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539Y1 -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539Y1
KR930000539Y1 KR2019900010223U KR900010223U KR930000539Y1 KR 930000539 Y1 KR930000539 Y1 KR 930000539Y1 KR 2019900010223 U KR2019900010223 U KR 2019900010223U KR 900010223 U KR900010223 U KR 900010223U KR 930000539 Y1 KR930000539 Y1 KR 930000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eat belt
belt
stopper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0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란
장태희
Original Assignee
유경란
장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란, 장태희 filed Critical 유경란
Priority to KR2019900010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5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539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안전벨트 조임방지 장치에 대한 요부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안전벨트 조임방지 장치에 대한 단면도로서. 제2a도는 로크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2b도는 로크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전벨트 조임방지 장치의 구성을 일부절결하여 보인 요부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 조임방지 장치의 설치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 조임방지 장치에 대한 단면도로서, 제5a도는 정단면도, 제5b도는 요부 측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벨트조임 방지장치의 구성에 대한 작동결선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벨트조임 방지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로서, 제7a도는 안전벨트 버클을 채운후의 작동 상태도, 제7b도는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채로 몸을 움직였을 경우 벨트가 와인더로부터 풀려나가는 작동상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 조임방지 장치중, 위치 고정디스크를 구속하는 레버의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 제8a도는 측면도, 제8b도는 요부 상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 조임방지 장치중 솔레노이드의 구동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와인더프레임 23 : 피니언기어
24 : 메인기어 24a : 기어스토퍼
25 : 복귀스프링 26 : 위치고정디스크
26a : 디스크스토퍼 27 : 안전벨트
28 : 브레이크 레버 28a : 브레이크슈
29 : 설레노이드 29b : 플란쟈
30 : 버클 31 : 마이크로스위치
32 : 버클홀더 61 : 치차홈
81 : 완충레버 82 : 스토퍼레버
83 : 완충스프링
본 고안은 차략용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에 부착되는 벨트안내고리 설치부에 간단한 잠금 및 풀림구조를 가지는 벨트조임 방지기구를 부설하여, 안전벨트의 착용시 편안한 착용감과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몸을 크게 움직여도 벨트등 고정상태가 풀리지 않게한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차량용 안전벨트중 승용차용 안전벨트의 경우에는 태엽스프링의 감김력에 의해 안전벨트가 말려있게 구성된 와인더를 차량실내의 하단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안전벨트의 일단을 끌어내어 차량 내부 상측에 고정한 안내고리를 통과시켜서 체결용 버클을 통과한 다음 안전벨트의 끝을 좌석옆의 차량바닥에 고정시킨 고정편에 고정시켜서, 안전 벨트를 착용하기 위해 체결용 버클을 잡고당기면 그 힘으로 태엽스프링이 감기면서 벨트는 풀리고, 당겼던 버클을 놓으면 태엽스프링의 풀림력으로 인출된 벨트가 자동적으로 감겨 들어가게 함으로써 안전벨트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고 간결하게 작동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자동 잠금구조틀 가지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안전벨트는 그 취급 사용이 간편한 반면에 안전벨트를 착용할 경우에는 그 벨트를 당기고 있는 태엽스프링의 장력이 인출된 안전벨트에 계속적으로 작용되어 탑승자의 복부 및 앞가슴을 압박하는 상태로 착용되므로 착용한 자세에서 사용자는 행동이 매우 부자유스럽고 답답한 착용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그 벨트가 신체틀 압박하게 됨에 따라 의복도 구겨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결국 안전벨트의 사용을 기피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는, 동출원인에 의한 선출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7-4909호의 것이 나와있는데, 이는 기존의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벨트에도 적용할 수도 있고, 특히 안전벨트에서 요구되는 안전기능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일반적인 안전벨트의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상기한 동출원인의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먼저 살피면,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에 부착고정되는 고정판(3)의 타측에 안내고리(5)가 설치되고, 그 안내고리(5)에는 안전벨트(4)가 지지 안내되는 차량용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의 전반에 설치한 측핀(7)에 압착 돌기(11)가 구비된 조임방지 노브(10)의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유착되고, 그 압착돌기(11)의 편심캠면(12)이 안내고리(5)에 감겨 안내되는 안전벨트(4)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사이 조임방지 노브(10)의 유착부에는 그 조임방지노브(10)를 외측으로 탄발하는 토오션 스프링(9)이 개재된 구성을 갖추었다. 이는 안전벨트를 제2도의 "W"방향으로 당겨서 착용한 다음 그 벨트를 P방향으로 약간 당겨 몸을 압박하지 않는 상태에서 조임방지노브(10)를 누르면 압착돌기(11)가 안내고리(5) 사이의 공간부내에 억지로 끼워져, 노브의 편심캠면(12)이 안전벨트(4)를 안내고리(5)에 대해 압착고정하게 되므로, 탑승자에 착용된 벨트는 몸에 밀착되지 않게 당겨진 상태로 있게 되고, 이 부분에는 와인더에 의한 장력이 미치지 않게 되어 탑승자는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감을 전혀 느끼지 않게 된다.
