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680Y1 - 스크루우 그로밋 - Google Patents

스크루우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680Y1
KR930000680Y1 KR2019870003923U KR870003923U KR930000680Y1 KR 930000680 Y1 KR930000680 Y1 KR 930000680Y1 KR 2019870003923 U KR2019870003923 U KR 2019870003923U KR 870003923 U KR870003923 U KR 870003923U KR 930000680 Y1 KR930000680 Y1 KR 930000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ole
mounting
grommet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8184U (ko
Inventor
세이이찌 사또오
Original Assignee
가또오 하쯔죠오 가부시끼가이샤
가또오 가즈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또오 하쯔죠오 가부시끼가이샤, 가또오 가즈히꼬 filed Critical 가또오 하쯔죠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870003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680Y1/ko
Publication of KR880018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81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6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크루우 그로밋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제1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스크루우 그로밋의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결합되었을때의 모양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4도는 종래의 스크루우 그로밋의 사시도.
제5도는 그의 결합되었을때의 설명도.
제6도는 다른 스크루우 그로밋의 종래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스크루우 그로밋(gromet) 31 : 두부 플랜지
32 : 고정부 33 : 탄성걸림편
34 : 탄성각편 38 : 피설치부재
39 : 설치구멍 41 : 체결나사
42 : 나사구멍 43 : 저판
44 : 설치부재 45 : 설치구멍
본 고안은 피설치부재에 설치부재를 나사 고정하기 위한 스크루우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차체 패널 등의 피설치부재에 트림부재 등의 설치부재를 고정할때에 피설치부재에 미리 형성된 설치구멍에 스크루우 그로밋을 끼워 맞추고, 그 위에서 설치부재를 통해서 체결나사를 스크루우 그로밋의 나사구멍에 나사 맞춤함으로써, 이 나사로 설치부재를 고정하는 방법이 종래부터 행하여지고 있다.
제4, 5도는 이러한 종래의 스크루우 그로밋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실공소 54-2283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종래예에 관한 스크루우 그로밋으로는 두부(1)의 하면에서 수설되는 다각형 단면의 각부(2)에 홈(4, 4)이 설치되어, 이 홈내부에 각부(2) 본체에서 걸어맞춤편(5)이 파생, 돌출되어 있어 이 걸어맞춤편(5)의 탄성을 이용해서 설치구멍(a)에 걸어맞춤 클릭부(5')가 발출방지적으로 걸리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스크루우 그로밋에 있어서는 나사의 나사 결합구멍(3)은 체결나사(6)의 지름에 맞춘 원통상의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루우 그로밋을 피설치 부재로서의 패널(A)의 설치구멍(a)에 끼워 맞추고, 설치부재로서의 패널(b)을 그로밋상에 얹어 놓아서, 이 패널(B)에 미리 설치된 설치구멍(b)의 바깥쪽에서 나사(6)를 나사 결합구멍(3)에 향해서 나사결합할때, 설치구멍(b)의 형성위치가 맞붙이기 오차 등에 의해 나사 결합구멍(3)에 위치어긋남이 생겼을 경우에는, 이 나사 결합구멍(3)에 오차를 흡수할 수 있는 클리어런스가 없기 때문에 체결나사(6)의 설치가 곤란하게 되든지, 혹은 연직방향에서 경사진 상태로 나사(6)가 설치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제6도는 스크루우 그로밋의 다른 종래예를 도시한 것으로 실개소 59-98111호에 있어서 개시되어 있다.
