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557B1 - 카드형 기록매체 및 그 부정사용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카드형 기록매체 및 그 부정사용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557B1
KR930000557B1 KR1019900016517A KR900016517A KR930000557B1 KR 930000557 B1 KR930000557 B1 KR 930000557B1 KR 1019900016517 A KR1019900016517 A KR 1019900016517A KR 900016517 A KR900016517 A KR 900016517A KR 930000557 B1 KR930000557 B1 KR 93000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block
recording medium
ink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466A (ko
Inventor
겐조 요시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닛본곤락스
오까다 마사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닛본곤락스, 오까다 마사하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닛본곤락스
Publication of KR910009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06K19/1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the marking being sensed by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by passive credit-cards adapted therefor, e.g. constructive particularities to avoid counterfeiting, e.g. by inclusion of a physical or chemical security-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3/00Printed matter
    • Y10S283/904Credit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드형 기록매체 및 그 부정사용 방지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카드형 기록매체의 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카드에 사용하는 2종류의 잉크 A,B의 반사특성의 일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3도는 제1도의 카드의 블럭배열로 적외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수광하고 수광레벨을 검지하는 광학식 검지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검지시스템에 의해 제1도의 카드의 블럭배열에서 얻어지는 검지신호의 전형예를 도시한 도면.
제5도 내지 제8도는 제1도의 카드의 블럭배열을 위조 또는 개찬한 경우에 얻어지는 검지신호의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카드정보의 리드/라이트 시스템의 일예의 개략을 도시한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드 B1~Bn : 블럭
2 : 자기스트라이프 3 : 적외광원
4 : 광학계 5 : 수광소자
6 : 펀치홀 10 : CPU(중앙처리부)
11 : 카드반송용모터 12 : 자기센서
14 : 비교기 15 : 판정회로
본 발명은 프리페이드카드 또는 신분증명카드 또는 은행카드등 그 이외의 각종 형의 카드형 기록매체에 사용할 수 있는 카드형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드상의 여러블럭을 블럭단위로 파괴하는 것에 의해 바라는 정보를 기록하는 것과 같은 형의 카드형 기록매체에서 파괴된 블럭을 개찬하는 것에 의한 부정사용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한 것에 관한 것이다.
지폐 또는 증권류의 표면모양 패턴을 광학적으로 검지하는 방법 또는 장치는 이미 여러 가지로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평성 1-23828호에서는 자기잉크와 컬러잉크의 가시광과 적외광에 대한 흡수도(또는 투과율)의 차이에 착안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지폐등의 광학적 식별을 실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51-84695호에서도 같은 원리의 지폐등의 광학적 식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프리페이드 카드와 같은 카드형 기록매체에서 적외광과 같은 불가시광을 정보의 리드 또는 카드식별에 이용하는 것도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62-4756호에서는 ID 카드나 신용거래카드에서 소유자의 성명과 같은 고유데이타를 천공에 의해 기록하는 경우, 데이타 구멍과 함께 의사구멍을 마련하고 이들의 구멍을 적외광 투과소자와 불투과소자로 바라는 고유데이타를 나타내는 패턴으로 매입하고, 적외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이 고유데이타를 리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56-13341호에서는 바코드패턴을 불가시광에 반응하는 잉크로 인쇄하고, 가시광에 의해서는 외관상 패턴을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잇다. 또,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소52-45279호에서는 은행 예금등에 사용되는 조합 카드의 서명을 불가시광 잉크로 기록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64-87395호에서는 카드형 기록매체의 자기기록층위에 적외선 반응패턴을 마련하여 카드진위의 판별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58-171995호에서는 바코드 기록마권등에서 바코드패턴을 적외광에 반응하는 잉크로 인쇄하고, 가시광에 의해서는 외관상 패턴을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61-136188호에서는 자기카드에서 자기 기록부와는 별도로 불가시광 식별성 기록부를 갖고, 자기기록부에는 변수데이타와 보안데이타를 기록하고, 불가시광 식별성 기록부에는 카드 고유의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프리페이드 카드와 같은 카드형 기록매체에서 카드의 소정의 영역에 사용량에 따른 천공을 실행하고, 사용량 즉, 사용잔량을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한 것도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63-263602호에서는 프리페이드 카드와 같은 자기카드에서 자기기록부와는 별도로 펀치홀 기록부를 갖고, 사용상황을 자기기록함과 동시에 펀치홀로 기록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소62-203290호에서는 프리페이드 카드에서 펀치홀 기록부를 자기기록매체로 형성하고, 광학적이 아니라 자기적으로 구멍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에 의해 펀치홀을 테이프 등으로 막는 등의 개찬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64-21695호에서는 프리페이드 카드에서 펀치홀기록부를 자기기록매체로 형성하고 사용정보를 미리 자기기록하여 두고, 사용량에 따른 펀치홀에 의한 자기기록매체 블럭의 파괴에 의해 사용량 즉, 사용잔량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 및 자기적 리드의 양이 실행되도록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64-17774호에서는 프리페이드 카드에서 펀치홀기록부를 형광체로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여러 가지의 종래 기술중 천공등의 파괴수단에 의해 어떤 정보를 카드에 기록하는 것에 있어서는 구멍을 테이프 또는 도료등으로 메우는 것으로 카드의 정보를 개찬한다는 부정사용이 실행되고 있는 것이 중대한 문제로 되어 있다. 이 부정사용에 대처하기 위해 상기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64-17774호에서는 펀치홀 기록부를 형광체로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단순히 그것만으로는 부정사용자가 동질의 형광체 도료로 카드의 구멍을 메운경우는 부정사용을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카드형 기록매체에서 적외광과 같은 불가시광을 고유정보의 리드에 이용하는 것 이외의 상기 종래 기술에서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다.
