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452Y1 -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 - Google Patents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452Y1
KR840002452Y1 KR2019820006356U KR820006356U KR840002452Y1 KR 840002452 Y1 KR840002452 Y1 KR 840002452Y1 KR 2019820006356 U KR2019820006356 U KR 2019820006356U KR 820006356 U KR820006356 U KR 820006356U KR 840002452 Y1 KR840002452 Y1 KR 840002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ntact
evacuation floor
elevator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6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102U (ko
Inventor
박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20006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452Y1/ko
Publication of KR8400011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1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4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타임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3도의 (a)는 타이머(TIMER)의 외부 접속도.
(b)는 타임차트(TIME CHAR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M1: 타이머에 정격전압이 가하여져서 어떤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내부의
접점에 절환되는 온 딜레이 타이머(ON Delay Timer)
1-8 : 딜레이 타이머(TM1)의 단자
TM1-1: 평상시에 단락되어 있다가 타이머(TM1)의 단자(1,2)에 정격전압이 인가되면 타이머에 조정되어 있는 일정 시간 후에 개방되는 온딜레이 타이머(TM1)의 접점
TM1-2: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다가 타이머(TM1)의 단자(1,2)에 정격전압이 인가되면 일정 시간후에 단락되는 온딜레이 타이머(TM1)의 접점
TM1-3: 평상시에 개방 되어 있다가 타이머(TM1)의 단자(1,2)에 정격전압이
인가되면 바로 단락되는 온딜레이 타이머(TM1)의 접점
RS : 피난층 복귀 스위치
A : 피난층 복귀지령 릴레이
B : 스톱지령 릴레이
A1,A2: 피난층 복귀스위치를 누르면 온되는 피난층 복귀릴레이(Relay)의 a접점
B1,B2: 엘리베이터가 출발하여 스톱할때까지 온되는 스톱지령 릴레이(B)의 a접점
C1: 엘리베이터가 피난층 방향으로 운행중임을 검출하는 피난층 방향 검출(CHECK) 릴레이의 b접점
D1,D2: 피난층 도착검출(CHECK) 릴레이(도시생략함)의 b접점
H : 비상 감속지령용 릴레이
H1: 비상 감속지령용 릴레이(H)의 a접점
E1: 피난층과 반대 방향 운전을 지령하는 릴레이(도시생략함)의 a접점
C1: 피난층과 반대 방향으로 운전중임을 검출하는 반대방향 검출릴레이의 a접점
F1,F2: 도어 폐(Close)지령으로 부터 감속운전까지 온되어 있다가 감속운전을
하면 오프되는 엘리베이터도어(Door) 개폐 확인용 릴레이(도시생략함)의 a접점
SL : 정지 하고자 하는 층의 약 120-150mm 전에 취부되어 엘리베이터가
이 지점을 통과함과 동시에 스톱 지령 릴레이(B)를 오프 시키는
스톱 리미트 스위치.
J : 엘리베어터 써어비스 신호를 발생하여 도어에 폐지형이 들어가면 그 때 부터
온 되어 감속운전전까지 온 되는 가속 운전용 릴레이.
K1: 엘리베이터 정지확인용 릴레이(도시생략함)의 b접점.
