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054B1 -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054B1
KR930005054B1 KR1019890701763A KR890701763A KR930005054B1 KR 930005054 B1 KR930005054 B1 KR 930005054B1 KR 1019890701763 A KR1019890701763 A KR 1019890701763A KR 890701763 A KR890701763 A KR 890701763A KR 930005054 B1 KR930005054 B1 KR 93000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actuator
signal
contro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317A (ko
Inventor
시게루 나카노
야스히로 곤도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700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6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fluid pressure actuated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2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 B60K31/04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and means for comparing one electrical quantity, e.g. voltage, pulse, waveform, flux, or the like, with another quantity of a like kind, which comparison means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n electrical signal which is fed into the controlling means
    • B60K31/042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and means for comparing one electrical quantity, e.g. voltage, pulse, waveform, flux, or the like, with another quantity of a like kind, which comparison means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n electrical signal which is fed into the controlling means where at least one electrical quantity is set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45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and means for comparing one electrical quantity, e.g. voltage, pulse, waveform, flux, or the like, with another quantity of a like kind, which comparison means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n electrical signal which is fed into the controlling means where at least one electrical quantity is set by the vehicle operator in a memory, e.g. a capacitor
    • B60K31/047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and means for comparing one electrical quantity, e.g. voltage, pulse, waveform, flux, or the like, with another quantity of a like kind, which comparison means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n electrical signal which is fed into the controlling means where at least one electrical quantity is set by the vehicle operator in a memory, e.g. a capacitor the memory being digi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차용 정속주행장치의 전체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구체적인 1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제3도는, 제어회로의 타이머 중단처리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4도는, 제어회로의 메인처리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5도는, 액츄에이터 구동출력과, 스로틀 밸브의 개방도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밸브 폭과 차속력편차 및 가속도의 관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액츄에이터 제어신호의 OFF 신호와 제어신호 감시수단의 각 부분의 전압과의 관계를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전중 희망하는 차속력으로 세트조작을 행함에 따라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의 개폐를 제어시켜서 설정한 차속력으로 자동차를 주행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 장치의 제어부분의 이상을 검출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의 제어신호 감시장치를 구비한 것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는, 설정한 속력으로 자동차를 주행시키도록 자동 제어하는 것이다.
이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는, 주로 스로틀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와, 이 액츄에이터를 구동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이루어지는 제어부 및 구동부와, 주행차속 검출부로써 구성되어 있고,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스로틀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하고, 엔진으로의 공급연료를 조정하여 주행차속을 설정한 차속력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는, 정전기 등의 원인으로 제어부가 이상 동작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워치독(Watch Dog) 타이머]를 형성하고 있고, 제어부로 부터 주기적으로 신호를 발신시켜, 이 신호를 워치독 타이머에 입력함과 동시에, 상기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동안 출력되지 않을 때에 제어부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워치독 타이머로 리세트하고, 정속주행장치의 정속주행 제어상태를 해제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의사에 의한 운전상태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제어부의 주기적 신호를 발신하는 부분만이 정상으로 동작하고, 제어부의 정속 주행이 행하여지는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구성에서는 이상상태를 검출할 수 없고, 위험한 운전상황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제어부의 이상상태를 저가의 구성으로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자동차용 정속주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로 설정된 설정 차속력과 실제의 차속력을 비교하고, 양자가 일치되도록 스로틀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출력 수단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을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에서 연산한 액츄에이터의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액츄에이터의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출력 수단으로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수단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소한 시간의 주기적 OFF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형성하는 제어신호 OFF 수단과, 상기 OFF신호의 유무를 감시하여 OFF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연산수단 또는 상기 제어출력수단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제어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감시수단과를 구비한 것으로 부터 달성된다.
