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595B1 -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595B1
KR940002595B1 KR1019910010398A KR910010398A KR940002595B1 KR 940002595 B1 KR940002595 B1 KR 940002595B1 KR 1019910010398 A KR1019910010398 A KR 1019910010398A KR 910010398 A KR910010398 A KR 910010398A KR 940002595 B1 KR940002595 B1 KR 940002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ller
seat belt
mai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328A (ko
Inventor
손명원
Original Assignee
강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희 filed Critical 강재희
Priority to KR101991001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595B1/ko
Publication of KR93000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구조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단면도로서, (a)는 조임상태이고, (b)는 조임해제상태이며, (c)는 풀림상태이고, (d)는 풀림해제상태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본체 5,12 : 기어
6 : 걸림쇠 7 : 축부재
8,13 : 로울러 8a : 내치형기어
8b : 접촉면 9 : 캠홈
10 : 커버 11,11' : 안내로울러
13a : 편심축 15 : 레버
17 : 비틀림스프링 100 : 보조작동부
200 : 주작동부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운행시 착용자의 가승과 복부를 압박하는 안전벨트의 답답하고 불편한 착용감을 해결하기 위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와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안전벨트의 착용이 의무화되어 있지만, 사고 발생시가 아닌 평상시에도 안전벨트의 권취통의 와인더 장력으로 인해 안전벨트가 착용자를 압박하게끔 회수되어져 복부를 압박하는 불편한 착용감으로 승차자들이 안전벨트의 착용을 기피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배제함과 동시에 안전 벨트 고유의 기능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 즉, 안전벨트의 회수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상적인 차량용 안전벨트에는 물론이고 차량생산과정에서 안전벨트의 권취통내에 부설하여 자동으로 안전벨트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안전벨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벨트 차체(1)의 고정볼트(2)에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걸어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리(3)가 상측에 마련되고, 하측 양벽면에 축공(4a)이 형성된 본체(4)를 제작구비하고, 기어(5)와 걸림쇠(6)가 일측으로 마련된 축부재(7)가 중앙으로 관통되고 걸림쇠(6)에 걸림작용되는 내치형 기어(8a)가 일측으로 형성된 로울러(8)로 이루어진 보조작동부(100)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작동부(100)의 축부재(7) 양단을 본체(4)의 축공(4a)에 회전가능케 부설함과, 하트용 캠홈(9)이 내측벽면에 형성되고, 축공(10a)이 마련되며 상,하측으로 안내로울러(11)(11')가 회전가능케 배치된 커버(10)를 구비하여 상기 축공(10a)에 기어(12)가 일체로된 로울러(13)로 이루어진 주작동부(200)를 자체의 편심축(13a)를 매개로 회전가능케 부설하면서 상기 기어(12)의 일정위치에 고정핀(14)으로 고정된 레버(15)의 일단부위를 하트형 캠홈(9)내에 삽입위치시키고 본체(4)와 커버(10)를 상기 보조작동부기어(5)와 주작동부기어(12)가 상호 치합 되게끔 자체의 결합수단(K)으로 결합시켜서된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보보작동부(100)의 걸림쇠(6)는 축부재(7)에 이체로된 지지편(7a)에 비틀림스프링(16)에 의해 탄력설치되어 항상 시계방향으로 작동되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비틀림스프링(16)의 일단은 걸림쇠(6)에, 타단은 축부재(7)에 고정된다. 보저작동부(100)의 로울러(8) 외주연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부가 마련된 접촉면(8b)이 형성된다.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 외주연에는 안전벨트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면서 안전벨트의 마모를 방지토록 고무부재가 삽설된 접촉면(13b)이 형성된다.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축에 비틀림스프링(17)을 권취하여 그 일단을 로울러(13)에, 타단은 커버(100)에 각각 고정시켜 로울러(13)가 항상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갖도록한다. 본체(4)와 커버(10)의 상,하측에는 안전벨트가 안내될 수 있는 공간부(S)(S')가 형성된다. 결합수단(K)는 커버의 걸림턱(10b)과 본체(4) 걸림홈(4b)으로 이루어진다. 미 설명부호 18은 안전벨트, 19는 권취통, 20은 안내고리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본체(4)의 상측에 형성된 고리(3)를 이용하여 안전벨트(18)를 안내하는 안내고리(20)를 자체(1)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주는 고정 볼트(2)에 걸어 위치고정시켜 사용한다.