본 고안은 비상시에 엘리베이터를 피난층으로 신속하게 복귀시키는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를 운행중에 화재시와 같은 비상 상태가 발생되면 피난층 복귀용 스위치(Switch)를 누르면 즉시 카(CAR) 운전반에 등록된 부름과 홀(HALL)에 등록된 부름을 취소하고 피난층이 있는 방향으로 엘리베이터가 운행중인 경우에는 바로 피난층으로 복귀하고, 피난층이 있는 반대 방향으로 운행중인 경우에는 주행하는 방향의 최근층의 정지구역에서 스톱하여, 문을 열지 않고 바로 반전 하여 피난층으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가 피난층과 반대 방향으로 운행중인 경우에 있어서는 피난층 복귀용 스위치를 눌러도 최근층에 도착하여 반전하는 동안 시간이 걸리므로 피난층에 늦게 복귀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 하여 엘리베이터가 피난층과 반대 방향으로 운행중인 경우라도 피난층 복귀용 스위치(RS)를 누름과 동시에 엘리베이터를 감속시켜 엘리베이터의 정지구역이 아닌 층과 층 사이에서도 도어를 열지 않고 바로 반전하여 피난층으로 신속 안전하게 복귀시킬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병렬 접속된 피난층 복귀 스위치(RS), 피난층 복귀지령 릴레이(A)의 a접점(A2)에 피난층 도착검출릴레이(도시생략되었음)의 b접점(D2)을 직렬 연결하여, 피난층 복귀지령 릴레이(A)에 접속시키고, 직렬 접속된 피난층 복귀릴레이의 a접점(A1), 스톱지령릴레이(B)의 a접점(B1), 피난층 방향으로 운행되고 있을 때 온 되는 방향검출 릴레이(도시생략함)의 b접점(C1) 및 피난층 도착검출 릴레이의 b접점(D1)을 온 딜레이 타이머(TM1)의 단자(1)에 직렬연결시켜 도면(1)과 같은 타이머 구동 회로부 (다)를 구성시킨다.
온 딜레이 타이머(TM1)의 접점(TM1-3)을 비상감속 지령용 릴레이(H)에 직렬 접속시키고, 피난층 반대 방향 운전 지형 릴레이(도시 생략함)의 a접점(E1)과 피난층 반대 방향 운행 검출 릴레이의 a접점(G1)을 병렬 접속한 것에 도어 개폐 확인용 릴레이(도시 생략함)의 a접점(F1), 비상 감속 지령용 릴레이(H)의 b접점(H1)을 직렬 접속해서 가속 운전용 릴레이(J)의 구동회로부(라)를 구성시키어 가속 운전용 릴레이(J)에 연결시키며, 직렬 접속된 스톱 리미트 스위치(SL), 온 딜레이 타이머(TM1)의 접점(TM1-1), 스톱지령 릴레이(B)의 a접점(B2)에 도어 개폐 확인용 릴레이의 a접점(F2)을 병렬 접속시킨 것에 정지 확인용 릴레이(도시생략함)의 b접점(K1)을 접속해서 스톱지령 릴레이(B)의 구동 회로부(바)를 구성시키어 스톱지령 릴레이(B)에 연결 시켜 구성시킨다.
여기서 a접점(┤├)과은 릴레이 또는 타이머가 구동할 때 단락(Short)되는 접점이고, b는 접점은 릴레이 또는 타이머가 구동할 때 개방(Open)되는 접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단 피난층은 최하층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우선 피난층 복귀 스위치(Rs)는 주문자가 요구 하는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공지의 스위치 이다.
엘리베이터의 피난층을 최하층으로 가정 하였으므로 공지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가 하강 운전중에 피난층 복귀용스위치를 누르면 즉시 카(CAR) 운전반에 등록된 부름과 홀(HALL)에 등록된 부름을 취소하고 피난층으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가 피난층과 반대 방향으로 상승 운전중일 때에 피난층 복귀용 스위치(RS)를 누르면 직렬 접속된 피난층 복귀용 스위치(RS), 피난층 도착 검출 릴레이의 b접점(D2)에 의해 피난층 복귀 릴레이(A)가 구동하게 되어 그의 a접점(A2)이 접속되므로 릴레이(A)는 a접점(A2)에 의해 자기 유지되고, 카(CAR) 운전반에 등록된 부름과 홀에 등록된 부름을 취소하고 피난층 복귀 릴레이(A)의 a접점(A1)도 접속된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운전중이므로 개폐 확인용 릴레이의 a 접점(F2)과 정지확인용 릴레이의 b접점(K1)이 단락되어 스톱 지령 릴레이(B)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시키므로 스톱지령릴레이(B)의 a접점(B1,B2)은 단락되고 피난층 방향 검출 릴레이의 b접점(C1)과 피난층 도착검출 릴레이의 b접점(D1)은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온 딜레이 타이머(TM1)에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온 딜레이 타이머(TM1)의 접점(TM1-3)이 접속상태가 되어 비상 감속 지령용 릴레이(H)에 전원이 공급되어 릴레이(H)가 구동 되므로 그의 b접점(H1)이 개방 상태가 되어 가속 운전용 릴레이(J)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엘리베이터는 감속운전을 하게된다
