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697B1 - 승강기 과속도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과속도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697B1
KR850001697B1 KR1019830004958A KR830004958A KR850001697B1 KR 850001697 B1 KR850001697 B1 KR 850001697B1 KR 1019830004958 A KR1019830004958 A KR 1019830004958A KR 830004958 A KR830004958 A KR 830004958A KR 850001697 B1 KR850001697 B1 KR 850001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ntact
switch
detection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353A (ko
Inventor
김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30004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697B1/ko
Publication of KR850003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강기 과속도 검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서의 과속도 검출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의 무접점 스위치(P1)(P2)(P3)의 취부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의 각 릴레이 및 타이머의 동작상태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폐판(Shield Plate) 2 : 카(Car)
3 : 검출회로 P1, P2: 위치검출용 무접점 스위치
P3: 도어개방 가능 구역 검출용 무접점 스위치
TD : 지연타이머 RA : 과속도 검출 릴레이
R4: 도어개방 가능 구역검출릴레이
본 발명은 수직 또는 경사형으로 배치된 일정구간을 운행하는 승강기에 있어서, 전체층에 걸쳐 운행속도가 제한 속도를 초과하거나 지정된 영역내에서 구간 속도를 초과하여 운행할 경우에, 이를 사전 검출하여 규정속도 이하로 제한 또는 비상 정지시키므로서 안전 운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승강기 과속도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과속도 검출장치로서는 기계적인 조속기를 이용하는 것 또는 승강기 구동용 전동기의 회전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검출하는 PG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있었으나, 전자의 경우에는 기계적 구조인 조속기에 의하여 과속도를 검출 하므로서 과속도 검출 응답의 불확실성 및 동작시간지연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승강기용 카(Car)의 이상 운행 상태를 간접적으로 검출하므로서 이 역시 불확실성을 배제할 수가 없었으며, 또한 최상하층에서의 과속 운행시는 리미티(Limiter)스위치등에 의하여 규정층 구간을 통과한 후에야 비로소 검출이 가능하므로 과속 운행 상태에 따라 가속도와 같은 영향등으로 인하여 리미터 스위치가 작동하더라도 상부 또는 하부 구조물과의 충돌 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전체층에 걸쳐 승강기가 제한 속도를 초과 운행하거나 지정된 구간내에서 구간속도를 초과하여 과속운행 되는 상태를 과속도 검출회로에 의하여 사전에 검출하여 규정속도 이하로 제한하거나 비상 정지 상태로 유도하므로서 안전 운행을 제공토록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와 같이 승강기 카(2)에 취부되어 있는 위치검출용 무접점 스위치(P1), (P2)와 도어 개방 가능 구역 검출용무접점 스위치(P3)가 (2)의 운행상태에 따라 건물내 각층 마다 고정 설치되어 있는 차폐판(1)에 대향하게되면 온, 오프 제어 동작되도록 구성하고, 상기한 위치 검출용 무접점 스위치(P2), (P1)는 카(2)가 상승 또는 하강운행 상태에 따라 그 동작순서가 전환 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카(2)의 상승 운행시는 스위치(P1), 스위치(P2)의 순으로 차폐판(1)에 대향하여 ON상태로 제어되며, 하강운행시는 스위치(P2), 스위치(P1)의 순으로 상태로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또한 카(2)의 도어개방 가능구역(Door Open Zone)운행시는 도어 개방 가능구역 검출용 무접점 스위치(P3)가 OFF상태로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무접점 스위치(P1), (P2), (P3)는 제1도에서와 같이 릴레이(R1), (R2), (R3)의 각각 직렬접속시키고, 릴레이(R1), (R2)의 a접점(Aa1), (Ba1)을 병렬 접속하고, 릴레이(R3)의 a접점(Ca1)에 이상 검출 릴레이(RA)의 a접점(Da)이 병렬 접속된 타이머(TD)의 b접점(Tb1)을 직렬로 하여 릴레이(R3)에 직렬접속 시킨다.
또한 지연 티이머(TD), 릴레이(R3)의 a접점(Ca2) 및 이상 검출 릴레이(RA)의 b접점(Db)을 직렬 접속시키고, 이상 검출 릴레이(RA)를 릴레이(R3)의 a접점(Ca3), 타이머(TD)의 b접점(Tb2), 릴레이(R2)의 a접점(Ba2)이 병렬로 접속된 릴레이(R1)의 a접점(Aa2)과 직렬로 접속시키고, 릴레이 (R4)의 b접점(Eb) 및 규정 운전 지령 접점(Fa)을 이상 검출 릴레이(RA)에 직렬로 연결 구성시킨다.