또, 펀치홀등의 파괴수단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형의 종래의 카드에서는 펀치홀의 유무에 따른 1종류의 정보밖에 기록할 수 없었으므로, 기록이 가능한 정보량에 제한이 있었다. 또, 카드 그 자체의 위조 대책도 충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점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카드상의 여러블럭을 블럭단위로 파괴하는 것에 의해 바라는 정보를 기록하는 곳과 같은 형의 카드형 기록매체에서 2종류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기록이 가능한 정보량을 증대할 수 있도록한 카드형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와 같은 2종류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카드의 위조나 파괴된 블럭을 개찬하는 것 등에 의한 부정사용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한 카드형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와 같은 카드형 기록매체의 부정사용 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카드형 기록매체는 통상, 가시적으로는 같은 색이지만, 소정의 조건에 의해 광학적으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종류의 잉크를 임의의 패턴으로 여러 블럭에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여러블럭을 1블럭 단위로 파괴하는 것에 의해 이 블럭 파괴 상태에 따른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카드형 기록매체의 부정사용 방지방법은 상기 카드형 기록매체가 투입되었을 때 다음과 같은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소정의 조건에 따라 광빔을 상기 각 블럭으로 조사하고, 그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수광하고, 상기 블럭마다의 상기 특성에 따른 검지신호를 얻는 제1의 스텝, 상기 잉크의 종류마다 상기 블럭의 파괴의 유무에 대응하는 기준레벨을 각각 준비하고, 그들의 기준레벨과 상기 검지신호를 비교하는 제2의 스텝, 상기 제2의 스텝의 비교결과에 따라 각 블럭에 배치된 잉크의 종류와 그 파괴의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된 각 블럭의 잉크 종류의 패턴이 상기 소정의 패턴에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조합하는 제3의 스텝을 실행하고, 상기 제3의 스텝에서 상기 소정의 패턴에 일치한다는 조합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던 상기 카드형 기록매체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카드형 기록매체의 부정사용방지 방법은 상술과 같은 카드형 기록매체에서 자성기록 매체로 되는 기록영역을 또 마련하게 되고, 상기 카드형 기록매체가 투입되었을 때 다음과 같은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카드의 사용에 따라 상기 여러블럭을 1블럭 단위로 파괴하는 것으로 이 블럭 파괴상태에 따라 사용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자성기록매체로 되는 기록영역에 상기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제1의 스텝, 상기 자성기록매체로 되는 기록영역에 기록된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리드하는 제2의 스텝, 상기 소정의 조건에 따라 광빔을 상기 각 블럭으로 조사하고, 그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수광하고, 상기 블럭마다 상기 특성에 따른 검지신호를 얻는 제3의 스텝, 상기 잉크의 종류마다 상기 블럭 파괴의 유무에 대응하는 기준레벨을 각각 준비하고, 이들 기준레벨과 상기 검지신호를 비교하는 제4의 스텝, 상기 제4의 스텝의 비교결과에 따라 각 블럭에 배치된 잉크의 종류와 그 파괴의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된 각 블럭의 잉크 종류의 패턴이 상기 소정의 패턴에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조합함과 동시에 블럭 파괴 상태에 따라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얻는 제5의 스텝, 상기 제5의 스텝에서 상기 소정의 패턴에 일치한다는 조합결과가 얻어지고, 또한 상기 제2의 스텝에서 얻은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5의 스텝에서 얻은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가 일치된 경우, 상기 카드의 사용을 허가하는 제6의 스텝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형 기록매체에서 통상, 가시적으로는 같은 색이지만 소정의 조건에 의해 광학적으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 종류의 잉크를 임의의 패턴으로 여러 블럭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한 특징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여러 종류의 잉크의 배열 패턴에 의해 제1의 정보를 기록할 수가 있고, 또 상기 여러 블럭을 1블럭 단위로 파괴하는 것에 의해 이 블럭 파괴상태에 따른 제2의 정보를 기록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잉크의 일예로서, 가시적으로는 같은 색이지만, 불가시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서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잉크를 사용한다. 예를들면, 적외광에 대하여 반응하는 잉크와 반응하지 않는 잉크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또, 다른 예로서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되는 잉크를 사용해도 좋다.
위조에 의한 부정사용의 방지를 위해서는 상기 여러 종류의 잉크의 배열 패턴은 이 카드형 기록매체가 올바른 것을 나타내는 조합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종류의 잉크는 가시적으로는 같은 색이므로, 어느 블럭에 어떤 종류의 잉크를 사용하고 있는가를 가시적으로는 분별할 수 없어 이 잉크 배열 패턴을 모방하여 카드를 위조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블럭 파괴 상태에 따른 정보의 개찬에 관해서도 여러 종류의 잉크는 가시적으로 같은 색이므로, 어느 블럭에 어떤 종류의 잉크를 사용하고 있는가를 가시적으로는 분별할 수 없어 이 잉크 배열 패턴과 같은 잉크를 사용하여 파괴 블럭을 수정하는(예를들면, 구멍을 메운다)것이 곤란하여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예를들면, 이 블럭 파괴로 기록하는 정보는 이 카드형 기록매체의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변수정보라도 좋다. 또, 사용 목적에 의해서 이 정보는 이 카드형 기록매체의 사용자명등을 나타내는 고유정보라도 좋다.
