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775Y1 - 엘리베이터용 운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운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775Y1
KR890005775Y1 KR2019860016891U KR860016891U KR890005775Y1 KR 890005775 Y1 KR890005775 Y1 KR 890005775Y1 KR 2019860016891 U KR2019860016891 U KR 2019860016891U KR 860016891 U KR860016891 U KR 860016891U KR 890005775 Y1 KR890005775 Y1 KR 890005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rocessing unit
central processing
output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952U (ko
Inventor
박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16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775Y1/ko
Publication of KR8800079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9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7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운전 제어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를 적용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내부 표시 패널의 도면.
제3(a)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용 계전기 제어장치용 자동구출 운전장치의 회로도, 제3(b)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용 계전기 제어장치에서의 타이머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3(c)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용 계전기 제어장치의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의 표시 패널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제어용 중앙처리 유니트 2 : 주제어 중앙 처리 유니트
3, 4 : 입출력 포트 5 : 버퍼
6 : 데이타 버퍼 8 : 모터구동기
9 : 어드레스 디코더 10 : 표시등 구동기
12 : 비상상태 검출기
본 고안은 복수층 사이를 운행하는 엘리베이터(이하 E/L이라 칭함)의 운전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E/L의 운행중 비상정지시에 즉시 저속운전으로 바꾸어 가장 가까은 층에 E/L의 케이지를 정지시키도록한 E/L용 운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계전기 제어 E/L운전장치는 E/L주행중에 문제점이 발생되면 E/L의 케이지는 층중간에서 비상정지 하게되는 경우가 있고. 이 상태에서 소정시간을 E/L상태 판별시간으로 하여, 소정시간 후에 저속구출운전으로 전환된후 E/L의 케이지를 최기층으로 이동 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E/L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시간동안에는 E/L의 케이지 내부의 표시패널상의 모든 표시등이 소동되어 E/L승객들은 매우 큰 불안감에 쌓이게되고 혼란을 야기시켜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될수있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E/L용 계전기 제어장치에서 자동 구출운전장치는 제3(a)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 회로 또는 승강로 안전 회로 계통등에 이상이 발생될때에는 복수층을 정상 고속주행중인 E/L이 종종 운행중인 층중간에 비상정지 하게 된다.
즉 비상정지 상태에서는 주행운전 계전기(10A : E/L)의 주행상태에서는 이 계전기(10A)는 회로적으로 여자됨 : 이미 공지된 회로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함)가 소자되어 주행운전계전기(10A)의 상시 폐쇄접점(10Ab)는 폐쇄되고 동시에 E/L이 케이지 도어 개방 영역을 벗어난 층중간에 비상정지된 경우에는 도어 개방영역 검출계전기(10F)는 소자된 상태이므로 도어 개방 영역 검출 계전기(10F)의 상시 폐쇄접점(10Fb)도 폐쇄되므로 전원은 단자(+)→상시폐쇄접점(10Ab)→상시폐쇄접점(10Fb)→자동구출 운전지령 계전기(30G)→단자(-)의 통로를 통하여 흐르므로 E/L의 케이지가 층중간에 비상정지되면 자동구출 운전지령계전기(30G)가 여자된다.