착용된 안전벨트를 풀 경우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버클에 체결된 안전 고리를 풀은 다음 벨트를 제2도의 "P"방향으로 당김으로서 편심캠면(11)이 벨트의 당김력으로 안내고리(5)사이의 공간부에서 빠져, 조임방지노브(10)에 의한 벨트의 압착상태가 간단히 해제되어, 이후 벨트에는 와인더에 의한 통상의 태엽스프링 복원력이 작용되어 인출된 벨트를 간편하게 감아들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본원 고안안에 의한 선출원에서는 안전벨트를 착용한채 몸을 크게 움직일 경우엔, 벨트가 P방향으로 세게 잡아당겨지기 때문에 조임방지 노브의 편심캠면(11)이 안내고리(5)에서 빠져서 조임방지장치가 해제되므로, 몸을 움직이고 난후 최초의 움직이기 전의 위치로 되돌아온 상태에서는 벨트가 와인더에 다시 감겨져 탑승자의 몸체에 다시 밀착되기 때문에 최초의 문제점이 재발되어서 가슴부위의 압박과, 옷의 구겨짐 등의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였던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선출원에서는 안전벨트 착용후 반드시 조임방지 노브를 별도로 눌러주어야만 하는 구성이므로 조작상 불편한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몸을 압박하지 않는 상태로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몸을 크게 움직일때 벨트가 풀렸다가도 벨트가 다시 몸을 압박하지 않은 조정된 상태로 자동적으로 되돌아감이 요구되어 왔었다.
이러한 요구를 와인더의 구성에 해결토록 한 본 고안은, 안전벨트를 착용한 후 몸을 크게 움직일 때에는 적당한 길이로 인출되고 그리고 몸을 움직인 이후에는 벨트가 자동적으로 몸을 압박하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와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3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안전벨트(27)가 감겨지는 감김통(71)의 회전중심에 축(72)이 형성되어, 축(72)의 양단을 마주보고 있는 와인더 프레임(21)에 각각 끼워지며, 와인더 프레임(21)을 관통한 축(72)의 우측단에 풀려나간 안전벨트를 감아들이는 역할을 하기위한 태엽기구(73)와, 또한 안전벨트가 급속히 풀려나갈때 벨트의 감김통(71)을 신속히 잡아주어 벨트를 순간적으로 고정시키고, 안전벨트가 서서히 풀릴때는 어느정도 길이로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공지된 원심식 록크 기구체(74)가 장착된 것에 있어서, 벨트가 몸을 압착하지 않고, 몸을 크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위한 감김통축(72)좌측끝에 직경이 작은 피니언기어(23)을 축고정시켜 축과 일체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의 피니언기어(23) 주변의 와인더 프레임(21)에는 큰 직경으로 된 위치고정 디스크(26)와 동일한 직경으로 된 메인기어(24)를 설치하되, 와인더 프레임(21)에 고정시켜 튀어나와 있는 디스크 축(21a)에 위치고정 디스크(26)와 메인기어(24)를 각각 끼워 메인기어(24)의 치차가 피니언기어(23)의 치차에 맞물리도록 설치하고, 디스크축(21a) 끝에 E링(15)을 끼워 위치고정디스크(26)와 메인기어(24)가 빠지지 않게 한다.
