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420B1 -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420B1
KR930000420B1 KR1019880013059A KR880013059A KR930000420B1 KR 930000420 B1 KR930000420 B1 KR 930000420B1 KR 1019880013059 A KR1019880013059 A KR 1019880013059A KR 880013059 A KR880013059 A KR 880013059A KR 930000420 B1 KR930000420 B1 KR 930000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oor
interrupt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217A (ko
Inventor
탁충현
Original Assignee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금성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3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420B1/ko
Publication of KR90000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중앙처리부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중앙처리부 12 : 인터럽트결징부
13 : 8비트데이타 입/출력버퍼 14 : 입/출력부
15 : 칩선택부 16 : 펄스발생부
17 : 메모리부 18 : 릴레이구동부
19 : 도어닫힘지령용 릴레이 20 : 도어열림지령용 릴레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홀(Hall)부름신호 및 케이지내 부름신호를 등록하는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가 어느한층에 정지되어 그의 도어가 소정시간이상 열린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다른층의 홀부름을 등록하여 운전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게한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부름등록제어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안전스위치(SS)가 도어열림버튼(A)을 통한 후 도어닫힘버튼(B) 및 도어닫힘개시예비지령릴레이(48A)의 적점(48Aa)을 각기 통하고, 다시 과부하검출용 릴레이접점(65Wa)을 통해 도어닫힘지령릴레이(100)에 접속되고, 3초 도어타이머 접점(48Hb)을 운전지령릴레이접점(10Pb) 및 상승운전등록 릴레이접점(92Ub), 하강운전등록릴레이접점(92 Db)을 통해 도어닫힘개시예비지령릴레이(48A)에 접속되어 구성된 것으로, 상기에서 각 릴레이의 a접점(
Figure kpo00001
)은 그의 릴레이가 구동될때 단락(Short)되고, b접점(
Figure kpo00002
)은 그의 릴레이가 구동되지 않을 때 단락되게 되어있고,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 부호 P,N 은 전원단자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로는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도달하여 정지하게 되면 도어가 열리기 시작하고, 이때 도어가 완전히 열리게 되면, 그 순간부에 3초 도어타이머가 구동되어 그 3초도어타이머접점(48Hb)이 개방된다. 이후 3초가 경과되면 그 3초 도어타이머의 구동이 정지되어 그 3초 도어타이머접점(48Hb)이 단락된다. 또한, 이때 엘리베이터는 정지된 상태이므로 운전지령릴레이접점(10Pb)도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 정지한 목적층에서 홀상승부름 및 홀하강부름이 등록되지 않으면 상승운전등록릴레이접점(92Ub) 및 하강운전등록릴레이접점(92Db)은 단락된다. 따라서, 이때 P→48Hb→10Pb→92Ub→92Db→48A→N를 통하는 폐회로가 형성되므로 도어닫힘개시예비지령릴레이(48A)가 구동되어 그의 접점(48Aa)이 단락된다.
또한, 이때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내에 정격부하가 걸려 과부하가 검출되지 않으면 과부하검출용 릴레이가 구동되어 그 과부하검출용 릴레이접점(65Wa)이 단락되고, 또 이때 도어의 좌·우측에 취부된 도어안전스위치(SS)에 승객등이 접촉되지 아니하면 그 도어안전스위치(SS)는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 P→SS→A →48Aa→65Wa→100→N을 통하는 폐회로가 형성되므로 도어닫힘지령릴레이(100)가 구동되어 도어가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가 닫히는 도중에 그 정지된 홀층에서 홀상승부름이 등록되면 상승운전등록릴레이접점(92Ub)이 개방되므로 도어닫힘개시예비지령릴레이(48A)가 구동되지 않아 그의 접점(48Aa)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도어닫힘지령릴레이(100)가 구동되지 않아 도어는 다시 열리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어가 닫히는 도중에 도어열림버튼(A)을 누르게 되면 도어닫힘지령릴레이(100)가 구동되지 않아 도어가 다시 열리게 되고, 또 도어가 열린상태에서 도어닫힘버튼(B)을 누르게 되면 도어닫힘 지령릴레이(100)가 구동되어 도어를 닫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회로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린상태에서 그 정지된 층의 홀상승, 홀하강버튼이 기구적으로 고장나거나, 승객등이 인위적으로 계속 누르고 있으면 도어의 