또한, 스로틀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출력 수단과, 액츄에이터의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을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에서 연산한 액츄에이터의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출력수단으로 스로틀 밸브를 열 때 액츄에이터의 제어신호를 보내는 스로틀 개방제어신호선과 스로틀 밸브를 닫을 때 제어신호를 보내는 스로틀 패쇄제어 신호선을 통하여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소시간의 OFF 시간을 주기적으로 형성하는 제어신호 OFF 수단과, 상기 연산수단 및 상기 제어신호 출력수단 및 상기 제어신호 OFF 수단을 가진 마이크로 컴퓨터와, 상기 제어신호를 받는 NOT 게이트의 출력에 저항을 통하여 베이스를 접속하고, 제어용 전원과 저항을 통하여 콜렉터를 접속하여, 제어용 전원의 접지에 에미터를 접속한 NPN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저항의 한쪽 끝단과 콘덴서의 한쪽 끝단을 접속하고, 상기 저항의 다른 끝단을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콘덴서의 다른 쪽을 제어용 전원의 접지에 접속하고, 저항과 콘덴서의 한쪽 끝단의 접속부에 NOT 게이트의 입력단자를 각각 접속하고, NOT 게이트를 2개 직렬로 접속하는 회로를 적어도 스로틀 개방제어신호선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어신호의 OFF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을 때 NOT 게이트의 출력이 발생하여 제어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감시수단과, 상기 NOT 게이트의 출력을 제1의 다이오드를 통하여 게이트에 접속하고, 캐소우드를 제어용 전원의 접지에 접속하고, 또한 제2의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스로틀 개방제어 신호선을 접속함과 동시에, 제3의 다이오드를 통하여 저항과 애노우드를 접속한 다이리스터와, 제3의 다이오드와 접속된 저항의 한쪽 끝단에 베이스를 접속하고, 스로틀 폐쇄제어 신호선과 콜렉터를 접속하고, 저항을 통하여 제어용 전원과 에미터를 접속한 PNP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베이스를 접속하는 저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신호 감시수단으로 부터의 제어이상 신호에 의하여 스로틀 밸브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구성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출력수단으로 출력하는 스로틀 폐쇄제어신호 출력수단과를 구비한 것으로도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신호에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소시간의 OFF 신호를 주기적으로 형성하고, 이 OFF 신호의 유무를 감시하여 OFF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제어출력수단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스로틀 밸브를 닫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구동함으로써, 마이크로 컴퓨터의 이상시에 스로틀 밸브를 닫고, 운전자의 액셀레이터 조작에 의한 주행으로 되돌아 올 수 있고, 또한 상기 제어신호의 OFF 신호를 타이머 중단처리로 RAM을 고쳐 기록하고, 메인처리로 RAM이 고쳐 기록된 것을 확인하였을 때만 출력함으로써, 마이크로 컴퓨터의 처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상태대로 타이머 중단처리만이 정상으로 동작한 경우에도 마이크로 컴퓨터의 이상이 검출되고, 다시 NOT 게이트와 트랜지스터와 저항과 콘덴서로 구성되는 간단한 회로로 상기 제어신호의 OFF 신호의 유무를 감시하고, OFF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이상신호를 출력하고 다이리스터와 다이오드와 저항과 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되는 간단한 회로에서 상기 제어이상신호를 받아, 스로틀 밸브를 닫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간단한 회로를 추가하는 것만의 저렴한 구성으로 마이크로 컴퓨터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의 이상에 의한 위험한 운전상황을 피할 수 있는 안전한 정속주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1실시예인 액츄에이터의 제어신호 감시장치를 사용한 자동차용 정속주행장치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정속주행장치의 전체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2는 스로틀 밸브(1)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 3은 액츄에이터(2)를 구동하는 구동출력수단, 4는 액츄에이터(2)의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을 