상술과 같은 카드형 기록매체의 구체적인 부정사용방지 방법에 의하면 제1의 스텝에서 소정의 조건에 따라 광빔(예를들면, 소정의 불가시 파장영역의 광빔)을 상기 각 블럭으로 조사하고, 그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수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블럭마다의 상기 특성에 따른 검지신호가 얻어진다. 제2의 스텝에서 상기 잉크의 종류마다 상기 블럭 파괴의 유무에 대응하는 기준레벨을 각각 준비하고 이들의 기준레벨과 상기 검지신호가 비교된다.
예를들면, 잉크 A, B의 2종류라고 하면, A 잉크에 관한 파괴 없음의 기준레벨 Vrefa, 파괴 있음의 기준레벨 Vrefa'와 B 잉크에 관한 파괴 없음의 기준레벨 Verfb, 파괴 있음의 기준레벨 Vrefb'를 각각 미리 준비하는 것이다. 상기 소정의 조건에서 각각의 잉크의 광학적 특성이 다르므로, 파괴가 없을 때의 이들의 기준레벨 Vrefa, Verfb는 각 잉크마다 다르다. 또, 파괴가 없을 때와 파괴가 있을 때는 해당 블럭에서 각각의 잉크의 잔존량이 다르므로, 각각의 기준레벨 Verfa, Vrefa', Vrefb, Vrefb'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이들의 기준레벨과 상기 검지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비교결과에 따라 각 블럭에 배치된 잉크의 종류와 그 파괴의 유무를 판정할 수가 있다.
그래서, 제3의 스텝에서는 상기 제2의 스텝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각 블럭에 배치된 잉크의 종류와 그 파괴의 유무를 판정하고, 또한 판정된 각 블럭의 잉크 종류의 패턴이 상기 소정의 패턴에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조합한다. 즉, 각 블럭의 잉크 종류는 그 블럭에서의 검지신호의 레벨이 해당 블럭에 배치된 소정의 잉크의 파괴가 없을 때 또는 파괴가 있을 때의 기준레벨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가 아닌가에 의해 판명된다. 이렇게 해서 판명된 각 블럭의 잉크 종류의 패턴이 상기 소정의 패턴에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조합하는 것이다. 또, 파괴의 유무는 해당 블럭에 배치된 소정의 잉크의 파괴가 없을 때 및 파괴가 있을 때의 기준레벨중 어느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가에 의해 판명된다.
이 제3의 스텝에서 상기 소정의 패턴에 일치한다는 조합결과가 얻어진 경우, 해당 카드형 기록매체에는 어떤 개찬이 부가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이 카드형 기록매체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카드형 기록매체의 또 다른 구체적인 부정사용방지 방법에 의하면, 제1의 스텝에서 카드형 기록매체의 자성기록매체로 되는 기록영역에 대해서 자기적으로, 또 상기 여러 블럭의 배열에 대해서는 파괴에 의해 각각 상기 카드의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제2의 스텝에서 자성기록매체로 되는 기록영역에 기록된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리드하고, 제3의 스텝에서 여러 블럭의 배열에 관한 광학적 검지를 실행하여 상기 블럭마다의 상기 특성에 따른 검지신호를 얻는다.
제4 및 제5의 스텝에서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각 기준레벨과 검지신호의 비교에 따라 각 블럭의 잉크의 종류 패턴이 상기 소정의 패턴에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조합함과 동시에 각 블럭의 파괴의 유무도 판정하여 블럭 파괴상태에 따라서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얻는다.
제6의 스텝에서는 상기 제5의 스텝에서 상기 소정의 패턴에 일치한다는 조합결과가 얻어지고, 또한 상기 제2의 스텝에서 얻은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자기적기록에 의한 정보)와 상기 제5의 스텝에서 얻은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블럭단위의 파괴에 의한 정보)가 일치한 경우 상기 카드의 사용을 허가한다.
즉, 이 방법은 프리페이드 카드와 같은 사용량 즉, 사용잔량을 기록하는 형의 카드를 전제로 하고, 상기 소정의 패턴의 일치뿐만 아니라 2가지 기록방법에 의한 사용상황 정보가 일치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카드의 사용을 허가하도록 되어 있어 보다 더 부정사용의 방지를 확실하게 하는 것을 도모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카드형 기록매체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카드(1)은 가시적으로는 같은 색이지만, 불가시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서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 종류의 잉크를 임의의 패턴으로 여러 블럭 B1~Bn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여러 블럭을 1블럭 단위로 파괴하는 것에 의해 이 블럭 파괴 상태에 따른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써, 잉크는 A, B의 2종류로서, 잉크 A는 적외광에 대해서 반사율이 적고, 잉크 B는 적외광에 대해서 반사율이 크다고 한다. 잉크 A, B는 가시적으로는 같은 색이므로 육안으로 양자를 구별할 수 없다. 도면에서 A, B의 부호를 블럭내에 기록하여 잉크 배열 패턴을 예시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 잉크 배열 패턴은 A, B가 교대로 나란히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 예에서 이 잉크 배열 패턴은 상기 카드(1)이 올바른것을 조합하기 위한 조합페턴으로서 이용하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목적에 의해서 각 카드마다 고유의 정보(예를들면, 사용자 정보등)를 이 잉크 배열 패턴으로 표현해도 좋다.
또, 이 예에서 카드(1)은 프리페이드 카드라 하고, 블럭 B1~Bn을 1블럭 단위로 파괴하는 것으로, 이 블럭 파괴 상태에 따라 기록하는 정보는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등의 변수 정보라고 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목적에 의해서는 각 카드마다 고유의 정보(예를들면, 사용자 정보등)라도 지장이 없다. 블럭의 파괴는 통상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필요한 블럭에 패턴 구멍을 뚫는 것에 의해 실행되도록 해도 좋다.
