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544Y1 -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544Y1
KR920003544Y1 KR2019870012884U KR870012884U KR920003544Y1 KR 920003544 Y1 KR920003544 Y1 KR 920003544Y1 KR 2019870012884 U KR2019870012884 U KR 2019870012884U KR 870012884 U KR870012884 U KR 870012884U KR 920003544 Y1 KR920003544 Y1 KR 920003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elevator
floor
rela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2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713U (ko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금성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2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544Y1/ko
Publication of KR890002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5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승강기 신호 회로도.
본 고안은 승강기용 버튼의 상태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 시간이 지나면 개방 접점이 폐쇄접점으로 바뀌는 타이머를 설치하여 승강기 케이지 내부의 버튼이나 홀의 버튼의 구조상결함에 의한 버튼의 박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강기 신호 회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 먼저 2층의 홀 하강버튼(20)이 구조상 결함으로 박힌 상태가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2층 하강 등록 릴레이(812)가 온되어 그 접점(812)에 의해 본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홀부를 유지 및 해제 회로부(1)를 통해 유지된다.
이에 따라서 승강기(이하 E/L이라 약칭함)은 2층으로 기동 및 감속정지하게 되면 도어가 개방되는데 홀하강버튼(20)이 박힌 상태로 유지되므로 2층 하강 등록 릴레이(812)가 연속적으로 온되어 도어를 닫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다른 층에서의 E/L부룸에는 응할 수가 없게 되고, 또한 E/L제어실이나 관리실에서는 이러한 버튼박힘 상태를 알수 없게되어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E/L의 캐이지 내에 있는 버튼이 박힌 상태로 있게되면 버튼이 박힌 상태가 되는 해당층에 승객이 없어도 E/L은 연속적으로 운전이 되므로 필요없는 소비전력을 증가시키게 될뿐 아니라 필요없이 버튼이 박힌 해당층에 E/L의 케이지가 정지하게 되므로 승객이 다른 목적 층에 도달하는 데에도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게 위하여 소정 시간이 지나면 개방 접점이 폐쇄 접점으로 바뀌는 타이머를 설치하여 승강기 캐이지 내부의 버튼이나 홀의 버튼 구조상 결함에 의한 버튼의 박힘이 발생 되었을때 타이머를 작동시켜 승강기 제어실이나 관리실에 소정 경고 등을 점등시키거나 경고 장치를 가동시켜 관리인이나 제어자에게 인지시키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은 승강기 케이지 위치 검출릴레이(911-920) 및 릴레이(511-520, 711-719, 812-820)를 포함하는 공지의 승강기 신호 회로에 있어서, 운전반 등록버튼(1C-10C)의 일측을 다이오드(CD1-CD10)를 통하여 승강기 캐이지 위치 검출 릴레이의 폐쇄 접점(9111-9201)에 연결함과 동시에 개방 접점(9112-9202)과 승강기 운전 검출 릴레이 접점(101)을 거쳐서 운전반 버튼 박힘 검출 타이머(CBLT)에 연결하고, 홀 하강 및 상승버튼(1U, 2U-9U, 2D-10D)을 다이오드(D1-D18)을 통하여 등록 릴레이(711-719, 812-820)에 연결함과 동시에 위치 검출 릴레이의 접점(9114-9194, 9123-9203) 및 운전 검출 릴레이 접점(102)을 거쳐서 홀 버튼 박힘 검출 타이머(HBLT)에 연결하며, 운전반 버튼 박힘 검출 타이머(CBLT)의 개방접점(CBLT1)과 홀 버튼 박힘 검출릴레이(HBLT)의 개방접점(HBLT1) 및 등록버튼 박힘 검출 릴레이(BL)의 개방접점(BL1)의 병렬 접속은 등록 버튼 박힘 검출릴레이(BL)에 연결하되, 등록 버튼 박힘 검출릴레이(BL)의 개방접점(BL2)에는 경고부져(BZ)를 연결하여된 구성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의 장치의 작용효과는,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캐이지 등록 버튼 박힘 검출 타이머 및 홀등록 버튼 박힘 검출 타이머는 온 릴레이 타이머로서 온 릴레이 타이머는 타이머에 전원이 공급되어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그의 접점인 개방(OPEN)접점은 폐쇄(CLOSE)접점으로 절환되며, 폐쇄 접점은 개방 접점으로 절환되는 타이머이다.