이와같이 권취통(19)과 안전벨트 안내용고리(20)사이의 안전벨트(18)에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도면 제2도와 제3a, b, c, d도를 통해 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3c도 상태는 도면 제2도와 같이 본체(4)와 커버(10)의 상,하측에 형성된 공간부(S)(S')를 통해 보조작동부(100)의 로울러(8)와,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 사이공간으로 안전벨트(18)가 위치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안전벨트(18)에는 어떠한 힘도 작용되지 않는 안전벨트 착용이전의 상태 즉, 안전벨트가 권취통으로 회수중 도는 완전히 회수된 풀림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보조작동부(100)의 기어(5)와 치합되는 주작동부(200)의 기어(12)에 고정핀(14)으로 유동가능케 유선된 레버(15)의 일단부위가 커버(10)의 일측내벽면에 형성된 하트형 캠홈(9)의 "C"부위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축에 권취된 비틀림스프링(17)의 양단이 커버(10)와 로울러(13)에 고정되어 있어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축에 권취된 비틀림스프링(17)의 양단이 커버(10)와 로울러(13)에 고정되어 있어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가 항상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레버(15)의 일단부위는 캠홈(9)의 "C"부위에 탄력적으로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됨에 따라 안전벨트(18)가 권취통의 와인더 장력으로 감김측방향(화살표 W방향)으로 이동될때에,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에 형성된 기어(12)는 회전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기어 (12)에 치합된 보조작동부(100)의 기어(5)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차단상태가 되는 반면 보조작동부의 로울러(8)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또 보조작동부(100)의 로울러(8)와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 사이에 일정한 사이간격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안전벨트(18)가 커버(10)의 상,하측에 고정된 안내로울러(11)(11')와 보조작동부(100)의 로울러(8)에 마찰되면서 원활하게 감김에 의한 회수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풀림상태에서 안전벨트 감감시에는 보조작동부의 로울러(8)만 회동정지된 축부재(7)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안내로울러(11)(11')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 상기와 같은 상태(풀림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탑승자가 안전벨트(18)를 착용하기 위해서 인출측 방향(화살표 P방향)으로 잡아 당겨주면, 안전벨트(18)는 화살표 P방향으로 인출되며, 이와동시에 안전벨트의 일면과 접촉된 보조작동부(100)의 로울러(8)가 안전벨트(18)와의 접촉에 의해 시계반대방향(도면 제3c도의 화살표 L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이(로울러)의 내치형 기어(8a)에 걸림쇠(6)를 매개로 걸려진 축부재(7)가 로울러(8)와 동일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어진다. 이에따라 축부재(7) 일단에 일체로된 기어(5)가 역시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므로 이(기어(5))에 치합된 주작동부(200)의 기어(12)와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가 편심축(13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도면 제3c도의 화살표 M방향)으로 완전히 회전 이동되어짐에 따라 도면 제3d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어(5)(12)가 서로 치합해제된 상태 즉, 분리된 상태가 됨과 동시에 주작동부 로울러(13)의 기어(12)가 고정핀(14)으로 유동가능케 고정되어진 레버(15)의 일단부위는 하트형 캠홈((9)의 "C"부위에서 D부위로 이동도달되어진다.(도면 제3d도 풀림해제상태)
이와같이 안전벨트(18)가 인출되는 과정에 안전벨트(18)를 적절한 길이만큼 인출한 다음 즉, 안전벨트를 평상시 길이(가슴과 복부를 압박할 정도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인출한 다음 안전벨트에 연결된 체결고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고정측 체결고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체결하여 착용완료한 다음 안전벨트로부터 손을떼면 권취통(19)의 와인더 복원력으로 안전벨트(18)가 감김측 방향(화살표 W방향 : 도면 제3d도)으로 보조작동부(100)의 로울러(8)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감김회수되고 동시에,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는 비틀림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하여 시계반대방향(도면 제3d도의 화살표 (N)방향)으로 편심축(13a)을 중심으로 회전이동되어 기어(12)를 회전이동시켜 줌으로서 레버(15)가 연동되어 캠홈(9)의 "D"부위에서 "A"부위로 이동되면서, 도면 제3a도와 같이 탄력적으로 걸려진다. 계속해서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 접촉면(13b)는 안전밸트(18)의 일면과 접촉되어 감겨회수되는 안전벨트(18)가 권취통(19)으로 더 이상 회수되지 않도록 보조작동부(100)의 로울러(8)와 맞물려 조임상태가 되어 안전벨트를 압착시키므로 안전벨트의 이동이 차단되어 상기와 같이 여유있게 인출된 안전벨트가 착용자의 신체를 압박하지 않은 상태로 착용되므로 압박감을 전혀 느끼지 않고 안전벨트는 착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된 바와같이 주작동부(200)의 로울러기어(1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풀림해제과정에서 조임과정으로 가변되는 과정)에서 로울러(8), 축부재(7), 기어(5), 걸림쇠(6)로 된 보조작동부(100)는 회수되는 안전벨트(18)와의 접촉과 상기된 바와같이 회전동작되는 주작동부(200)의 로울러기어(12)와 자체기어(5)가 치합되는 관계로 인하여 시계방향(도면 제3d도의 화살표 O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주작동부(200)의 호울러 접촉면(13b)이 안전벨트(18)에 도면 제3a도와 같이 압착되는 순간 보조작동부(100)의 회전이 중지되어진다.