연산하는 연산수단, 5는 스로틀 밸브(1)를 열 때 제어신호를 보내는 스로틀 개방제어 신호선(8) 및 스로틀 밸브(1)를 닫을 때 제어신호를 보내는 스로틀 폐쇄제어신호선(9)을 통하여 액츄에이터(2)의 제어신호를 구동출력수단(3)으로 출력하는 제어신호출력수단, 6은 액츄에이터(2)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소시간의 OFF 신호를 주기적으로 형성하는 제어신호 OFF 수단, 7은 연산수단(4)과 제어신호 출력수단(5)과 제어신호 OFF 수단(6)을 가진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약칭한다), 제어신호 감지부(10) 내부는 제어신호를 받는 NOT 게이트(101)의 출력에 저항(102)을 통하여 베이스를 접속하고, 제어용 전원(AV)과 저항(103)을 통하여 콜렉터를 접속하고, 제어용 전원의 접지에 NPN형 트랜지스터(104)의 에미터 측이 접속된다. 그리고, 저항(105)과 콘덴서(106)를 접속한 후 저항(105)의 남는 한 끝단을 상기 트랜지스터(104)의 콜렉터에 콘덴서(106)의 남은 한쪽 끝단을 제어용 전원의 접지에 저항(105)과 콘덴서(106)의 접속부에 NOT 게이트(107)의 입력단자를 각각 접속하고, NOT 게이트(107), (108)을 직렬로 접속하는 회로를 스로틀 개방제어 신호선(8)과 스로틀 폐쇄제어신호선(9)의 각각에 접속함으로써 제어신호의 OFF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을 경우 NOT 게이트(108)의 출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로틀 폐쇄 제어신호 출력수단(11)은, 제어신호 감시수단(10)의 출력을 제1의 다이오드(12)를 통하여 다이리스터(111)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그의 캐소우드는 제어용 전원의 접지에 연결되며, 또한 제2의 다이오드(112)를 통하여 스로틀 개방제어신호선(8)에 연결되고, 제3의 다이오드(113)를 통하여 저항(114)과 애노우드를 각각 접속한다. 그리고, 제3의 다이오드(113)와 접속된 저항(114)의 남은 한쪽 끝단과 베이스를 연결하고, 스로틀 폐쇄제어신호선(9)과 콜렉터를 저항(117)을 통하여 제어용 전원과 에미터를 각각 접속한 PNP형 트랜지스터(115)에 연결시킨 후, 트랜지스터(115)의 에미터와 베이스를 접속하는 저항(116)에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제어신호 감시수단(10)으로 부터의 제어이상신호에 의하여 스로틀 밸브(1)를 닫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2)를 구동하는 제어신호가 구동출력수단(3)으로 출력한다.
상기, 동작에 대하여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구체적인 예로서 설명한다.
제2도는 제1도의 구체적인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21은 제어신호로서, 마이컴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입력 처리부(23)와, 입력처리부(23)로 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연산처리를 행하는 연산처리부(22)와 연산처리부(22)로 부터의 신호를 받고, 액츄에이터(2) 내부의 모우터(211)와 전자클러치(212)를 제어하는 신호를 구동출력부(25)와 전자클러치 통전출력부(26)로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24)와, 모우터(211)를 제어하는 신호를 보내는 스로틀 개방제어신호선(8) 및 스로틀 폐쇄제어신호선(9)에 접속된 제어신호감시회로(10)와, 제어신호에 이상이 있었을 때 제어신호감시회로(10)로 부터의 제어이상신호에 의하여 스로틀 밸브(1)가 닫히는 방향으로 모우터(211)를 구동하는 스로틀 폐쇄제어신호 출력회로(11)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회로(21)는, 스로틀 밸브(1)를 개방함, 폐쇄함, 유지함, 급히 닫음의 4종류의 구동출력을 액츄에이터(2)로 출력한다. 액츄에이터(2)는 제어회로(21)의 출력에 의하여 스로틀 밸브(1)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액츄에이터(2)는 모우터(211), 전자클러치(212), 모우터 출력측에 접속된 웜기어(217), 기어박스(214)로 부터 알맞은 웜휠(213), 전자 클러치와 고정부착, 개방되는 클러치판과 웜휠(213)의 회전을 감속하고, 클러치판을 통하여 보빈(215)으로 전하는 감속기구의 기어박스(214), 스로틀(1)을 구동하는 케이블(216)을 감는 보빈(2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로틀 밸브(1)를 열 때에는, 전자 클러치 통전출력부(26)가 제어신호출력부(24)로 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전자클러치(212)에 통전하고, 기어박스(214) 내의 클러치판을 전자클러치(212)에 고정부착시켜, 웜휠(213)의 회전이 보빈(215)에 전하여지고, 구동출력부(25)가 스로틀 개방제어신호선(8)을 통하여 제어신호 출력부(24)로 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스로틀 밸브(1)를 여는 방향으로 모우터(211)를 구동시킨다. 스로틀 밸브(1)를 닫는 경우에는, 제어신호출력부(24)는 전자클러치 통전출력부(26)에만 신호를 출력하고, 전자클러치(212)만 통전한다.