닫힘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때 케이지내에 탑승객이 없어 그 케이지내의 도어닫힘버튼이 눌려지지 않으면 도어가 계속해서 닫해지지 않게되고, 이에따라 다른층에서의 홀상승, 홀하강버튼이 눌러져 부름등록이 되어도 엘리베이터의 운행 출발이 불가능하게 되어 운전효율이 뒤떨어지고, 홀측에서 대기하는 승객에게 불편함을 주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가 어느 한층에 정지되어 그의 도어가 소정시간(대략 30초)이상 열린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다른층에서 홀부름이 등록되면, 도어를 닫고 그 홀부름이 등록된 층으로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11)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인터럽트신호 (IR0-IR7)중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인터럽트신호를 선택하여 인터럽트신호를 발생하는 인터럽트결정부(12)와, 상기 중앙처리부(11)의 데이타신호(D0-D7)버스선과 입/출력부(14)의 데이타신호(D0-D7)버스선을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8비트데이타 입/출력버퍼(13)와, 상기 중앙처리부(11)의 어드레스신호(A0-A15)를 디코딩하여 칩선택신호(CS0-CSn)을 발생하는 칩선택부(15)와, 그 칩선택부(15)의 칩선택신호( CSn)에 의해 인에이블상태로 되어 각층 홀상승부품등록버튼(HU1-HUn)신호 및 각층 홀하강부름등록버튼(HD1-HDn)신호를 검출한 후 그에 해당되는 데이타신호(D0-D7) 값을 출력하는 입/출력부(14)와, 홀부름신호를 24ms주기로 검출하기 위해 24ms주기의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인터럽트결정부(12)에 우선순위 4번째인 인터럽트신호( IR3)로 인가하는 펄스발생부(16)와, 상기 중앙처리부(11)에서 읽어들인 8비트의 데이타신호 (D0-D7) 값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17)와, 상기 중앙처리부(11)에서 출력되는 8비트의 데이타신호(D0-D7)를 입력받아 도어닫힘지령용 릴레이(19) 및 도어열림지령용 릴레이(20)의 구동을 제어하는 릴레이구동부(18)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처리부(11)에서는 어떤층의 홀상승, 홀하강부름등록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검출하여 메모리부(17)에 저장시키게 된다.
즉, 펄스발생부(16)에서 24ms주기로 펄스신호가 발생되어 인터럽트결정부(1 2)에 인터럽트신호(IR3)로 인가되고, 이때, 그 인터럽트결정부(12)의 인터럽트단자( INT)에 인터럽트신호가 출력되어 중앙처리부(11)의 인터럽트단자(INT)에 인가된다.
따라서, 그 중앙처리부(11)는 현재수행중인 프로그램을 중지함과 아울러 인터럽트결정부(12)에 입력되는 인터럽트신호가 어떠한 인터럽트신호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그의 인터럽트 인지단자(INTA)로 인터럽트인지신호를 출력하여 인터럽트결정부 (12)의 인터럽트인지단자(INTA)에 인가한다. 따라서, 이때 그 인터럽트결정부(12)에 입력되는 인터럽트신호(IR0-IR7)는 그의 데이타신호(D0-D7)로 출력되어 8비트 데이타 입/출력버퍼(13)의 데이타신호(D0-D7)단자에 인가되고, 그 데이타신호(D0-D7)는 중앙처리부(11)에서 출력되는 읽기 제어신호(RD)에 의해 그 버퍼(13)를 통해 중앙처리부(11)의 데이타신호(D0-D7)단자에 인가된다. 결국, 펄스발생부(16)에서 출력된 인터럽트신호(IR3)에 의해 중앙처리부(11)에 입력되는 데이타신호(D0-D7)는 홀상승, 홀하강부름등록을 검출하기 위한 입/출력부(14)의 어드레스 값이된다.
따라서, 이때 중앙처리부(11)에서는 입/출력부(14)를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신호를 출력하여 칩선택부(15)에 인가하므로 그 칩선택부(15)에서 칩선택신호(CSn)가 출력되어 입/출력부(14)의 스트로브신호단자(STB)에 인가된다. 이에따라 그 입/출력부(14)는 인에이블상태로 되어, 각층 홀상승부름버튼(HU1-HUn) 및 각층 홀하강부름등록버튼(HD1-HDn)신호를 검출하게 되고, 이와 같이 검출된 신호는 데이타신호( D0-D7)로 출력되고, 이 데이타신호(D0-D7)는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8비트데이타 입/출력버퍼(13)를 통해 중앙처리부(11)에 인가되므로, 중앙처리부(11)는 그 데이타신호(D0-D7)로부터 어느층에서 홀상승부름 또는 홀하강부름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어느층의 홀상승부름 또는 홀하강부름을 검출하면, 메모리부 (17)의 그 층에 해당하는 주소영역에 그 부름등록상태를 기억시키게 되고, 그 부름등록 상태에 따른 운전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을 제3도의 흐름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가 등록된 목적층에 도달하면, 중앙처리부(11)의 제어에 의해 릴레이구동부(18)가 도어열림지령용 릴레이(20)를 구동시켜 도어를 열고, 도어가 완전히 열리면 그 검출신호에 의해 도어열림지령용 릴레이(20)의 구동을 중지시키며, 이와 같이 도어가 완전히 열린 후 3초가 경과하면 중앙처리부(11)의 제어에 의해 릴레이구동부(18)가 도어닫힘지령용 릴레이(19)를 구동시켜 도어를 닫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 정지된 층에서 홀상승 또는 홀하강부름이 등록되면, 상기 도어닫힘지령용 릴레이(19)의 구동을 중지시켜 도어가 다시 열리게하고, 이후 그 정지된 층에서 홀상승 또는 홀하강 부름이 등록되지 않으면 상기와 같이 도어닫힘지령용 릴레이(19)를 구동시켜 도어를 닫는다.