또, 안전벨트(18)의 양면에 밀착되어 이동을 저지하는 보조작동부 로울러(8)의 돌부가 형성된 접촉면(8b)과 주작동부로울러(13)의 고무부재로된 접촉면(13b)에는 안전벨트의 감김측방향(도면 제3a도의 화살표 W방향)으로 가해지는 견인력이 형상 작용되고 있기 때문에 안전벨트를 잡아주는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착용되어진 안전벨트(18)를 풀고자할 경우에 착용자는 먼저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측버클에 체결된 체결고리를 분리시킨다음 안전벨트는 인출측방향으로 약간 당겨주면 안전벨트가 일정길이만큼 일출됨에 따라 안전벨트에 접촉된 보조작동부(100)가 시계반대방향(도면 제3도 (가)의 화살표 Q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보조작동부 축부재(7)의 기어(5)와 함께 마련된 걸림쇠(6)가 비틀림스프링(16)의 복원역으로 내치형기어(8a)에 걸림작용되어 축부재(7)에 형성된 기어(5)와 로울러(8)가 동시에 회전됨으로써 보조작동부(100)의 기어(5)에 치합되어진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에 일체로된 기어(12)가 동시에 시계방향(도면 제3a도의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되며 또, 주작동부(100)의 기어(12)에 고정된 레버(15)의 일단부위는 캠홈(9)의 "A"부위에서 "B"부위로 이동되어 도면 제3b도 상태(도임해제상태)가 되는데, 이 과정에서는 보조작동부(100)의 기어(5)와 주작동부(200)의 기어(13)가 상호 분리되어 안내로울러 (11)(11') 보조작동부(100)의 로울러(8)의 외주연과 접촉되면서 안전벨트는 원활하게 인출되며, 또, 상기와 같은 안전벨트 인출과정에서 안전벨트를 놓아주면 안전벨트는 회수되고 동시에 캠홈의 "B"부위에 위치된 레버(15)의 일단부위는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에 마련된 보조작동부의 로울러(8)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비틀림스프링(17)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주작동부(200)의 로울러(13)가 시계반대방향(도면 제3b도의 화살표 S방향)으로 회전이동됨으로 캠홈(9)의 "C"부위에 도달되어 상술된 바와같이 도면 제3c도 상태 즉 풀림상태로 가변되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인출된 안전벨트는 권취통의 와인더 장력으로 인하여 감기면서 회수되어진다.
이때, 주작동부(200)인 로울러(13)의 접촉면(13b)이 안전벨트(18)와 이격되어 있고, 보조작동부(100)의 축부재기어(5)와 주작동부(200)의 로울러기어(12)(캠홈의 "C"부위에 일단부위가 걸려져 회전되지 못하는 상태)는 도면 제3c도와 같이 상호 치합되어 회전차단된 상태에서 안전벨트(18)가 보조작동부(100)의 로울러(8)와 안내로울러(11)(11')에 마찰되면서 감김측방향(도면 제3c도의 화살표 (W)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로울러(8)는 걸림쇠(6)의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시계방향(도면 제3c도의 화살표 V방향)으로 축부재(7)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안전벨트가 권취통(19)에 쉽게 감기도록한다. 한편, 승차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충돌이나 추돌사사고로 인하여 충격을 받게될 경우, 착용자는 순간적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에따라 일정길이의 안전벨트가 인출되면서 권취통내부에 장착된 급제동기를 작동시켜 착용자를 잡아주게 된다.