또, 이 예에 있어서 카드(1)은 자성기록매체로 되는 기록영역, 즉 자기스트라이프(2)를 또 구비하고 있다. 이 자기스트라이프(2)에는 상기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변수정보를 기록하는 것으로 하고, 또 주지한 바와 같이 각 카드마다 고유의 정보(예를들면, 사용자 정보등)나 그외의 적당한 정보를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제2도는 잉크 A, B의 반사특성을 예시한 것으로, 실선 a, b가 블럭에 구멍을 뚫고 있지 않은 경우의 각 잉크 A, B에 대응하는 블럭의 반사레벨, 점선 a', b'가 블럭에 구멍을 뚫고 있는 경우의 각 잉크, A, B에 대응하는 블럭의 반사레벨을 나타낸다. 양자 모두 가시광에 대해서는 특성이 그다지 변하지 않지만, 적외광에 대해서는 크게 변화한다.
제3도는 카드(1)의 블럭 B1~Bn의 부분에 적외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수광하고, 수광레벨을 검지하는 광학식 검지시스템의 일예를 측면도로써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적외광원(3)으로 적외광빔을 카드(1)의 블럭 B1~Bn의 부분에 조사하고, 그 난반사광을 광학계(4)에서 집광하여 수광소자(5)로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 경우, 적외광의 반사량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B의 블럭쪽이 A의 블럭보다 크다.
또, 펀치홀(6)이 비어 있는 경우는 수광소자(5)에 의해 수광되는 난반사광량이 감소되어 수광레벨이 그만큼 저하한다. 일반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광학식 검지시스템은 고정되어 있고, 투입된 카드(1) 그 자체가 움직여서 각 블럭 B1~Bn이 순차로 주사되어 그 특성이 순차로 검지된다. 이와 같은 광학식 검지시스템 그 자체는 주지이므로 특별히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제4도는 블럭 B1~Bn에서 얻어지는 검지신호의 전형적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세로축은 검지신호의 레벨, 가로축은 시간으로서, 블럭 B1~Bn에서 차례로 주사된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잉크 A, B의 배열 패턴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 각 블럭의 경계선은 잉크 A, B가 아니라 카드(1)의 매끄러운 표면이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각 블럭의 경계선에서의 반사광 레벨이 최대이지만 이것은 판정에 관계 없다. 실선은 블럭이 파괴되어 있지 않은(즉, 펀치홀이 비어 있지 않음) 경우를 나타내고, 파선은 블럭이 파괴되어 있는(즉, 펀치홀이 비어 있음) 경우를 나타낸다. 제2도의 특성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블럭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경우의 잉크 B에 대응하는 블럭에서의 반사광 레벨이 가장 크고, 다음에 블럭에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경우의 잉크 B에 대응하는 블럭에서의 반사광 레벨이 크고, 다음에 블럭에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경우의 잉크 A에 대응하는 블럭에서의 반사광 레벨, 최후에 블럭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경우의 잉크 A에 대응하는 블럭에서의 반사광 레벨의 순이다.
이와 같이 잉크의 종류마다 블럭의 파괴의 유무에 대응하는 반사광 레벨이 다르다. 그래서, 잉크의 종류마다 블럭의 파괴의 유무에 대응하는 기준레벨 Vrefa, Vrefa', Vrefb, Vrefb'를 각각 준비하고, 이들의 기준레벨과 수광소자(5)에서 얻은 검지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잉크 A, B의 배열 패턴의 조합과 펀치홀의 유무를 판정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Vrefa는 잉크 A에 관한 파괴 없음의 기준레벨, Vrefa'는 파괴 있음의 기준레벨, Vrefb는 잉크 B에 관한 파괴 없음의 기준레벨, Vrefb'는 파괴 있음의 기준레벨로서 각각 Vrefb>Vrefb'>Vrefa>Vrefa'의 관계이다. 예를들면, 판정기준으로서는 검지신호의 레벨 RL이 Vrefb>RL>Vrefb'일 때 파괴 없음의 잉크 B, Vrefb' >RL>Vrefa일 때 파괴 있음의 잉크 B, Vrefa>RL>Vrefa'일 때 파괴 없음의 잉크 A, Vrefa'>RL일 때 파괴 있음의 잉크 A로 판정한다. 판정기준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설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판정기준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비교결과에 따라 각 블럭에 배치된 잉크의 종류와 그 파괴의 유무를 판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판정된 각 블럭에 배치된 잉크의 종류의 패턴이 소정의 잉크 배열 패턴에 일치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조합하는 것으로 투입된 카드(1)의 진위를 판정할 수가 있다.
일예를 도시하면 잉크 A와 대략 같은 잉크로 블럭 B1~Bn을 도포하여 카드를 위조한 경우, 블럭 파괴가 없을 때와 각 블럭의 검지신호 레벨은 제5도와 같게 된다. 즉, 어느 블럭의 검지신호의 레벨 RL도 Vrefa>RL>Vrefa'로 되고, 모든 블럭 B1~Bn에 잉크 A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즉석에서 판명된다.
따라서, 소정의 잉크 배열 패턴에 일치하고 있지 않는 것이 즉석에서 판명되어 투입된 카드(1)은 위조카드로서 이것을 되돌려 보내고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를 나타내면 잉크 B와 대략 같은 잉크로 블럭 B1~Bn을 도포하여 카드를 위조한 경우, 블럭 파괴가 없을 때의 각 블럭의 검지신호 레벨은 제6도와 같이 된다. 즉, 어느 블럭의 검지신호의 레벨 RL도 Vrefb>RL>Vrefb'로 되고, 모든 블럭 B1~Bn에 잉크 B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즉석에서 판명된다.
