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905Y1 - 넌-오버랩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넌-오버랩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905Y1
KR930003905Y1 KR2019910000403U KR910000403U KR930003905Y1 KR 930003905 Y1 KR930003905 Y1 KR 930003905Y1 KR 2019910000403 U KR2019910000403 U KR 2019910000403U KR 910000403 U KR910000403 U KR 910000403U KR 930003905 Y1 KR930003905 Y1 KR 930003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ivider
gate
clock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852U (ko
Inventor
배윤섭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0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905Y1/ko
Publication of KR920015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8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9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넌-오버램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
제1도는 종래의 넌-오버램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도.
제2도는 종래회로에 따른 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넌-오버램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 회로에 따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분주기 13, 14 : 딜레이
15 : 인버터 16 :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
17 : 앤드게이트 18 : 노아게이트
본 고안은 넌-오버램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시스템 회로에 적당하도록 넌-오버램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넌-오버램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는 제1도에서와 같이 클락신호(CK)가 노아게이트(2)의 일측입력단으로 인가되는 동시에 인버터(1)를 통해 노아게이트(3)의 다른 일측입력단으로 인가되며 노아게이트(2)의 출력단에는 클락펄스(Φ1)가 출력도어 노아게이트(3)의 다른 일측단으로 인가되며, 노아게이트(3)의 출력단에는 클락펄스(Φ2)가 출력되어 노아게이트(2)의 나머지 일측입력단으로 인가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상태를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락입력단으로 제2도의 클락파형(CK)을 입력하면 노아게이트(2, 3)을 통해 출력Φ1과 Φ2가 출력된다.
즉 클락파형(CK)이 ‘하이’에서 ’로우’로 될 경우에 노아게이트(3)의 출력(Φ2)가 클락입력에 의해 ‘로우’로 되고 이 값에 의해 노아게이트(2)의 출력(Φ1)이 ‘로우’에서 ‘하이’로 변하게 된다.
노아게이트(2)의 출력의 ‘하이’로 되는 구간의 시작은 노아게이트(3)의 출력이 ‘로우’가 되는 시점에 의존하게 된다. 그리고 클락펄스(CK)가 ‘로우’에서 ‘하이’로 변하게 되면 노아게이트(2)의 출력(Φ1)이 ‘하이’에서 ‘로우’로 되고 이 노아게이트(2)의 출력(Φ1)에 노아게이트(3)의 출력(Φ2)이 ‘하이’로 된다. 이때 넌-오버랩핑되는 영역(T)은 노아게이트(2) (3)의 딜레이 타임구간이다.
즉 종래에는 노아게이트(2, 3)의 출력파형(Φ1, Φ2)의 넌-오버랩핑되는 구간은 노아게이트(2, 3)의 딜레이타임에 의존하게 되므로 넌-오버랩핑 폭을 조절할 수 없었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에서 그 구성을 보면, 클락펄스(CK)는 분주기(11)의 클락입력단과 앤드게이트(17)의 입력단 및 노아게이트(18)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동시에 인버터(15)를 통해 분주기(12)의 클럭단으로 인가되고 분주기(11, 12)의 클리어단자에는 CD(Clear Direc)신호가 인가되며 분주기(11)의 출력은 분주기(12)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동시에 딜레이(13)를 통해 익스클루시부 오아게이트(16)의 일측입력단으로 인가되고 분주기(11)의 반전출력은 분주기(11)의 입력으로 인가되며 분주기(12)의 출력은 딜레이(14)를 거쳐 익스클루시부 오아게이트(16)의 다른 일측 입력단으로 인가되며 익스클루시부 오아게이트(16)의 출력은 앤드게이트(17)의 입력단 및 노아게이트(18)의 입력단으로 인가되고 앤드게이트(17)와 노아게이트(18)의 출력단에서 출력파형(Φ1, Φ2)을 얻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로에서 딜레이(13, 14)는 넌-오버램핑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된 것인데 (13, 14)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는 분주기(11, 12)의 딜레이타임+익스클루시부 오아게이트(18)의 딜레이타임이 넌-오버램핑의 폭이 된다.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클락(CK)이 분주기(11)의 클락입력단으로 인가되면 분주기(11)는 입력클럭을 2분주하여 제4도 ‘A’와 같은 파형을 얻게 된다. 이때 딜레이(13)를 사용하여 분주기(11)의 출력을 딜레이시켜서(제4도 ‘A’의 점선파형) 넌-오버램핑(Non-Overlapping)영역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분주기(12)는 분주기(11)를 통해 2분주된 클럭(CK)을 1/2클럭뒤에 래치하여 제4도 ‘B’와 같은 파형을 출력한다.
여기서도 딜레이(14)를 사용하여 분주기(12)의 출력을 딜레이시켜서(제4도 ‘B’의 점선파형) 넌-오버램핑의 영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16)는 제4도의 ‘A’파형과 ‘B’파형을 익스클루시브 오아하여 제4도의 ‘C’와 같은 파형을 출력한다.
앤드게이트(17)는 제4도 ‘C’파형과 클락(CK)을 앤드하여 제4도의 Φ1의 출력을 발생시키고 노아게이트(18)는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16)의 출력 즉 제4도 ‘C’파형과 클락을 노아하여 제4도의 Φ2의 출력을 발생시킨다.
본 고안에서는 클럭Φ1과 Φ2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써 넌-오버랩핑 폭을 Φ1과 Φ2가 다르게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넌-오러랩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는 클럭Φ1가 Φ2가 독립적으로 넌-오버랩핑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넌-오버랩핑 2-위상 클럭발생회로를 이용하여 저전력 시스템을 위한 클럭 발생회로로 사용가능하다.