그리고, 스로틀 밸브(1)를 급히 닫을 때에는, 제어신호출력부(24)가, 전자클러치 통전출력(26)으로의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전자클러치(212)의 통전을 정지하고, 기어박스(214) 내의 클러치판이 전자클러치(212)로 부터 개방되고, 또한, 기어박스(214) 내의 감소기구로 부터 보빈(215)도 개방되어, 액셀레이터 페달의 복귀스프링에 의하여 스로틀 밸브(1)가 급히 닫혀진다.
27은 셋트 스위치이고, 희망하는 차속력으로 되었을 때 ON으로 부터 OFF하면 그때의 차속력을 설정차속력으로 하여 정속주행을 개시힌다.
28은 취소스위치로서, 브레이크 페달 및 래치페달의 조작으로 동작하고, 제어회로(21)로 신호를 보내, 전자클러치(212)의 통전을 정지하고, 정속주행을 해제한다.
218은 차속력 센서이고, 4극의 자극을 가지며, 차축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회전체(219)와 리이드 스위치(220)로서 이루어지고, 회전체(219)의 1회전으로 4펄스를 출력한다.
29는 자동차 밧데리, 210은 정속주행장치의 메인 스위치로서, 제어회로(21)의 전원스위치이다.
10은 제어신호감시회로로서, 각각 스로틀 개방제어 신호선(8), 스로틀 폐쇄제어신호선(9)에 접속되고, 각각의 신호선을 통한 신호로 모우터(211)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소시간 신호가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감시하고, 모우터(211)가 구동하며, 계속하여도 스로틀 밸브(1)의 개방도가 급변하지 않는 소정시간 이상 OFF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스로틀 폐쇄제어신호 출력수단(11)에 제어이상신호를 출력한다.
11은 스로틀 폐쇄제어신호 출력수단으로서, 제어신호 감시회로(10)로 부터의 제어이상신호를 받아, 스로틀 폐쇄제어신호선에 신호를 출력하고, 스로틀 밸브(1)가 닫히는 방향으로 모우터(211)를 구동시킨다.
제3도 및 제4도는 제어회로(21)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로서, 제3도는 타이머 중단처리, 제4도는 메인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제3도는 타이머 중단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로서 마이컴의 타이머 중단에 의하여 스텝(31)이 개시된다. 우선, 스텝(32)에서 제어신호 OFF 프래그(flag)를 설정하고, 모우터를 구동하는 제어신호에 OFF 신호를 형성하는 것을 허가한다. 다음에, 스텝(33)에서 차속력펄스의 변화를 관찰하고, 차속력펄스에 변화가 보였을 때에 차속력펄스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스텝(34)에서 소정시간 경과여부를 카운트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였을 때는 스텝(35)에서 소정시간 내에 카운트한 차속력펄스수를 메모리로 전송한다.
소정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스텝(36)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36)에서 셋트스위치가 ON상태에서 OFF로 변화하였는가 여부를 체크하고, 변화하면 스텝(37)에서 셋트플러그를 세우고, 그때의 차속력을 설정차속력으로 하여 설정하고, 정속주행제어를 허가한다. 다시 스텝(38)에서 취소스위치의 상태를 체크하고, 취소로 판단하였을 때는 스텝(39)에서 취소플래그를 세우고, 액츄에이터 구동을 해제하고, 스로틀 밸브(1)를 급히 닫는다. 취소하지 않을 때에는 스텝(310)으로 진행하고, 제4도의 메인처리로 복귀한다.