그러면 2층 홀 하강 등록 버튼(20)을 누르게 되면 접점(2D)과 다이오드(D2)를 통해 2층 홀 하강 등록 릴레이(812)가 온되어 그의 접점(812)과 공지된 홀부름 홀딩 및 해제 회로부(1)를 통해 2층 홀 하강 등록 릴레이(812)는 2층 홀 하강 등록 버튼(2D)에서 손을 떼더라도 홀딩된다.
따라서 공지된 회로에 의해 E/L가 2층에 도착하게 되면 공지된 홀부름 홀딩 및 해제 회로부(1)가 작동하여 2층 홀 하강 등록 릴레이(812)는 오프되고, 또한 공지된 회로에 의해 도어는 오픈을 행함으로서 2층의 홀 하강 브룸(2D)에 대한 기능수행을 마치게 된다.
그후, 도어가 닫히게 될때 다시 2층 홀 하강 등록버튼(2D)을 누르게 되면 누르는 동안만 2층 홀 하강 등록 릴레이(812)가 온되어, 공지된 회로에 의해 도어는 재차 열리(REOPEN)게 된다.
그러나 2층 홀 하강 등록 버튼(2D)이 박힌 상태로 있게되면 승강기가 2층에 도착하여 홀 부름 홀딩 및 해제 회로부(1)가 작동 하지만 2층 홀 하강 등록 릴레이(812)는 버튼 (2D)을 통해 계속 온되게 된다.
그러면, 2층 위치 검출 릴레이의 접점(9123)과 E/L운전 검출 릴레이의 접점(102)을 통해 (죽 2D→9123→102순으로)홀 버튼 박힘 검출 타이머(HBLT)에 전원이 인가되는데, 이때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해서 전기한 버튼(2D)이 눌러져 있으면 전기한 홀 버튼 박힘 검출 타이머(HBLT)가 온이되어, 그의 접점(HBLT1)이 온이되므로 등록 버튼 박힘 검출 릴레이(BL)가 작동되어 그의 접점(BL1)으로 자기 홀딩시키고, 접점(BL2)을 통해 부져(BZ)를 작동시켜 등록 버튼이 박힌 상태에 있음을 경비실이나 관리실에 통보하게 됨에 따라 신속하게 보수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어는 2층 홀 하강 등록 릴레이(812)가 계속해서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도어는 닫힐 수 없게 되어 열린 상태로 있게 된다.
이어 운전반 등록 버튼에 대해 설명하면 E/L가 1층에 있는 경우에 승객이 케이지에 들어가 9층 운전반 등록 버튼(9C)을 누르게 되면 9층 운전반 등록 버튼과 다이오드(CD9) 및 9층 검출 릴레이층이 접점(9191)을 통해 9층 운전반 등록 릴레이(519)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9층 운전반 등록 릴레이(519)가 온이된다.
그러면 그이 접점(5191)에 의해 승객이 9층 운전반 등록 버튼(9C)에서 손을 떼더라도 자기 홀딩 된다.
따라서 공지된 회로에 의해 E/L가 9층에 도착하게 됨에따라 9층 검출 릴레이의 접점(9191)의 동작에 의해 9층 운전반 등록 릴레이(519)는 오프된다.
또한, 공지된 회로에 의해 도어가 열리게 됨으로서 9층의 운전반 부름에 대한 기능 수행이 마쳐지게 된다.