릴레이의 구동에 의하여 단락(Cloes)되는 접점용 a접점, 릴레이이의 구동에 의하여 개방(Open)되는 접점을 b접점으로 표시하고, P1-P2는 무접점 스위치로서 차폐판(1)에 대향하면 ON되는 a접점.
P3는 무접점 스위치로서 차폐판(1)에 대향하면 OFF되는 b접점
S1는 전체층의 과속도 검출 스위치
Ha는 최상층 검출 릴레이의 a접점
Ia는 최하층 검출 릴레이의 a접점
R1는 무접점 스위치(P1)의 동작에 의하여 제어되는 릴레이
R2는 무접점 스위치(P2)의 동작에 의하여 제어되는 릴레이
R3는 릴레이(R1) 또는 (R2)의 구동에 의하여 제어되는 릴레이
TD는 페로시 지연 타이머
RA는 과속도 검출 릴레이
R4는 도어개방 가능구역(Door open zone)검출릴레이
H1는 상승 운행시 ON되는 릴레이의 접점
I1는 하강 운행시 ON되는 릴레이의 접점
Fa는 속도지령 릴레이의 접점
Ga는 릴레이(R4)를 ON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릴레이의 접점
Ja는 전기적 신호로 카(2)작동되는 경우 ON상태로 되는 운전 릴레이의 접점
Aa1-Aa2는 릴레이(R1)의 a접점, Ba1-Ba2는 릴레이(R2)의 a접점
Ca1-Ca3는 릴레이(R3)의 a접점, Da는 릴레이(RA)의 a접점
Db는 릴레이(RA)의 b접점, Eb는 릴레이(R4)의 b접점
Tb1-Tb2는 타이머(TD)의 b접점, DC는 직류전원을 각각 표시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 기준층에서 부터 승강기의 카(2)의 상승운행중이라고 가정하면 제1도에서 직류 전원(DC)이 전체층의 과속도 검출 스위치(S1) 및 무접점 스위치(P3)(이 경우에는 도어개방 가능구역내에 도달하지 않았으므로 ON상태임)를 통하여 릴레이(R4)에 인가되므로 도어 개방 가능 구역 검출 릴레이(R4)가 구동되어 도어 개방 유무를 검출하게 되며, 카(2)는 상승 운행을 계속한다.
이와같은 상승 운행을 계속하여 제2도에 도시한 무접점스위치(P1)가 건물내 각층 마다 고정설치되어 있는 차폐판(1)의ⓐ지점에 도달하여 대향하게 되면 스위치(P1)가 ON상태가 되어 릴레이(R1)가 구동되며, 릴레이(R1)의 구동에 의하여 그의 a접점(Aa1)이 단락되므로 릴레이(R3)가 구동되고, 릴레이(R3)의 구동에 의하여 접점(Ca2)이 단락되므로 접점(Db)(릴레이 (RA)가 off상태이므로 접점(Db)는 단락상태임)을 통하여 지연 타이머(TD)에 직류전원(DC)이 공급되므로 타이머(TD)가 카운트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이때 릴레이(R3)는 접점(Ca1), (Tb1)을 통하여 계속 구동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카(2)가 상승운행하여 도어개방 가능 구역 검출용 무접점 스위치(P3)가 차폐판(1)의 a지점에 도달하여 대향하게 되면, 스위치(P3)가 off상태가 되어 도어 개방가능 구역 검출릴레이(R4)가 목적층에서 구동을 멈추게 되지만, 여기서 차폐판(1)이 각층마다 고정설치되어 있어, 목적층의 도어개방 가능 구역이 아닌 층을 통과할 때에는 검출릴레이(R4)가 목적층에 도달할때 구동되지 않고, 도어개방가능 부름이 없는 층을 통과할때 구동되는 릴레이(도시생략됨)의 a접점(Ga)에 의하여 계속해서 구동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릴레이(R4)는 도어개방 가능 구역 검출릴레이로서 무접점 스위치(P3)와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무접점 스위치(P3)는 카에 취부되어 있어 건물측 각층마다 설치된 차폐판(1)과 대향하게 되면, 동작하여 릴레이(R4)를 오프시키게 된다. 그런데 차폐판(1)이 각층마다 설치되어 있으므로 목적층 이외에서도 동작하므로 이때에 릴레이(R4)를 계속하여 구동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접점이 바로 접점(Ga)이다.
여기서 접점(Ga)의 주 릴레이 회로는 공지된 것으로 어떤 부름이 있는 층, 즉 목적층에 도달하면 오프되고, 이어서 무접점 스위치(P3)에 의하여 릴레이(R4)가 오프된다.
