 (ja) 農薬固形製剤
JP4068688B2 (ja) 難水溶性農薬有効成分を含有する水田用粒剤
JPS61204105A (ja) 稲いもち病防除剤
JPH06312902A (ja) ベンスルタップ固型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