따라서, 소정의 잉크 배열 패턴에 일치하지 않는 것이 즉석에서 판명되어 투입된 카드(1)은 위조카드로서 이것을 되돌려 보내고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다음에 일단 사용한 것으로 일부의 블럭이 천공된 카드(1)을 개찬하고 블럭의 구멍 메움을 실행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들면, 모든 블럭에 비어 있던 구멍 부분만을 잉크 A로 매립했다고 하면 각 블럭의 검지신호 레벨은 제7도와 같이 된다. 본래의 잉크 A가 배치된 블럭에서는 구멍이 없는 상태로서 검지되지만, 본래의 잉크 B가 배치된 블럭에서는 정상적인 구멍 없음 또는 구멍 있음의 레벨 검지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이상을 검지 할 수 있다. 이것은 즉, 본래의 잉크 B가 배치된 블럭의 구멍부분을 잉크 A로 매입한 경우, 블럭 전면이 잉크 B로 되는 경우와 동등한 반사광 레벨을 얻을 수 없고, 그 보다 낮게 되기 때문이다.
제7도의 예의 경우는 본래의 잉크 B가 배치된 블럭 구멍의 부분을 잉크 A로 매입한 경우, 그 반사광 검지신호 레벨 RL은 Vrefb>RL>Vrefb'로 되지 않고, Vrefb'>RL>Vrefa이다. 따라서, 잉크 B가 배치된 블럭 구멍 없음으로 판정되지 않고 구멍 있음으로 판정되므로 개찬의 효과가 없다. 그런데 이와 같은 예의 경우, 펀치홀의 개찬은 간파할 수 있지만 잉크 배열 패턴 그 자체는 잉크 B가 배치된 블럭에 구멍이 뚫려져 있을때와 같은 패턴으로 되어 잉크 배열 패턴 그 자체의 적합 여부는 목적한 대로 판정할 수 없다. 그러나 구멍의 수정 개판 뿐만 아니라 잉크 배열 패턴의 적합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는 판정의 기준레벨을 적절히 설정하면 가능하다. 또, 통상 구멍의 부분에만 잉크를 도포하는 것은 어려워 주위에도 잉크가 도포된다. 그 경우는 제5도와 같이 전체의 레벨이 낮아져서 잉크 배열 패턴의 판정도 확실히 실행할 수가 있다. 또, 통상 이와 같은 펀치홀에 의한 사용상황 정보 기록 데이타의 개찬은 자기스트라이프 (2)의 사용상황 정보의 기록 데이타의 개찬과 동시에 실행된다. 이 경우는 자기기록의 쪽은 목적한 대로 개찬할 수 있어도 블럭 파괴에 의한 기록의 개찬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목적한 대로 되지 않으므로 양자의 기록이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조합하면 그 불일치가 검출되므로 기록데이타에 개찬이 있던 것을 검출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카드를 되돌리고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또, 예를들면 모든 블럭에 비어 있던 구멍의 부분에만 잉크 B로 매입한다고 하면 각 블럭의 검지신호 레벨은 제8도와 같이 된다. 본래의 잉크 B가 배치된 블럭에서는 구멍이 없는 상태로서 검지되지만, 본래의 잉크가 배치된 블럭에서는 정상적인 구멍 없음 또는 구멍 있음의 레벨 검지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이상을 검지할 수가 있다. 이것은 즉, 본래의 잉크 A가 배치된 블럭의 구멍 부분을 잉크 B로 매입한 경우, 블럭 전면이 잉크 A로 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반사광 레벨을 얻을 수가 없고, 그 보다 높게 되기 때문이다.
제8도의 예의 경우는, 본래의 잉크 A가 배치된 블럭의 구멍 부분을 잉크 B로 매입한 경우, 그 반사광 검지신호 블럭 RL은 Vrefa>RL>Vrefa'로 되지 않고, Vrefb'>RL>Vrefa이다. 따라서, 잉크 A가 배치된 블럭의 구멍 있음 또는 구멍 없음도 판정되지 않고 이상으로서 검출할 수 있으므로 개찬의 효과가 없다. 따라서, 기록 데이타에 개찬이 있었던 것을 검출할 수 있고, 그와 같은 카드를 되돌리고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이상을 정리하면, 먼저 첫째로, 펀치홀 기록용의 블럭 B1~Bn에서의 정보의 리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순서로 카드(1)이 올바른가 아닌가를 판정할 수 있다.
각 기준 레벨 Vrefa, Vrefa', Vrefb, Vrefb'와 반사광 레벨 검지신호를 비교한다.
다음에, 이 비교결과에 따라 각 블럭 B1~Bn에 배치된 잉크의 종류와 그 파괴의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된 각 블럭의 잉크 종류의 패턴이 소정의 패턴에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조합한다.
이 조합에 따라 소정의 패턴에 일치한다는 조합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던 카드 (1)은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위조 카드의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로, 펀치홀 기록용의 블럭 B1~Bn에서 사용상황정보를 기록함과 동시에 자기스트라이프(2)에서도 사용상황정보를 기록하는 경우는 양 정보의 리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순서로 카드(1)의 기록 데이타 개찬을 간파할 수 있다.
각 기준레벨 Vrefa, Vrefa', Vrefb, Vrefb'와 반사광레벨 검지신호를 비교한다.
다음에, 이 비교결과에 따라 각 블럭 B1~Bn에 배치된 잉크의 종류와 그 파괴의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된 각 블럭의 잉크의 종류 패턴이 소정의 패턴에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조합함과 동시에 그 블럭 파괴 상태에 따라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얻는다.