한편 부름이 없는 층을 통과 할때에는 항상 구동상태가 되어 무접점 스위치(P3)에 관계없이 릴레이(R4)를 구동상태로 유지시키게 되어 목적층이 아닌 층에서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카(2)가 목적층의 도어개방 가능 구역에 도달하면 접점(Ga)이 개방 상태로 되고, 잠시후 챠폐판(1)의ⓐ지점에 무접점 스위치(P3)가 대향하게 되어 무접점 스위치(P3)가 오프되므로 릴레이(R4)가 구동을 멈추게 되어 승강기가 감속완료되어 거의 정지상태로 돌입되는 도어개방 기능 구역임을 알려주게 된다.
여기서, 도어개방 가능 구역내의 최대 정격속도를 V1(m/sec)로 규정하였다고 가정하면 실제의 카(2)의 운행 속도가 이를 초과하였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속도에 따라 속도지령 전압이 변화하게 되어 전압 편차가 발생하므로 이로 인하여 공지된 정전압 속도지령 릴레이(도시생략됨)가 구동되어 그의 a접점(Fa)이 접속상태가 되므로 직류전원(DC)이 접점(Eo) 및 (Fa)를 통하여 과속도 검출 릴레이(RA)에 공급되므로 릴레이(RA)를 구동시켜 구간 과속운행 상태를 사전 검출하게 된다.
계속해서 카(2)가 상승 운행하여 무접점 스위치(P2)가 차폐판(1)의ⓐ지점에 도달하고, 무접점 스위치(P1)가 차폐판(1)의 ⓑ지점에 도달하여 대향하게 되면, 스위치(P2)가 ON상태가 되어 릴레이(R2)가 구동되며, 릴레이(R2)의 구동에 의하여 접점(Ba1)이 단락되므로 릴레이(R3)는 계속구동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2도에서 차폐판(1)의 ⓐ지점에서 ⓑ지점까지의 거리를 1[m], 카(2)의 최고 정격속도를 V2[m/s]라고 가정하면 카(2)최고 정격 속도로 상승 운행할때 무접점 스위치(P1)가 ⓐ지점에 도달하여 ON상태가 된후 무접점 스위치(P1)및 ⓐ지점에 도달하여 ON상태가 되기까지의 소요시간(t1)은 t1=1/V[sec]가 된다.
만일 카(2)가 최고정격 속도를 초과하여 과속운행할 경우 스위치(P1)가 ⓐ지점 도달후 스위치(P2)가 ⓐ지점에 도달하기 까지의 소요시간(t2)은 t2<t1이 된다.
따라서 지연 타이머(TD)의 지연 카운트 동작시간을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상 운행시의 소요시간(t1)까지로 설정하여 두게되면 무접점 스위치(P1)가 ⓐ지점 도달후 무접점 스위치(P2)가 ⓐ지점에 도달하기 까지의 정상 소요시간(t1)이전에 과속운행으로 인하여 스위치(P2)가 ⓐ지점에 미리 도달하게 되어 이때에는 스위치(S1), 접점(Ca3), (Tb2), (H1), (Ba2)을 통하여 과속도 검출 릴레이(RA)의 직류전원(DC)이 공급되므로 검출릴레이(RA)가 구동되어 도어개방 가능 구역내의 이상 운행 상태를 사전 검출하게 된다.
한편 이와는 별도로 상기한 정전압 속도 지령 릴레이가 과속도를 검출하여 그의 a접점(Fa)이 접속되면 이때에는 (+)→(Eb)→(Fa)→(RA)→(-)의 폐회로 구성으로 과속도 검출 릴레이(RA)를 구동시킬수도 있는 것이어서 도어 개방 영역내의 이상운행 상태를 병행하여 검출하므로서 안정성을 더욱 강화시킨 것이다.
다음은 승강기의 카(2)가 하강 운행중인 경우에는 무접점 스위치(P1)와 스위치(P2)가 차폐판(1))의 ⓐ지점에 도달하는 순서가 무접점 스위치(P2)→무접점 스위치(P1)의 중으로 전환 동작되는 차이일뿐 상기한 상승 운행시의 회로 동작과 동일한 원리로서 동작수행을 하게되며, 무접점 스위치(P2)가 차폐단(1)의 ⓐ지점 도달후 무접점 스위치(P1)가 ⓐ지점에 도달하는 소요시간(t1)을 초과하여 과속운행 하게되면 상기한 바와같이 과속도 검출릴레이(RA)가 구동하여 접점(Db)이 개방상태가 되므로 지연타이머(TD)는 지연 카운트 동작으로 부터 해제되며, 릴레이(R3)는 접점(Ca1), (Da)을 통하여 계속 구동 상태를 유지하므로 카(2)가 운행 정지되는 순간까지 검출 릴레이(RA)를 구동시키게 된다.