상기의 메인기어(24)내면에는 위치고정 디스크(26)쪽으로 기어스토퍼(24a)와 간격유지용 보스를 돌출시키고, 기어스토퍼(24a)와 보스사이 위치에 스프링 걸이공(24b)을 뚫어 형성한다. 위치고정디스크(26)에는 기어 스토퍼(24a)가 대향한 위치에 디스크스토퍼(26a)와 보스를 돌출시키고, 디스크 스토퍼(26a)와 보스사이에 스프링 걸이공(26b)을 뚫는다.
상기의 메인기어(24)와 위치고정 디스크(26)사이에는 메인기어(24) 중심에서 돌출된 보스때문에 간격이 유지되며, 이 간격사이에 인벌류우트 형상으로 감겨있는 복귀스프링(26)을 삽입설치한다.
복귀스프링(26)은 위치고정디스크(26)와 메인기어(24)의 스프링 걸이공(24b), (26b)에 각각 걸려져, 위치고정 디스크(26)와 메인기어(24)에 각각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위치고정디스크(26)의 원주면(26c)에 요철을 형성시켜 위치고정 디스크(26)에 대한 원주의 표면적을 넓혀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와인더프레임(21) 내측에 솔레노이드(29)를 부착하고, 솔레노이드(29)의 프란쟈(29b) 외주엔 압축스프링(29a)이 끼워지도록 하고 그리고 프란쟈(29b)의 하단에 브레이크 레버(28)틀 부착한다. 이 브레이크 레버(28)의 일측은, 솔레노이드(29)가 고정되는 와인더 프레임(21) 하측에 관통하여 놓여지며, 타측은 반대쪽 와인더프레임(21)에 끼워고정되어 그 고정된 부분을 지점으로, 타측이 솔레노이드 구동에 따라 상하 이동(제5a도 화살표참조)할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레버(28)의 일단에는 고무재질의 브레이크슈(28a)를 부착하여 위치고정 디스크(26)의 원주면(26c)을 제어하도록 한다. 그리고 와인더프레임(21)의 하단에는 차체고정용홀(21b)을 뚫어 와인더 프레임(21)을 차체에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관계틀 이하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벨트 설치상태도로써 자동차에 탑승하여 안전벨트(27)를 착용하기 위해 버클(30)을 통상의 방법과 같이 잡아당기며 안전벨트(27)는 와인더(20)로부터 풀려나온다.
안전벨트(27)가 풀리는 과정을 제5b도를 참조로 설명하면, 벨트 감김통(71)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23)가 회전되면 이와 연결된 메인기어(2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복귀스프링(25)은 메인기어(24)와 위치고정디스크(26)사이에 탄성적으로 연결설치되어 있어 기어스토퍼(24a)와 디스크스토퍼(26a)가 접속상태에서 같이 이동한다.
이때 제5a도에서의 브레이크슈(28a)는 위치고정디스크(26)로부터 떨어져 있어, 위치고정디스크(26)와 메인기어(24)는 같이 회전하고 브레이크슈(28a)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전벨트(27)가 몸을 압박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끌어낼 수 있다.