제4도는 메인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제2도에서 나타낸 메인스위치(210)가 ON으로 되면 연산처리부(22)가 기동되어, 스위치(41)로 부터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우선, 스텝(42)에서 타이머 중단에서 카운트한 소정시간 내의 차속력펄스수로 부터 차속력을 계산한 다음, 스텝(43)에서 타이머 인터럽트스텝(37)로 설정된 설정차속력과의 편차를 계산하고, 스텝(44)에서 전회의 스텝(42)으로 계산한 차속력과 이번 회의 스텝(42)으로 계산한 차속력과의 차를 계산하고 가속한다.
다음에 스텝(45)에서 모우터(211)를 구동하는 출력전압의 펄스폭(T2)을 결정한다. 출력전압의 펄스의 주기는 T1으로서,
0≤T2≤T1
의 범위에서 T2를 변화시킴으로써 모우터(211)를 구동하는 출력전압의 평균값이 변화하고, 이로 인하여 모우터(211)의 회전속도가 변화하고, 스로틀(1)의 단위시간당의 개폐량을 바꿀 수가 있다.
이 상태를 제5도로 나타낸다. 펄스폭 T2은 다음 식에 의하여 결정한다.
T2=AΔV+BΔα
여기에서, ΔV는 실제의 차속력과 설정차속력의 편차, A는 실제의 차속력과 설정차속력의 편차에 의하여 결정되는 정수, B는 이 변화에 계산한 차속력과의 차에 의하여 결정되는 정수로서, 실제차속력>설정차속력일 때 ΔA0, 가속도가 부(-)일 때 Δα<0이고, T2>0일 때, 스로틀 밸브(1)를 여는 방향으로 T2<0인 경우 스로틀 밸브(1)를 여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구동한다. 즉, 펄스폭 T2은 차속력편차와 가속도와 변수로 하는 함수에 의하여 설정된다.
제6도에 펄스폭과 차속력편차 및 가속도의 관계의 한 예를 나타낸다. 또한, 정수 A 및 B는 실제의 차속력 및 ΔV 및 Δα가 존재하는 각 영역에 의하여 ΔV 및 Δα와의 관계를 임의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 스텝(46)에서 셋트플래그의 상태를 체크하고, 정속주행이 허가되어 있으면(47)로 진행하고, 허가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42)로 되돌아간다.
스텝(47)에서는 취소플래그의 상태를 체크하고, 정속주행이 금지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48)으로 진행하고, 금지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412)으로 진행한다. 스텝(48)에서는 제어신호 OFF 플래그의 상태를 체크하고, 타이머 중단으로 제어신호 OFF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411)으로 진행하고, 설정되어 있으며 스텝(49)으로 진행한다. 스텝(411)에서는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우선, 전자클러치 통전출력부(26)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자클러치(212)를 ON하고, 모우터(211)를 출력에 의하여 보빈(215)이 회전하는 상태로 한다. 펄스폭 T2의 계산결과가 정(+)인 경우에는 스로틀 밸브(1)를 닫는 방향으로 모우터(211)를 구동하는 스로틀 폐쇄제어신호선에 스텝(45)로 결정한 펄스폭 T2및 주기 T1의 펄스로서 신호를 출력하고, 구동출력부(25)는 스로틀(1)이 닫히는 방향으로 모우터(211)가 회전하는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고, 반대로 (T2)가 부(-)인 경우는 스로틀 밸브(1)를 여는 방향으로 모우터(211)를 구동하는 스로틀 밸브개방제어신호선에 신호를 출력하고, 구동출력부(25)는 스로틀 밸브(1)가 열리는 방향으로 모우터(211)가 회전하는 극성의 전압을 인가한다. T2=O일 때의 전자클러치 통전부(26)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자클러치(212)는 ON하지만 모우터(211)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는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모우터(211)는 구동하지 않고 보빈(215)이 고정되기 때문에 스로틀 개방도는 유지되고, 그후 스텝(42)로 되돌아온다.