즉, 상승 운행시에는 제2도에 도시한 무접점 스위치(P1)가 차폐판(1)의 ⓐ점에 도달하게 되므로 이때에는 무접점 스위치(P1)가 온되어 릴레이(R1)가 구동되므로 그의 a접점(Aa1)이 접속 되므로 릴레이(R3)가 구동되어 (Ca) (Db) (TD)의 폐회로 구성으로 타이머(TD)가 이때부터 카운트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정상 속도인 경우에는 시간(t1)까지 카운트 한후 타이머(TD)가 온되면 그의 접점(Tb2)이 개방되어 과속도 검출릴레이(RA)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일 과속도인 경우에는 타이머(TD)가 시간(t1)동안 카운트 동작하기 전에(즉 접점(Tb2)이 개방되기전)무접점 스위치(P2)가 ⓐ점에 도달하게 되면 릴레이(R2)가 구동되어 그의 접점(Ba2)이 접속되므로 이때에는 Ca3→Tb2→H1→Ba2→RA의 폐회로 구성으로 과속도 검출 릴레이(RA)가 구동되어 과속도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강 운행시에는 무접점 스위치(P1)와 무접점 스위치(P2)의 접점이 반대로 접속되고, 접점(H1), (Ba2)대신에 접점(I1), (Aa2)의 동작 상태로 바꾸어 설명하면 되고, 그밖의 회로 동작을 상술한 상승시의 경우와 동일한 것이다.
제1도에서의 스위치(S1)를 ON상태로 하면 전체층에 걸쳐 과속도 운행 상태를 검출할수가 있으며 상황에 따라 스위치(S1)를 OFF시키고, 최상층 릴레이 접점(Ha), 최하층 릴레이 접점(Ia)을 이용하여 최상, 하층에서의 과속운행시에도 과속운행 상태를 검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무접점 스위치가 차폐판에 대향할때 온, 오프제어 되도록 하여 과속도 검출 릴레이 및 도어 개방 가능구역 검출 릴레이를 구동시키므로 전체층에 걸쳐 승강기의 이상 운행 상태 및 목적층의 도어개방 가능 구역 내에서의 이상 운행 상태를 사전에 검출하여 규정속도 이하로 제한 또는 비상 정지상태로 유도하므로서 종래의 속도검출 장치에서의 불확실성을 배제하고 승강기의 과속운행으로 인한 제반 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여 안전 운행을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수직 또는 경사형으로 배치된 일정 구간을 운행하는 승강기에 있어서, 각층 마다 고정 설치된 차폐판(1)에 카(2)에 수직 취부된 위치 검출용 무접점 스위치(P1)(P2) 및 도어 개방 가능구역 검출용 무접점 스위치(P3)가 대향할때 스위치(P1), (P2), (P3)가 온, 오프 제어동작 되도록 구성하여 검출회로(3)내의 과속도 검출 릴레이(RA)를 구등시키므로 전체층에서의 이상운행 상태를 사전에 검출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과속도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검출회로(3)내의 검출 릴레이(R4) 및 접점(Ha), (Ia)에 의하여 목적층의 도어개방가능 구역 또는 최상층 또는 최하층에서의 이상운행 상태를 사전에 검출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과속도 검출장치.
KR1019830004958A 1983-10-20 1983-10-20 승강기 과속도 검출장치 KR850001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4958A KR850001697B1 (ko) 1983-10-20 1983-10-20 승강기 과속도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4958A KR850001697B1 (ko) 1983-10-20 1983-10-20 승강기 과속도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353A KR850003353A (ko) 1985-06-17
KR850001697B1 true KR850001697B1 (ko) 1985-11-26

Family

ID=1923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958A KR850001697B1 (ko) 1983-10-20 1983-10-20 승강기 과속도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6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353A (ko) 198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2711A (en) Elevator door control responsive to obstructions
US3903996A (en) Closure system
US3792759A (en) Elevator system
US4308936A (en) Elevator system
US4067416A (en) Elevator system
US3791490A (en) Elevator control system for indicating damage to an elevator structure
US3587785A (en) Elevator control system safety arrangement
US4337846A (en) Elevator relevelling control apparatus
GB1600770A (en) Elevator system
EP1701905B1 (en) Elevator arrangement
CA1063266A (en) Elevator system
KR850001697B1 (ko) 승강기 과속도 검출장치
US4101007A (en) Control system for limiting elevator car movement speed unless car doors are fully closed
US3599754A (en) Motor control system
US4457404A (en) Elevator system
US3474886A (en) Overspeed control means
US4833380A (en) Hoist motor protection
US5918705A (en) Building elevator door restrictor
US3333657A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KR900006399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EP2660179B1 (en) Termination floor forced deceleration device for elevator
KR100809373B1 (ko)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KR20090014667A (ko)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시스템의 출력지연 제동장치 및 그제동방법
KR850001705Y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870000467Y1 (ko) 엘리베이터 운전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