이에따라 어떠한 충격이나 사고시에도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안전벨트의 고유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직접손으로 본 장치를 조작하지 않고 안전벨트만의 인출 도는 회수동작에 의해 본 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도면 제3c도에 도시된 풀림상태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하기 위해 일정길이만큼 인출한후 안전벨트를 놓으면 도면 제3d도 상태(풀림해제상태)를 거쳐 도면 제3a도 조임상태가 되면서 안전벨트가 감김측 방향으로 회수되는 것을 차단하고 또 상기의 조임상태에서 안전벨트를 당겼다가 놓으면 도면 제3b도의 조임해제 상태를 거쳐 (c)와 같은 풀림상태로 가변되어 안전벨트가 원활하게 감김측방향으로 회수되도록 된 것으로서 단지 안전벨트와 약간 당기는 것만으로 풀림상태를 조정할 수 있어 착용자의 과다한 움직임이나 충격등으로 해제상태에 이르더라도 단지 안전벨트를 약간 더 인출시켜 주는 것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어, 안전벨트 착용 기피현상을 배제하고 차량운행중 발생하는 각종사고로부터 인면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여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기어(5)와 걸림쇠(6)가 일측으로 마련된 축부재(7)가 중앙으로 관통되고, 걸림쇠(6)에 걸림작용되는 내치형기어(8a)가 일측으로 형성된 로울러(8)로 이루어진 보조작동부(100)가 회전가능케 부설된 본체(4)와, 하트형캠홈(9)이 내측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작동부의 기어(5)와 치합되는 기어(12)가 일체로되고 비틀림스프링(17)에 탄지된 로울러(13)로 이루어진 주작동부(200)가 자체의 편심측(13a)을 매개로 회전가능케 부설되고, 상기 기어(12)의 일정위치에 고정된 레버(15)의 일단부위가 하트형 캠홈(9)내에 삽입위치된 커버(10)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작동부기어와 주작동부기어가 상호 치합되게끔 본체(4)와 커버(10)를 결합수단으로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커버(10)의 내측상하로 안내로울러(11)(11')를 배치하여서 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벨트 회수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보조작동부(100)의 로울러(8) 외주연에 돌부가 마련된 접촉면(8b)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억제장치.
KR1019910010398A 1991-06-22 1991-06-22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제어장치 KR940002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398A KR940002595B1 (ko) 1991-06-22 1991-06-22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398A KR940002595B1 (ko) 1991-06-22 1991-06-22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328A KR930000328A (ko) 1993-01-15
KR940002595B1 true KR940002595B1 (ko) 1994-03-26

Family

ID=1931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398A KR940002595B1 (ko) 1991-06-22 1991-06-22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5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328A (ko) 199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0196A (en) Retraction locking device for restraining belt
US3898715A (en) Fitting for adjusting a safety belt
JPH04283150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4106721A (en) Safety belt retractor with dual tension retraction means
KR940002595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회수제어장치
US3375994A (en) Winding device for safety belts and the like
US4772046A (en) Seat belt tensioning arrangement for automotive vehicles
US3974979A (en) Device for a buckle type safety belt for vehicle
KR100265938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
JPH05213155A (ja) 張力解放機能を備えたベルトリトラクター
KR100596617B1 (ko) 승용기기의 안전벨트 구조
KR200160006Y1 (ko) 시트벨트 가이드용 앵커
JPS581387Y2 (ja) パツシブベルトにおけるベルト調節装置
KR200244479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JPS6333715Y2 (ko)
KR890004577Y1 (ko) 안전 벨트의 조임 방지장치
KR100488880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가이드 장치
JPS6310366Y2 (ko)
KR200173968Y1 (ko) 자동차의 리트렉터
JPH0512136Y2 (ko)
KR930000539Y1 (ko) 안전벨트의 조임방지 장치
KR200205957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JPS6333716Y2 (ko)
JPH034598Y2 (ko)
KR890005187Y1 (ko) 자동차 안전벨트 조임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50531

Effective date: 19961127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50720

Effective date: 199611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5100000814; REJECTION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50720

Effective date: 199611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5100000612; REJECTION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50531

Effective date: 1996112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