엘리베이터가 감속운전을 행함과 동시에 도어 개폐확인용 릴레이의 a접점(F1,F2)이 개방되고, 온 딜레이 타이머(TM1)에 조정되어 있는 일정시간 후에 온딜레이 타이머(TM1)의 접점(TM1-1)이 개방 상태가 되므로 스톱리미트 스위치(SL)가 접속 상태 이더라도 스톱지령 릴레이(B)는 구동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운행 구간의 어느 위치에서라도 바로 정지하여 별도의 공지된 회로에 의해 도어를 개방치 않고 피난층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톱리미트 스위치(SL)가 동작치 않는 구역인 층과 층 사이의 위치라 할지라도 비상시에는 온 딜레이 타이머(TM1)의 접점(TM1-1)과 도어 개폐확인용 릴레이의 a접점(F2)에 의해 스톱 지령 릴레이(B)를 오프 시키게 되어 엘리베이터는 종래와 같이 최근층의 정지구역까지 운행하지 않고 바로 반전하여 피난층으로 신속하게 복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에 있어서, 피난층 복귀 릴레이(A)의 a접점(A1), 스톱지령릴레이(B)의 a접점(B1), 피난층 검출 릴레이 b접점(C1) 및 피난층 도착검출 릴레이의 b접점(D1)으로 구성된 타이머 구동 회로부(다)를 온 딜레이 타이머(TM1)에 접속하고, 온 딜레이 타이머(TM1)의 접점(TM1-3)은 비상 감속 지령용 릴레이(H)에 접속하며, 피난층 반대 방향 운전 지령 릴레이의 a접점(E1), 반대 방향 검출 릴레이 a접점(G1)을 도어 개폐 확인용 릴레인의 a접점(F1)및 비상 감속 지령용 릴레이(H)의 b접점(H1)으로 구성된 가속 운전릴레이(J)의 구동회로부(라)를 가속 운전용 릴레이(J)에 접속하고, 스톱 리미트 스위치(SL)은 딜레이 타이머(TM1)의 접점(TM1-1), 스톱지령 릴레이(B)의 a접점(B2),정지 확인용 릴레이의 b접점(K1)및 도어개폐 확인용 릴레이의 a접점(F2)로 구송된 스톱지령 릴레이(B)의 구동 회로부(바)를 스톱지령릴레이(B)에 연결시키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 층 복귀회로.
KR2019820006356U 1982-08-11 1982-08-11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 KR840002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6356U KR840002452Y1 (ko) 1982-08-11 1982-08-11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6356U KR840002452Y1 (ko) 1982-08-11 1982-08-11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102U KR840001102U (ko) 1984-03-30
KR840002452Y1 true KR840002452Y1 (ko) 1984-11-24

Family

ID=7214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6356U KR840002452Y1 (ko) 1982-08-11 1982-08-11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4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102U (ko) 1984-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2452Y1 (ko) 비상시 엘리베이터 피난층 복귀회로
KR950013967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2508892B2 (ja) 自動車用エレベ―タの呼登録装置
KR900003147Y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제어회로
KR820000545Y1 (ko) 엘리베이터 귀빈 운전회로
KR850003276Y1 (ko)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도어(Door) 개방장치
JP2732974B2 (ja) エレベータのスイツチ動作の異常検出装置
JPS6143823Y2 (ko)
KR850001705Y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930007074Y1 (ko) 엘리베이터 도아 안전회로
JPH0711288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9169476A (ja) ダムウェーターの運転制御装置
SU118477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еспечени безопасности лифта
KR880004002Y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JPS5842376Y2 (ja) 乗客コンベヤの運転装置
JPH06183671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閉ボタンの誤操作防止装置
KR910009235Y1 (ko)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회로
JPS594359B2 (ja) エレベ−タの扉制御装置
KR940000532Y1 (ko) 엘리베이터 부름제어회로
JPH07309568A (ja) 自動開閉ドアの安全装置
KR870000467Y1 (ko) 엘리베이터 운전제어장치
JPS6149235B2 (ko)
JPH0761730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H07291547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2518219Y2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