안전벨트(27)를 충분히 안출하여 탑승자의 몸을 압박하지 않을 정도로 당긴 상태에서, 버클(30)을 버클홀더(32)에 집어넣어 록크시키면, 버클홀더(32)속에 내장된 마이크로스위치(31)가 접속된다. 하지만 이때 자동차의 키이가 빠져있거나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상태일때에는 전원공급이 불가능하여 아무런 동작이 일어나지 않지만, 키이가 ACC위치에 있거나 시동이 걸려있을때에는 상기의 마이크로스위치(31)가 "온"되어 제6도에서의 제어 회로인 제9도와 같은 구동회로도에 의해, 전원이 와인더(20)의 솔레노이드(29)에 공급되어, 이로써 솔레노이드(29) 내부의 마그네트와 같은 자계가 형성되는 방향의 전류펄스를 솔레노이드(29)에 가하여 솔레노이드 플란쟈(29b)가 브레이크 레버(28)를 끌어당기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레버(28)의 브레이크슈(28a)는 위치고정디스크 원주면(26c)을 압착하게 되어, 위치고정디스크(26)는 브레이크슈(28a)에 의해 회전하지 못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위치고정 디스크(26)와 연결작동되는 메인기어(24), 피니언기어(23), 그리고 감김통축(72)이 더이상 회전하지 않으므로 안전벨트(27)는 탑승자의 몸을 압박하지 않는 상태를 지속하게 된다.
하지만 와인더(20) 자체내에서 안전벨트(27)틀 감아 들일려고 하는 힘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감김통(71) 및 피니언기어(23)는 제7a도의 화살표 반대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하고, 상대적으로 감김통의 피니언기어(23)에 맞물린 메인기어(2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태엽기구(73)로부터 받게 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29)가 "온"되어있어 위치고정 디스크(26)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이미 고정하고 있으므로 메인기어(24)는 태엽기구(73)에 의해 제7a도에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일정량 회전후, 움직이지 않는 위치고정디스크(26)의 디스크스토퍼(26a)에 메인기어(24)의 기어스토퍼(24a)가 걸려서 시계방향으로 더이상 회전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메인기어(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벨트 감김통(71) 역시도 회전할 수 없게되어 안전벨트(27)는 와인더(20)로 감겨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안전벨트(27)는 몸을 압박하지 않는 상태로 잡아당겨서 유지되기 때문에 탑승자는 당연히 안전벨트로부터의 압박을 받지않게 된다.
또 탑승자가 몸을 서서히 움직일때에는, 제7b도와 같이, 메인기어(24)는 안전벨트(27)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이동작은 태엽기구(73)에 의한 메인기어(24)의 제7a도와 같은 시계방향 회전력을 대항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써, 이는 메인기어(24)의 기어스토퍼(24a)가 디스크스토퍼(26a)에 걸려 더 이상 시계방향의 회전을 불가능하지만 그 반대방향의 회전은 1회전의 한도범위내에서 태엽기구(73)의 인장력을 이기면서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몸을 움직이고 난후에는 몸의 움직임으로 늘어난 안전벨트(27)는 반대로 자동적으로 서서히 감겨져 들어오고, 기어스토퍼(24a)가 복귀스프링(25)에 의해, 디스크스토퍼(26a)쪽으로 회전하여 최초에 몸을 압박하지 않은 상태로 조절한 위치에 이르러서 고정된 위치고정디스크(26)의 디스크 스토퍼(26a)에 걸려서 정지하게 되므로 안전벨트(27)가 더이상 감기지 않아 안전벨트(27)는 탑승자의 몸에 밀착되지 않게되고, 이로써 벨트에 의한 압박감을 받지않는 상태가 별도의 조작없이 지속된다.
그러면, 몸을 움직일때 안전벨트가 풀려나가는 풀림량의 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몸을 움직이므로 해서 서서히 풀려지는 안전벨트(27)의 힘은 벨트감김통(7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고, 메인기어(24)가 감김통(71)의 피니언기어(23)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350°가량 회전하여 기어스토퍼(24a)가 디스크스포터(26a)에 걸려 회전할 수 없게된다.
