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001Y1 -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001Y1
KR890007001Y1 KR2019860012156U KR860012156U KR890007001Y1 KR 890007001 Y1 KR890007001 Y1 KR 890007001Y1 KR 2019860012156 U KR2019860012156 U KR 2019860012156U KR 860012156 U KR860012156 U KR 860012156U KR 890007001 Y1 KR890007001 Y1 KR 890007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elt
user
sea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2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471U (ko
Inventor
이동학
Original Assignee
이동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학 filed Critical 이동학
Priority to KR2019860012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001Y1/ko
Publication of KR8800044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4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0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중 가부분의 절개 사시도.
제3도는 종래 장치의 3점식 안전벨트 장치의 사시도.
본 고안은 소형 차량용 안전벨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벨트의 인장시에는 지지축에서 어떠한 방향으로도 손쉽게 풀릴수 있는 3점식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의 구성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3점지지식 안전벨트는 좌석일측에 안전벨트(31)의 일측중단이 축에 고정되어 권취된 권호리통(32)을 설치하고 안전벨트(31)의 타측중단은 좌석 상측 고정고리(33)를 통하여 권회통(32)의 부근에 고정시키되 고정고리(33)와 권희통(32) 사이에 걸림고리(34)를 이동할수 있도록 끼워 놓고 좌석 타측에 고정걸림구(35)를 고정하여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일단 걸림고리(34)를 잡아당겨서 사용자 몸위로 안전벨트(31)가 걸쳐지도록한 다음 걸림고리(34)를 고정걸림구(35)에 끼워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때의 안전벨트(31)의 일부(31')는 사용자의 배부위 위로 지나가고 다른 일부(31")는 사용자의 가슴 부위에 비스듬이 가로질러가게 되는데 안전벨트(31)의 일부(31')는 권회통(32)에 연결된 부위가 아니고 권회통(32) 부근의 고정부위와 고정걸림구(35) 사이의 부분이 되어 사용자가 천천히 움직이더라도 안전벨트가 잘풀리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앞좌석에 앉은 경우에 뒷자석의 물건을 집는다던가 또는 옆의 창문을 닫는 다던가하는 등의 움직임을 안전벨트를 착용하고는 할수 없어 안전벨트를 풀고 필요한 움직임을 끝낸다음 다시 안전벨트를 착용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어 사용자가 안전벨트의 착용을 기피하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특히 차량의 비상시 즉 차량에 화제가 발생한다던가 또는 차량이 침수시에는 사용자가 당황한 여건에서 안전벨트는 빠져 나오지 않고 사람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있어서 안전벨트를 풀지 않고는 차량에서 사람은 빠져나올수갈 없어 사용자의 인명피해가 발생할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제거하도록 3점식 안전벨트 장치에 있어 3개의 지지점마다 안전벨트가 완만한 움직임에서 권취통에서 길게 풀릴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후에도 사용자가 마음대로 움직일수 있을뿐 아니라 유사시에는 사용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체로 소형 차량에서 일단 빠져 나와서 안전벨트를 벗을 수 있어 사용자의 인명을 보호할수 있는 차량용 안전벨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 장치의 구성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구성은 차량의자의 하측 일측에는 안전벨트(1)의 일단이 축에 고정되어 권취된 권취통(2)을 고정설치하고, 상측 일측에는 안전벨트(1)의 타측이 축에 고정되어 권취된 제1보조 권취통(3)을 고정하되, 권취통(2)과 제1보조 권취통(3) 사이의 안전벨트(1) 상에는 걸림고리(4)를 이동할수 있도록 끼우고, 의자 하측의 타측에는 보조벨트(5)의 일단에 고정고리(6)가 고정되고 보조벨트(5)의 하단에는 제2보조 권취통(7)을 연결하여된 것으로서 제1,2도를 참조하여 이러한 본 고안 구성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려면 차량 의자에 착설하여 걸림고리(4)를 잡아당겨 고정고리(6)에 끼우면 되는데 착용한 상태에서는 권취통(2)과 제1보조권취통(3) 그리고 제2보조 권취통(7)에서 안전벨트(1)와 보조벨트(5)가 사용자의 완만한 움직임에 따라 잘 풀려 나오므로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도 몸을 이동시킬수 있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에 걸리는 안전벨트의 밀착감은 권취통(2,3,7)의 권취스프링력 뿐이므로 사용자는 심한 압박감을 느끼지 않게되어 