그러나, 이때 그 정지된 층에서 홀상승 또는 홀하강부름 등록이 계속되면 도어열림상태로 계속 대기하고, 그 도어 열림상태가 소정시간, 일예로 30초를 경과하면, 상기에서와 같이 중앙처리부(11)에서 다른층의 홀상승, 홀하강부름등록을 검출하고, 이때 검출되면 도어닫힘지렬용 릴레이(19)를 구동시켜 도어를 닫은 후 그 등록된 목적층으로 운전서비스를 수행하게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가 어느한층에 정지되어 등록버튼의 기구적인 고장 또는 장난으로 인하여 그의 도어가 계속 열린상태에서도 소정시간(대략 30초)이 경과된 이후에 다른층에서의 부름등록이 발생될때 도어를 닫고 그 등록된 목적층으로 운전을 수행하게 되므로 운전효율이 향상되고, 홀측에서 대기하는 승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11)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인터럽트신호 (IR0-IR7)중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인터럽트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중앙처리부(11)에 인터럽트신호를 인가하는 인터럽트결정부(12)와, 상기 중앙처리부(11)의 데이타신호버스선과 입/출력부(14)의 데이타신호버스선을 구별하기 위한 8비트데이타 입/출력버퍼(13)와, 상기 중앙처리부(11)의 어드레스신호를 디코딩하여 칩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칩선택부(15)와, 그 칩선택부(15)의 칩선택신호에 의해 인에이블상태로 되어 각층 홀상승부품등록버튼(HU1-HUn)신호 및 각층 홀하강부름등록버튼(HD1-HDn)신호를 검출한 후 그에따른 데이타신호를 상기 8비트데이타 입/출력버퍼(13)에 인가하는 입/출력부(14)와, 홀부름신호를 소정주기로 검출하기 위해 소정주기의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인터럽트결정부(12)에 인터럽트신호로 인가하는 펄스발생부(16)와, 상기 중앙처리부(11)에서 읽어들인 8비트의 데이타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17)와, 상기 중앙처리부(11)의 제어를 받아 도어 닫힘지령용 릴레이(19) 및 도어열림지령용 릴레이(20)의 구동을 제어하는 릴레이구동부(18)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발생부(16)의 소정주기는 24ms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11)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리고, 그 도어의 열림상태가 소정시간이상 계속될때 다른층이 홀상승 또는 홀하강 부름등록을 검출한 후 도어닫힘지령용 릴레이(19)를 구동시켜 상기 도어를 닫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
KR1019880013059A 1988-10-06 1988-10-06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 KR930000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059A KR930000420B1 (ko) 1988-10-06 1988-10-06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059A KR930000420B1 (ko) 1988-10-06 1988-10-06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217A KR900006217A (ko) 1990-05-07
KR930000420B1 true KR930000420B1 (ko) 1993-01-21

Family

ID=1927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059A KR930000420B1 (ko) 1988-10-06 1988-10-06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4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020B1 (ko) * 2018-11-16 2019-04-22 문성태 부순모래 다량 치환이 가능한 콘크리트용 고성능감수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020B1 (ko) * 2018-11-16 2019-04-22 문성태 부순모래 다량 치환이 가능한 콘크리트용 고성능감수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217A (ko) 199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0226A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US5329075A (en) Elevator door control apparatus
KR930009954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930000420B1 (ko) 엘리베이터 부름등록 제어시스템
US4382489A (en) Apparatus for operating during earthquake
US5549179A (en) Cost effective control of the main switches of an elevator drive motor
KR930009005B1 (ko) 엘리베이터 운전제어방식
KR920001300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JPH0824509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900002613Y1 (ko) 승강기 층수 감지신호 발생장치
JPH07121791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890001551Y1 (ko) 엘리베이터 운행층 선택회로
JP3125446B2 (ja) 電動巻上機
JPH0780665B2 (ja) エレベーターの扉制御装置
KR890005775Y1 (ko) 엘리베이터용 운전 제어 장치
JP2002338186A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KR930009155B1 (ko)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방법
KR840002452Y1 (ko)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
JP2003084828A (ja) 負荷制御装置
KR900006684Y1 (ko) 엘리베이터 운전용 신호처리 회로
JP3598612B2 (ja) 障害物感知機能を有するシャッター制御装置
JPH0513967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SU140789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бора направлени движени кабины лифта
KR970044006A (ko) 자동 복귀 파워 윈도우 시스템
SU60362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движением кабины и открывани дверей лиф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