소정의 패턴에 일치한다는 조합결과가 얻어지고, 또한 블럭 파괴상태에 따라 얻은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와 자기기록된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가 일치된 경우 상기 카드(1)의 사용을 허가한다. 그 이외의 경우는 어떤 개찬이 있었던 것으로 간주하고 카드(1)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제9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카드 정보의 리드/라이트 시스템의 일예의 개략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카드(1)이 투입되면 CPU(10)에 제어에 의해 카드 반송용 모터(11)이 정회전되어 카드가 들어간다. 그 과정에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학식 검지 시스템과 자기센서(12)로 상기 카드(1)의 기록정보를 리드한다. 광학식검지 시스템의 수광소자 (5)에서 출력되는 반사광레벨 검지신호는 앰프(13)을 거쳐서 비교기(14)에 입력되고, 각 기준레벨 Vrefa, Vrefa', Vrefb, Vrefb'와 비교된다. 그 비교결과는 판정회로(15)에 입력된다. 한편, 자기센서(12)에서는 투입된 카드(1)의 자기스트라이프 (2)의 기록정보를 리드한다. 리드된 자기기록정보는 앰프(16), 파형추출회로(17)을 거쳐서 판정회로(15)에 부여된다.
판정회로(15)에서는 블럭 B1~Bn의 잉크 배열 패턴의 기준 데이타를 구비하고 있고, 비교기(14)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투입된 카드(1)의 잉크 배열 패턴을 판정하고, 판정된 잉크 배열 패턴이 기준의 잉크 배열 패턴에 일치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잉크 배열 패턴이 적합한가 아닌가에 따라 CPU(10)을 거쳐서 제어신호를 카드반송용모터(11)에 부여한다. 잉크 배열 패턴이 부적합하면 모터(11)을 역회전시켜 카드(1)을 되돌리고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또, 판정회로(15)에서는 비교기(14)에서의 비교결과와 각 블럭 B1~Bn의 잉크 배열 패턴의 기준 데이타에 따라 각 블럭 B1~Bn의 파괴의 유무도 판정하고, 그 블럭 파괴상태에 따라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얻는다. 또, 판정회로(15)에서는 파형추출회로(17)의 출력에 따라 자기스트라이프(2)에 기록된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 및 그 이외의 정보를 리드한다. 그리고, 자기스트라이프(2)에 기록된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와 블럭 파괴 상태에 따른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가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조합한다. 이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가 일치하지 않았던 경우는 카드(1)에 개찬이 있음으로 간주하고 CPU(10)을 거쳐서 제어 신호를 카드반송용 모터(11)에 부여하고 모터(11)을 역회전시켜 카드(1)을 되돌리고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잉크의 배열 패턴이 적합함으로 판정되고, 또한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가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는 소정의 카드 보류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11)의 정회전을 계속하고, 그 보류위치에서 카드(11)을 일시 보류하여 카드의 사용을 허가한다.
카드 사용허가 신호는 사용잔량 정보나 그 이외의 정보와 함께 사용제어회로 (18)에 부여된다. 사용제어회로(18)에서는 이것에 따라 판매등의 소정동작을 개시한다. 판매등의 소정 동작의 종료후는 구동회로(19)를 거쳐서 자기헤드(20) 및 펀치홀 뚫음장치(21)에 신호가 부여되고, 자기스트라이프(2)의 사용상황 정보를 리라이트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블럭에 펀치홀을 뚫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반사광을 이용한 검지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지만, 투과광을 이용한 검지시스템을 사용해도 좋다.
또, 잉크의 배치는 카드 표면에 한정되지 않고, 카드의 중간층이라도 좋다. 그 경우는 투과광을 이용한 검지시스템으로 된다.
또,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 가시적으로는 같은 색이지만, 광학적으로 다른 특성의 잉크로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불가시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해서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것(즉, 온도를 나타내는 도료)이라도 좋다. 즉, 상온에서 가시적으로는 같은 색이지만, 소정의 고온(또는 저온)에서는 색이 변화하는 잉크를, 예를들면 잉크 B로서 사용하고, 잉크 A로서는 온도에 의해서 색이 변화하지 않는 잉크를 사용한다. 그리고, 카드의 정보의 리드장치에 부속해서 가열장치(또는 냉각장치)를 마련하고, 블럭의 파괴의 유무를 검지할 때에 가열(또는 냉각)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형 기록매체에 있어서 통상적으로는 가시적으로 구별할 수 없는 여러종류의 잉크를 임의의 패턴으로 배치했으므로 이 패턴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위조나 기록 데이타의 개찬등의 부정사용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블럭 배열에 있어서 불가시의 잉크배열 패턴에 의한 정보기록과 블럭단위에서의 파괴에 의한 정보기록의 2종류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기록이 가능한 정보량을 증대할 수 있다.

Claims (9)

  1. 통상 가시적으로는 같은 색이지만, 소정의 조건에 의해 광학적으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종류의 잉크를 임의의 패턴으로 여러블럭에 배치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여러블럭을 1블럭단위로 파괴하는 것에 의해 이 블럭파괴상태에 따른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형 기록매체.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카드형 기록매체의 진위가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조합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카드형 기록매체.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는 가시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상기 정보를 볼수 있도록 한 카드형 기록매체.
  4.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카드형 기록매체의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변수정보인 카드형 기록매체.
  5.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자성기록매체로 이루어지는 기록영역을 또 구비하고, 상기 기록영역에 상기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변수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도록 한 카드형 기록매체.
  6.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종류의 잉크는 가시적으로는 같은 색이지만, 불가시파장영역의 광에 대해서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인 카드형 기록매체.
