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737B1 -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737B1
KR920003737B1 KR1019890013470A KR890013470A KR920003737B1 KR 920003737 B1 KR920003737 B1 KR 920003737B1 KR 1019890013470 A KR1019890013470 A KR 1019890013470A KR 890013470 A KR890013470 A KR 890013470A KR 920003737 B1 KR920003737 B1 KR 920003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elevator
switch
cpu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127A (ko
Inventor
전상호
Original Assignee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금성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3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737B1/ko
Publication of KR910006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운전 시킨스 회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장치의 회로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 방법의 동작설명을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타이머 21 : 우선순위 결정회로
31 : CPU 41-44 : 검출회로
51-54, 61 : 버퍼 71 : 디코더
CA1~CAn, Hu1~Uun, HD2~HDn : 케이지 및 홀부름 선택스위치
MT, ATT, PK : 모드 선택스위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케이지 부름 등록과 운행방향(상승 또는 하강)을 제어하도록 한것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회로는 제 1 도와 같이, 고속운전중인 엘리베이터를 휴지시키기 위해서 패킹층으로 설정한 홀 버튼과 함께 취부된 패킹스위치(SW)를 온 시키면 패킹 운전지령 릴레이(97P)가 여자되면서 이 릴레이의 a접점(97P)이 온 접점되어 선택회로부(10)의 단자점(A)에 전원이 인가되어 선택회로부(10)의 단자점(A)에 연결된 회로가 동작하게 되고, 패킹스위치(SW) 앞단에 직렬로 연결된 케이지 저속운전 릴레이가 여자되어 있는 상태이면 이 릴레이의 b접점(43C)이 오프되어 회로가 차단된다. 그러므로, 저속운전중에는 패킹 운전지령은 무효화된다.
상기 릴레이(97P)의 여자에 의해서 온되는 a접점(98P1)을 통해 선택회로부(10)의 단자점(A)과 연결되는데, 이 단자점(A)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패킹층의 변경시에 단자점(B, C, D)에 연결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패킹층을 1층으로 설정하여 예를들어 설명하면, 선택회로부(10)의 단자점(A)은 상기 패킹 운전지령 릴레이(97P)의 a접점(97P1)이 패킹스위치(SW)에 의해 온 전원(P)→97P1→A→D→511→전원(N)으로 폐회로가 구성됨에 따라 릴레이(511)가 여자되게 된다.(이는 1층 케이지 부름이 등록된 상태)
그리고, 상기 패킹층 확인 릴레이(97L)의 b접점(97L2)은 엘리베이터가 각 부름에 대해 서어비스를 한후 패킹층에 도착하면 오프되는 접점으로서, 패킹층확인 릴레이(97L)가 여자되면 릴레이(930-911)의 C접점(930C-911C)을 통한 전원공급은 차단된다. 이에 엘리베이터가 패킹층에 도착하기 전까지는 패킹층확인 릴레이(97L)는 여자되지 않게 되는데, 이의 단자점(E)은 선택회로부(10)에서 패킹층으로 설정된 층과 동일하게 케이지 위치검출용 릴레이(930-911)의 입력측에 접속된 단자점(F, C, H)에 연결되어, 패킹층이 1층이면 단자점(E)은 단자점(H)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업/다운 운전지령 릴레이의 C접점(11X, 12X)은 케이지 상승(UP) 및 하강(Down)운행 방향에 따라 층 검출 콘넥터(1U-30U)(1D-3D)에 접촉되어 케이지 위치검출용 릴레이(930-911)들을 여자되게 하여 엘리베이터 상승 및 하강 방향을 결정에 따라 엘리베이터 운전지령 릴레이(10)가 여자된다.
패킹층 확인 릴레이(97L)측에서 엘리베이터가 임의층으로 운행중 패킹스위치(SW)가 온되면, 패킹 운전지령 릴레이(97P)가 여자되어 이의 다른 a접점(97P2)은 패킹층인 1층의 오픈영역(open Zone)에서 멈추면 패킹층 확인용 릴레이(97L)는 전원(P)→11X→1D→H→E→97P2→103→92→40G→97L→N으로 폐회로가 구성되어 여자된다. 그러므로, 도아가 열리기전에 패킹층 확인 릴레이(97L)가 여자되면 이의 자기유지 a접점(97L1)이 온되어 자기 유지상태로 홀딩된다. 또한 패킹층 확인 릴레이(97L)가 여자되면 이의 b접점(97L2)은 오프되어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되므로 부름 등록을 불허하는 동시에 케이지 홀부름 차단과, 카내의 조명등을 점멸시킨 다음 도어를 닫아 패킹상태로 대기하도록 제어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어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회로는 릴레이를 이용한 시퀸스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에 패킹운전을 행하는 릴레이가 너무 많이 필요하여(적어도 10개 이상)회로가 복잡하게 구성되고, 이에 따른 배선연결이 어려우므로 사용자측의 요구에 따라 패킹층을 변경하고나 할때에는 배선 변경 연결이 매우 곤란하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패킹층에 도착하여 도어 열림과 동시에 엘리베이터내 조명등을 점멸함에 따라 승객에게 불안감을 주게되는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문제점을 해결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패킹층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고, 승객에게 불안감을 주는 것을 해결하여 보다 안락한 서어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주목적을 둔 것이다.