본 종래예에 관한 그로밋(10)으로는 동부(14)에서 내어 붙인 한쌍의 걸림부(16)외에, 이 걸림부(16)가 설치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향해서 한쌍의 탄성아암(18)이 동부(14)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종래예에서는 피설치부재에 설치된 긴 구멍(24)에 그로밋(10)을 끼워 맞출때에는 상기 걸림부(16) 및 탄성아암(18)의 작용에 의해, 긴구멍(24)에 대해서 그로밋(10) 자체는 소정의 중심위치에 부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그로밋(10)에 있어서도 나사구멍(20)은 나사(28)와 대략 동일한 직경의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설치부재에 설치된 설치구멍과 나사구멍(20)이 위치어긋남이 생겼을 경우에는, 상기 종래예와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개발된 것이고, 피설치부재의 설치구멍에 대한 그로밋의 설치위치의 조정기능외에, 설치부재의 설치구멍과 나사구멍과의 사이의 오차 흡수기능도 가지는 스크루우 그로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탄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서는 피설치부재에 형성된 설치구멍의 상면주연에 맞닿은 두부 플랜지와, 상기 설치구멍에 끼워넣는 고정부를 가지며, 이 고정부에는 상기 설치구멍의 제1방향의 양 개구연에 탄성적으로 걸어채우는 한쌍의 탄성 걸림편과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상기 설치구멍의 양 개구연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서 이 제2방향의 설치 위치의 위치 결정을 하는 한쌍의 탄성각편이 설치되고, 상기 두부 플랜지에는 체결 나사의 끼워넣는 나사구멍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스크루우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나사구멍은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중 한쪽의 방향에 긴구멍 형상을 이루고, 또한 다른쪽의 방향에 관해서, 나사구멍 상부는 상기 체결나사의 지름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형성됨과 동시에, 나사구멍 하부는 체결 나사의 지름과 같든가 또한 약간 작은 치수로 형성되고, 또한 나사구멍 하단에는 소정두께의 저판이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스크루우 그로밋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본 실시예에 관한 스크루우 그로밋(30)은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두부플랜지(31)와 이 플랜지(31)의 하면에서 일체로 뻗어 설치된 고정부(32)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32)에는 본실시예에서는 제1방향(제1도중X 방향)의 양면측에 탄성걸림편(33)이, 또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제1도중 Y 방향)의 양측면에 탄성 각편(3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탄성걸림편(33)은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32)에 형성된 공동(35)에 대해서 상단히 자유단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의 경사확대부(36)가 차체패널 등의 피설치부재(38)에 설치된 설치구멍(39)에 끼워 넣을때의 가이드로 되고, 그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출부(37)가 설치구멍(39)의 개구단 내연에 걸어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탄성각편(34)은 제1도 및 제3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고정부(32) 본체에서 닻형으로 돌출형성되고, 그의 상단에 설치된 걸어맞춤 클릭(40)이, 상기 설치구멍(39)중 상기 걸림돌출부(37)가 걸어맞추어지는 개구단 내연과 직교하는 부분의 개구단 내연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두부플랜지(31)의 상면에는 체결나사(41)의 끼워 넣는 나사구멍(42)의 상단이 개구되어 있다.
이 나사구멍(42)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방향(Y 방향)에 긴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과 같이 체결나사(41)는 맞붙일때에 이 제2방향에 소정치수만큼 슬라이드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나사구멍(42)은 제1방향(X 방향)에 관해서 그의 상부(42a)가 체결나사(41)의 지름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형성되고, 체결나사(41)가 삽입되었을 경우에 양측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하부(42b)는 제1 방향에 관해서 체결나사(41)의 지름과 같든가, 혹은 약간 작은 폭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나사구멍(42)의 하단은 소정두께의 저판(43)에 의해 폐쇄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스크루우 그로밋(10)의 사용에 있어서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피설치부재(38)에 형성된 설치구멍(39)에 고정부(32)를 끼워 넣으면 상기 제1방향에서는 한 쌍의 탄성걸림편(33)이 탄성 변형해서 설치구멍(39)내에 압입되어, 걸림 돌출부(37)가 이 제1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구멍(39)의 양 개구단 내연에 걸어 맞추어진다.
또, 상기 제2방향에서는 한 쌍의 탄성각편(34)이 이 제2방향에 있어서 설치구멍(39)의 양 개구단에 의해 각각 고정부 본체측에 탄성 변형하면서 끼워지고 각 걸어맞춤 클릭(40)이 개구단 내연에 걸어맞추어지므로써 발출방지적으로 고정된다.
그 위에, 양 탄성각편(34)은 양 개구단에서의 각각의 반력이 같게 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설치구멍(39)의 고정부(32)가 끼워질때에 제2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이 있어도 최종적으로는 마치 설치구멍(39)의 중앙위치에 그로밋(10)이 고정되어 있다는 조정기능을 가진다.
다음에 그로밋(10)상에 트림부재 등의 설치부재(44)를 설치하고, 이 설치부재(44)에 형성된 설치구멍(45)에서 스크루우 그로밋(10)의 나사구멍(42)에 체결나사(41)를 나사결합할 때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구멍(42)이 제2방향으로 긴구멍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방향에 있어서의 맞붙이기 오차 등은 충분히 흡수 할수가 있다.