이때 피니언기어(23)의 피치원 직경은 메인기어(24) 피치원 직경에 대해 3∼4분의 1정도로 작기때문에 벨트의 감김통(71)이 3∼4바퀴 회전하여야 메인기어(24)는 약 1바퀴정도(약 360°정도)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벨트(27)는 "감김직경의 3∼4배×3.14정도"의 길이만큼 풀려나가게 되고, 이 정도의 길이는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채로 차내에서 몸을 움직일때 벨트가 늘어날 수 있는 충분한 길이이다.
그후 안전벨트(27)의 버클(30)을 통상의 방법으로 풀면, 그 순간에 버클홀더(32)에 구성시킨 마이크로스위치(31)가 "오프되어, 솔레노이드(29)내의 영구자석자계와 반대방향으로 자계가 형성되도록 권선에 전류펄스를 가하여 자력이 상쇄됨으로써 플란쟈(29b)가 압측스프링(29a)의 힘으로 밀려내려와 브레이크슈(28a)가 위치고정 디스크(26)의 원주면(26c)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제동상태를 해제된다. 이때부터는 와인더의 태엽기구(73)에 의해 안전벨트(27)가 감김통(71)에 되감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에서, 제동용의 솔레노이드(29)는 2가지 종류의 것을 사용함이 가능한데 그 하나는 솔레노이드(29)에 전원이 인가되어 여자되면 플란쟈(29b)를 당기고 전류를 끊으면 여자가 풀려서 플란쟈(29b)가 스프링(27)의 힘으로 밀려나오는 구조의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플란쟈(29b)의 안쪽에 영구자석을 장치한 셀프-홀딩(Self-holding)형 솔레노이드이다.
이는 전선에 전류를 흘려 영구자석의 자계와 같은 방향으로 여자틀 시키면 플란쟈(29b)를 당기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전류를 차단해도 영구자석의 힘으로 플란쟈(29b)는 당겨진 채로 있게된다.
이와같은 작동의 솔레노이드의 기능해제는, 안전벨트(27)의 버클(30)을 버클홀더(32)에 빼내면 버클홀더(32)속에 내장된 마이크로스위치(31)가 "오프"되므로 내장 마그넷트와 반대방향으로 자계를 발생시키는 전류 펄스를 가하여 플란쟈(29b)의 견인력을 제거시켜 플란쟈(29b)는 압축스프링(29a)에 의해 원위치되어, 브레이크슈(28a)가 위치고정 디스크(26)에서 떨어지게 됨으로써 위치고정 디스크(26)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에서, 위치고정 디스크(26)를 솔레노이드의 또 다른 구성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이 구성은 제8a도, 제8b도에 도시하였다. 제8a도는 그의 요부측 단면도이고, 제8b도는 요부상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위치고정 디스크(26)의 원주면엔 치차홈(61)을 형성하고, 브레이크 대신 좌우 슬라이딩이 가능한 스토퍼레버(82)를 와인더 프레임(21)에 설치하여, 스토퍼레버(82)의 일측끝의 기어스토퍼(82a)가 위치고정 디스크(26)의 치차홈(61)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고, 솔레노이드(29)의 플란쟈(29b)에 끼워진 완충레버(81)를 스토퍼레버(82)에 고정하고, 플란쟈(29b)와 와인더 프레임(21) 사이에 완충용 쿠숀(84)를 설치한다. 미설명부호 83은 완충스프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솔레노이드(29)가 여자되면 플란쟈(29b)에 끼워져 있는 완충레버(81)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또 완충스프링(83)이 왼쪽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스토퍼레버(82)도 왼쪽으로 이동된다.
