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705Y1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705Y1
KR850001705Y1 KR2019830011069U KR830011069U KR850001705Y1 KR 850001705 Y1 KR850001705 Y1 KR 850001705Y1 KR 2019830011069 U KR2019830011069 U KR 2019830011069U KR 830011069 U KR830011069 U KR 830011069U KR 850001705 Y1 KR850001705 Y1 KR 850001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ntact
floor
elev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1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911U (ko
Inventor
박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30011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705Y1/ko
Publication of KR8500049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9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운전제어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회로도의 타임챠트(Time Chart)로서, 제2(a)도는 정상상태에서의 타임챠트. 제2(b)도는 이상상태에서의 타임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U1: 상승 운전 검출 릴레이의 접점 D1: 하강 운전 검출 릴레이의 접점
H1: 가동 접점 I1-In: 고정 접점
K1-Kn: 위치검출 릴레이 T : 타이머
B : 감속 지령 릴레이 F : 도어 닫힘 방지된 릴레이
G : 도어 닫힘 지령용 릴레이 BZ : 부저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움직임을 비례 축적한 속도로서 동기반을 구동하여 동기반에 연결된 가동자와, 그와 별도로 준비된 고정자가 서로 접촉하므로서 감속지령 및 부름 해제 지령의 층 제어신호를 제어반내에 전달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특히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층제어신호가 제어반내에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이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가 주행하는 방향의 최근층에 케이지가 도착하게 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중에 가동자도 함께 움직여서 가동자와 별도로 고정 설치된 고정자에 접촉하여 감속 지령 및 부름 해제 지령의 총제어신호를 부름 등록에 따라 제어반내에 전달하였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원인의 고장으로 인하여 가동자와 고정자가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승객이 등록한 층에 대해서 감속 지령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부름 등록층에 감속 및 정지가 불가하게 되어 승강로 내의 최상, 최하층에 설치된 강제 감속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부름 등록층이 아닌 최상, 최하층에 정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내에 탑승한 승객들은 당황하게 되고, 홀측에서 기다리던 승객들도 의아심을 갖게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가동자와 고정자가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타이머와 그와 관련된 구동회로로서 이를 검출하여 케이지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최근층에 감속 지령을 전달하게 하고, 부저음을 발생하여 탑승한 승객에게 이를 알리며, 최근층에 정지한 후에는 자동적으로 도어를 개방시킨후 도어를 닫히지 않게 하며, 사고원인에 대해 보수한 후에야 도어를 닫고 엘리베이터를 운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승, 하강 운전 검출 릴레이의 접점(U1),(D1)에 가동 접점(H1)이 연결되고, 위치 검출릴레이(K1-Kn)에 고정 접점(I1-In)이 연결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운전 검출 릴레이의 접점(A1)에 병렬 접속된 위치 검출 릴레이(K1-Kn)의 접점(K1a-Kna)을 접속하여 타이머 (T)에 접속하고, 최근층 감속 지령 릴레이(B)의 접점(B1)에 접속된 도어 닫힘 확인 릴레이의 접점(C1)과 도어 열림 확인 릴레이의 접점(E1)을 타이머(T)의 접점(T1)에 접속하여 최근층 감속 지령 릴레이(B)에 접속하며, 최근층 감속지령 릴레이(B)의 접점(B2)에 도어닫힘 방지용 릴레이(F)의 접점(F1)을 접속하여 도어닫힘 방지용 릴레이(F)에 접속된 운전 검출릴레이의 접점(A2)에 접속하고, 도어닫힘 방지용 릴레이(F)의 접점 (F2)을 도어 닫힘 제한 스위치의 접점((L1)을 통하여 도어닫힘 지령용 릴레이(G)에 접속하며, 또한 최근층 감속 지령 릴레이(B)의 접점(B3)에 부저(BZ)를 접속하여 구성 시킨다.
여기서 A1은 엘 리베이터가 가동하여 정지될때까지 온 되는 운전검출 릴레이의 접점이고, T는 일정시간 이상 전원이 인가되면 그의 접점(T1)이 단락 되는 검출용 타이머이고, B는 최근층 감속 지령 릴레이이고, C1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온 되는 도어닫힘 확인 릴레이의 접점이고, E1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도어 열림 구역에 도착하면 온한후 도어가 완전히 열리면 오프되는 도어 열림 확인 릴레이의 접점이고, U1은 엘리베이터가 상승 방향으로 운전중에 온 되었다가 정지하면 오프되는 상승 운전 검출릴레이의 접점이고, D1은 엘리베이터가 하강 방향으로 운전중에 온 되었다가 정지하면 오프되는 하강 운전 검출릴레이의 접점이고, L1은 도어닫힘 제한스위치의 접점으로 평상시 단락 접점이나 도어가 완전히 닫히면 개방되는 접점이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B+은 전원단자이고, 릴레이의 접점중 접점()은 릴레이가 온 되면 단락되고, 릴레이가 오프되면 개방되는 접점이고, 접점()은 릴레이가 온 되면 개방되고, 릴레이가 오프되면 단락되는 접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상승중에는 상승 운전 검출 릴레이의 접점(U1)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하강 운전검출 릴레이의 접점(D1)은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케이지가 각층에 도착했을때 가동 접점(H1)이 각층의 고정 접점(I1…In)에 접촉하여 각 층의 위치 검출 릴레이(K1…Kn)가 구동되고, 마찬가지로 케이지가 하강중에는 상승 운전 검출 릴레이의 접점(U1)이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여 각 층에 케이지가 도착했을때 위치 검출릴레이(K1…Kn)가 구동되어정상적인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층에서 케이지가 출발했을때(t1) 1층 위치 검출 릴레이(K1)가 일정시간 동작하고, 2층에 도착했을때(t2) 2층 위치 검출릴레이(K2)가 일정시간 동작하지만 타이머(T)의 세트시간(t) 이상 동작되지 않으므로 타이머(T)는 동작되지 않아 그의 접점(T1)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케이지는 부름이 등록된 층으로 정상적인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케이지가 운전중 임에도 불구하고 어떤원인의 고정으로 인하여 가동 접점(H1)이 다음층의 고정 접점(I1…In)에 접촉되지 아니하면 먼저층의 위치 검출릴레이(K1…Kn)가 계속 구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케이지가 1층에서 상승하는 도중에 가동 접점(H1)이 2층의 고정 접점(I2)에 접촉되지 아니하고 1층의 고정 접점(I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 1층 위치검출 가레이(K1)가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속 온된 상태를 유지하여 그의 접점(K1a)은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때 케이지가 운전중이므로 운전 검출 릴레이의 접점(H1)도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타이머(T)에 세트시간(t)이상 전원(+B)이 인가되어 타이머(T)는 동작되고, 이에 따라 그의 접점(T1)은 단락된다.