또, 제1방향에 있어서도 나사구멍(42)은 체결나사(41)의 지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나사구멍에 나사결합과 동시에 그로밋이 팽출해서 이 시점에서 나사가 구속되어버려, 위치의 조정이 불가능하게 될뿐만 아니라 체결나사(41)는 나사구멍(42)의 하부(42b)에 달해서 이 하부(42b) 및 저판(43)에 비틀어 넣어지므로써 비로소 구속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2도에 있어서 나사구멍(42)의 상방의 C 치수의 구간에서는 체결나사(41)는 비구속상태에 있고, 하방의 D 치수의 구간에 달해서, 나사체결때의 파괴토오크가 확보되도록 되어 있고, 나사구멍(42)에 대한 체결나사(41)의 물림량이 적어지는 저판(43)을 설치함으로서 보강하고, 충분한 파괴토오크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그로밋(10)의 고정부(32)가 피설치부재(38)의 설치구멍(39)에 대해서 치수조정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나사구멍(42)이 체결나사(41)에 대해서 오차흡수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맞붙일때의 오차에 의해 나사의 나사결합이 곤란하게 되든지, 혹은 경사된 상태로 죄어 넣어진다는 문제를 해소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구멍(42)을 제2방향에 대해서 긴구멍형상으로 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역으로 상기 제1방향에 대해서 긴구멍형상으로 하고, 제2방향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에 대해서 클리어런스를 확보하도록 하여도 좋은 등,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예가 가능하다고 하는 것을 말할 필요도 없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로밋 자체가 피설치부재의 설치구멍에 대한 설치위치의 조정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나사구멍이 설치부재의 설치구멍 및 여기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에 대해서 치수오차를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극히 작업성이 양호하고, 그 위에 확실하게 정확한 설치위치에 설치 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피설치부재에 형성된 설치구멍의 상면주연에 맞닿는 두부플랜지와, 상기 설치구멍에 끼워 넣는 고정부를 가지고 이 고정부에는 상기 설치구멍의 제1방향의 양 개구연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추는 한 쌍의 탄성걸림편과,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서 상기 설치구멍의 양 개구연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서 이 제2방향의 설치위치의 위치결정을 하는 한쌍의 탄성각편이 설치되고, 싱기 두부플랜지에는 체결나사의 끼워 넣는 나사구멍이 설치되어서 이루어진 스크루우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나사구멍은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중 한쪽의 방향에 긴구멍형상을 이루고, 또한 다른쪽 방향에 있어서, 나사구멍 상부는 상기 체결나사의 지름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형성됨과 동시에, 나사구멍 하부는 체결나사의 지름과 같든가, 혹은 약간 작은 치수로 형성되고, 또한 나사구멍 하단에는 소정두께의 저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우 그로밋.
KR2019870003923U 1987-03-26 1987-03-26 스크루우 그로밋 KR930000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923U KR930000680Y1 (ko) 1987-03-26 1987-03-26 스크루우 그로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923U KR930000680Y1 (ko) 1987-03-26 1987-03-26 스크루우 그로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184U KR880018184U (ko) 1988-10-28
KR930000680Y1 true KR930000680Y1 (ko) 1993-02-19

Family

ID=1926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923U KR930000680Y1 (ko) 1987-03-26 1987-03-26 스크루우 그로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6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184U (ko) 198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8735Y2 (ja) 部品の締結構造
JP2002036873A (ja) サンバイザーホルダー
KR930000680Y1 (ko) 스크루우 그로밋
JPH0949547A (ja) 防振クリップ
JPS5919640Y2 (ja) モ−ルデイングの固定構造
KR920007222Y1 (ko) 스쿠루우그로밋
JP4509009B2 (ja) オイルフィルタの取付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クリップ
JP2593725Y2 (ja) ドアベルトモール用クリップ
JP2604678Y2 (ja) グロメット
JPS632653Y2 (ko)
JPH0542254Y2 (ko)
JP2574033Y2 (ja) クリップ
JPH0538241Y2 (ko)
JP2556707Y2 (ja) モール用リテーナ
JPH0542255Y2 (ko)
JP2571851Y2 (ja) スクリューグロメット
JPS58185885A (ja) ウインドウパネルとレギユレ−タとの連結部構造
JP2556066Y2 (ja) 部品の組付け装置
JPH04101006U (ja) スクリユーグロメツト
JPS5841371Y2 (ja) U字状ナツトの位置決め構造
KR920007875Y1 (ko) 전자렌지용 모터보빈의 터미널 고정구조
JP2581547Y2 (ja) 留め具と被組付部品との取付け構造
JPS5829852Y2 (ja) ダウンライトソケツト取付構造
JPH034705B2 (ko)
JP2578216Y2 (ja) スプリングナ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