  7.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종류의 잉크는 상온에서 가시적으로는 같은 색이지만, 소정의 온도조건에서 다른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인 카드형 기록매체.
  8. 통상 가식적으로는 같은 색이지만, 소정의 조건에 의해 광학적으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 종류의 잉크를 소정의 패턴으로 여러블럭에 배치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여러블럭을 1블럭단위로 파괴하는 것에 의해 이 블럭파괴상태에 따른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카드형 기록매체의 부정사용 방지방법으로써, 상기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광빔을 상기 각 블럭에 조사하고, 그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수광하고, 상기 블럭마다의 상기 특성에 따른 검지신호를 얻는 제1의 스텝, 상기 잉크의 종류마다 상기 블럭의 파괴의 유무에 대응하는 기준레벨을 각각 준비하고, 이들의 기준레벨과 상기 검지신호를 비교하는 제2의 스텝, 상기 제2의 스텝의 비교결과에 따라 각 블럭에 배치된 잉크의 종류와 그 파괴의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된 각 블럭의 잉크종류 패턴이 상기 소정의 패턴에 일치하는가 하지 않는가를 조합하는 제3의 스텝을 실행하고, 상기 제3의 스텝에서 상기 소정의 패턴에 일치한다고 하는 조합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던 상기 카드형 기록매체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도록 한 카드형 기록매체의 부정사용 방지방법.
  9. 통상 가시적으로는 같은 색이지만, 소정의 조건에 의해 광학적으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종류의 잉크를 소정의 패턴으로 여러블럭에 배치해서 이루어짐과 동시에 자성기록매체로 이루어지는 기록영역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카드형 기록매체의 부정사용 방지방법으로써, 카드의 사용에 따라서 상기 여러블럭을 1블럭단위로 파괴하는 것에 의해 이 블럭파괴상태에 따라서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자성기록매체로 이루어지는 기록영역에 상기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제1의 스텝, 상기 자성기록매체로 이루어지는 기록영역에 기록된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리드하는 제2의 스텝, 상기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광빔을 상기 각 블럭에 조사하고, 그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수광하고, 상기 블럭마다의 상기 특성에 다른 검지신호를 얻는 제3의 스텝, 상기 잉크의 종류마다 상기 블럭의 파괴의 유무에 대응하는 기준레벨을 각각 준비하고, 이들의 기준레벨과 상기 검지신호를 비교하는 제4의 스텝, 상기 제4의 스텝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각 블럭에 배치된 잉크의 종류와 그 파괴의 유무를 판정하고, 그 판정된 각 블럭의 잉크종류 패턴이 상기 소정의 패턴에 일치하는가 하지 않는가를 조합함과 동시에 블럭파괴상태에 따라서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얻는 제5의 스텝, 상기 제5의 스텝에서 상기 소정의 패턴에 일치한다고 하는 조합 결과가 얻어지고 또한 상기 제2의 스텝에서 얻은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5의 스텝에서 얻은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정보가 일치한 경우, 카드의 사용을 허가하는 제6의 스텝을 포함하는 카드형 기록매체의 부정사용 방지방법.
KR1019900016517A 1989-11-02 1990-10-17 카드형 기록매체 및 그 부정사용 방지방법 KR930000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84851 1989-11-02
JP1284851A JPH0776981B2 (ja) 1989-11-02 1989-11-02 カード型記録媒体の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不正使用防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466A KR910009466A (ko) 1991-06-28
KR930000557B1 true KR930000557B1 (ko) 1993-01-25

Family

ID=1768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517A KR930000557B1 (ko) 1989-11-02 1990-10-17 카드형 기록매체 및 그 부정사용 방지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31276A (ko)
EP (1) EP0426093B1 (ko)
JP (1) JPH0776981B2 (ko)
KR (1) KR930000557B1 (ko)
DE (1) DE6902998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2433A (en) * 1989-08-11 1995-08-15 Nhk Spring Co., Ltd. Identification system for an article having individually attached patches
US5308121A (en) * 1992-07-30 1994-05-03 Gunn Robert T Credit/service card with expanded surface area
DE4319555A1 (de) * 1993-06-13 1994-12-15 Tetra Pak Aps Gmbh Markierung in Form von Farbzeichen
US5604640A (en) * 1994-01-31 1997-02-18 Motorola Business card scanner and method of use
US5719948A (en) * 1994-06-24 1998-02-17 Angstrom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fluorescent imaging and optical character reading
US5548106A (en) * 1994-08-30 1996-08-20 Angstrom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data storage articles
FR2725540B1 (fr) * 1994-10-07 1997-01-03 Serpeinesm Sa Procede de personnalisation en serie de cartes
US6241152B1 (en) * 1997-11-14 2001-06-05 Kabushiki Kaisha Toshiba Car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DE19860093B4 (de) * 1998-12-23 2008-10-09 Giesecke & Devrient Gmbh Echtheitsmerkmalskombination für Wertdokumente
JP2000211260A (ja) * 1999-01-21 2000-08-02 Dainippon Printing Co Ltd 退色防止印刷物
US6354502B1 (en) 1999-04-23 2002-03-12 Primera Technology, Inc. Continuous color tone infrared detected barcode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9397B2 (ko) * 1975-01-23 1979-09-22
JPS5245279A (en) * 1975-10-07 1977-04-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Semiconductor device
US4253602A (en) * 1979-07-05 1981-03-03 Federal Paper Board Co., Inc. Tray container with double panel sidewalls
US4711996A (en) * 1981-02-27 1987-12-08 Drexler Technology Corporation Redundant optical recording of information in different formats
JPS58171995A (ja) * 1982-04-01 1983-10-08 日本ト−タ−株式会社 バ−コ−ドを有する投票券
IL66445A (en) * 1982-08-02 1985-07-31 Teletoken 2000 Ltd Optically-readable cards
US4544836A (en) * 1982-12-22 1985-10-01 American District Telegraph Company Optically-based access control system
FR2542472B1 (fr) * 1983-03-11 1985-06-21 Thomson Brandt Carte a lecture optique portant des informations numeriques et systeme de controle d'acces a des informations diffusees utilisant une telle carte
GB8326874D0 (en) * 1983-10-07 1983-11-09 Time & Data Systems Internatio Identification card
US4641017A (en) * 1983-12-15 1987-02-03 Herman Lopata Fraud resistant credit card system
CH662194A5 (de) * 1984-02-14 1987-09-15 Sodeco Compteurs De Genev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pruefen der echtheit von dokumenten.