Claims (1)

  1. 넌-오버랩핑 2-위상 클럭발생회로를 구성함에 있어서, 클락신호(CK)를 입력받아 2분주하는 분주기(11)와, 상기 분주기(11)의 출력을 1/2클럭뒤에 래치하는 분주기(12)와, 상기 분주기(11)의 출력을 입력받아 딜레이시키는 딜레이(13)와, 상기 분주기(12)의 출력을 입력받아 딜레이시키는 (14)와, 상기 딜레이(13, 14)의 출력을 입력받아 익스쿨루시브 오아하는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16)와, 상기 익스클루시부 오아게이트(16)의 출력과 클락신호(CK)를 앤드하여 출력파형(Φ1)을 발생하는 앤드게이트(17)와, 상기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16)의 출력과 클락신호(CK)를 입력받아 노아하여 출력파형(Φ2)을 발생하는 노아게이트(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넌-오버랩핑 2-위상 클럭발생회로.
KR2019910000403U 1991-01-12 1991-01-12 넌-오버랩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 KR930003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403U KR930003905Y1 (ko) 1991-01-12 1991-01-12 넌-오버랩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403U KR930003905Y1 (ko) 1991-01-12 1991-01-12 넌-오버랩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852U KR920015852U (ko) 1992-08-17
KR930003905Y1 true KR930003905Y1 (ko) 1993-06-25

Family

ID=19309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403U KR930003905Y1 (ko) 1991-01-12 1991-01-12 넌-오버랩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9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852U (ko) 199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597B1 (ko) 내부클럭신호발생회로
US6501816B1 (en) Fully programmable multimodulus prescaler
KR870010688A (ko) 잡음펄스 억제회로
KR930003905Y1 (ko) 넌-오버랩핑 2-위상 클럭 발생회로
JP2678115B2 (ja) タイマ回路
US3935475A (en) Two-phase MOS synchronizer
KR0141711B1 (ko) 상승/하강 에지 검출장치
JPS5997222A (ja) クロツクパルス発生回路
KR950010541Y1 (ko) 펄스발생회로
JP2592522B2 (ja) Pn符号の位相変調回路
KR940000643Y1 (ko) 플립플롭 회로를 이용한 동기펄스 발생회로
KR100566297B1 (ko) 클럭 분주 회로
KR940003771Y1 (ko) 글리치 방지용 동기회로
KR930004310Y1 (ko) 기수 주파수 분주회로
KR100206888B1 (ko) 마스크롬의 내부제어신호 발생회로
JP2689539B2 (ja) 分周器
KR930008659B1 (ko) 초기값을 갖는 리플 카운터
KR950002063Y1 (ko) 광역 데이타 클럭 동기회로
KR930004892Y1 (ko) 래치 장치
JPH05129913A (ja) 位相比較回路
US200200508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eliminating time delay of an inverted signal
KR19990050431A (ko) 출력파형의 듀티 비가 1:1인 5분주회로
KR0145620B1 (ko) 가변 분주 회로
JPH04261212A (ja) ノイズ除去回路
JPH01251916A (ja) 多相パルス発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