자동구출 운전지령계전기(30G)가 여자되면 자동 구출운전 지령계전기(30G)의 상시 개방접점(30Ga)가 폐쇄되고 상시 폐쇄접점(30Gb)이 개방되어 자동고속 운전 지령계전기(40G)의 전원을 차단하여 자동고속운전 지령계전기(40G)의 상시 폐쇄접점(40Gb)가 폐쇄되어 저속 운전지령 계전기(50G)에 전원을 공급하므로서, E/L은 고속운전 상태에서 저속운전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제3(b)도에 도시된 타이머는 이 순간에 주행운전계전기(10A)의 상시폐쇄접점(10Ab)→자동구출 운전기령 계전기(30G)의 상시개방 접점(30Ga)→의 순서로 루프가 전원에 연결되어 이시점부터 소정시간(예를 들어 3초)계수하여 소정시간후에 타이머(10T)가 여자되고 동시에 E/L의 케이지가 비상정지한 시점에서 최기층으로 운행하기 위하여 상승/하강 방향운전 지령 계전기(20A)가 선택되어 E/L의 케이지는 최기층으로 저속운전되나,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E/L의 케이지가 층중간에서 비상정지하여 최기층으로 자동 구출운전을 하는 시간에 타이머(10T)의 소정시간 지연이 뒤따르게되어 E/L의 케이지에 탑승한 승객에게 불안감을 크게 조성하게 되고, 또한 저속운전지령 계전기(50G)가 여자되면 상시 폐쇄접점(50Gb)이 상승/하강 방향표시등 구동회로를 차단하게 되어 상승/하강 운전방향을 E/L의 케이지내에 탑승한 탑승객이 알수 없어 탑승객에게 혼란을 야기시키게 된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 마이크로 컴퓨터와 종 마이크로 컴퓨터 이중제로 마이크로 제어기의 제어로 E/L이 운행되도록 하므로서 E/L의 구동중 층중간에서 비상 정지될때에는 즉시, 주마이크로 컴퓨터와 종마이크로 컴퓨터는 중앙처리 유니트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호 데이타를 교환시켜 긴급으로 최기층에 자동구출 운전시키므로서 신속하게 E/L의 케이지에 탑승한 승객에게 불안감과 혼란을 야기시키지 않도록하고 E/L의 케이지 내에 표시패널에 케이지 운전 방향 표시등을 점등함과 동시에 E/L의 비상사태를 소정경보 표시를 점등하여 케이지 내에 탑승한 승객의 혼돈을 방지 할수있는 E/L용 운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은 모터제어용 중앙처리 유니트(1)의 데이타버스(a)를 주제어 중앙처리유니트(2)와 입출력포트(3, 4) 및 버퍼(5)에 연결하고, 모터제어용 중앙처리 유니트(1)의 전용 데이터버스(b)를 데이타버퍼(6)에 연결하며, 입출력 포트(3)의 출력단자()를 버퍼(5)의 구동단자()에 연결함과 동시에 반전기(7)를 통해 버퍼(6)의 구동단자()에 연결하고 버퍼(5, 6)의 데이타 출력은 데이타 버스(C)를 통하여 모터구동기(8)에 연결하므로서, 모터제어용 중앙처리유니트(1)나 주제어 중앙처리 유니트(2)에 의하여 모터구동기(8)를 항상제어하도록 하며, 주제어 중앙처리유니트(2)의 어드레스버스(d)는 어드레스 디코더(9)에 연결하고, 어드레스 디코더(9)의 출럭단은 입출력포트(3, 4)에 연결하여서 어드레스 디코더(9)의 출력으로 입출력포트(3, 4)를 제어하도록하고, 입출력포트(4)의 출력단자(U. V. W)에는 광결합기(P) 트랜지스터(Q)로 구성된 표시패널상의 표시등(L) 구동기(10)를 연결하며, 승강로 안전개통 스위치입력(11)에 연결된 비상상태검출기(12)를 모터구동기(8)에 연결하여된 구성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 구성의 작용효과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모터구동 제어회로를 담당하는 모터제어용 중앙처리 유니트(1)와 엘리베이터 전체운행 시스템을 담당하는 주제어 중앙처리 유니트(2)는 항상 데이타 버스(a)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면서 각종 부름신호에 응하여 정상적으로 운행함과 동시에 비상상태 검출기(12)에서는 승강로 안전 계통 스위치 입력(11)에 입력되는 정보신호를 탐색한다.