이하, 본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와 같이 케이지 부름 선택스위치(CA1-CAn)와 홀부름 선택스위치(HU1-HUn)(HD2-HDn)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회로(41)(42)(43)와, 각종 모드 선택으로서 보수 선택스위치(MT)와 전용수동 선택스위치(ATT)와 패킹스위치(PK)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회로(44)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회로(41-44)에서 검출한 출력 데이타 정보(D0-D7)를 CPU(31)에 입력시키기 위한 버퍼(51-54)와, 각종 외부데이타 정보시호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버퍼(61)와, 상기 CPU(31)에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인터럽트 우선순위 결정회로(21)의 입력측에 타이머 회로(11)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CPU(31)의 어드레스단자(A0-A15)를 통해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상기 검출회로(41-44)를 선택 지정하는 어드레스 디코더(71)를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의 고속운전 모드에서 관리자가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이나 엘리베이터 보수로 인해 선정된 패킹층으로 자동복귀시키기 위해(휴지상태)패킹층의 홀부름 선택스위치(Hu1-Hun, HD2-HDn)나 감시반에 설치된 패킹스위치(PK)를 온시켰다면 입력신호 검출회로(44)의 입력 패킹스위치(PK)를 통해 전원(P)이 인가되어 상기 검출회로(44)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데이타 버스(D0-D7)를 거쳐 버퍼(54)에 입력된다. 버퍼(54)에 입력된 데이타 버스(D0-D7)와 버퍼(61)를 통해 CPU(31)에 입력된다. 이때 CPU(31)에서는 메인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도중에 타이머(11)에서 일정주기로 발생되는 신호를 인터럽트 우선순위 결정회로(21)는 그의 인터럽트단자(INT)를 통해 일정한 주기의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시켜 CPU(31)는 그 즉시 인터럽트를 수행한다.
따라서 CPU(31)는 메인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우선순위 결정회로(21)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입력되는 인터럽트신호(1NT)를 받는 즉시 이의 인터럽트단자
Figure kpo00001
를 통해서 우선순위 결정회로(21)의 입력신호(IR)에 대한 해당 어드레스(IR4)에 해당하는 입/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CPU(31)의 어드레스 단자(A0-A15)를 통해서 어드레스 디코더(71)에 전달한다. 이와 동시에 디코더(71)는 CPU(31)로부터 입력된 어드레스를 해독하여 상기 신호(IR4)에 해당하는 입/출력에 대한 칩 셀렉터신호(CS4)를 "하이"로 하여 검출회로(44)의 인에이블단자(E)에 입력시켜 검출회로(44)에 연결된 각종 스위치 상태에 대한 데이타를 버퍼(54)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버퍼(54)에 입력된 데이타는 출력 데이타 버스(D0-D7)를 통해 버퍼(61)에 입력되고, CPU(31)에서는 우선순위 결정회로(21)의 신호(IR4)에 해당하는 데이타 정보를 버퍼(61)로부터 입력하여 메인 프로그램상에서 패킹스위치(PK)가 입력되었는가를 체크하여 패킹스위치(PK)가 온 되었다면 CPU(31)는 버퍼(61)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번역하여 메인 프로그램상에서 패킹운전모드를 세트시킨다(제 3 도 참조). 이때부터 메일 프로그램을 고속운전 모드에서 패킹 운전을 실행하게 되고 또한, 타이머(11)에서 일정한 주기로 발생되는 신호(IR4)에 해당하는 각종 운전스위치 및 케이지, 홀부름 선택스위치(CA1-CAn, Hu1-HUn, HD2-HDn)를 체크하여 패킹운전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된다.