스텝(47)에서 정속주행이 금지되었을 경우는 스텝(412)에서 전자클러치 통전부(26)에로의 제어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전자클러치 통전부(26)에로의 제어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전자클러치(212)를 OFF하고, 보빈(215)을 모우터(211)의 연동부로 부터 개방하고, 액셀레이터 페달의 복귀스프링에 의하여 스로틀 밸브(1)를 급히 닫는다. 그 다음 스텝(42)으로 되돌아온다. 스텝(48)에서 제어신호 OFF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49)으로 진행하고, 제어신호 OFF 플래그를 클리어한 다음에 스텝(410)으로 진행하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로서 펄스폭 T2의 펄스를 출력중인 경우, 제어신호의 출력을 OFF한다. 그 다음에 스텝(42)으로 되돌아온다.
이로 인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제어신호에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소기간의 OFF 신호를 타이머중단의 주기와 같은 주기에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OFF 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제어신호가 출력될 때 제어신호 감시수단(10)의 콘덴서(106)가 출전되어 OFF 신호가 출력되면 콘덴서(106)가 방전된다.
만약, OFF 신호가 타이머 중단의 주기를 경과하여도 출력되지 않는 경우는, 콘덴서(106)의 충전이 계속하고 콘덴서(106)의 전위가 NOT 게이트(107)의 H레벨 이상으로 되었을 때, NOT 게이트(108)의 출력이 일어나고, 스로틀 폐쇄제어 신호출력수단(11)의 다이리스터(111)를 ON하고, 스로틀 폐쇄제어신호선(9)을 일으키고, 스로틀 제어신호선(8)을 OFF하고, 스로틀 밸브(1)가 닫히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2)를 구동한다. 이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제어신호의 OFF 신호와 콘덴서(106)의 전위 및 NOT 게이트(108)의 출력의 관계의 한 예를 제7도에 나타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한 다이리스터에 대신하여, 스위치용 IC, 릴레이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용 정속주행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그밖의 액츄에이터 제어회로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신호로 액츄에이터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소시간의 OFF 신호를 주기적으로 형성하고, 이 OFF 신호의 유무를 감시하여 OFF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을 때에는 마이컴 이상으로 판단하여 스로틀 밸브를 닫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구동함으로써 마이컴 이상시에 스로틀 밸브를 닫을 수 있고, 또한, 상기 제어신호의 OFF 신호를 소프트 웨어의 메인처리와 타이머 중단처리의 양쪽을 사용하여 액츄에이터의 구동신호에 OFF 신호를 수동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마이컴 이상을 검출하는 정밀도가 향상하고, 또한 액츄에이터의 제어신호의 감시회로 및 마이컴 이상 검출시에 스로틀 밸브를 닫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에 있어서는, 마이컴 이상시에 속도가 올라가는(스로틀 밸브가 열리는) 상태로 되는 것이 속도가 내려가는 상태로 되는 것보다 위험하고, 회로를 간단하게 하는 것을 생각한다면, 스로틀 폐쇄제어신호선의 감시회로를 줄여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에서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신호에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소시간의 OFF 신호를 주기적으로 형성하고, 이 OFF 신호의 유무를 감시하여 OFF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마이컴 이상으로 판단하여 스로틀 밸브를 닫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구동함으로써, 마이컴 이상시에 스로틀 밸브를 닫고, 운전자의 액셀레이터 조작에 의한 주행으로 되돌아 올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정속주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의 OFF 신호를 타이머 중단처리로 RAM을 고쳐 기록하고, 메인처리로 RAM이 바꾸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을 때만 출력함으로써, 마이컴의 메인처리가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고 마이컴 중단처리만이 정상으로 동작한 경우에도 마이컴 이상이 검출되는 마이컴 이상의 검출 정밀도가 높은 정속주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NOT 게이트와 트랜지스터와 저항과 콘덴서로서 구성되는 간단한 회로로써 상기 제어신호의 OFF 신호의 유무를 감시하고, OFF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을 때는 제어이상신호를 출력하고, 다이리스터와 다이오드와 저항과 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되는 간단한 회로로 상기 제어이상신호를 받아 드로틀 밸브를 닫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간단한 회로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마이컴 