만약 안전 계통 스위치 정보신호에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긴급으로 모터구동기(8)를 차단하여 층 중간에 비상정지 시킨다.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최기층으로 자동구출운전 시키기 위해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모터제어용 중앙처리 유니트(1)에서 모터 구동회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상기 비상상태에서는 주제어 중앙처리 유니트(2)에서 모터 구동회로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주제어 중앙처리 유니트(2)의 주프로그램에서는 입출력포트(3) E/L비상상태 발생시 모터측과 주제어측 중앙처리 유니트의 데이타버스를 교환하도록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입출력 포트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입출력포트(3)의 메모리 영역에 해당하는 번지값이 어드레스 버스(d)를 통해서 어드레스 디코더(9)에 입력되면 어드레스 디코더(9)에서는 입출력포트(3)의 선택단자()에 " 로우 " 신호를 입력 시킨다.
그러면 입출력포트(3) 소자는 주제어 중앙처리 유니트(2)의 데이타 버스로 연결되고 동시에 주제어 중앙처리 유니트(2)의 제어신호()단자를 통해서 입출력포트(3)의 신호단자()에 " 로우 "신호를 입력시키고 동시에 입출력 포트(3)의 출력단자()에서 " 로우 " 신호가 발생되도록 데이타값을 입출력포트(3)와 연결된 데이타버스(a)로 출력시킨다.
입출력포트(3)의 출력()에서 " 로우 " 신호가 발생되면 반전기(7)에 의해서 버퍼(6)의 구동단자()에 " 하이 " 신호가 입력되어 모터 제어용 중앙처리 유니트(1)와 연결된 버퍼(6)를 차단시키고, 반대로 버퍼(5)의 출력신호단자()에 " 로우 " 신호가 입력되므로서, 버퍼(5)가 구동된다.
따라서 주제어 중앙처리 유니트(2)의 데이타 버스(a)와 연결된 버퍼(5)를 통해서 모터구동기(8)에 E/L저속구출 운전데이타 신호가 전달되므로서, 비상정지한 층에서 최기층으로 구출운전을 이행하고 동시에 저속 구출운전 방향이 상승방향 운전이면, 주제어 중앙처리유니트(2)의 주프로그램에서는 입출력포트(4)의 엘리베이터패널에 착설된 램프 구동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입출력포트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입출력포트(4)의 메모리영역에 해당하는 번지 값을 어드레스(d)를 통해서 어드레스 디코더(9)에 전달하므로서, 어드레스 디코더(9)에서는 입출력포트(3)의 단자()에 " 로우 " 신호를 입력시켜서 입출력포트(4)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입출력포트(4)는 주제어 중앙처리 유니트(2)의 데이타버스(a)와 연결되어 앞서 기술한 내용과 같이 제어신호()와 함께 데이타버스를 통해서 제2도에서 도시된 패널에 취부된 상승방향 표시등(나)를 점등시키기 위해서 입출력포트(4)의 상승출력 신호단자(U)에 " 로우 " 신호를 출력시키면 광결합기(P)의 광트랜지스터가 온되고, 동시에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단자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가 온되면 상기 방향표시등 램프(L)가 트랜지스터(Q)를 통해서 점등된다.
반대로 자동구출운전 방향이 하강방향이면 입출력포트(4)의 하강출력신호단자에 " 로우 " 신호를 출력시켜 표시등 구동기(10)에 의해서 제2도에서 하강방향 표시등(라)이 점등된다.
동시에 엘리베이터가 층중간에 비상정지하여 최기층으로 자동구출운전을 이행하는 동안에 입출력포트(4)의 출력신호단자(GF)에 앞서 기술한 내용대로 " 로우 " 신호를 출력시켜 현재 엘리베이터가 저속자동구출중 이라는 비상등을 표시등 구동기(10)로서 점등한다.