즉, 패킹운전무드가 세트되는 동시에 프로그램상에서 정의한 케이지 부름 등록 메모리에 케이지부름을 1층을 세트하는데 이것은 패킹스위치(PK)가 오프되면 케이지 부름 1층은 리세트하게 된다. 이후 메인 프로그램은 제 3 도의 플로우챠트와 같이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프로그램이 제 3 도의 패킹층에 도착하면 자동으로 도어를 열고, 일정주기로 체크하는 검출회로(44)의 각종 운전스위치를 체크하여 전용수동 선택스위치(ATT)가 온된 상태에서 패킹층에 엘리베이터가 도착하였다면 전용수동 램프를 점멸시켜 깜빡거리게 하며 도어를 닫지 않는다. 이때, 전용수동 선택스위치(ATT)를 오프하면 3초후(설정시간)에 도어를 닫는다. 도어를 닫은후 바로 케이지내 조명등을 오프하고, 홀측 램프를 오프하며, 케이지내 도어 열림 버튼 램프를 온시켜 점등시킨다.
상기 상태를 수행한 후 도어 열림 버튼이 세트되었는가를 계속 체크하며 패킹상태로 엘리베이터를 대기한다.
그리고, 도어 열림 버튼이 5번 이상 등록되었다면 감시반의 장난 램프를 온시켜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다시 패킹스위치(PK)가 오프된다면 프로그램은 패킹운전모드를 리세트하여 고속운전 모드로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제어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제어되도록 하므로서, 종전과 같이 릴레이를 이용한 배선의 어려움이나 복잡성을 배제할 수 있게 하고, 승객에게 항상 안락한 서어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패킹층에 도착하여 도어 열림과 동시에 케이지내 조명등을 오프시키기로 미쳐 내리지 못한 승객에게 도어를 다시 열수 있도록 도어 열림 버튼 램프를 점등시켜 승객의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프로세서를 이용하므로 배선연결이 간단하여 패킹층 변경이 용이할 수가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 운전을 시퀸스에 의해 제어하도록 한것에 있어서 : 홀부름 선택스위치(Hu1-HUn)(HD2-HDn)와 각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MT)(ATT)(PK)를 검출하는 검출회로(41-44)와, 검출된 검출신호를 CPU(31)에 전송하는 버퍼(51-54)(61)와,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디코더(71) 및, CPU(31)의 인터럽트를 결정하는 인터럽트 우선순위 결정회로(21)와, 상기 우선순위 결정회로(21)에 일정주기로 발생되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타이머(1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2. 엘리베이터를 시퀸스적으로 운전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 엘리베이터 운전중 패킹스위치(PK)가 선택되어 패킹 운전모드 상태에서 해당 패킹층의 케이지 부름 CPU(31)에 세트하고, 엘리베이터 운행방향(상, 하강)을 체크하여 동방향으로 미리 등록된 부름과 이후 등록된 부름을 검출회로(41-44)에 의해서 등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PU(31)에 세트된 패킹층으로 도착한 후 도어를 열고 3초후 케이지내 조명등과 승강장 표시 램프(IND) 감시반의 제어 램프(CPI)를 점멸하고, 케이지내 오퍼레이팅 보드의 도어열림 램프를 점등하는 즉시 도어를 닫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 전용수동 선택스위치(ATT)가 온되고 패킹층에 도착되면 전용수동 운전 램프가 점멸하고 전용수동 선택스위치(ATT)가 오프되면 도어를 닫고 패킹상태로 대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KR1019890013470A 1989-09-19 1989-09-19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920003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3470A KR920003737B1 (ko) 1989-09-19 1989-09-19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3470A KR920003737B1 (ko) 1989-09-19 1989-09-19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127A KR910006127A (ko) 1991-04-27
KR920003737B1 true KR920003737B1 (ko) 1992-05-09

Family

ID=1928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470A KR920003737B1 (ko) 1989-09-19 1989-09-19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7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127A (ko) 199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2157A (en) Displaying device for elevator
KR920003737B1 (ko)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US5074385A (en) Call registration apparatus in an elevator system
JPS6225589B2 (ko)
KR890005775Y1 (ko) 엘리베이터용 운전 제어 장치
JP2544493B2 (ja) エレベ―タ―の非常時運転装置
JPH07257833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H0421758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時間制御装置
KR930009005B1 (ko) 엘리베이터 운전제어방식
KR900006684Y1 (ko) 엘리베이터 운전용 신호처리 회로
JPH0125648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513967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S6012484A (ja) エレベ−タ−の表示装置
JPH02305783A (ja) エレベーターの自動救出運転装置
JPH05201623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KR910009235Y1 (ko)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회로
JPH08225270A (ja) エレベータ作業支援装置
JPH0929096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5229755A (ja)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JPH0826638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H03186582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表示装置
JPH06144736A (ja) エレベーターの自動点検装置
JPH04125265A (ja) エレベータの乗場呼び登録装置
JPH05338935A (ja)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JPH07112907B2 (ja) エレベ−タの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