착용감이 좋을뿐 아니라, 유사시 즉 불의에 차량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든가 운전중 차량이 강물에 빠졌을 경우에 탑승자는 안전벨트(1)가 걸린 채로 우선 차 문을 통하여 밖으로 나오면 안전벨트(1)는 각 권취통(2,3,7)에서 길게 빠져 나오므로 차량으로부터 완전히 탈출한후에 딸려나온 걸림고리(4)와 고정고리(6)의 결합을 종래와 같이 해체하면 되는 것이므로 사용 안전성이 더욱 높아 진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걸림고리(4)와 고정고리(6)를 해정하기만 하면 안전벨트(1)와 보조벨트(5)는 귄취통(2,7)에 팽팽하게 감겨들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권취통(2,3,7)은 통상의 것으로서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통(2,3,7)에서 완만한 벨트의 잡아당김은 케이스(11)내의 회전축(9)에 걸린 스프링(8)의 인장력보다 작게되어 원활히 회전축이 회전되어 벨트가 쉽게 빠져나오나 급격한 벨트의 이동은 스프링(8)의 인장력보다 크게 되어 회전축(9)이 화살표 방향으로 즉 벨트의 인장방향으로 상승되어 상측에 형성된 고정톱니(10)에 회전축(9)양단의 원판톱니(9')가 걸려 벨트의 인출이 정지되는 것이며, 이러한 작용은 통상의 것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본원고안 장치에서 3개의 권취통(2,3,7)은 각 지지점 부위에 고정설치하였으나 의자 하측의 좌우측에만 설치하는 2점식에서 권취통은 2개 설치하여도 되고 3점식에서 2군데에만 설치하여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안전벨트를 착용하여도 사용자가 일반적인 움직임에는 안전벨트가 잘 풀려나와서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게되고 또한 착용감이 좋으며, 유사시에는 안전벨트를 한체로 차량 외측 으로도 탈출할수 있어 안전성이 매우 높은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자의 하측일측에는 안전벨트(1)의 일단이 축에 고정되어 권취된 권취통(2)을 고정설치하고 상측일측에는 안전벨트(1)의 타측이 축에 고정되어 권취된 제1보조 권취통(3)을 고정하되, 권취통(2)과 제1보조 권취통(3) 사이의 안전벨트(1) 상에는 걸림고리(4)를 이동할수 있도록 끼우고, 의자 하측의 타측에는 보조벨트(5)의 일단에 고정고리(6)가 고정되고 보조벨트(6)의 타단에는 제2보조 권취통(7)를 연결하여 된 차량용 안전벨트장치.
KR2019860012156U 1986-08-12 1986-08-12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KR890007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156U KR890007001Y1 (ko) 1986-08-12 1986-08-12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156U KR890007001Y1 (ko) 1986-08-12 1986-08-12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471U KR880004471U (ko) 1988-05-10
KR890007001Y1 true KR890007001Y1 (ko) 1989-10-14

Family

ID=1925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2156U KR890007001Y1 (ko) 1986-08-12 1986-08-12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0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471U (ko) 198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6919A (en) Vehicle seatbelt deflection device
US3822915A (en) Safety seat belt having four fastening points, for a motor car seat
US4572543A (en) Retractable safety belt system
US3321246A (en) Safety harnesses
US3411602A (en) Automatic safety belt apparatus for vehicles
US4223917A (en) Seatbelt system
US3351382A (en) Safety harnesses for vehicle occupants
JP3754015B2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H08182770A (ja) 高所作業用安全帯
KR890007001Y1 (ko)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US4303209A (en) Tension reducer for dual spool retractor
US4364584A (en) Junction ring for continuous-loop passive seat belt system
US4101170A (en) Seat belt device for use in vehicle
JPS5912496B2 (ja) シ−トベルトシステム
KR950008205Y1 (ko) 자동차의 안전밸트 자동착용장치
JPH0213243Y2 (ko)
JPS58101857A (ja) シ−トベルト巻取り装置
KR0115862Y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스풀아웃 방지구조
JPS63269754A (ja) 自動車用シ−トベルトの懸架ストツパ−装置
JPH043892Y2 (ko)
US3424496A (en) Vehicle passenger safety devices
KR890005186Y1 (ko) 차량용 안전벨트
JPH0719921Y2 (ja) オートマチックシートベルト装置
KR910001663B1 (ko) 좌석벨트 조임방지장치
JPS6282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