즉, 제2도의 비상등(다)가 점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E/L의 운전중의 비상상태에 따라 발생된 안전계통 스위치 정보신호에 의해 E/L의 케이지가 층중간에 정지되는 경우에 즉시 주제어 중앙처리 유니트와 모터제어용 중앙처리 유니트의 프로그램에 의해 상호 데이타를 교환시켜 E/L의 케이지를 긴급으로 최기층에 자동구출 운전시킬수 있으며, 동시에 케이지 내부의 표시반 제어패널상에 현재의 비상상태를 케이지의 탑승객에게 알릴 수 있어 탑승객의 불안감과 혼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므터구동제어 회로를 담당하는 모터제어용 중앙처리 유니트(1)와 엘리베이터 전체운행 시스템을 담당하는 주제어 중앙처리 유니트(2)와로 연결구성된 엘리베이터 운전제어 장치에 있어서, 모터 제어용 중앙처리 유니트(1)의 데이터 버스(a)를 주제어 중앙처리 유니트(2), 입출력포트(3, 4) 및 버퍼(5)에 연결하고, 모터제어용 중앙처리 유니트(1)의 전용데이타 버스(b)를 데이타 버퍼(6)에 연결하며, 입출력포트(3)의 출력단자()를 버퍼(5)의 구동단자()에 연결함과 동시에 반전기(7)를 통해 버퍼(6)의 구동단자()에 연결하고, 버퍼(5, 6)의 데이타 출력은 데이타 버스(C)를 통하여 모터 구동기(8)에 연결하므로서 모터제어용 중앙처리 유니트(1)나 주제어 중앙처리 유니트(2)에 의하여 모터구동기(8)를 항상 제어하도록하며, 주제어 중앙처리 유니트(2)의 어드레스 버스(d)는 어드레스 디코더(9)에 연결하고, 어드레스 디코더(9)의 출력단은 입출력포트(3, 4)에 연결하여서 어드레스 디코더(9)의 출력으로 입출력 포트(3, 4)를 제어하도록 하고, 입출력포트(4)의 출력단자(U. V. W)에는 광결합기(P)와 트랜지스터(Q)로 구성된 통상의 표시 패널상의 표시등(L)구동기(10)를 연결하며, 승강로 안전계통 스위치 입력(11)에 연결된 비상상태 검출기(12)를 모터구동기(8)에 연결하여서된 엘리베이터용 운전 제어장치.
KR2019860016891U 1986-10-31 1986-10-31 엘리베이터용 운전 제어 장치 KR890005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891U KR890005775Y1 (ko) 1986-10-31 1986-10-31 엘리베이터용 운전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891U KR890005775Y1 (ko) 1986-10-31 1986-10-31 엘리베이터용 운전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952U KR880007952U (ko) 1988-06-29
KR890005775Y1 true KR890005775Y1 (ko) 1989-08-26

Family

ID=1925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891U KR890005775Y1 (ko) 1986-10-31 1986-10-31 엘리베이터용 운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7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952U (ko) 198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7883C (en) Electronic wire bridge with safety circuit
US4832157A (en) Displaying device for elevator
KR890005775Y1 (ko) 엘리베이터용 운전 제어 장치
US5780788A (en) Special emergency service control arrangement for elevator car
KR900004574Y1 (ko) 저속마이크로 컴퓨터 엘리베이터용 계전기 구동 및 상호 폐쇄 장치
JPH0622777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920003737B1 (ko)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JPH0125648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544493B2 (ja) エレベ―タ―の非常時運転装置
JPH0543191Y2 (ko)
RU2328438C2 (ru) Подъемник и способ спасательной операции в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м оборудовании (варианты)
KR930009005B1 (ko) 엘리베이터 운전제어방식
JP3334154B2 (ja) エレベーターの点検運転装置
JP335591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216465Y2 (ko)
KR850000834Y1 (ko) 디지탈 회로를 이용한 승강기용 도착예보등 제어회로
JPS63348B2 (ko)
KR850004558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회로
JPS58113088A (ja) 乗客コンベヤの運転表示装置
JPH074807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8225270A (ja) エレベータ作業支援装置
KR920003544Y1 (ko)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장치
KR940002168Y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스위치 개폐 검출 회로
KR930007065Y1 (ko) 엘리베이터 구출운전 선택회로
JPH0524663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