그러나 전기한 9층 운전반 등록 버튼(9C)이 박힌 상태로 있게되면 9층 운전반 등록 버튼(9C)과 9층 위치 검출 릴레이의 접점(9192) 및 E/L 운전 검출 릴레이의 접점(101)을 통해 운전반 버튼 박힘 검출 타이머(CBLT)에 전원이 인가되는데, 이때 소정 시간이 경과 할때까지 계속해서 9층 운전반 등록 버튼(9C)이 눌러져 있으면 운전반 버튼 박힘 검출 타이머(CBLT)가 온 되어 그의 접점(CBLT1)이 온이되므로 등록 버튼 박힘 검출 릴레이(BL)가 작동되어 그의 접점(BL1)으로 자기 홀딩시키고, 접점(BL2)에 의해 부져(BZ)를 작동시켜 등록 버튼이 박힌 상태에 있는 것을 경비실이나 관리실에 통보하여 신속하게 보수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지된 회로에 의해 도어가 닫히게 되면 E/L는 다른층 부름에 응답하기 위해 기동하게 되므로 운전 검출 릴레이의 접점(101)이 개방되어 운전반 버튼 박힘 검출 타이머(CBLT)는 오프되지만, 등록 버튼 박힘 검출 릴레이(BL)는 자기 접점(BL1)으로 홀딩되어 있으므로 E/L가 운전중인 상태에도 계속해서 부져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E/L가 정지 상태에서 도어가 닫히게 되지 않고 부져가 동작하게 되면 어느 층에서 홀 버튼이 박힌 상태에 있는지를 알 수 있고, 또한 E/L가 운전 상태에서 부져가 동작하게 되면 캐이지내 운전반 버튼이 한 개이상 박힌 상태인 것을 쉽게 알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은 홀버튼은 2층 하강 등록 버튼에서, 운전반 버튼은 9층 등록 버튼이 박혀 있는 것에 대해 예를들어 설명했으나, 기타층 버튼이 박힌 경우도 그 동작 설명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했으며, 또한 본 고안의 회로도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최상층을 10층으로 하여 표시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장치에 의하면 E/L가 정지되어 있는 층에서 소정 시간이상 까지 그층 버튼이 계속해서 눌러져 있는 것을 검출하여 버튼 박힘 통지용 부져를 동작시켜 건물의 경비실이나 관리실 및 승객에게 통지 시킴에 따라 신속하게 보수를 행할 수 있고, 동시에 종래와 같이 홀 버튼이 박혀 도어가 닫히게 되지 않아 고장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층의 홀에서 기다리고 있는 승객이 장시간 동안 E/L를 이용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캐이지 내의 운전반 버튼이 박혀 캐이지 내의 승객이 원하지도 않은 층에 E/L가 기동 및 감속정지함에 따른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의 운전 층에 응답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승강기 캐이지 위치 검출 릴레이(911-920) 및 릴레이(511-520, 711-719, 812-820)를 포함하는 공지의 승강기 신호 회로에 있어서, 운전반 등록 버튼(1C-10C)의 일측을 다이오드(CD1-CD10)를 통하여 승강기 케이지 위치 검출 릴레이의 폐쇄 접점(9111-9201)에 연결함과 동시에 개방 접점(9112-9202)과 승강기 운전 검출 릴레이 접점(101)을 거쳐서 운전반 버튼 박힘 검출 타이머(CBLT)에 연결하고, 홀 하강 및 상승버튼(1U, 2U-9U, 2D-10D)을 다이오드(D1-D18)을 통하여 등록 릴레이(711-719, 812-820)에 연결함과 동시에 위치 검출 릴레이의 접점(9114-9194, 9123-9203) 및 운전 검출 릴레이 접점(102)을 거쳐서 홀 버튼 박힘 검출 타이머(HBLT)에 연결하며, 운전반 버튼 박힘 검출 타이머(CBLT)의 개방접점(CBLT1)과 홀 버튼 박힘 검출릴레이(HBLT)의 개방접점(HBLT1) 및 등록버튼 박힘 검출 릴레이(BL)의 개방접점(BL1)의 병렬 접속을 등록 버튼 박힘 검출릴레이(BL)에 연결하되, 등록 버튼 박힘 검출릴레이(BL)의 개방접점(BL2)에는 경고부져(BZ)를 연결하여된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장치.
KR2019870012884U 1987-07-31 1987-07-31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장치 KR920003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884U KR920003544Y1 (ko) 1987-07-31 1987-07-31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884U KR920003544Y1 (ko) 1987-07-31 1987-07-31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713U KR890002713U (ko) 1989-04-08
KR920003544Y1 true KR920003544Y1 (ko) 1992-05-30

Family

ID=1926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2884U KR920003544Y1 (ko) 1987-07-31 1987-07-31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5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713U (ko) 198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13035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920003544Y1 (ko) 승강기용 버튼 상태 검출장치
JPH0416472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596618B2 (ja) エレベータ安全スイツチの短絡装置
JP3475430B2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H0859107A (ja) かご内案内装置
JPS6149235B2 (ko)
JP2670194B2 (ja) ダムウエ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H06156912A (ja) エレベータの防犯装置
JPH07277626A (ja) エレベータ安全スイッチの短絡装置
JPH019821Y2 (ko)
JPH0733369A (ja) エレベータの扉制御装置
JPH0711288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583188Y2 (ja) カサイジ ノ ヒナンアンナイソウチ
JP2000255915A (ja) エレベータ
JPS6311265Y2 (ko)
JPH0524663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732974B2 (ja) エレベータのスイツチ動作の異常検出装置
JP2518219Y2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H0125648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761730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2000219467A (ja) エレベータの乗り場戸開装置
JP2531394Y2 (ja) エレベーターのパーキング運転装置
JPH0731763U (ja) エレベータの停電時自動着床装置
JPH04338091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