따라서 최근층 감속 지령 릴레이(B)는 동작 되어 그의 접점(B1)은 단락되고, 또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 닫힘 확인 릴레이의 접점(C1)이 단락되어 최근층 감속 지령 릴레이(B)는 홀딩상태를 유지하고, 도어가 도어 열림 구역에 도착하면(제2도의 (b)의 t4)도어 열림 확인 릴레이의 접점(E1)이 단락되어 최근층 감속지령 릴레이(B)는 홀딩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층 감속 지령 릴레이(B)의 접점(B1),(B2),(B3)은 단락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져(BZ)가 동작되어 케이지내 승객에게 고장임을 알림과 동시에 공지된 회로에 의해 최근층에 감속 정지하여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최근층에 정지했을때(t4') 운전 검출 릴레이의 접점(A1)은 개방되어 타이머(T)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운전검출 릴레이의 접점(A2)은 단락되어 도어 닫힘 방지용 릴레이(F)는 동작도어 그의 접점(F1)이 단락되므로 도어가 완전히 열려 최근층 감속 지령 릴레이(B)가 오프되어도 도어 닫힘 방지용 릴레이(F)는 홀딩된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또한 이때 도어 닫힘 방지용 릴레이(F)의 접점(F2)은 개방되어 도어 닫힘 지령용 릴레이(G)를 오프시키므로 도어는 열린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 접점(H1)과 고정접점(I1,I2…In)의 고장원인의 보수한 이후에 전원(+B)을 차단한후 재투입하여야만 도어 닫힘 방지용 릴레이(F)의 홀딩 상태가 해제되어 정상적인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수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지가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이를 검출하여 최근층에 케이지가 자동으로 정지함과 동시에 부져옴을 발생하여 케이지내 승객에게 고장임을 알려주고, 최근층에 정지하여 도어가 열린 이후에도 도어 닫힘 지령용 릴레이의 구동을 중지시켜 도어가 계속 열린 상태를 유지하여 고장을 수리한 이후에 엘리베이터 운전을 가능하게 하므로 케이지내 승객을 당황하게 하거나 홀에 대기중인 승객에게 의아심을 불러일으키지 않게되고, 운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승, 하강 운전 검출 릴레이의 접점(U1),(D1)에 연결된 가동 접점(H1)이 고정접점(I1-In)에 접촉하여 위치 검출 릴레이(K1-Kn)을 구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케이지가 운전중임에도 불구하고 위치 검출 릴레이(K1-Kn)중 하나가 일정시간 이상 구동되면 타이머(T)가 동작되어 그의 접점(T1)으로 최근층 감속지령 릴레이(B)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방향의 최근층에 정지 시킴과 동시에 부져(BZ)를 동작시키고, 케이지가 정지되어 도어가 열리면 도어 닫힘 방지용 릴레이(F)를 구동시켜 도어 닫힘 지령용 릴레이(G)가 구동되지 못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2019830011069U 1983-12-24 1983-12-24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850001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069U KR850001705Y1 (ko) 1983-12-24 1983-12-24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069U KR850001705Y1 (ko) 1983-12-24 1983-12-24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911U KR850004911U (ko) 1985-07-31
KR850001705Y1 true KR850001705Y1 (ko) 1985-08-16

Family

ID=7016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1069U KR850001705Y1 (ko) 1983-12-24 1983-12-24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7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911U (ko) 198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89992B (zh) 电梯控制电路
KR960706448A (ko) 승강기 도어 부정조작 방지 시스템(Elevator door tampering protection system)
CA1182228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vator
US3554326A (en) Elevator door control
KR850001705Y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US1934867A (en) Elevator gate
US3685618A (en) A floor selector for an elevator car
JPH0812747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3545572A (en) Elevator door control
US2816625A (en) Elevator system having door operators
JPS6122673B2 (ko)
US3450232A (en) Elevator door control
KR870000467Y1 (ko) 엘리베이터 운전제어장치
SU134285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 включением привода движени кабины лифта
US2867291A (en) Electrical control system
JPH0511274Y2 (ko)
US3369633A (en) Electrical control for a hydraulic elevator system
US1925873A (en) Automatic elevator system
KR850001697B1 (ko) 승강기 과속도 검출장치
KR930007074Y1 (ko) 엘리베이터 도아 안전회로
JPS60213673A (ja) 昇降機浸水時の運転装置
KR890004629Y1 (ko)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JPH0761730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US2903092A (en) System for converting an operator-staffed signal-controlled elevator system into a passenger-operated automatic system
KR850001706Y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