이상에 의한 폭주의 위험을 피할 수 있는 정속주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임의로 설정된 설정차속력과 실제의 차속력을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도록 드로틀 밸브(1)의 개방도를 액츄에이터(2)를 통하여, 제어하는 자동차용 정속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2)를 구동하는 구동출력수단(3)과, 상기 액츄에이터(2)의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을 연산하여 액츄에이터(2)의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출력수단(3)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타이머 인터럽트 처리에서 RAM를 고쳐 기록하고, 메인처리에서 RAM이 고쳐 기록된 것을 확인한 때, 상기 액츄에이터(2)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소시간의 주기적 OFF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에 마련하는 마이콤(7)과, 상기 OFF 신호의 유무를 감시하여 OFF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마이콤(7)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제어이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감시수단(10)을 구비한 자동차용 정속주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콤(7)은, 상기 액츄에이터(2)의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을 연산하는 연산수단(4)과, 상기 연산수단(4)에서 연산한 액츄에이터(2)의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에 따라서 액츄에이터(2)의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출력수단(3)에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수단(5)과, 상기 액츄에이터(2)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소시간의 주기적 OFF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에 형성하는 제어신호 OFF 수단(6)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정속주행장치.
  3. 임의로 설정된 설정차속력과 실제의 차속력을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도록 드로틀 밸브(1)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자동차용 정속주행장치에 있어서, 드로틀 밸브(1)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액츄에이터(2)와, 상기 액츄에이터(2)를 구동하는 구동출력수단(3)과, 액츄에이터(2)의 구동방향 및 구동시간을 연산하고, 드로틀 밸브(1)를 열 때 액츄에이터(2)의 제어신호를 보내는 드로틀 개방 제어신호선(8) 및 드로틀 밸브(1)를 닫을 때 제어신호를 보내는 드로틀 폐쇄제어 신호선(9)을 통하여 상기 구동출력수단(3)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2)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미소시간의 OFF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에 주기적으로 형성하는 마이컴(7)과, 상기 제어신호를 받는 NOT 게이트(101)의 출력에 저항(102)을 통하여 베이스를 접속하고, 제어용 전원과 저항(103)을 통하여 콜렉터를 접속하고, 제어용 전원의 접지에 에미터를 접속한 NPN형 트랜지스터(104)와, 상기 저항의 한쪽 끝단과 콘덴서(106)의 한쪽 끝단을 접속하고, 상기 저항의 다른쪽 끝단을 상기 트랜지스터(104)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콘덴서(106)의 다른쪽 끝단을 제어용 전원의 접지에 접속하고, 저항(105)과 콘덴서(106)의 한쪽 끝단의 접속부에 NOT 게이트(107)의 입력 단자를 각각 접속하고, NOT 게이트(107), (108)를 2개 직렬로 접속하는 회로를 적어도 드로틀 개방제어 신호선(8)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어신호의 OFF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는 경우 NOT 게이트(108)의 출력이 일어나 제어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감시수단(10)과, 상기 NOT 게이트(108)의 출력을 제1의 다이오드(12)를 통하여 게이트에 접속하고, 캐소우드에 제어용 전원의 접지에 접속하고, 또한 제2의 다이오드(112)를 통하여, 상기 드로틀 개방제어신호선(8)에 접속함과 동시에, 제3의 다이오드(113)를 통하여 저항(114)과 애노우드를 접속한 다이리스터(111)와, 제3의 다이오드(113)와 접속된 저항(114)의 한쪽 끝단에 베이스를 접속하고, 드로틀 폐쇄제어신호선(9)과 콜렉터를 접속하고, 저항(17)을 통하여 제어용 전원과 에미터를 접속한 PNP형 트랜지스터(115)와,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115)의 에미터와 베이스를 접속하는 저항(1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신호 감시수단(10)에서의 제어이상신호에 의하여 드로틀 밸브(1)를 닫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2)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출력수단(3)으로 출력하는 드로틀 폐쇄제어신호출력수단(11)을 구비한 자동차용 정속주행장치.