FR2571663B1 (fr) * 1984-10-11 1987-01-16 Matra Document d'identite difficilement falsifiabl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document
JPS61123056A (ja) * 1984-11-20 1986-06-10 Shinko Electric Co Ltd 磁気カードおよび磁気カードのリード・ライト装置
JPS61136188A (ja) * 1984-12-07 1986-06-24 Dainippon Printing Co Ltd 磁気記録カ−ドおよびそのデ−タ記録方法
EP0190387A2 (de) * 1985-02-07 1986-08-13 MIDS Magnetische Informations- und Datensysteme GmbH Ausweiskarte mit Codierung
FR2577582B1 (fr) * 1985-02-15 1987-11-27 Mouchotte Daniel Procede de protection de documents de securite et documents obtenus selon ce procede.
JPS624756A (ja) * 1985-07-01 1987-01-10 Toyo Ink Mfg Co Ltd 金属缶用塗料
GB2179596A (en) * 1985-09-02 1987-03-11 Harue Sugimoto A visiting card marked with discriminating symbols and a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reading what is printed on said visiting card
JP2565867B2 (ja) * 1986-03-03 1996-12-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カ−ド識別装置
EP0296172B1 (de) * 1986-03-12 1993-12-29 SKIDATA COMPUTER GESELLSCHAFT m.b.H. Fälschungsgesicherter datenträger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bearbeitung und kontrolle des datenträgers
JPS6318490A (ja) * 1986-07-09 1988-01-26 Kosaku Shiono カ−ド及びその処理装置
US4869532A (en) * 1986-10-07 1989-09-26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Print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DE3636921A1 (de) * 1986-10-30 1988-05-05 Interflex Datensyst Faelschungssicherer optoelektrischer code-kartenleser
US4795890A (en) * 1987-02-02 1989-01-03 Light Signatures, Inc.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for on and off line use
JPH083898B2 (ja) * 1987-04-21 1996-01-17 共同印刷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およびその真偽判定方法
DE3733353A1 (de) * 1987-06-17 1988-12-29 Schlafhorst & Co W Fadenreserve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der fadenreserve
JPS6421695A (en) * 1987-07-17 1989-01-25 Shibaura Eng Works Ltd Information recording/rea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ader for prepaid card system
JPS6423828A (en) * 1987-07-20 1989-01-26 Kubota Ltd Combine provided with discharge auger
JPS6480594A (en) * 1987-09-24 1989-03-27 Fujimori Kogyo Co Magnetic recording card
JPH0363168A (ja) * 1989-08-01 1991-03-19 Omron Corp 情報の印刷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466A (ko) 1991-06-28
DE69029989D1 (de) 1997-04-03
EP0426093B1 (en) 1997-02-26
JPH0776981B2 (ja) 1995-08-16
DE69029989T2 (de) 1997-09-11
JPH03147194A (ja) 1991-06-24
US5231276A (en) 1993-07-27
EP0426093A2 (en) 1991-05-08
EP0426093A3 (en) 199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0526A (en) Card type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preventing a false use thereof
US5545883A (en) Magnetic card and card reader apparatus utilizing a pseudo bar code and an address information code
KR930000557B1 (ko) 카드형 기록매체 및 그 부정사용 방지방법
RU2427913C2 (ru) Карта, которая может быть аутентифицирована посредством чипа голограммы
JPH07210071A (ja) 対象物の識別システム
US6560017B1 (en) Compound secure optical identification method and means
JP3223730B2 (ja) 不可視インキによるマークの真偽鑑定方法
EP0412316B1 (en) Authenticity identifying system for information storage cards
JP3292863B2 (ja) 機械読取り方法及び機械読取り装置
US5198646A (en) System for detecting punched holes of magnetic cards
KR20000015454A (ko) 위조 및 변조방지기능을 갖는 정보저장카드의 판독/기록장치
JPH11213109A (ja) カード防犯装置
JP3158861B2 (ja) パタン識別装置及びパタン識別方法
JP2508472B2 (ja) カ−ドの真偽判定方法
KR940011671B1 (ko) 정보 저장 카드용 진정성 확인 시스템
JP2709850B2 (ja) 偽造防止可能なバーコード
JP4011943B2 (ja) 有価証券処理システムと有価証券読み取り装置
JPH045787A (ja) プリペイド・カードとそのパンチ穴検出方法
JP2934300B2 (ja) カード式乗車券精算方法
JP2000194794A (ja) 光学情報読み取り装置及び光記録媒体
JPH083898B2 (ja) 磁気記録媒体およびその真偽判定方法
JPH01278397A (ja) カード、及び前記カードの種類を識別する方法
JP3012892U (ja) プリペイドカード
KR100750367B1 (ko) 위조 방지 정보가 내장된 카드와 카드의 위조 여부를판별하는 장치
JPH052665A (ja) カード処理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