스토퍼레버(82)의 이동으로 기어스토퍼(82a)는 위치고정 디스크(26)의 치차홈(61)으로 끼워져 위치고정용 디스크(26)는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은 솔레노이드 구성예에 의해서도 본 고안에 기재된 효과 즉 안전벨트가 탑승자의 몸을 압박하지 않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기어스토퍼 치차홈(61)으로 기어스토퍼(82a)가 들어가지 못하고 치차에 부딪히는 경우에는, 완층스프링(83)에 의해서 계속적으로 좌측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고 있으므로, 이때 태엽기구(73)의 힘이 피니언기어(23)에 전달되어 위치고정 디스크(26)도 회전하게 되므로, 기어스토퍼(82a)는 위치고정 디스크(26)의 치차사이의 홈에 들어가게 되어 디스크(26)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에 탑승한 자가 차내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내의 필요한 장치를 조작하거나 혹은 기타의 용무로 몸을 크게 움직여야 할 경우, 안전벨트를 별도로 인출하지 않더라도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고, 또 몸을 움직이고 나면 인출된 벨트가 자동적으로 몸을 압박하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몸을 압박하지 않는 상태로 조정된 안전벨트의 고정상태가 몸을 크게 움직인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태엽기구(73)와 원심식로크 기구체(74)를 갖춘 안전벨트장치에 있어서, 벨트감김통축(71)의 한쪽 선단에 설치한 피니언기어(23)에 맞물려 회전되며, 기어스토퍼(24a)를 갖는 메인기어(24)와, 상기 메인기어(24)와 동일축상에 설치되며, 상기한 기어스토퍼(24a)와 접촉하는 디스크스토퍼(26a)를 갖는 위치고정디스크(26)와, 상기한 메인기어(24)와 위치고정디스크(26) 사이에 연결고정되어 메인 기어(24)의 회전력이 위치고정 디스크(26)에 탄성적으로 전달되도록 한 복귀스프링(25)과, 벨트버클(30)을 마이크로스위치(31)를 내장한 버클홀더(32)에 채운 상태에서만 동작되는 솔레노이드(29)와,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29)의 플란쟈(29b)에 연결되어 상하작동되며, 그의 한쪽선단에는 위치고정디스크(26)의 원주면(26c)을 접촉제어가능한 브레이크슈(28a)를 설치한 브레이레버(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조임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솔레노이드(29)의 플란쟈(29b)에는 완충레버(81)를 갖는 스토퍼레버(82)를 설치하고, 상기한 위치고정디스크(26)의 외부면에는 치차홈(61)을 형성시켜, 솔레노이드(29)의 작동에 의해 상기한 스토퍼레버(82)의 한쪽선단이 위치고정디스크(26)의 치차홈(61)에 결합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의 조임 방지장치.
KR2019900010223U 1990-07-12 1990-07-12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 KR930000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223U KR930000539Y1 (ko) 1990-07-12 1990-07-12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223U KR930000539Y1 (ko) 1990-07-12 1990-07-12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539Y1 true KR930000539Y1 (ko) 1993-02-10

Family

ID=1930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0223U KR930000539Y1 (ko) 1990-07-12 1990-07-12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5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45097Y2 (ko)
KR930000539Y1 (ko)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
JP4800471B2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US20060006269A1 (en) Safety belt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motor in a safety belt system
JPS5951465B2 (ja) エア−ベルトを用いた乗員保護装置
US4029339A (en) Safety belt devices for vehicles
JPS58101855A (ja) シ−トベルト巻取り装置
JPS582681Y2 (ja) 圧迫感防止機構付シ−トベルト巻取装置
JP2002145007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リトラクタ
JPS6237793Y2 (ko)
JPS5841976Y2 (ja) シ−トベルト巻取装置
KR100255450B1 (ko) 시트벨트 압박감 완화장치
US3424496A (en) Vehicle passenger safety devices
KR940002595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제어장치
KR013209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고정장치
JPH0512136Y2 (ko)
JPS6058059B2 (ja) ベルト巻取装置
JPH07304422A (ja) 体を締めつけない機能を持つ自動車用安全ベルト
KR0157578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JP3163599B2 (ja) 自動車シートベルト構造
KR930002017Y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압박 방지장치
JPH0241094Y2 (ko)
KR890007001Y1 (ko)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JPH044918Y2 (ko)
KR900004749Y1 (ko) 안전벨트의 웨빙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