KR1019890701763A 1988-01-27 1989-01-26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KR930005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16075A JP2822381B2 (ja) 1988-01-27 1988-01-27 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信号監視装置並びその装置を用いた自動車用定速走行装置
JP16075 1988-01-27
PCT/JP1989/000071 WO1989007059A1 (en) 1988-01-27 1989-01-26 Constant-speed running device for automobi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317A KR900700317A (ko) 1990-08-13
KR930005054B1 true KR930005054B1 (ko) 1993-06-15

Family

ID=1190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763A KR930005054B1 (ko) 1988-01-27 1989-01-26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09342A (ko)
JP (1) JP2822381B2 (ko)
KR (1) KR930005054B1 (ko)
DE (1) DE3990081C1 (ko)
WO (1) WO19890070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6306A (en) * 1992-10-27 1996-08-1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ultiple processor throttle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7374B2 (ko) * 1973-10-05 1981-11-09
JPS5647374A (en) * 1979-09-21 1981-04-30 Nobumi Nishikawa Shock absorber for saddle of bicycle
JPS57155601A (en) * 1981-03-20 1982-09-25 Nippon Denso Co Ltd Car safety device
JPS5815730A (ja) * 1981-07-21 1983-01-29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速度制御装置
US4522280A (en) * 1982-06-18 1985-06-11 Zemco, Inc. Automatic disengagement device for automotive cruise control system
DE3322074A1 (de) * 1982-07-23 1984-01-2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Notlaufeinrichtung fuer mikrocomputergesteuerte systeme
JPS60148724A (ja) * 1984-01-16 1985-08-06 Toyota Motor Corp 車両用定速走行装置
JPH0811942B2 (ja) * 1984-07-11 1996-0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ンジン制御装置
JPS62160927A (ja) * 1986-01-10 1987-07-1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定速走行装置
JPS62276329A (ja) * 1986-05-23 1987-1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装置
JPS63145136A (ja) * 1986-12-08 1988-06-17 Honda Motor Co Ltd 車輌用定速走行装置の自己診断方法
US4924397A (en) * 1986-12-08 1990-05-08 Honda Giken Kogyo K.K. Vehicle cruise control system
JPH0714707B2 (ja) * 1986-12-10 1995-02-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定速走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90548A (ja) 1989-07-31
DE3990081C1 (ko) 1993-01-21
JP2822381B2 (ja) 1998-11-11
KR900700317A (ko) 1990-08-13
US5109342A (en) 1992-04-28
WO1989007059A1 (en) 198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33712A (ja) 自動車の電子制御絞り弁用監視装置
US5054570A (en) Cruis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JPH05310061A (ja) 定速走行制御装置
KR930005054B1 (ko)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US4924397A (en) Vehicle cruise control system
JP2583534B2 (ja) 車両用定速走行装置
JP2938914B2 (ja) 車速自動制御装置
US5046467A (en) System for setting the throttle flap angl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1989010473A1 (en) Brake stop light circuitry for a vehicle having electronic diesel control
JP2844918B2 (ja)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弁開度制御装置
JP2783855B2 (ja) 車速自動制御装置
JPS6371435A (ja) 自動車の速度制限装置
JP2589314B2 (ja) 車両定速走行装置
JPS6235039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S6136026A (ja) 自動定速走行装置
JPH0313783Y2 (ko)
JPH0747220Y2 (ja) 自動車用自動速度制御装置の安全装置
JPS6235040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H02102834A (ja) 自動車用定速走行装置
JPH0687351A (ja) 定速走行制御装置
JPH01190547A (ja) 自動車用定速走行装置
JPS61229949A (ja) 車両用スロツトル制御装置
JPS6220650A (ja) 車両用アクセル制御装置
JP2889247B2 (ja) 電動駆動定速走行制御装置
JPH02215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